KR102563362B1 -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62B1
KR102563362B1 KR1020220160422A KR20220160422A KR102563362B1 KR 102563362 B1 KR102563362 B1 KR 102563362B1 KR 1020220160422 A KR1020220160422 A KR 1020220160422A KR 20220160422 A KR20220160422 A KR 20220160422A KR 102563362 B1 KR102563362 B1 KR 10256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movable plate
expansion joint
measur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식
Original Assignee
영동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동이앤지(주) filed Critical 영동이앤지(주)
Priority to KR102022016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교량의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는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적용되고,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용 레버가 형성되며 벤딩가능한 가동판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홀이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승강가능하게 제1슬롯이 하단 개구부로부터 임의높이만큼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의 일측면, 교대 또는 교각의 일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제1슬롯과 연결되고 상기 레버가 승강가능하게 제2슬롯이 상단에서 밑으로 임의높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동판 바닥면에 연결되어 임의높이만큼 승강되고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이 표면에 형성되는 탐촉자;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탐촉자의 승강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의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기하는 액정표시부를 갖는 측정구;
상기 가동판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가동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digital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gap of bridge expansion joint}
본 명세서는 유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량의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구조는 상부구조(슬래브 및 거더), 하부구조(교대 및 교각) 및 기초(말뚝 및 우물통 등)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교량의 중요한 요소로서 교량받침과 신축이음이 있는데, 교량받침은 상부구조의 고정하중과 활하중(차량 활하중 및 군중 활하중 등)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구조물이고, 신축이음은 동,하절기 교번에 따른 장기적 온도 변화와 주야 교번에 따른 단기적 온도 변화에 의한 상부구조의 신축을 흡수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신축이음은 온도 변화에 의한 상부구조의 수축과 팽창을 원활하게 흡수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설치된 위치의 상부구조(슬래브 또는 거더)사이의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게 하는 형상으로 시공된다.
신축이음의 다른 기능은 설치된 위치의 노면 평탄성을 유지하게 해줌으로써 통해 차량 또는 통행인들에게 원활한 주행성을 제공하게 된다.
신축이음 설치위치에서 상부구조 사이에 유지되고 있는 수평거리를 유간이라고 하며, 주기적인 측정을 통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최대 수축, 신장량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지 확인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교량의 유지관리 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중요한 점검 행위로 관련지침에도 규정되어 있다.
유간이 부족할 경우, 상부구조의 자유스러운 수평,회전 운동이 억제되어 부재간 협착으로 파손, 박락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유간이 과다할 경우 차량 통행시 축격으로 인한 승차감 저하와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신축이음부 적정 유간 확보는 교량의 건전성 유지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간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틸자(scal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근접하여 직접 측정하는 근접 직접 측정방법이 사용되었다.
특히 교각간 거리가 50m이상인 장경간 교량일 경우 거더의 높이가 2.5m이상이므로, 하부구조로부터 근접 접근이 어려워 아예 유간 측정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며, 유간을 측정한다 하더라도 가시성 저하로 인한 측정오차가 발생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 및 도 1b는 신축이음(1)이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부구조인 교대(4) 또는 교각(5)에 상부구조인 거더(3)와 콘크리트로 타설된 슬래브(2)가 차량 진행방향으로 하부구조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신축이음(1) 본체의 유간은 "a"가 되고, 바닥판 슬래브(2)의 유간은 "b"가 되며, 거더(3)의 유간(거더 상부유간 및 거더 하부유간을 말함)은 "c", "d"가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유간(a,b,c,d)에 스틸자를 직접 위치시켜 각각의 유간을 목측으로 측정하게 되므로 가시성 저하로 인해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하부구조인 교대(4) 또는 교각(5)의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유간(b, c)을 측정하기 위해 작업용 사다리가 필요하게 되고, 보조작업자가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44013호(2017.6.20)에 유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간측정방법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교량 신축이음부의 유간을 육안으로 측정시 별도의 작업용사다리 사용이 불필요하여 측정작업이 용이하고, 디지털형 측정구의 액정표시부 확인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유간 측정장치를 운반, 보관 또는 휴대할 경우 안테나형태로 길이를 줄여 외형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적용되고,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용 레버가 형성되며 벤딩가능한 가동판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홈이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승강가능하게 제1슬롯이 하단 개구부로부터 임의높이만큼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구조인 교대 또는 교각의 일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제1슬롯과 연결되고 상기 레버가 승강가능하게 제2슬롯이 상단에서 밑으로 임의높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가동판 바닥면에 연결되어 임의높이만큼 승강되고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이 표면에 형성되는 탐촉자;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탐촉자 승강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의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기하는 액정표시부를 갖는 측정구;
상기 가동판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가동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 조작으로 승강되는 상기 가동판의 이동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90도 방향전환하기 위한 가이드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 밑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판 승강시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방향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판은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을 수평방향으로 측정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호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시 상기 탐촉자 이동범위를 벗어나는 간격을 측정하는 경우 상기 가동판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판의 상단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판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자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교량 신축이음부의 유간 측정시 별도의 작업용사다리 및 작업보조인원이 불필요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고, 디지털형 측정구의 액정표시부 확인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하게 되므로 유간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유간 측정장치를 보관, 운반하거나 또는 휴대할 경우 안테나형태로 길이를 줄여 길이를 최소화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b)은 교량의 신축이음이 설치된 하부구조 상에서 작업자(조사자)가 유간을 측정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간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대용사진,
도 3(a,b)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b,c)는 도 3에 도시된 측정장치에서, 유간 최소를 측정하는 경우, 유간 최대를 측정하는 경우, 휴대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a에 도시된 "가" 부위의 확대도,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나" 부위의 확대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측정장치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는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적용되고,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용 레버(10)가 형성되며 벤딩가능한 가동판(20)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홀(30)이 상단에 형성되며, 레버(10)가 승강가능하게 제1슬롯(slot)(40)이 하단 개구부로부터 임의높이만큼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부(50)가 형성되며, 슬래브(30)의 일측면 또는 하부구조(교대(4) 또는 교각(5))의 일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는 상부 케이스(60)(일 예로서, 직사각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40)과 연결되고 레버(10)가 승강가능하게 제2슬롯(70)이 상단에서 밑으로 임의높이만큼 형성되고, 수납공간부(50)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80);
가동판(20) 바닥면에 연결되어 임의높이만큼 승강되고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90)이 표면에 형성되는 탐촉자(100);
하부 케이스(8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탐촉자(100)의 승강에 의해 측정되는 신축이음부 간격(유간 "A","B","C","D",)의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기하는 액정표시부를 갖는 측정구(110);
가동판(20) 상단에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60)로부터 가동판(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20)(stopp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a,b), 4(a,b,c),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 케이스(60)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고, 레버(10) 조작으로 승강되는 가동판(20)의 이동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90도 방향전환하기 위한 가이드샤프트(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가이드샤프트(130)는 상부 케이스(60)의 외부로 돌출되지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b), 4(a,b,c),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샤프트(130) 밑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상부 케이스(60)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가동판(20) 승강시 상부 케이스(6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방향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바(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가이드바(140)는 상부 케이스(60)의 외부로 돌출되지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동판(20)은 신축이음부 간격(유간) 측정시 연직방향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호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 신축이음부 간격(유간) 측정시 탐촉자(100) 이동범위(일 예로서, 0∼40㎝를 말하고 이로써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를 벗어나는 간격을 측정하는 경우 가동판(20)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150)(일 예로서, 0∼40㎝ 길이를 말하고 이로써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 도 4b,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동판(20)의 상단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연결판(15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자성체(magnet)(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교대 또는 교각 위에서 신축유간(b), 또는 유간(c)(도 1 참조)을 측정할 경우에 별도의 작업용 사다리, 작업보조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신축유간(b), 또는 신축유간(c)를 측정할 경우에, 가동판(20)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120)(금속재로 형성됨)에 형성되는 자성체(160)에 연결판(150)을 원터치형태로 착탈가능하게 이음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자성체(160)에 연결판(150)을 이음연결시킨 후, 상부 케이스(60)의 외측면을 하부구조(교대(4) 또는 교각(5)의 일측면에 밀착시킨다.
전술한 가동판(20) 하단에 형성된 손잡이용 레버(10)를 파지하여 상부 케이스(60)에 형성된 제1슬롯(40)을 따라 가동판(2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가동판(20)은 상부 케이스(60)의 상단 모서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30)에 의해 제1슬롯(4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된 후, 수평방향으로 이동방향을 90도 방향전환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가이드샤프트(130) 밑으로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상부 케이스(6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바(140)에 의해 가동판(20)이 상부 케이스(60)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연결판(150) 외측면을 슬래브(30)의 일측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유간(b) 또는 유간(c)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도 5에서와 같이, 유간(b) 또는 유간(c)은 초기설정값(default; α + β) + (가동판(20)의 이동거리(일 예로서, 최대이동거리는 40cm임) + 연결판(150)의 길이(일 예로서, 최대이동거리는 0 ∼ 40cm임); γ)를 합한 값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α + β + γ)를 합한 측정값은 하부 케이스(80)에 형성된 액정표시부를 갖는 측정구(110)에 숫자로 표기됨에 따라 작업자는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측정구(110)는 피측정물의 외측면 두께, 외경 또는 내경 등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도구로 사용되는 통상의 버니어캘리퍼스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가동판(20)의 횡단면을 원호형태(일 예로서, 오목형 단면형태임)로 형성시킴에 따라 유간(b), 유간(c) 측정시 가동판(20) 처짐을 방지하여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동판(20)(재질은 탄성력을 갖는 벤딩가능한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의 폭 사이즈를 적어도 25mm로 형성시킴에 따라 유간 측정시 수직방향으로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레버(10)를 파지하여 가동판(20)을 상부 케이스(60)의 제1슬롯(4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상부 케이스(60)의 내측면에 임의간격을 유지하여 관통형성된 가이드바(140)에 의해 상부 케이스(6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미리설정된 디폴트 값(α+β)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에서와 같이, 전술한 유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교량 신축이음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용 레버(10)를 하부 케이스(80)에 형성된 제2슬롯(70)하단에 위치시킬 경우, 가동판(20) 상단에 형성된 스토퍼(120)가 상부 케이스(60)의 관통홀(30)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는 측정된 유간이 최소값인 0(zero)일 경우에 해당된다.
도 4b에서와 같이, 전술한 손잡이용 레버(10)를 상부 케이스(60)에 형성된 제1슬롯(40)과, 제1슬롯(40)과 연결되도록 하부 케이스(80)에 형성된 제2슬롯(7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레버(10)를 상부 케이스(60) 하단에 위치시킬 경우, 상부 케이스(60)의 관통홀(30)을 통해 노출된 가동판(20)의 이동거리(일 예로서, 최대 40cm임)와, 가동판(20)의 상단에 연결된 연결판(20)의 사이즈(일 예로서, 최대 40cm임)에 의해, 본 측정장치로서 측정가능한 최대 유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c에서와 같이, 전술한 유간 측정장치를 휴대, 운반하거나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용 레버(10)를 하부 케이스(80)에 형성된 제2슬롯(7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레버(10)를 제2슬롯(70)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상부 케이스(60)의 제1슬롯(4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판(150)이 상단에 연결된 가동판(20) 일부는 상부 케이스(60)의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하부 케이스(80)의 하단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60)에 수용함에 따라 유간 측정장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신축이음
2; 바닥판 슬래브
3; 거더
4; 교대
5; 교각
10; 손잡이용 레버(lever)
20; 가동판(moving plate)
30; 관통홀
40; 제1슬롯(slot)
50; 수납공간부
60; 상부 케이스(upper case)
70; 제2슬롯(slot)
80; 하부 케이스(lower case)
90; 스케일(scale)
100; 탐촉자
110; 측정구(measurment tool)
120; 스토퍼(stopper)
130; 가이드샤프트(guide shaft)
140; 가이드바(guide bar)
150; 연결판(connection plate)
160; 자성체(magnet)

Claims (6)

  1. 교량에 설치된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거더 상하부의 유간을 측정하기 위한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에 적용되고,
    하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하단에 손잡이용 레버가 형성되며 벤딩가능한 가동판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홀이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가 돌출되어 승강가능하게 하는 제1슬롯이 하단 개구부로부터 임의높이만큼 형성되며,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의 일측면, 교대 또는 교각의 일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제1슬롯과 연통되고 상기 레버가 돌출되어 승강가능하게 하는 제2슬롯이 상단에서 밑으로 임의높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 조작으로 승강되는 상기 가동판의 이동을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90도 방향전환하기 위한 가이드샤프트;
    상기 가이드샤프트와 제1슬롯 상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동판 바닥면에 연결되어 임의높이만큼 승강되고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스케일이 표면에 형성되는 탐촉자;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탐촉자의 승강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신축이음부 간격의 측정값을 디지털로 표기하는 액정표시부를 갖는 측정구;
    상기 가동판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로부터 상기 가동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및
    양단이 절곡되어 일측이 상기 가동판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수납공간부에 수용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신축이음본체, 바닥판 슬래브, 및 거더의 다양한 높이에 맞추어 신속 용이하게 유간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수납공간부로 상기 가이드바와 접촉하는 지점까지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형 길이를 줄여 운반,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가동판 승강시 상기 가동판이 상기 상부 케이스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동판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여 유간 측정의 오차를 줄이고,
    상기 가동판은 소정의 폭과 하부로 볼록한 원호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간 측정시 하부로 처짐을 방지하여 유간 측정의 오차를 줄이며,
    상기 연결판은 상기 신축이음본체의 유간, 바닥판 슬래브의 유간, 및 거더의 유간 측정시 상기 관통홀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가동판의 최대 돌출 길이보다 더 큰 유간을 측정하는 경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신속 용이하게 유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상단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판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자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KR1020220160422A 2022-11-25 2022-11-25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KR10256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422A KR102563362B1 (ko) 2022-11-25 2022-11-25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422A KR102563362B1 (ko) 2022-11-25 2022-11-25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362B1 true KR102563362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422A KR102563362B1 (ko) 2022-11-25 2022-11-25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6553A (ja) * 2007-04-05 2008-10-23 Toshiba Corp 原子炉内構造物の間隔測定装置
KR101656771B1 (ko) * 2015-11-23 2016-09-12 정태하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
KR101747178B1 (ko) * 2017-01-19 2017-06-19 (주)동안기술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KR101841635B1 (ko) * 2017-08-23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구조물 안전진단시 방향전환식 거더 간격 계측기
JP2018072324A (ja) * 2016-09-06 2018-05-10 ゼネラル エレクトリック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検査プローブ
KR102412193B1 (ko) * 2021-10-18 2022-06-27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교량의 안전진단용 유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6553A (ja) * 2007-04-05 2008-10-23 Toshiba Corp 原子炉内構造物の間隔測定装置
KR101656771B1 (ko) * 2015-11-23 2016-09-12 정태하 안전진단용 교량유간 측정장치
JP2018072324A (ja) * 2016-09-06 2018-05-10 ゼネラル エレクトリック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検査プローブ
KR101747178B1 (ko) * 2017-01-19 2017-06-19 (주)동안기술 협소 공간용 신축 유간 측정기
KR101841635B1 (ko) * 2017-08-23 2018-03-23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구조물 안전진단시 방향전환식 거더 간격 계측기
KR102412193B1 (ko) * 2021-10-18 2022-06-27 주식회사 신라이앤씨 교량의 안전진단용 유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8969A (en) Hinge for use with large pre-cast overfilled load support structures
CN108592774B (zh) 一种用于d型便梁错动和桥墩倾角的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6087746A (zh) 一种现浇箱梁膺架施工方法以及桥梁
KR100352646B1 (ko) 탄성빔을 이용한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공법
KR102563362B1 (ko) 디지털형 교량 신축이음부 유간 측정장치
CN110725209A (zh) 用于邻近营业线桥梁的施工支架装置和方法
KR20110136998A (ko) 경사계와 강선의 직진도를 활용하는 건축구조부재의 휨변형량 상시측정기술
JP3748525B2 (ja) 橋梁耐震補強構造
CN116770980A (zh) 超长变高度v型大跨度钢结构连廊及其施工方法
CN110700303A (zh) 一种桩基型钢组合式塔吊基础施工方法
CN111663451B (zh) 高山峡谷大跨度上承式连续钢桁梁桥的超高塔架施工方法
CN115478567A (zh) 上穿地下轨道且邻近周边建筑的隧道明挖施工监测方法
KR100720156B1 (ko) 철도 레일의 침하량 측정장치
US8028482B2 (en)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concrete works
KR20070036808A (ko) 쓰레기매립장의 폐기물층 침하 계측기기
CN219732109U (zh) 一种用于检测锚杆承载力的装配式钢墩
CN109853522B (zh) 一种地下连续墙与腰梁及支撑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CN219298162U (zh) 用于沉桩导向控制的作业平台
JP5333073B2 (ja) 軌道の高さ調整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軌道の高さ調整方法
KR102640166B1 (ko) 철근탐사기가 교량의 하부 거더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는 장치
Hildebrand Large-Scale Testing and Long-Term Monitoring of Reinforced Earth Abutment–A Case Study
CN113737951B (zh) 一种用于大跨度多接头钢结构安装变形控制的测控方法
CN219118170U (zh) 基坑支护挡土构件
Wipf et al. Precast concrete elements for accelerated bridge construction: Laboratory testing of precast substructure components, Boone County Bridge
McDonald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elevated section of the Westgate Freeway, South Melbourne, Austral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