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111B1 -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111B1
KR101747111B1 KR1020150135972A KR20150135972A KR101747111B1 KR 101747111 B1 KR101747111 B1 KR 101747111B1 KR 1020150135972 A KR1020150135972 A KR 1020150135972A KR 20150135972 A KR20150135972 A KR 20150135972A KR 101747111 B1 KR101747111 B1 KR 10174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hair
ginseng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694A (ko
Inventor
이충우
박명기
손흥민
심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5013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1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을 주제로 하며, 사람의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와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의 성장 촉진 및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 활성을 가짐으로써 모발의 생장 및 두피 생육을 촉진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임상실험 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두피 및 모발 개선효과를 갖는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산양삼 추출물에 더해 한약재 추출물로서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들을 더 포함하며, 이들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tecting scalp and hair comprising wood cultivat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특히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양삼 추출물을 주제로 하며, 사람의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와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의 성장 촉진 및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 활성을 가짐으로써 모발의 생장 및 두피 생육을 촉진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임상실험 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두피 및 모발 개선효과를 갖는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 내지 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말한다.
탈모의 원인은 탈모와 관련하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효소와 결합하여 5알파-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5α-(dihydrotestosterone)을 생성하고, 이는 모근의 생성을 저해하게 되어 탈모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두피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두피를 점점 두껍게 만드는데, 이로 인해 피부 호흡과 발모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의 불량으로 인한 혈류량 감소로 인한 모근부의 신진대사 기능저하,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비듬균이나 세균에 의한 두피 손상,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이외에도 과도한 샴푸, 건조, 헤어스타일링 등으로 인한 두피 및 모발의 자극과 화학 세정성분에 의한 두피의 천연 보습성분이 제거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이 손상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회 환경 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의 과도한 증가로 탈모 및 모발 손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연령대 및 성별의 제한 및 경계 또한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의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두피 및 모발 개선과 관련하여 피부와 연관된 간장과 신장 기능의 강화, 보혈 및 혈액순환의 개선에 따른 두피 내의 혈류량 증가 및 순환기능의 개선을 가져다줄 수 있는 생약처방을 통한 간접적인 치료와 예방에 보다 중점을 두었다. 최근에, 과학적 평가방법이 연구되면서 한약재 추출물의 발모효과, 양모효과, 항균효과, 피부진정 효과 등에 대하여 과학적 검증이 이루지면서 화학적 제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 개선 한약재 추출물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 육모 및 양모 효과, 보습효과 등 여러 가지 효과가 모두 탁월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저자극성인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81059호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합성 화학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된 한약재를 대상으로 두피 및 모발 개선 기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약재, 특히 산양삼 추출물을 주제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사람의 모유두 세포와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며 또한,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 활성을 지니고 있어 모발의 생장 및 두피 생육을 촉진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주제로서 상기 산양삼 추출물에 더해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들을 부제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위의 효과들을 발휘함에 있어서 상승작용적 효과(시너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양삼 추출물에 더해,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부제로 더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산양삼을 극성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여기에서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에 더해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들은 각각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를 극성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여기에서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삼추출물 5 내지 15 중량%, 창포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당귀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감초추출물 2 내지 5 중량%, 다시마추출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추출혼합물 및 잔량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1 내지 5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그리고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헤어토닉, 모발영양 화장수, 스칼프 트리트먼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을 조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추출원물로서 건조 산양삼 5 내지 15중량부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 100중량부와 함께 초음파 추출기(대한민국 소재 화신테크사 제품)에 투입하고,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및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파장의 초음파 적용 조건 하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유지시키면서 추출하는 추출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산양삼 추출물을 20 내지 50브릭스 농축시키는 농축단계; 및 (3) 상기 농축단계에서 수득된 유효성분을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는 제품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원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추출원물로서 건조 산양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고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창포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당귀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감초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다시마 5 내지 15중량부를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 100중량부와 함께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및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파장의 초음파 적용 조건 하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유지시키면서 추출하는 추출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각 추출물들을 20 내지 50브릭스 농축시키는 농축단계; (3) 상기 농축단계에서 농축된 고삼추출물 5 내지 15 중량%; 창포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당귀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감초추출물 2 내지 5 중량%; 다시마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산양삼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농축단계에서 수득된 유효성분을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는 제품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원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약재, 특히 산양삼 추출물을 주제로 하며, 사람의 모유두 세포와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의 성장 촉진 및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 활성을 가짐으로써 모발의 생장 및 두피 생육을 촉진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효과를 판정하는 임상실험 결과에서도 매우 우수한 두피 및 모발 개선효과를 갖는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개선에 대한 우수한 효능을 갖으며, 두피 및 모발용 제품, 특히 모발용 화장료 제품으로서 제품의 상용화나 상품성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을 위한 한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 한약재 추출물의 각 약재의 상호보완 작용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한약재로서의 인삼 추출물(도 2) 및 산양삼 추출물(도 3)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분석결과표들이다.
도 4는 한약재 추출물을 사람의 모유두 세포(HHDPC)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성장 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한약재 추출물을 사람의 각질형성세포(HaCaT cell)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한약재 추출물의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 억제 활성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의 모발 광택 및 볼륨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 및 사진들로서, 도 8은 모발 볼륨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모발 광택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모발 볼륨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이고, 그리고 도 11은 모발 광택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12 및 도 13은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닉의 지성두피에 대한 개선 효과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들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제형예 2) 사용 이전(도 12) 및 사용 이후(도 13)의 상태를 각각 촬영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 산양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사포닌 배당체로서 파낙사디올, 파낙사트리올, 베타-시스테롤, 올레아놀산 등과 파나센, 파낙시놀, 캠페롤, 트리폴림, 파나세노이드 및 비타민류, 니코틴산, 판토텐산, 폴산, 비오틴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스트레스, 혈압강하, 혈액순환 개선, 강장작용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산양삼 추출물은 산양삼을 극성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여기에서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에탄올 수용액, 예를 들어 7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추출원물로서 산양삼 1㎏에 대하여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무게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약 30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 내지 24 시간 동안, 실온에서의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은 약 40℃에서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과정은 단회 또는 복수회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2회 정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30 내지 70℃의 범위 이내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거나 감압 건조함으로써, 액상, 반고체 또는 분말 형태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다른 추출원물 즉,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의 추출에도 동일 및/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에 더해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old et Zuccarini)은 알칼로이드, 마트린,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메틸시티진, 아나기린, 알로마트린, 아이소하이드로이카리틴, 노르-안하이드로이카리틴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염작용, 항진균작용, 항균 및 항알레르기 작용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창포(Acorus calamus Linne var. angustatus)는 메틸유제놀, 아사론, 칼라멘디올, 아코레논, 아사릴알데히드, 칼라메온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혈액순환, 비듬균 제거, 육모 효과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뿌리와 전초에 쿠마린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쿠마린의 주성분은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오스톨, 움벨리프레닌 등이 알려졌다. 뿌리는 또한 정유, 수지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혈액순환 개선, 항균작용, 항염작용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한약재 중 감초(Glycyrrhiza globa Linne)는 감초산, 글루쿠론산, 배당체, 이소플라본, 사포닌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염증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시마(Laminaria japonica Areschoung)는 각종 해양 미네랄 및 요오드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종양작용, 면역기능 증가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방사선물질배설촉진작용, 피응고막이작용, 갑상선 기능항진증 유효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 창포 추출물, 당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다시마 추출물들은 각각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를 극성용매로 추출한 것이며, 여기에서 극성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고삼추출물 5 내지 15 중량%, 창포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당귀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감초추출물 2 내지 5 중량%, 다시마추출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추출혼합물 및 잔량으로서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 함량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하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두피 및 모발 보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을 위해 상기 한약재 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습제, 증점제, 계면활성제, 유상기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pH 조절제, 천연 추출물 등은 물론 두피 및 모발 개선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화학적 성분의 두피 및 모발개선 성분을 적당한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향장 제품, 샴푸,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젤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로서 이용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을 0.1 내지 5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그리고 잔량으로서 화장료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헤어토닉, 모발영양 화장수, 스칼프 트리트먼트,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을 조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추출원물로서 건조 산양삼 5 내지 15중량부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 100중량부와 함께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및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파장의 초음파 적용 조건 하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유지시키면서 추출하는 추출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산양삼 추출물을 20 내지 50브릭스 농축시키는 농축단계; 및 (3) 상기 농축단계에서 수득된 유효성분을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는 제품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원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쇄단계의 수행에 의해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추출원물로서 건조 산양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고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창포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당귀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감초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다시마 5 내지 15중량부를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 100중량부와 함께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및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파장의 초음파 적용 조건 하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유지시키면서 추출하는 추출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각 추출물들을 20 내지 50브릭스 농축시키는 농축단계; (3) 상기 농축단계에서 농축된 고삼추출물 5 내지 15 중량%; 창포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당귀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감초추출물 2 내지 5 중량%; 다시마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산양삼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농축단계에서 수득된 유효성분을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는 제품화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원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제조예 1> 산양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산양삼뿌리 100g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30% 에탄올 1㎏을 첨가하고 40℃, 40㎑에서 1시간 추출한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추출을 지속시켰다. 300메쉬의 필터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4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150g의 산양삼추출물(SAN30)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150g 산양삼추출물(SAN70)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인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삼뿌리 100g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30% 에탄올 1㎏을 첨가하고 40℃, 40㎑에서 1시간 추출한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추출을 지속시켰다. 300메쉬의 필터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4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150g의 인삼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 추출물의 제조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를 각각 개별로 추출제조 하였다. 각각의 한약재 100g을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70% 에탄올 1㎏을 첨가하고 40℃, 40㎑에서 1시간 추출한 후, 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추출을 지속시켰다. 300메쉬의 필터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0.4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고삼, 창포, 당귀, 감초 및 다시마 각각 15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3>
하기 표 1 내지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3의 유효성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산양삼추출물(SAN30) 100.0 70.0 - - -
산양삼추출물(SAN70) - - 100.0 - -
인삼추출물 - - - 100.0 70.0
고삼추출물 - 9.0 - - 9.0
창포추출물 - 6.0 - - 6.0
당귀추출물 - 6.0 - - 6.0
감초추출물 - 3.0 - - 3.0
다시마추출물 - 6.0 - - 6.0
성분 (중량%)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산양삼추출물(SAN30) - 10.0 30.0 50.0 90.0
산양삼추출물(SAN70) - - - - -
인삼추출물 - - - - -
고삼추출물 30.0 27.0 21.0 15.0 3.0
창포추출물 20.0 18.0 14.0 10.0 2.0
당귀추출물 20.0 18.0 14.0 10.0 2.0
감초추출물 10.0 9.0 7.0 5.0 1.0
다시마추출물 20.0 18.0 14.0 10.0 2.0
성분 (중량%)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산양삼추출물(SAN30) - - - - -
산양삼추출물(SAN70) - - - - -
인삼추출물 - - - - -
고삼추출물 100.0 - - - -
창포추출물 - 100.0 - - -
당귀추출물 - - 100.0 - -
감초추출물 - - - 100.0 -
다시마추출물 - - - - 100.0
<실험예 1> 인삼추출물 및 산양삼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본 발명의 주 원료인 산양삼의 두피 및 모발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d, F2, Rg3 및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기타 진세노사이드들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통하여 인삼 보다 우수함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시험은 정확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조예 1, 2에서 제조된 샘플을 공인시험기관인 한국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인삼 성분 분석 시험 결과) 및 도 3(산양삼 성분 분석 시험 결과)와 같으며, 그 결과로부터, 산양삼이 인삼에 비해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두피 및 모발 개선효과가 있는 진세노사이드 Rd, F2, Rg3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한약재 추출물이 사람의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성장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약재 추출물이 사람의 모유두 세포의 세포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모유두 세포(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HHDPC)(Sciencell사, cat. no. 2400)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전용배지인 MSC(Mesenchymal Stem Cell) 배지에 HHDPC를 0.25 X 104 cells/㎖이 되도록 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습윤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한약재 추출물을 0.01, 0.1, 1 및 10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5mg/㎖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 20㎕를 상기 배양액에 넣고, 37℃, 5% CO2 습윤 조건하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Fina) 및 미녹시딜(Minoxidil) 200nM을 처리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배양 시, 살아있는 세포에는 보라색의 크리스탈이 형성된다. 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100㎕를 넣어 10분 동안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크리스탈을 녹인 후,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의 결과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 매우 높은 모유두 세포 성장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한약재 추출물이 사람의 각질형성세포(HaCaT cell) 성장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약재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의 세포성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각질형성세포(HaCaT cell)(Dr. N. E. Fuseing, Heidelberg, Germany)을 사용하여,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배지는 10% FBS(fetal bovine serum, Cambrex)가 포함된 RPMI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MTT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5의 결과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 매우 높은 각질형성세포 성장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한약재 추출물의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 억제 활성 평가
수컷 스프라그 도우리 집쥐(Male Sprague Dawley rat ; 350 내지 400g)의 전립선을 적출하고, 생리식염수로 1회 세척하고, 4배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 pH 7.4, Life Technologies, New York, NY, USA)를 넣어 균질화하였다. 균질화 과정은 울트라-터렉스 디스퍼서(Ultra-Turrax Diperser ; T10 basic, IKA, Guangzhou, China)로 실시하였다. 균질액은 다시 4℃, 5,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Sorvall?stratos, Kendro Laboratory Products, Hanau,Germany)하여 상등액 만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브래드포드 분석법(Bradford assay)을 이용한 단백질 양을 근거로 200㎍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 활성 측정은 집쥐의 전립선 균질액을 사용한 경우, 집쥐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rat 5-alpha reductase Ⅱ) ELISA kit(Cusabio)의 매뉴얼을 따랐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200㎍의 균질액과 한약재 혼합추출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 TCI,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Tokyo, Japan)을 2nM 처리하여 1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J-IL4, Jisico, Seoul, Korea)에서 반응시켰다. 양성대조군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 TCI,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는 사전실험을 통하여 5μM로 사용되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분석기(Microplate spectrophotometer ; Epoch,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5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상용 프로그램인 커브 익스퍼트 1.3(Curve expert 1.3)을 통해 수치를 산출하였으며, 테스토스테론군을 100%로 하여 백분율로 표기하였다. 상기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도 6 및 도 7와 같다. 도 6 및 도 7의 결과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이 우수한 5알파-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의 제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일 태양으로서의 샴푸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4의 각 성분번호로 구별된 성분 중에서, 먼저 성분 1번, 4번, 23번, 24번, 25번, 28번을 제외한 원료들을 혼합한 후 80℃까지 가열하여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냉각하면서 40℃에서 성분번호 1번, 4번, 23번, 24번, 25번, 28번을 첨가하여 30℃에서 냉각을 종료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순번 원료명 중량(%)
1 정제수 잔량
2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24.00
3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12.00
4 한약재 추출물 7.00
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9.00
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80
7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6.00
8 소듐살리실레이트 2.00
9 아모디메치콘 3.20
10 소듐시트레이트 0.80
11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12 시트릭애씨드 1.60
13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8.00
14 글리세린 1.00
15 소듐클로라이드 0.60
16 부틸렌글라이콜 3.00
17 트리데세스-6 0.80
18 옥톡시놀-40 0.30
19 부톡시디글라이콜 0.80
20 트리데세스-3 0.50
21 에탄올 0.60
22 소듐벤조에이트 0.20
23 1,2-헥산디올 1.00
24 카프릴릴글라이콜 0.50
25 에칠헥실글리세린 0.30
26 카카오추출물 0.50
27 덱스트린 0.10
28 향료 0.35
<제형예 2>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의 제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일 태양으로서의 헤어토닉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5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성분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5의 각각의 원료를 계량하여 디스퍼 믹서(Disper Mixer) 300rpm으로 10분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순번 원료명 중량(%)
1 정제수 잔량
2 부틸렌글라이콜 3.00
3 한약재 복합추출물 7.00
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5 알라토인 0.10
6 에탄올 15.00
7 1,2-헥산디올 0.50
8 시트릭애씨드 0.10
9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10 글리세린 5.00
11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12 판테놀 0.10
13 소듐피씨에이 0.10
14 사이아노코발라민 0.05
1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
16 프로필렌글라이콜 1.20
17 멘톨 0.01
18 향료 0.05
<실험예 5> 한약재 추출물 함유한 헤어 샴푸 제품의 인모(Tress)를 이용한 모발 볼륨효과, 광택도(윤기) 효능 평가시험
제형예 1의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제품을 인모(Tress)에 1회 사용하여 모발 볼륨 및 광택(윤기)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기기적 평가 방법으로, 항온항습 조건하에서 사용 전, 후를 평가하며, 모발 볼륨 측정은 DSLR 촬영 후, 상용화된 프로그램인 이미지 프로(image pro) 분석을 실시하며, 모발 광택도(윤기) 측정은 글로스 밴드(Gloss band) 촬영 후, 이미지 프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8 내지 도 11과 같으며, 도 8은 모발 볼륨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모발 광택의 변화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은 모발 볼륨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이고, 그리고 도 11은 모발 광택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의 결과로부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 샴푸의 모발 볼륨 및 광택도(윤기)는 사용 전 보다 후에 확연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닉을 이용한 지성두피 임상평가
상기 제형예 2에서 제조된 헤어토닉을 지성두피 피험자를 대상으로 1일 3회 7일 동안 적용한 후, 두피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기기적 평가 방법으로 사용 전, 후를 평가하며 두피 측정은 전자현미경으로 50배율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성두피를 가진 사람은 피지 분비가 과다하여 기름기가 흐르고, 비듬과 각질이 피지와 엉겨 붙어 있는 반면, 제품을 사용 후 촬영된 도 13에 나타낸 두피는 전체적으로 두피의 표면이 청결해졌으며, 두피 색깔은 건강한 백색의 우유 빛깔을 띠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 부호 없음)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1) 추출원물로서 건조 산양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고삼 5 내지 15중량부, 건조 창포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당귀 5 내지 15중량부, 건조 감초 5 내지 15중량부, 건조 다시마 5 내지 15중량부를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30 내지 70%의 농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용매 100중량부와 함께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온도 및 30 내지 50㎑의 범위 이내의 파장의 초음파 적용 조건 하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유지시키면서 추출하는 추출단계;
    (2) 상기 추출단계에서 수득된 각 추출물들을 20 내지 50브릭스 농축시키는 농축단계;
    (3) 상기 농축단계에서 농축된 고삼추출물 5 내지 15 중량%; 창포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당귀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감초추출물 2 내지 5 중량%; 다시마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으로서 산양삼추출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4) 상기 농축단계에서 수득된 유효성분을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는 제품화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 이전에 상기 추출원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35972A 2015-09-25 2015-09-25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72A KR101747111B1 (ko) 2015-09-25 2015-09-25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972A KR101747111B1 (ko) 2015-09-25 2015-09-25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694A KR20170037694A (ko) 2017-04-05
KR101747111B1 true KR101747111B1 (ko) 2017-06-19

Family

ID=5858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972A KR101747111B1 (ko) 2015-09-25 2015-09-25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889B1 (ko) * 2019-05-22 2020-01-08 양숙현 어성초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건강 개선용 스프레이 조성물
CN110478285B (zh) * 2019-08-09 2022-08-23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一种抗头皮衰老的组合物
KR102374884B1 (ko) * 2020-08-11 2022-03-16 농업회사법인(주)자연과천심 황칠나무 추출물 및 산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블로그, 모근강화를 위한 필수품 머리싱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694A (ko)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708B1 (ko) 탈모방지 및 두피개선을 위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117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and scalp health
JP7213307B2 (ja) プロテインl-イソアスパラギン酸メチ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活性化用組成物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JP2000169383A (ja) 抗アレルギー剤
KR101747111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7862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13825493A (zh) 含有合欢提取物的组合物
KR101503211B1 (ko) 발모 활성화 효능을 가지는 원추리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65232A (ko) 생약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035590B1 (ko) 수경재배한 인삼의 지상부 유래의 진세노사이드 f5와 황금누에고치 유래의 황금세리신을 포함하는 두피보호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430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307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3776B1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1724870B1 (ko)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JP5855949B2 (ja) ケラチン産生促進剤、染毛用剤及びマニキュア用剤
US20070207114A1 (en) 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CN107550810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