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10B1 -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10B1
KR101746610B1 KR1020150164532A KR20150164532A KR101746610B1 KR 101746610 B1 KR101746610 B1 KR 101746610B1 KR 1020150164532 A KR1020150164532 A KR 1020150164532A KR 20150164532 A KR20150164532 A KR 20150164532A KR 101746610 B1 KR101746610 B1 KR 10174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ower output
power input
position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298A (ko
Inventor
신-린 쳉
칭-청 텅
Original Assignee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5016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16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successively actuat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1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successively actuat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compris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F16H63/22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th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simultaneously moved by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변속부(1),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두 개의 제1의 볼 고리체(4), 동력 입력 회전체(5), 동력 출력 회전체(6) 및 두 개의 나선 탄성체(7)를 구비한다. 변속부(1)는, 지지 회전체(14), 복수의 전동 구체(13) 및 복수의 구동 로드(12)를 가진다. 전동 구체(13)는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지지 회전체(14)에 배치된다. 전동 구체(13)는 지름 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를 각각 갖는다. 구동 로드(12)의 내방단은 지지 회전체(14)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원기둥 형상 수납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로드(12)에 의해 지지 회전체(14)가 편심 회전된다.

Description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LINEAR GEAR SHIFT POWER TRANSFER MECHANISM}
본 발명은,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jerk)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량에는 속도를 조정하거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변속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인 변속 기구는 기어 세트만 또는 기어 세트와 유도(油道)의 조합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지만, 기어 세트만 또는 기어 세트와 유도의 조합은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며 전달 손실이 많아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되기 쉬웠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두 개의 드럼에 V벨트를 조합시킨 무단 변속기가 개발되었지만 드럼 및 V벨트의 체적이 컸다. 그 때문에 구조를 간소하고 소형으로 해서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挾持) 고리체(環體),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두 개의 제1의 볼 고리체, 동력 입력 회전체, 동력 출력 회전체 및 두 개의 나선 탄성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지지 회전체, 복수의 전동 구체(傳動球體) 및 복수의 구동 로드(驅動圓杆)를 가지며, 상기 전동 구체는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회전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구체는 지름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로드의 내방단(內方端)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원기둥 형상 수납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지지 회전체가 편심 회전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環狀面)이 마련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의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의 내연(內緣)에는 제1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이 마련되며,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의 내연에는 제2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 구체는,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과,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과,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挾持)지고,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같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1의 볼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1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의 내연에는 바깥 볼록 고리체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는 위치 결정홈을 각각 가지며,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제1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 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제2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방향의 접선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나선 탄성체의 양단에는, 지름 방향 위치 결정핀 및 축 방향 위치 결정핀이 각각 마련되면서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 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지름방향 위치 결정핀은 상기 위치 결정홈을 통해서 상기 제1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 및 상기 제2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 중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축 방향 위치 결정핀은 상기 제1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 및 상기 제2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 중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은, 상기 전동 구체의 쌍을 이루는 두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동 구체가 상기 지지 회전체의 바깥 원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기점으로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편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회전방향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는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및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중에 각각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한쪽 측면에 피벗 장착되는 제1의 접속축을 가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 피벗 장착된 제2의 접속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환상 덮개체, 두 개의 베어링 및 두 개의 제2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2의 볼과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2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입력축 및 상기 동력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환상 덮개체는 상기 베어링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2의 볼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 사이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제1의 볼 고리체, 제2의 볼 고리체, 동력 입력 회전체, 동력 출력 회전체 및 복수의 탄성체를 가진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로서,
상기 변속부는, 지지 회전체, 복수의 전동 구체 및 복수의 구동 로드를 가지고, 상기 전동 구체는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회전체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지름 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로드의 내방단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원기둥 형상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지지 회전체가 편심 회전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1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이 마련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2의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전동 구체는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과,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과,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1의 볼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1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2의 볼 및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2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3의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4의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2의 볼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의 접속부와 상기 제3의 접속부 사이와, 상기 제2의 접속부와 상기 제4의 접속부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은, 상기 전동 구체와 같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회전체의 측환면(側環面)은 상기 전동 구체에 위치하면서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4의 볼 및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는 제4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4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4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의 상기 제4의 볼은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환상 덮개체, 두 개의 베어링 및 두 개의 제3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3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3의 볼과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고, 상기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3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3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입력축 및 상기 동력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환상 덮개체는 상기 베어링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3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3의 볼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기점으로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편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접속부 및 상기 제2의 접속부는 볼록체(凸體)이며, 상기 제3의 접속부 및 상기 제4의 접속부는 U자 형상 수납체이며,
상기 볼록체는 상기 U자 형상 수납체의 단부 입구(端口)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U자 형상 수납체 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한층 더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한층 더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1)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다른 분해 사시도(2)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또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2)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탄성체 및 제1~ 제4의 접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8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전동 구체(13), 구동 로드(12),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접속 방식이 더 명백해지도록 도 4에서는 전동 구체(13) 및 구동 로드(12)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접속 방식만 나타내져 있지만, 그 밖의 표시되지 않은 전동 구체 및 구동 로드의 접속 방식도 도 4의 접속 방식과 마찬가지이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적어도 변속부(1),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 두 개의 제1의 볼 고리체(4), 동력 입력 회전체(5), 동력 출력 회전체(6) 및 두 개의 나선 탄성체(7)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변속부(1)는, 구동 고리체(11), 복수의 구동 로드(12), 복수의 전동 구체(13) 및 지지 회전체(14)를 가진다. 전동 구체(13)는, 지지 회전체(14)의 바깥 원주면에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전동 구체(13)는 지름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를 각각 가진다.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는 원기둥 형상 수납 오목홈이라도 좋다.
구동 로드(12)의 내방단(內方端)은 지지 회전체(14)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동 로드(12)의 외방단(外方端)은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구동 고리체(11)에 피벗 장착된다.
구동 고리체(11)는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평행 이동하여, 지지 회전체(14)의 지름 방향을 기점으로서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구동 로드(12) 및 전동 구체(13)를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편심 회전시킨다.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는 한쪽 측면의 외연 부근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21)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의 외연 부근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이 마련된다.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의 내연에는 제1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23)이 형성된다.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는 한쪽 측면의 외연 부근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의 외연 부근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요홈(32)이 마련된다.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내연에는 제2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33)이 형성된다.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및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은 전동 구체(13)의 쌍을 이루는 두 측에 각각 설치되고, 전동 구체(13)가 지지 회전체(14)의 바깥 원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동 구체(13)는,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과,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과, 지지 회전체(14)의 바깥 원주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는 같은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1의 볼 고리체(4)는 복수의 제1의 볼(41)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42)를 각각 가진다.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42)는, 제1의 볼(41)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42)를 갖는다.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421)는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제1의 위치 결정부(421)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42)의 내연 측면에는 바깥 볼록 고리체(422)가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바깥 볼록 고리체(422)는 위치 결정홈(423)을 각각 가진다.
동력 입력 회전체(5)의 일측면에는 제1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52)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이 형성된다.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은 동력 입력 회전체(5)의 외연 부근에 위치한다.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과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의 볼(41)의 직경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 직경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 직경보다 약간 작다.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일측면에는 제2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62)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이 형성된다.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은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외연 부근에 위치한다.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과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의 볼(41)의 직경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 직경 및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 직경보다 약간 작다.
나선 탄성체(7)의 양단에는 지름방향 위치 결정핀(71) 및 축방향 위치 결정핀(72)이 각각 마련된다. 나선 탄성체(7)는 바깥 볼록 고리체(422) 내에 각각 수용된다.
지름 방향 위치 결정핀(71)은, 위치 결정홈(423)을 통해서 제1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23) 및 제2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33) 중에 각각 배치된다. 축 방향 위치 결정핀(72)은, 제1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52) 및 제2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62) 중에 각각 배치된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한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입력 회전체(5)가 동력을 전달하지 않을 때, 나선 탄성체(7)에 의해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을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도3을 참조한다)로 유지한다.
동력 입력 회전체(5)가 동력을 전달할 때(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이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에 의해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말단부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말단부(도3을 참조한다)를 향해서 이동되고,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가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동 구체(13)를 향하여 이동하면, 나선 탄성체(7)의 양단이 떨어진다.
같은 이치로 동력 출력 회전체(6)가 동력을 전하지 않을 때, 나선 탄성체(7)에 의해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도3을 참조한다)와,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에 유지된다.
동력 출력 회전체(6)가, 동력 입력 회전체(5),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전동 구체(13)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도3을 참조함)에 의해, 동력을 전할 때(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와,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에 의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말단부(도3을 참조) 및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말단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가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동 구체(13)를 향하여 이동하고 나선 탄성체(7)의 양단을 떨어트린 후 전동 구체(13)가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 및 지지 회전체(14)의 바깥 원주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면, 동력 입력 회전체(5)의 동력이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지지 회전체(14)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을 통해서 동력 출력 회전체(6)로 전달되고, 동력 입력 회전체(5)에 의해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에 의해 전동 구체(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동 구체(13)에 의해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 및 동력 출력 회전체(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체(13)가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 및 지지 회전체(14)의 원주면에 미끄러져 접촉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동력 입력 회전체(5)와 동력 출력 회전체(6)의 회전 방향은 반대라도 좋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바깥 볼록 고리체(422)는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 중에 각각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폭을 줄여서 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동력 입력 회전체(5)는 지지 회전체(14)의 한쪽 측면에 마련된 베어링(141)에 피벗 장착되는 제1의 접속축(54)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동력 출력 회전체 (6)는 지지 회전체(14)의 다른 쪽 측면의 베어링(141)에 피벗 장착되는 제2의 접속축(64)을 가져도 좋다. 이 구성으로 지지 회전체(14)는 동력 입력 회전체(5) 및 동력 출력 회전체(6)에 의해 지지된다. 동력 입력 회전체(5)와 동력 출력 회전체(6)는 서로 접속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두 개의 환상 덮개체(81), 두 개의 베어링 (82) 및 두 개의 제2의 볼 고리체(83)를 더 포함한다.
동력 입력 회전체(5)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53)이 마련된다. 동력 출력 회전체(6)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63)이 마련된다.
제2의 볼 고리체(83)는 복수의 제2의 볼(831)과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832)를 각각 가진다.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832)는 제2의 볼(831)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833)를 가진다. 제2의 위치 결정부(833)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베어링(82)은, 동력 입력축(53) 및 동력 출력축(63)에 각각 결합된다. 환상 덮개체(81)는 베어링(82)에 결합된다. 제2의 볼 고리체(83)의 제2의 볼(831)은 환상 덮개체(81)의 오목홈과 동력 입력 회전체(5)의 오목홈 사이와, 환상 뚜껑체(81)의 오목홈과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도 9~도 18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전동 구체(13), 구동 로드(12),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접속 방식이 더 명백해지도록, 도 13에서는 두 개의 전동 구체(13) 및 2개의 구동 로드(12)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접속 방식만 나타내어져 있지만, 기타 표시되지 않은 전동 구체 및 구동 로드의 접속 방식도 도 13의 접속 방식과 같다.
도 9~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적어도 변속부(1),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 제1의 볼 고리체(4), 제2의 볼 고리체(43), 동력 입력 회전체(5), 동력 출력 회전체(6) 및 복수의 탄성체(56,66)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변속부(1)는, 구동 고리체(11), 복수의 구동 로드(12), 복수의 전동 구체(13) 및 지지 회전체(14)를 가진다.
전동 구체(13)는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지지 회전체(14)의 측환면(142)에 배치된다.
측환면(側環面)(142)은 전동 구체(13)에 대응하도록 내측에 오목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전동 구체(13)의 지름 방향 상에는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가 각각 마련된다.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는 원기둥 형상 수납 오목홈 또는 원기둥 형상 수납 유로도 좋다.
구동 로드(12)의 내방단은 지지 회전체(14)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원기둥 형상 수납부(13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동 로드(12)의 외방단은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구동 고리체(11)의 복수의 피벗 장착홀(樞着孔)(111)에 피벗 장착된다.
구동 고리체(11)는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평행 이동하여 지지 회전체(14)의 지름 방향을 기점으로서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구동 로드(12) 및 전동 구체(13)를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시키거나 반시계방향으로 편심 회전시킨다.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이 설치되고,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 및 복수의 제1의 접속부(24)가 다른 측면에 마련된다.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이 설치되고,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 및 복수의 제2의 접속부(34)가 다른 측면에 마련된다.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의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은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의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의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은 전동 구체(13)와 같은 쪽에 위치한다.
지지 회전체(14)의 측환면(142)은 전동 구체(13)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및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전동 구체(13)는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과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과 지지 회전체(14)의 측환면(142)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1의 볼 고리체(4)는 복수의 제1의 볼(41)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42)를 가진다.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42)는, 제1의 볼(41)을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421)를 각각 가진다.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421)는 동일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제1의 위치 결정부(421)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제2의 볼 고리체(43)는 제2의 볼(431) 및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432)를 가진다.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432)는 제2의 볼(431)을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433)를 각각 가진다.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433)는 같은 원주각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제2의 위치 결정부(433)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제1의 볼 고리체(4)는 제2의 볼 고리체(43) 내에 위치 결정된다. 동력 입력 회전체(5)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 및 복수의 제3의 접속부(55)가 형성된다.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 및 제3의 접속부(55)는 동력 입력 회전체 (5)의 외연 부근에 위치한다.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과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1의 볼(41)의 직경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 직경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 직경보다 약간 작다.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 및 복수의 제4의 접속부(65)가 형성된다.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 및 제4의 접속부(65)는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외연 부근에 위치한다.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제2의 볼 고리체(43)의 제2의 볼(431)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과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2의 볼(431)의 직경은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 직경 및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 직경보다 약간 작다.
동력 출력 회전체(6)는 캡 형상을 띠어도 좋다.
동력 입력 회전체(5)는 동력 출력 회전체(6) 내에 위치한다.
탄성체(56,66)는, 제1의 접속부(24)와 제3의 접속부(55) 사이와, 제2의 접속부(34)와 제4의 접속부(65)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도 9 및 도 16을 참조한다. 도 9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력 입력 회전체(5)가 동력을 전달하지 않을 때,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은 탄성체(56)에 의해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도10을 참조한다)와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에 유지되고, 동력 입력 회전체(5)가 동력을 전달할 때(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의 볼 고리체(4)의 제1의 볼(41)은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머리부 및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머리부를 통해서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22)의 말단부(도10을 참조한다)와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51)의 말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가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동 구체(13)를 향해 이동하면, 탄성체(56)의 양끝이 떨어진다.
같은 이치로 동력 출력 회전체(6)가 동력을 전하지 않을 때 제2의 볼 고리체(43)의 제2의 볼(431)은 탄성체(66)에 의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도10을 참조한다)와,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에 유지된다.
동력 출력 회전체(6)가 동력 입력 회전체(5),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전동 구체(13)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에 의해 동력을 전할 때(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의 볼 고리체(43)의 제2의 볼(431)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머리부와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머리부에 의해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32)의 말단부(도 10을 참조함) 및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61)의 말단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가 지지 회전체(1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전동 구체(13)를 향하여 이동하고, 탄성체(66)의 양끝이 떨어진 뒤 전동 구체(13)가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 및 지지 회전체(14)의 측환면(142)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동력 입력 회전체(5)의 동력이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지지 회전체(14) 및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를 통해서 동력 출력 회전체(6)로 전달된다.
동력 입력 회전체(5)는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및 전동 구체(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동 구체(13)는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3) 및 동력 출력 회전체(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체(13)가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21),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31) 및 지지 회전체(14)의 측환면(142)에 미끄러져 접촉되어서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시에 저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의 설명에서 상술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의 동력 입력 회전체(5)와 동력 출력 회전체(6)의 회전 방향은 반대라도 좋다.
도 9~도 12 및 도 15를 참조한다. 도 9~도 12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서는 동력 입력 회전체(5)가 동력 출력 회전체(6)에 미끄러져 접촉되는데, 복수의 제4의 볼(441) 및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442)를 가지는 제4의 볼 고리체(44)를 더 포함해도 좋다.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442)는 제4의 볼(441)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4의 위치 결정부(443)를 가진다. 제4의 위치 결정부(443)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442)의 제4의 볼(441)은, 동력 입력 회전체(5)의 오목홈과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동력 입력 회전체(5)와 동력 출력 회전체(6) 사이의 마찰 손실을 줄인다.
도 9, 도 10, 도 16과 도 17을 참조한다. 도 9, 도 10,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는 두 개의 환상 덮개체(81), 두 개의 베어링(82) 및 두 개의 제3의 볼 고리체(84)를 포함한다. 동력 입력 회전체(5)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53)이 마련된다.
동력 출력 회전체(6)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63)이 마련된다. 제3의 볼 고리체(84)는 복수의 제3의 볼(841)과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842)를 각각 가진다.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842)는 제3의 볼(841)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3의 위치 결정부(843)를 가진다. 제3의 위치 결정부(843)는 오목홈 또는 관통홀이라도 좋다.
베어링(82)은 동력 입력축(53) 및 동력 출력축(63)에 각각 결합된다. 환상 덮개체(81)는 베어링(82)에 각각 결합된다. 제3의 볼 고리체(84)의 제3의 볼(841)은 환상 덮개체(81)의 오목홈과 지지 회전체(14)의 오목홈 사이와, 환상 덮개체(81)의 오목홈과 동력 출력 회전체(6)의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동력 입력축(53)은 제1의 볼 고리체(4),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2), 전동 구체(13) 사이, 지지 회전체(14), 제3의 볼 고리체(84), 환상 덮개체(81) 및 베어링(82)에 관통되어 동력 입력 베벨기어(85)와 접속된다.
도 9~도 12, 도 14,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한다. 도 9~도 12, 도 14, 도 15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제1의 접속부(24) 및 제2의 접속부(34)는 볼록체라도 좋다.
제3의 접속부(55) 및 제4의 접속부(65)는 U자 형상 수납체라도 좋다.
탄성체(56,66)는 코일 스프링이라도 좋다.
동력 입력 회전체(5)의 U자 형상 수납체의 단부 입구와, 동력 출력 회전체(6)의 U자 형상 수납체의 단부 입구는 반대의 접선 방향을 향한다.
각 볼록체는 각 U자 형상 수납체의 단부 입구 또는 단부 입구 부근에 위치한다.
각 탄성체(56,66)은 각 U자 형상 수납체 내에 위치한다.
각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는, 볼록체와, 각 U자 형상 수납체의 U자 형상 끝단이 각각 고착되고 각 코일 스프링이 강하게 위치 결정된다.
해당 분야의 기술을 숙지한 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했지만 이들은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지와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이런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 변속부
2;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3;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4; 제1의 볼 고리체
5; 동력 입력 회전체
6; 동력 출력 회전체
7; 나선 탄성체
11; 구동 고리체
12; 구동 로드((驅動圓杆))
13; 전동 구체
14; 지지 회전체
21;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22;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23; 제1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
24; 제1의 접속부
31;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
32;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33; 제2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
34; 제2의 접속부
41; 제1의 볼
42;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
43; 제2의 볼 고리체
44; 제4의 볼 고리체
51;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52; 제1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
53; 동력 입력축
54; 제1의 접속축
55; 제3의 접속부
56; 탄성체
61;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62; 제2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
63; 동력 출력축
64; 제2의 접속축
65; 제4의 접속부
66; 탄성체
71; 지름방향 위치 결정핀
72; 축방향 위치 결정핀
81; 환상 덮개체
82; 베어링
83; 제2의 볼 고리체
84; 제3의 볼 고리체
85; 동력 입력 베벨기어
111; 피벗 장착홀
131; 원기둥 형상 수납부
141; 베어링
142: 측환면
421; 제1의 위치 결정부
422; 바깥 볼록 고리체
423; 위치 결정홈
431; 제2의 볼
432;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
433; 제2의 위치 결정부
441; 제4의 볼
442;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
443; 제4의 위치 결정부
831; 제2의 볼
832;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
833; 제2의 위치 결정부
841; 제3의 볼
842;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
843; 제3의 위치 결정부

Claims (14)

  1.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挾持) 고리체(環體),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두 개의 제1의 볼 고리체, 동력 입력 회전체, 동력 출력 회전체 및 두 개의 나선 탄성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지지 회전체, 복수의 전동 구체(球體) 및 복수의 구동 로드(驅動圓杆)를 가지며, 상기 전동 구체는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회전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구체는 지름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로드의 내방단(內方端)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원기둥 형상 수납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전동 구체가 편심 회전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環狀面)이 마련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의 내연(內緣)에는 제1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이 마련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의 내연에는 제2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 구체는,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과,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과,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같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1의 볼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1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의 내연에는 바깥 볼록 고리체(外凸環體)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는 위치 결정홈을 각각 가지며,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제1의 축 방향 위치 결정홀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 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제2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과,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방향의 접선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나선 탄성체의 양단에는, 지름 방향 위치 결정핀 및 축 방향 위치 결정핀이 각각 마련되면서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 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지름방향 위치 결정핀은 상기 위치 결정홈을 통해서 상기 제1의 지름 방향 위치 결정홀 및 상기 제2의 지름방향 위치 결정홀 중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축 방향 위치 결정핀은 상기 제1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 및 상기 제2의 축방향 위치 결정홀 중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은, 상기 전동 구체의 쌍을 이루는 두 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동 구체가 상기 지지 회전체의 바깥 원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방향을 기점으로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편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회전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볼록 고리체는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및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중에 각각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한쪽 측면에 피벗 장착((樞着)되는 제1의 접속축을 가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 피벗 장착되는 제2의 접속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환상 덮개체, 두 개의 베어링 및 두 개의 제2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2의 볼과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2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입력축 및 상기 동력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환상 덮개체는 상기 베어링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2의 볼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 사이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8. 변속부,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 제1의 볼 고리체, 제2의 볼 고리체, 동력 입력 회전체, 동력 출력 회전체 및 복수의 탄성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지지 회전체, 복수의 전동 구체 및 복수의 구동 로드를 가지고, 상기 전동 구체는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회전체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지름 방향으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 수납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구동 로드의 내방단(內方端)은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원기둥 형상 수납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로드에 의해 상기 전동 구체가 편심 회전되고,
    상기 동력 입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1의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동력 출력 협지 고리체는, 한쪽 측면에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이 설치되고, 다른 측면에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2의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전동 구체는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과,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과,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1의 볼 및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1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1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2의 볼 및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고, 상기 제2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2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2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3의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1의 볼은 상기 제1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3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일측면에는 환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복수의 제4의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의 머리부는 반대 방향의 접선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2의 볼은 상기 제2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과 상기 제4의 물방울 형상 오목홈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의 접속부와 상기 제3의 접속부 사이와, 상기 제2의 접속부와 상기 제4의 접속부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은, 상기 전동 구체와 같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회전체의 측환면(側環面)은 상기 전동 구체에 위치하면서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입력 환상면 및 상기 내측 경사 동력 출력 환상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4의 볼 및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가지는 제4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4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4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제4의 위치 결정 고리체의 상기 제4의 볼은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11. 제 9항에 있어서,
    두 개의 환상 덮개체, 두 개의 베어링 및 두 개의 제3의 볼 고리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입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다른 측면에는 동력 출력축이 마련되고,
    상기 제3의 볼 고리체는, 복수의 제3의 볼과,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를 각각 가지고, 상기 제3의 위치 결정 고리체는 상기 제3의 볼을 각각 위치 결정하는 복수의 제3의 위치 결정부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동력 입력축 및 상기 동력 출력축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환상 덮개체는 상기 베어링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3의 볼 고리체의 상기 제3의 볼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지지 회전체 사이와 상기 환상 덮개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지지 회전체의 지름 방향을 기점으로서 상기 지지 회전체의 축 방향에 이르기까지 편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입력 회전체와 상기 동력 출력 회전체의 회전 방향은 같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접속부 및 상기 제2의 접속부는 볼록체이며, 상기 제3의 접속부 및 상기 제4의 접속부는 U자 형상 수납체이며,
    상기 볼록체는 상기 U자 형상 수납체의 단부 입구(端口)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U자 형상 수납체 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KR1020150164532A 2015-11-24 2015-11-24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KR10174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32A KR101746610B1 (ko) 2015-11-24 2015-11-24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32A KR101746610B1 (ko) 2015-11-24 2015-11-24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98A KR20170060298A (ko) 2017-06-01
KR101746610B1 true KR101746610B1 (ko) 2017-06-13

Family

ID=5921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32A KR101746610B1 (ko) 2015-11-24 2015-11-24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577A1 (en) 2008-11-07 2010-05-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peed adjusting mechanism for roller tractio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4214838A (ja) 2013-04-26 2014-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0577A1 (en) 2008-11-07 2010-05-1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peed adjusting mechanism for roller tractio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4214838A (ja) 2013-04-26 2014-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98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5281A1 (ja) 歯車伝動機構
JP2012122568A (ja) 無段変速機
JP2010096319A (ja) 歯車伝動装置
JP2020076476A (ja) サイクロイド減速機
CA2936459C (en) Linear gear shift power transfer mechanism
KR101746610B1 (ko) 리니어 변속 동력 전달 기구
KR101764992B1 (ko) 무단변속기의 기계적 작동구조
JP5563122B1 (ja) チェーン式ツールマガジン
JP6170537B2 (ja) リニア変速動力伝達機構
TWI546222B (zh) Linear gearing mechanism
JP6279755B2 (ja) 無段変速機
JP2009079632A (ja) 揺動機構
JP2007327572A (ja) トルクリミター
US9714697B2 (en) Stepless transmission
TWI611123B (zh) 線性排檔基座及包含其之線性排檔機構
JP6265061B2 (ja) 遊星ローラ式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装置
EP3165792B1 (en) Linear gear shift power transfer mechanism
JP2017075672A (ja) リニア変速機構
JP2016033379A (ja) 無段変速機用アクチュエータ及び無段変速機
JP2014214838A (ja) 無段変速機
KR101747547B1 (ko) 리니어 변속 기구
US9909654B2 (en) Linear gear shift power transfer mechanism
JP6727058B2 (ja) 変速機および駆動ユニット
JP2017137910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24015949A (ja) 共役カム式減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