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547B1 - 리니어 변속 기구 - Google Patents

리니어 변속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547B1
KR101747547B1 KR1020150163228A KR20150163228A KR101747547B1 KR 101747547 B1 KR101747547 B1 KR 101747547B1 KR 1020150163228 A KR1020150163228 A KR 1020150163228A KR 20150163228 A KR20150163228 A KR 20150163228A KR 101747547 B1 KR101747547 B1 KR 10174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axial
rotary body
shaped
driv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9196A (ko
Inventor
신-린 쳉
칭-청 텅
Original Assignee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모티브 파워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5016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5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5/221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with elements for guiding the circulating balls
    • F16H25/2219Axially mounted end-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81Parallel arrangement of drive motor to screw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리니어 변속 영역이 넓고,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를 제공한다. 리니어 변속 기구는, 지지회전체(1),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 복수의 원형 구동봉(3), 변속부(4),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을 구비한다. 구형 동력전달체(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형 동력전달체(2)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21)이 각각 형성된다.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은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21)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변속부(4)에는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이 가동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원형 구동봉(3)이 편심 회전된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는다.

Description

리니어 변속 기구{LINEAR GEAR SHIFT MECHANISM}
본 발명은 리니어 변속 기구(linear gear shift mechanis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인 기구가 넓은 리니어 변속 영역(wide linear gear-changing range)를 가지며,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jer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에는 차량의 속도를 조정하거나 연료의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변속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변속 기구는 기어세트, 또는 기어세트 및 오일배관으로 구성되나, 기어세트, 또는 기어세트 및 오일배관의 기구가 복잡하고 대형이며, 변속 영역이 작고, 전달 손실이 많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에 V벨트를 조합시킨 무단변속기가 개발되었으나, 드럼 및 V벨트의 부피가 클 뿐 아니라 변속 영역은 작았다. 따라서,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리니어 변속 영역이 넓고,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리니어 변속 영역이 넓고,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에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가동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와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쌍을 이루도록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두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구형 동력전달체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원형 구동봉의 원주면에는 제1 오일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부는 링형 구동체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부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복수의 요입홈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관통공에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제1 접속축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축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제2 접속축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속축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회전체의 두 측부에는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제1 접속축 및 제2 접속축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 또는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 및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동일한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될 때, 상기 변속부는 링형 구동체 및 위치결정체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경사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체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은 반경방향의 외측에 축방향 안내 개구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내측에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가 상기 위치결정체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 내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는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 및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은 상기 축방향 안내 개구를 통해 상기 경사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위치결정체의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상기 변속부는 링형 구동체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상기 변속부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복수의 요입홈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관통공에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축방향 동력입력축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축이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 사이와, 상기 지지회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회전체를 통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볼 및 링형 위치결정체를 갖는 링형 볼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은 상기 링형 위치결정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상기 위치결정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와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기구는 기구의 구조가 간소하고 소형이며, 리니어 변속 영역이 넓고, 전달 손실이 적고, 변속할 때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의 링형 구동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의 링형 구동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구형 동력전달체(2) 및 원형 구동봉(3)의 작동 방식이 보다 명백해지도록, 도 5에서는 구형 동력전달체(2) 및 원형 구동봉(3)의 작동 방식만이 도시되고, 그 밖의 구형 동력전달체 및 원형 구동봉의 작동 방식은 도 5의 작동 방식과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적어도 지지회전체(1),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 복수의 원형 구동봉(3), 변속부(4),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로 구성된다.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들의 반경방향 상에는 원주형 홈(21)이 각각 형성된다.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은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21)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원주형 홈(21)으로부터 각각 노출된다. 변속부(4)에는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이 가동적으로 연결되어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원형 구동봉(3)을 편심 회전시킨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을 갖는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지지회전체(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을 갖는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지지회전체(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쌍을 이루도록 구형 동력전달체(2)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과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과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과의 사이(그 밖에 표시하지 않은 구형 동력전달체도 동일함)에 구형 동력전달체(2)가 끼워진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도 2를 참조)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도 1을 참조)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도 2를 참조)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도 1을 참조)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의 중앙 및 좌측 도면을 참조한다. 도 5의 중앙 및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부(4)에 의해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형 동력전달체(2)가 원형 구동봉(3)의 둘레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 상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한다. 이 때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이 구형 동력전달체(2)의 대원주에 접촉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은 구형 동력전달체(2)의 소원주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속도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속도보다 커져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면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기구의 속도가 저하된다. 도 5의 중앙 및 우측 도면을 참조한다. 도 5의 중앙 및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부(4)에 의해 원형 구동봉(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형 동력전달체(2)가 원형 구동봉(3)의 둘레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이 구형 동력전달체(2)의 소원주에 접촉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이 구형 동력전달체(2)의 대원주에 접촉되므로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속도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속도보다 느려진다. 이 때문에,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니어 변속 기구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원형 구동봉(3) 및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그 밖의 원형 구동봉 및 구형 동력전달체의 작동 방식도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 간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원형 구동봉(3)의 편심 회전 각도가 커지므로,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리니어 변속 영역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변속할 때, 구형 동력전달체(2)가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및 지지회전체(1)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되므로 변속시의 전달 손실이 적을 뿐 아니라 울컥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에 있어서,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둘레면에는 각각 제1 오일 안내홈(31)이 형성되고, 복수의 원형 구동봉(3)과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 사이에는 손실을 줄이기 위한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에 있어서, 변속부(4)는 구동 리드 스크류(42), 링형 구동체(41)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체(43)를 포함한다. 링형 구동체(41)는 원환형일 수 있다. 구동 리드 스크류(42)는 구동 모터(421)에 의해 회전된다.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링형 구동체(41)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411)의 두 측부에 결합축(32)이 관통되어 링형 구동체(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내봉체(43)는 원형의 봉일 수 있다. 구동 리드 스크류(42)는 링형 구동체(41)의 나사홀(412)에 삽입 통과되어 맞물린다. 안내봉체(43)는 링형 구동체(41)의 안내홀(413)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리드 스크류(42)에 의해, 안내봉체(43) 및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을 따라 링형 구동체(41)를 수평 이동시키고, 링형 구동체(41)에 의해 복수의 원형 구동봉(3) 및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가 편심 회전되어 리니어 변속 기구가 변속을 수행한다. 또한, 안내봉체(43)는 복수개이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링형 구동체(41)가 구동 리드 스크류(42)에 의해 평행이동 될 때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에 있어서, 변속부(4)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를 갖는다. 이 링형 구동체 반부(414)들은 원환형일 수 있다. 링형 구동체 반부(414)의 측면에는 복수의 요입홈(4141) 및 복수의 반원주형 홈(414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요입홈(4141)의 두 측부는 반원주형 홈(4142)과 각각 연통하고, 요입홈(4141)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의 결합 관통공(4143)이 형성된다. 반원주형 홈(4142)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의 원주형 결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결합축(32)에 각각 삽입 고정되고,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결합 관통공(4143)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각 결합축(32)의 양단은 원주형 결합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이 링형 구동체 반부(4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링형 구동체 반부(414)는 구동 리드 스크류(42), 구동 모터(421) 및 안내봉체(43)와 조립되고, 구동 리드 스크류(42)에 의해 링형 구동체 반부(414)를 안내봉체(43) 및 지지회전체(1)를 따라 축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의 안내봉체(43)의 둘레면에는 제2 오일 안내홈(431)이 형성되고, 안내봉체(43)와 링형 구동체(41) 사이에는 손실을 줄이기 위한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의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제1 접속축(52)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축(52)은 지지회전체(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제2 접속축(62)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속축(62)은 지지회전체(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회전체(1)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을 지지하고,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서로 접속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의 지지회전체(1)의 두 측부에는 베어링(11)이 각각 마련된다. 베어링(11)에는 제1 접속축(52) 및 제2 접속축(62)이 각각 끼움 결합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회전체(1)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를 지지하고,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서로 접속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동력전달체(2) 및 원형 구동봉(3)의 작동 방식이 보다 명백해지도록, 도 12에서는 구형 동력전달체(2) 및 원형 구동봉(3)의 작동 방식만이 도시되나, 그 밖의 구형 동력전달체 및 원형 구동봉의 작동 방식은, 도 12에 도시된 작동 방식과 동일하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지지회전체(1),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 복수의 원형 구동봉(3), 변속부(4),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링형 측면(12)은 내측으로 패인 원호 형상이며, 구형 동력전달체(2)가 조립된다.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원주형 유로(22) 및 원주형 홈(21)(도 5 및 도 6을 참조)을 반경방향으로 각각 갖는다.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은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22)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복수의 원주형 유로(22) 또는 복수의 원주형 홈(21)으로부터 각각 노출된다(도 5 및 도 6을 참조).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이 원주형 유로(22)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변속부(4)가 원형 구동봉(3) 내측단 및 외측단에 가동적으로 연결된다.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이 원주형 홈(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도 5 및 도 6을 참조), 변속부(4)가 원형 구동봉(3) 외측단에 가동적으로 연결된다. 변속부(4)가 지지회전체(1)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에 도달할 때까지 원형 구동봉(3)을 편심 회전시킨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을 갖는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을 갖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이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내에 위치하고,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가 구형 동력전달체(2)와 같은 측에 설치된다. 지지회전체(1)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반대측이 되도록 구형 동력전달체(2)에 설치되고,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과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과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과의 사이에 구형 동력전달체(2)를 끼운다(그 밖에 표시하지 않은 구형 동력전달체도 동일함).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회전 방향은 같다.
도 8을 참조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형 동력전달체(2)는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12의 중앙 및 좌측 도면을 참조한다. 도 12의 중앙 및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부(4)에 의해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면, 구형 동력전달체(2)가 원형 구동봉(3)의 둘레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 상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한다. 이 때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이 구형 동력전달체(2)의 대원주에 접촉되고,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이 구형 동력전달체(2)의 소원주에 접촉되어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속도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속도보다 커지므로,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의 속도가 내려간다. 도 12의 중앙 및 우측 도면을 참조한다. 도 12의 중앙 및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부(4)에 의해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되면, 구형 동력전달체(2)가 원형 구동봉(3)의 둘레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한다. 이 때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은 구형 동력전달체(2)의 소원주에 접촉되고,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은 구형 동력전달체(2)의 대원주에 접촉되므로,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의 속도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의 속도보다 느려진다. 그러므로, 원형 구동봉(3)이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원형 구동봉(3) 및 구형 동력전달체(2)에 의해 설명했으나, 그 밖의 원형 구동봉 및 구형 동력전달체의 작동 방식도 동일하다.
도 12를 참조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회전체(1)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와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 원형 구동봉(3)의 편심 회전 각도가 커지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 및 소형화하고, 리니어 변속 영역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변속할 때, 구형 동력전달체(2)가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및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에 미끄럼 접촉되므로, 변속할 때의 전달 손실이 적고 울컥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이 원주형 유로(22)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관통될 때, 변속부(4)는 링형 구동체(45) 및 위치결정체(46)를 갖는다. 도 8 및 도 9는, 반으로 분할된 위치결정체(46)를 나타낸다. 위치결정체(46)의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 축방향 안내 개구(462) 및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463)도 반으로 분할되어 있다. 링형 구동체(45)의 내주면은, 둘러싸도록 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경사 안내홈(451)을 갖는다. 위치결정체(46)는 원주 형상임과 아울러,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을 갖는다. 각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의 내측은 원호형의 면으로 형성된다. 각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은 반경방향의 외측에 축방향 안내 개구(462)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내측에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463)이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463)은 축 중심을 향해 패인 원호형으로 형성된 안내홈이다. 링형 구동체(45)가 위치결정체(46)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가 각각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형 동력전달체(2)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는,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461)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로부터 노출되어,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51),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61) 및 지지회전체(1)의 링형 측면(12)에 구름 접촉된다. 각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은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46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축방향 안내 개구(462)를 통해 경사 안내홈(451)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링형 구동체(45)는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결정체(46)의 둘레에서 회전한다. 도 8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구동봉(3)의 두 단부가 축방향 안내 개구(462) 및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463)에 의해 각각 안내되므로, 원형 구동봉(3)의 두 단부가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 상에서만 이동하고, 이후, 링형 구동체(45)가 위치결정체(46)의 둘레에서 회전하면,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이 링형 구동체(45)의 경사 안내홈(451)에 의해 안내되어 우측으로 이동하거나(도 12의 중앙 및 좌측 도면을 참조), 좌측으로 이동하여(도 12의 중앙 및 우측 도면을 참조), 원형 구동봉(3) 및 구형 동력전달체(2)가 동시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하거나(도 12의 중앙 및 좌측 도면을 참조), 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한다(도 12의 중앙 및 우측 도면을 참조).
도 1, 도 3 및 도 5와 함께 도 8,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1, 도 3, 도 5,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이 복수의 원주형 홈(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변속부(4)는, 전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와 동일하게, 구동 리드 스크류(42), 링형 구동체(41)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봉체(43)을 갖는다. 링형 구동체(41)는 원환형일 수 있다. 구동 리드 스크류(42)는 구동 모터(4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링형 구동체(41)의 측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411)을 삽입 통과한 결합축(32)의 두 측부를 통해 링형 구동체(4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내봉체(43)는 원형의 봉일 수 있다. 구동 리드 스크류(42)는 링형 구동체(41)의 나사홀(412)에 삽입통과되어 맞물린다. 안내봉체(43)는 링형 구동체(41)의 안내홀(413)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리드 스크류(42)는 안내봉체(43)와, 도 8, 도 10 및 도 12의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을 따라 링형 구동체(41)를 수평 이동시키고, 링형 구동체(41)에 의해 복수의 원형 구동봉(3) 및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를 편심 회전시키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변속을 수행한다. 또한, 안내봉체(43)는 복수개이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링형 구동체(41)에 의해 구동 리드 스크류(42)가 평행이동 될 때 균형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함께 도 8,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한다. 도 6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내측단이 복수의 원주형 홈(21)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변속부(4)는 전술한 리니어 변속 기구와 동일하게 서로 맞대어 접속시킨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를 갖는다. 이 링형 구동체 반부(414)들은 원환형일 수 있다. 복수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의 측면에는 복수의 요입홈(4141) 및 복수의 반원주형 홈(4142)이 각각 형성된다. 각 요입홈(4141)의 두 측부에는 반원주형 홈(4142)이 각각 연통한다. 요입홈(4141)을 서로 조합하면 복수의 결합 관통공(4143)이 형성된다. 반원주형 홈(4142)을 서로 조합하면 복수의 원주형 결합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결합축(32)에 삽입 고정되고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은 복수의 결합 관통공(4143)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된다. 각 결합축(32)의 두 단부는 복수의 원주형 결합홈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복수의 원형 구동봉(3)의 외측단이 복수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는 구동 리드 스크류(42), 구동 모터(421) 및 안내봉체(43)와 조립되고, 구동 리드 스크류(42)에 의해, 안내봉체(43)와, 도 8, 도 10 및 도 12의 지지회전체(1)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링형 구동체 반부(414)를 평행 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에 있어서,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는 축방향 동력입력축(53)을 갖는다. 축방향 동력입력축(53)은, 변속부(4)의 위치결정체(46)의 중심과,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2)간의 중심과, 지지회전체(1)의 중심에 관통되어 지지회전체(1)를 통해 노출된다.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는 축방향 동력출력축(63)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축방향 동력입력축(53)을 통해 동력이 입력되고 축방향 동력출력축(63)을 통해 동력이 출력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리니어 변속 기구는 복수의 볼(71) 및 링형 위치결정체(72)를 갖는 링형 볼체(7)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볼(71)은 링형 위치결정체(7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위치결정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볼(71)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5)와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6) 간의 마찰 손실을 줄인다.
이 분야의 기술을 숙지하는 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하였으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와 영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는 이러한 변경이나 수정을 포함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 지지회전체
2 구형 동력전달체
3 원형 구동봉
4 변속부
5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6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
7 링형 볼체
11 베어링
12 링형 측면
21 원주형 홈
22 원주형 유로
31 제1 오일 안내홈
32 결합축
41 링형 구동체
42 구동 리드 스크류
43 안내봉체
45 링형 구동체
46 위치결정체
51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
52 제1 접속축
53 축방향 동력입력축
61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
62 제2 접속축
63 축방향 동력출력축
71 볼
72 링형 위치결정체
411 결합홈
412 나사홀
413 안내홀
414 링형 구동체 반부
421 구동 모터
431 제2 오일 안내홈
451 경사 안내홈
461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
462 축방향 안내 개구
463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
4141 홈
4142 반원주형 홈
4143 결합 관통공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외주면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홈 내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에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가동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와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쌍을 이루도록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두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구형 동력전달체가 끼워지고,
    상기 변속부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복수의 요입홈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관통공에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제1 접속축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속축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제2 접속축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속축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회전체의 두 측부에는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제1 접속축 및 제2 접속축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7. 삭제
  8.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 또는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 및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동일한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될 때,
    상기 변속부는, 링형 구동체 및 위치결정체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경사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체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은 반경방향의 외측에 축방향 안내 개구가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내측에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가 상기 위치결정체의 외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 내에 이동 가능하게 각각 수용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는 상기 축방향 위치결정 관통공의 서로 쌍을 이루는 두 측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 및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축방향 원호형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은 상기 축방향 안내 개구를 통해 상기 경사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위치결정체의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리니어 변속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상기 변속부는 링형 구동체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10.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 또는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 및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동일한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때,
    상기 변속부는 서로 맞닿아 접속되는 2개의 링형 구동체 반부를 가지며,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복수의 요입홈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 관통공에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형 구동체 반부는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11.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 또는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 및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동일한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축방향 동력입력축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축이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사이와, 상기 지지회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회전체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리니어 변속 기구.
  12. 지지회전체, 복수의 구형 동력전달체, 복수의 원형 구동봉, 변속부,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를 구비한 리니어 변속 기구로서,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는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는 반경방향으로 원주형 유로 또는 원주형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은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거나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유로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 및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변속부는, 상기 원형 구동봉의 내측단이 상기 원주형 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원형 구동봉의 외측단과 가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회전체의 반경방향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지지회전체의 축방향에 이를 때까지 상기 원형 구동봉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을 갖고,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의 동일한 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회전체는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에서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 및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입력면과 상기 링형의 경사진 내부 동력출력면과 상기 지지회전체의 링형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구형 동력전달체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복수의 볼 및 링형 위치결정체를 갖는 링형 볼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은 상기 링형 위치결정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위치결정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됨과 아울러 상기 축방향 동력입력 회전체와 상기 축방향 동력출력 회전체와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변속 기구.
KR1020150163228A 2015-11-20 2015-11-20 리니어 변속 기구 KR10174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28A KR101747547B1 (ko) 2015-11-20 2015-11-20 리니어 변속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28A KR101747547B1 (ko) 2015-11-20 2015-11-20 리니어 변속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96A KR20170059196A (ko) 2017-05-30
KR101747547B1 true KR101747547B1 (ko) 2017-06-27

Family

ID=5905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28A KR101747547B1 (ko) 2015-11-20 2015-11-20 리니어 변속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17B1 (ko) * 2011-12-21 2013-04-0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면 마찰식 무단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17B1 (ko) * 2011-12-21 2013-04-0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면 마찰식 무단변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196A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845B2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JP200802582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TW201713869A (zh) 減速軸承和電動機
TWI546222B (zh) Linear gearing mechanism
JP2011174539A (ja) トロイダル無断変速機
JP201112763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KR101747547B1 (ko) 리니어 변속 기구
TWI610038B (zh) 無段變速環座驅動機構
JP6154873B2 (ja) リニア変速機構
JP6279755B2 (ja) 無段変速機
JP633144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7315595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9030639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US10190663B2 (en) Linear gear shift mechanism
US20180180138A1 (en) Transmission
JP2019056457A (ja) 無段変速機
TW201829940A (zh) 無段變速機構
EP3153743B1 (en) Linear gear shift mechanism
JP6374552B1 (ja) 無段変速環状ベース部の駆動機構
JP2016008660A (ja) 等速ジョイント
JP4706960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CN106555871B (zh) 线性排档机构
JP2019011794A (ja) 減速機
JP201302431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17009023A (ja) 可変速プー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