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510B1 -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510B1
KR101745510B1 KR1020160117259A KR20160117259A KR101745510B1 KR 101745510 B1 KR101745510 B1 KR 101745510B1 KR 1020160117259 A KR1020160117259 A KR 1020160117259A KR 20160117259 A KR20160117259 A KR 20160117259A KR 101745510 B1 KR101745510 B1 KR 10174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afety net
optical fiber
movable member
ben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호
배현명
배영윤
Original Assignee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신자의 낙하를 방지하면서도, 가벼워 교량에 부담을 주지 않고, 교량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가능한 한편, 투신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투신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이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으로 비스듬하게 교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장되는 안전망; 광섬유에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기구; 상기 안전망과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절곡 기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지지선을 포함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SYSTEM FOR SENSING HUMAN BODY JUMPING FROM BRIDGE}
본 발명은 교량으로부터 투신하는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투신하는 사람의 투신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할수 있고, 투신하는 사람의 낙하를 방지하고, 경량으로 교량에 큰 하중을 가하지 않으며, 교량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량에서 투신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한강의 교량에는 폐쇄회로 TV(CCTV)와 SOS 긴급 전화가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한강 교량에서 투신 사건이 발생하는지 감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투신 사건 발생시 신속하게 구조를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6-0086506 참조). 그러나 신속하게 구조 작업을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한강 강물은 유속이 빠르고, 강물이 혼탁하기 때문에, 구조대가 이미 강물에 투신된 사람을 찾는 수색 작업은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이런 경우, 투신자를 구조한다고 하더라도, 투신자는 이미 사망하거나 중태일 수 있다(서울특별시 소방재난 본부 한강교량 투신사고 방지시스템구축에 관한 연구 51-6110000-000657-01(2012. 12.)참조)
다른 한편으로,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타이틀의 무주연님이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1-0123599에서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그물망 시스템에 따르면, 교량(1) 및 교각(2)에 연결 프레임(30)과 스탠딩 프레임(20)을 연결하고, 연결 프레임(30)과 스탠딩 프레임(20)에 4각형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10)을 수평하게 고정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롤러(50)를 통해서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그물망(40)의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량(1)으로부터 투신한 사람이 그물망(40)에 걸리면, 롤러(50) 내에 장착된 판스프링(미도시)의 작용으로 그물망(40)의 일정 부위가 인출되어 사람이 받을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람이 튕겨져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그물망 시스템은 그물망(40)에 걸린 투신자가 프레임(10) 밖으로 나가 다시 투신하려는 시도를 저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즉, 그물망(40)에 사람이 걸렸는지를 판단하는 센서, 및 그물망에 사람이 걸린 경우에, 사람이 프레임(10)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프레임(10)에 소정의 전압을 갖는 전기를 흘려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구성이 복잡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설치 및 유지 관리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실용성이 낮다.
또한,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종래의 안전망(100)은 PE 로프(101)로 매듭(102)을 지어 만들어 진 그물망의 구조를 갖는 데 , 떨어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대략 폭 3m x 길이 100m 로 제작된다면, 안전망(100)의 무게가 대략 200kg 정도로 무겁고 부피도 커져, 강풍시 교량의 안정성을 악화시키고,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번호 10-2011-0123599 (2011. 11. 15) 대한민국 공개특허 번호 10-2016-0086506 (2016. 07. 20)
서울특별시 소방재난 본부 한강교량 투신사고 방지시스템구축에 관한 연구 51-6110000-000657-01(2012. 12.)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신자의 낙하를 방지하면서도, 가벼워 교량에 부담을 주지 않고, 교량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가능한 한편, 투신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투신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으로 비스듬하게 교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연장되는 안전망; 광섬유에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기구; 상기 안전망과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절곡 기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지지선을 포함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될 수 있다.
상기 안전망은 스테인리스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는 광검출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의 안전망은 직경 1mm 정도의 가느다란 스테인리스 와이어로 그물망을 제작하고, 대략 30m 간격으로 교량에 비스듬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연장되고, 또한, 각각의 지지대에 절곡 기구가 장착될 수 있으므로, 투신자가 안전망에 걸릴 때 절곡 기구가 당겨져 광섬유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로 인한 광손실이 광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투신 사실이 탐지되고 경보될 수 있으며, 그 위치가 30m단위로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을 교량에 설치하여 운영할 경우, 투신자가 강물에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구조대가 사고 발생 시 현장을 신속 정확히 확인하고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CCTV 카메라와 연동 시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망은 가늘고 가벼워 교량의 안정성이나 미관을 저해하지 아니하고 반영구적으로 유지보수 어려움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망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투신감지시스템의 교량난간에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위 안전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교량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중립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는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이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어떤 실시형태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그리고 간결성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이 교량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일부 평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은 교량(3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대(204); 복수의 지지대(204)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안전망(200); 광섬유(307)에 절곡부를 생성하기 위한 절곡 기구(206); 일단이 절곡 기구(20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대(204)에 연결되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연장된 부분은 안전망(200)과 연결되는 지지선(202)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대(204)는 교량(300), 예를 들어, 난간(302) 또는 거더(303)의 외측(즉, 보행로 또는 차로를 향하는 측과 반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204)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30m 간격일 수도 있다. 지지대(204)는 수직으로 설치된 교량(300)의 난간(302)과의 사이에 예각, 예를 들어 45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지지대(204)로서 예를 들어, 대략 50 x 50 x 5t의 스테인리스 앵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투신자가 튕겨져 나가거나 기어 나가지 못하도록 활처럼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휠 수 있다.
안전망(200)은 복수의 지지대(204) 사이에 연장된다. 안전망(200)의 양단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 인접하는 2개의 지지대(20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망(200)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3989호 (2009년 3월 24일) “침입 경보 시스템용 광케이블의 망상구조”에서 제시된 방법대로, 광케이블대신, 예를 들어 직경 1mm의 스테인레스 와이어(201)를 마름모형으로 꼬고 그 교차점을 접합밴드(208)로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광섬유(307)에 절곡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절곡기구(206)는 각각의 지지대(204)에 고정될 수 있다. 절곡부(206)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뒤에 상세히 설명된다.
지지선(202, 203)은 복수의 지지대(204)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안전망(200)의 상측과 연결되는 상측 지지선(2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하나의 지지대(204)에 고정되고, 타단은 절곡기구(206)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지지선(202)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연장부는 안전망(200)의 상측 가장자리에 꿰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선(202)의 연장부는 다른 지지대(204)에 마련된 시브(205)를 거치면서 연장 방향을 변경하여 절곡기구(20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안전망(200)의 하측과 연결되는 하측 지지선(203)은 안전망(200)의 하측 가장자리와 난간(302)의 하단에 꿰어 걸치며 그 양단이 2 개의 지지대(204)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선(203)이 견디는 장력은 사람이 추락하여 안전망(200)에 걸릴 경우 교량(300)과 분리되어 투신자가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클 수 있다.
또한, 지지선(202, 203)은, 예를 들어 굵기 2mm 정도의 스테인리스 와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307)는 절곡 기구(206)을 통해서 광검출기(401)에 연결될 수 있다. 감지구역(L)의 길이가 30m이상인 지역에서 절곡 기구(206)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한 가닥의 광섬유(307)가 이들 복수의 절곡 기구(206)를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307)로서,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20-0429342호 "광망용 침입감지 광케이블"에 개시되는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멀티모우드 광섬유 주위를 Kevlar보강재로 둘러싼 외경 3mm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개(도면에는 편의상 2개만 도시됨)의 단위 안전망(200)이 감지 구역(L)에 걸쳐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400)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206)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절곡 기구(206)는 안내 홈(507)이 형성된 바디(501); 지지선(202)의 일단과 연결되고, 광섬유(307)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안내 홈(507)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503)를 포함한다.
바디(501)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이며, 안내 홈(507)은 바디(501)의 길이방향으로 상단에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50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01)의 폭 또는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501)에는 광섬유(307)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505)이 형성될 수 있고, 가동 부재(503)에는 광섬유(307)가 관통되는 삽입홀(5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505)에 삽입된 광섬유(307)는 가동 부재(503)의 삽입홀(504)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503)가 안내홈(507) 내에서 슬라이딩될 때, 광섬유(307)도 가동 부재(503)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관통홀(505)에 의해서 지지되는 광섬유(307) 부분에 대해서 광섬유(307)에 굴곡부(①, ②, ③, ④; 도 8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디(501)의 장착홈(508)에는 탄성 부재(502)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2)는, 그 하측 단부가 장착홈(508)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장착홈(508)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2)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503)가,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502)는, 가동 부재(503)가 지지선(202)에 의해서 바디(501)의 상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인장되어 가동 부재(503)를 다시 바디(501) 하측으로 복귀시킬려는 복귀력을 가동 부재(503)에 작용할 수 있다.
가동 부재(503)는 안내 홈(50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206)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중립 상태에 있는 절곡 기구(206)의 단면도이다. 가동 부재(503)에 일단이 연결된 지지선(202)에 가해지는 장력은 가동 부재(503)의 하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502)의 복원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즉, 광섬유(307)가 관통홀(505) 및 삽입홀(504)을 통해서 연장되되, 절곡부가 없는 직선상태로 유지되고 있고, 가동 부재(503)는 탄성 부재(502)를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 시키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인출 상태의 절곡 기구(20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인출 상태는, 예를 들어 지지선(202)에 작용되는 장력이 더 커진 상태, 예를 들어 투신자가 안전망(200)에 걸리고, 안전망(200)이 아래로 쳐지면서, 안전망(200)과 연결된 지지선(202)을 아래로 당기는 경우에, 가동 부재(503)가 탄성 부재(502)의 복원력을 이기고 바디(501)의 상측(화살표(UP)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동 부재(503)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삽입홀(504)에 삽입된 광섬유(307) 부분을 함께 상측(화살표(UP)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관통홀(505)에 걸려 있는 광섬유(307) 부분에 절곡부(①, ②, ③, ④)를 형성한다. 절곡 기구(206)는 바디(501)의 상단에 가동 부재(503)가 지지선(202)에 의해서 인출될 때, 인출되는 한계를 정하기 위해서 커버부재(미도시) 또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곡 기구(206)는 광섬유(307)를, 예를 들어, 절곡 직경 1mm 이하로 굽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 15dB의 광 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 기구(206)은 광섬유(307)의 짧은 영역에서 4개의 절곡부(도 8의 ①, ②, ③, ④)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광 손실이 크고, 따라서 광검출기(401)에 의해서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다.
광섬유(307)에 이와 같이 절곡부가 생기면, (한국표준과학원의 연구논문(2002년 7월 센서학회지 제11권 제4호 논문 2002-11-4-03)에서 제공되는 실험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광섬유는 굽힘 직경 19mm에서 1.0dB의 광 손실을 보이다가, 굽힘 직경이 작아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여, 굽힘 직경 2mm에서는 광 손실이 15dB에 이른다(일반적으로 광망에서 굽힘 광 손실 3dB정도면 경보기가 감지할 수 있다), 광섬유(307) 내에서 광 손실이 발생되고, 이는 광검출기(401)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광섬유(307)에 광을 송출하고, 광섬유(307)에서 반송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광섬유(307)의 일단에 광학적으로 접점되어 펄스광을 광섬유(307)에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펄스광을 검출 수 있고 그 결과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위치를 지시하도록 작동될 수있다. 또는, 본 발명의 광검출기(401)로서 특허공보 1997-0009968에 개시되는 광펄스 송수신부가 굽힘 광 손실을 탐지하도록 최적화되어 사용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이 교량에서 투신하면, 안전망(200)에 걸리게 되고, 이때 안전망(200)과 연결된 지지선(202)이 절곡 기구(206)의 가동부재(503)를 화살표(UP)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광섬유(307)에는 절곡부(①, ②, ③, ④)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광손실이 광검출기(401)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교량 투신 또는 추락 사고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예를 들어, 절곡 기구(206)는 안전망(200) 길이 30m 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광손실이 발생된 절곡 기구(206)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투신 또는 추락 사고가 발생된 안전망(200)의 위치를 30m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204)는 지지대(204)의 자유단이 고정단보다 상측에 있도록 비스듬하게 교량(300)에 연결되기 때문에, 투신자가, 예를 들어 폭 3m의 안전망(200)에 걸린 상태에서, 이 안전망(200)을 넘어가는 것이 어려워, 구조대가 도착시까지 재 투신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안전망(200)을 폭 3m x 길이 100m의 사이즈를 갖고 100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술된 바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안전망(200)의 무게를 (종래 약 200kg에서) 약 20kg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교량에 주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재료로 안전망(200)을 제조하는 경우, 눈에 잘 띄지 않고, 부식이 방지될 수 있어, 교량의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지 관리에 큰 비용이 지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고, 예를 들어 바디(501)의 형상을 원통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택하는 것, 또는 탄성 부재(502)를 가동 부재(503)의 하측이 아닌 상측에 배치하는 것 등과 같은 변경 내지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서 상술된 실시형태에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이러한 변경 내지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됨은 자명하다.
100 : 종래의 안전망
101 : 로우프
102 : 매듭
200 : 본 발명의 안전망
201 : 와이어
202 : 상측 지지선
203 : 하측 지지선
204 : 지지대
205 : 시브
206 : 절곡 기구
208 : 접합밴드
300 : 교량
301 : 교각
302 : 난간
303 : 거더
307 : 광섬유
401 : 광검출기
501 : 바디
502 : 탄성 부재
503 : 가동 부재
504 : 삽입홀
505 : 관통홀
507 : 안내홈
508 : 장착홈

Claims (6)

  1. 소정의 간격으로, 그리고 자유단이 고정단보다 상측이 되도록 비스듬하게 교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연장되는 안전망;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광섬유에 절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기구;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망을 통해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절곡 기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지지선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기구는, 상기 안전망에 투신자가 걸려 상기 안전망이 아래로 쳐져 상기 지지선이 당겨짐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절곡부를 형성하도록 작동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은 스테인리스 와이어로 형성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는 광검출기에 연결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구는,
    제1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제1 안내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는 상기 바디의 관통홀 및 상기 가동 부재의 삽입홀을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안전망에 투신자가 걸려 상기 안전망이 아래로 쳐져 상기 지지선이 당겨짐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안내 홈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부분을 당겨, 상기 바디의 관통홀과 협력하여 상기 광섬유의 일부분에 절곡부를 형성시키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구는, 상기 지지선이 상기 가동 부재를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가동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KR1020160117259A 2016-09-12 2016-09-12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KR10174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59A KR101745510B1 (ko) 2016-09-12 2016-09-12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259A KR101745510B1 (ko) 2016-09-12 2016-09-12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510B1 true KR101745510B1 (ko) 2017-06-12

Family

ID=5921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259A KR101745510B1 (ko) 2016-09-12 2016-09-12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279A (ko) * 2018-07-02 2018-07-10 남규태 레이저 스캔 방식을 이용한 교량의 인명사고 감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18Y1 (ko) * 2006-04-04 2006-07-06 조이숙 휀스 부착형 광망 및 고정구
KR101219082B1 (ko) * 2010-05-07 2013-01-11 문주연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18Y1 (ko) * 2006-04-04 2006-07-06 조이숙 휀스 부착형 광망 및 고정구
KR101219082B1 (ko) * 2010-05-07 2013-01-11 문주연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279A (ko) * 2018-07-02 2018-07-10 남규태 레이저 스캔 방식을 이용한 교량의 인명사고 감시시스템
KR101894209B1 (ko) 2018-07-02 2018-08-31 남규태 레이저 스캔 방식을 이용한 교량의 인명사고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3785B2 (en) Optic fiber security fence system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JP4418376B2 (ja) 侵入検知センサー
US20080185221A1 (en) Automatic belay warning system
KR101745510B1 (ko)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KR20180062783A (ko) 보안펜스 상단감지장치
KR101468056B1 (ko) 철책용 능동형 감시방법
KR102165158B1 (ko) 재난 대응 로봇 및 관제 장치와 그 초동 대응 방법
KR101219082B1 (ko) 인명구조용 그물망 시스템
US10858857B2 (en) Anti-climbing device
KR102100175B1 (ko) 교량 투신사고 예방용 안전경고시스템
JP3145797U (ja) 工事現場の仮設足場監視システム
US20150123062A1 (en) Safety barrier system
KR101686731B1 (ko) 센서를 이용한 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4913662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应急可视化安全监管系统
KR101698837B1 (ko)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JP2006266066A (ja)
JP2007122107A (ja) 災害発生時における緊急通報システム
KR102150655B1 (ko) 수상 구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상 구조 방법
JP6074909B2 (ja) 火災受信機および防災システム
KR102325549B1 (ko) 안전난간 구조체
EP0437341B1 (en) Barrier structures
CN109519034A (zh) 一种多功能楼房安全防护网
CN106044446A (zh) 一种智能化电梯施工围栏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102322970B1 (ko) 대피 경로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