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837B1 -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837B1
KR101698837B1 KR1020160114078A KR20160114078A KR101698837B1 KR 101698837 B1 KR101698837 B1 KR 101698837B1 KR 1020160114078 A KR1020160114078 A KR 1020160114078A KR 20160114078 A KR20160114078 A KR 20160114078A KR 101698837 B1 KR101698837 B1 KR 10169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ence
optical fiber
fence system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호
배현명
배영윤
Original Assignee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이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토트 와이어 휀스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크며, 아울러 침입 감지 성능이 뛰어난, 광섬유를 사용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을 제공하고, 토트 와이어 휀스에 비하여 장애도와 미관이 향상된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진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연장되고, 일단은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절곡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기구는,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안내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광섬유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삽입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INTRUSION SENSING FENCE SYSTEM}
본 발명은 경비 시설의 휀스를 통한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휀스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크며, 아울러 침입 감지 성능이 뛰어난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은 경비 시설, 예를 들어, 국경선, 군사 시설, 비행장, 원자력발전소, 유류가스저장소, 공장, 국가 기밀시설, 교도소, 고급 주거시설 등의 외곽에 설치된 휀스 철망을 침입자가 절단하거나 또는 침입자가 타고 넘을 때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전형적인 휀스(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종래의 휀스(100)는 단지 침입자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간격으로 땅에 세워진 지주(101), 지주(10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보(102), 및 지주(101) 및 횡보(102)에 부착되는 철망(103)을 포함하며, 여기서 철망(103)은 비인가자의 무단 통과를 저지한다. 또한, 철망(103)의 상단에는 철망(103)을 넘어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윤형 철조망(104)이 올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휀스(100)는 일반인에게는 확실한 침입 억제수단이 되지만, 침입자는 간단히 철망을 절단하거나 윤형 철조망을 밟고 넘을 수가 있어, 단지 침입을 지연시키거나 사후 흔적을 남기는 정도의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휀스(100)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장치를 추가로 휀스에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휀스와 감지장치에 2중으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철망의 기능을 하면서도 감지기능을 갖는 휀스의 필요성에 대한 대책으로 토트 와이어 휀스(Tautwire Fence)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형적인 토트 와이어 휀스(20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토트 와이어 휀스(200)에는, 소정 간격으로 지주(201)가 지표(206)에 세워지고, 이 지주(201)에 대략 2mm 굵기 정도의 뻣뻣한 철선(202; 이를 토트 와이어라 칭함)이 상하 대략 10cm 간격으로 횡으로 20 줄 정도 부착된다. 각각의 토트 와이어(202) 양단은 양측 지주(201)에 스프링(203)을 통해서, 그리고 스프링(203)에 의해서 일정한 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진 상태로 연결된다. 또한, 토트 와이어(202)는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나선형철선(204)에 꿰어져 연장되고, 그 결과 전체적으로 토트 와이어 스크린을 형성한다. 따라서 만약 침입자가 토트 와이어(202)를 절단하거나 벌리면 중앙 지주에 부착된 힘 감지기(205)가 당겨져 전기 신호를 발생하고, 힘 감지기(205)에 연결된 전원 및 데이터케이블(207)을 통하여 경보기에 알람 신호를 전송하여 경보하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서, 힘 감지기(205)로는 주로 압전소자(Piezo Electricity) 또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 변화를 이용한 전기식 감지기가 사용되며, 따라서, 힘 감지기(205)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리선 등이 수분(비, 안개, 물기)과 전기(정전기, 낙뢰, 고압선, 전자파)등의 영향으로 오작동하거나 손상되어 빈번하게 점검 및 조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명(대략 5년 정도)이 오래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케이블(207)이 다수의 힘 감지기(205)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없고 각각의 힘 감지기마다 별도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케이블(207)을 가설해야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
또한, 침입자가 토트 와이어(202) 사이를 쉽게 벌릴 수 있어 침입 장애도가 낮고, 위치 표시 정확도가 힘 감지기 간격과 동일하므로, 예를 들어 10m 정확도로 위치를 탐지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서는 10m마다 힘 감지기를 부착하고,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다수, 즉 1Km당 각각 100개를 설치해야 하므로, 그 설치 비용과 유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7-0009968호 (1997년 06월 19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9342호 (2006년 10월 16일)
백세종 외 3명, 광섬유 ROTDR쎈서를 이용한 침입탐지기법의 개발, 센서학회지 제11권 제4호(2002.07) 논문 2002-11-4-03, pp 209-217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토트 와이어 휀스에 비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크며, 아울러 침입 감지 성능이 뛰어난, 광섬유를 사용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트 와이어 휀스에 비하여 저렴하고, 장애도가 향상되고 미관이 개선된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진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연장되고, 일단은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절곡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기구는,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안내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광섬유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삽입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절곡 기구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는 광검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은 지표에 가까운 부분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쇠창살을 더 포함한다.
휀스를 시설하기 위해서 km당 1억원∼ 1.5억원 소요되고, 토트 와이어 휀스를 시설하기 위해서도 이에 버금가는 비용이 소요되는 데 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보안 휀스는 km당 0.5억∼ 1억원(설치 높이에 따라 가변)의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휀스와 탐지시스템을 동시 확보할 수 있고, 고장이나 오작동 소지가 없어 해안선, 국경선, 주요시설 외곽, 산업 시설 등 주요 시설 뿐만 아니라, 학교, 관공서, 저택, 전원주택, 농장, 야적장 등의 외곽경비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종래의 휀스의 정면도,
도 2는 전형적인 종래의 토트 와이어 휀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경비구역에 맞춰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침입 감지 휀스와 광검출기의 연결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중립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절곡 기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의 적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는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이다.
한편, 이하 설명되는 어떤 실시형태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그리고 간결성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에 주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300)의, 예를 들어 높이 2m x 길이 30m의 단위 침입 감지 휀스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된다.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30m의 단위 구역을 따라, 예를 들어 대략 1.5m 간격으로 세워진 지주(301), 지주(301) 사이에 연장되는 와이어(304), 와이어(304)의 일단이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지주(301)에 고정되는 절곡 기구(306), 절곡 기구(306)를 통해서 연장되는 광섬유(307)를 포함한다. 또한, 광섬유(307)의 일단은, 광섬유(307)가 절곡 기구(306)에 의해서 굽혀질 때 발생되는 광 손실을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기(401; 도 4 참조)에 연결된다.
광섬유(307)로서,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 20-0429342호 "광망용 침입감지 광케이블"에 개시되는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멀티모우드 광섬유 주위를 Kevlar보강재로 둘러싼 외경 3mm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지주(301)는 그 하단부가 지중에 묻혀 세워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지주(301), 예를 들어 단위 휀스의 좌측 마지막에 세워진 제1 지주(301)에는 절곡 기구(306)가 장착된다. 절곡 기구(306)에는, 예를 들어 1mm의 굵기를 갖는 와이어(304)의 일단이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304)는 절곡 기구(306)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주에 마련된 시브(sheave; 303)에 의해서 방향을 변경하여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304)는 다시 우측 마지막에 세워진 제2 지주(301)에 마련된 2개의 시브(302)에 의해서 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304)의 타단부가 제1 지주(301)에 연결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300)의 하부에는, 침입자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막기 위한 쇠창살(305)이 소정의 간격, 예를 들어, 사람의 머리가 들어갈 수 없는 간격을 두고 가로로 나란하게 세워지도록 와이어(304)에 연결되고, 와이어(304)는 지그재그 와이어(308) 형상으로 쇠창살(30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만약, 침입자가 와이어(304) 사이를 벌리고, 또는 와이어(304)를 절단하고 침투하거나 쇠창살(305)을 절단하거나 밀치고 침투하면, 와이어(304)가 군데군데(대략 30M간격으로) 위치한 절곡기구(306)의 후술되는 가동 부재(503)을 당기거나, 또는 가동 부재(503)가 당겨지는 것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여한다. 그러면, 절곡 기구(306)에 의해서 광섬유(307)가 절곡되고, 광손실이 발생되며, 이는 광검출기(401)에 의해서 감지되어, 침입 여부 및 위치 등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시브(302, 303)는 침입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도시되지 않은 덮개에 의해 감춰질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군사 시설, 공항,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이 거대한 경비 시설의 외곽(L)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길이 30m의 단위 휀스가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306)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절곡 기구(306)는 안내 홈(507)이 형성된 바디(501); 와이어(304)의 일단과 연결되고, 광섬유(307)와 함께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안내 홈(507)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부재(503)를 포함한다.
바디(501)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이며, 안내 홈(507)은 바디(501)의 길이방향으로 상단에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50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01)의 폭 또는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501)에는 광섬유(307)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505)이 형성될 수 있고, 가동 부재(503)에는 광섬유(307)가 관통되는 삽입홀(5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505)에 삽입된 광섬유(307)는 가동 부재(503)의 삽입홀(504)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503)가 안내홈(507) 내에서 슬라이딩될 때, 광섬유(307)도 가동 부재(503)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관통홀(505)에 의해서 지지되는 광섬유(307) 부분에 대해서 광섬유(307)에 굴곡부(①, ②, ③, ④; 도 7 또는 도 8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디(501)의 장착홈(508)에는 탄성 부재(502)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2)는, 그 하측 단부가 장착홈(508)의 바닥에 고정되도록 장착홈(508)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02)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503)가,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502)는, 가동 부재(503)가 와이어(304)에 의해서 바디(501)의 상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인장되어 가동 부재(503)를 다시 바디(501) 하측으로 복귀시킬려는 복귀력을 가동 부재(503)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304)가 침입자에 의해서 절단되는 경우에는, 와이어(304)의 장력이 제거되어 가동 부재(503)를 바디(501)의 하측(화살표(DOWN)방향)으로 당길 수도 있다.
가동 부재(503)는 안내 홈(507)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곡 기구(306)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중립 상태에 있는 절곡 기구(306)의 단면도이다. 가동 부재(503)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35)에 가해지는 장력은 가동 부재(503)의 하단에 연결된 탄성 부재(502)의 복원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즉, 광섬유(307)가 관통홀(505) 및 삽입홀(504)을 통해서 연장되되, 절곡부가 없는 직선상태로 유지되고 있고, 가동 부재(503)는 탄성 부재(502)를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 시키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인입 상태의 절곡 기구(30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인입 상태는, 예를 들어 와이어(304)에 작용되는 장력이 감소 또는 제거된 상태, 예를 들어, 침입자에 의해서 와이어(304)가 절단된 경우에 가동 부재(503)가 탄성 부재(502)의 복원력에 의해서 바디(501)의 하측으로 더욱 이동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동 부재(303)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삽입홀(504)에 삽입된 광섬유(307) 부분을 함께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관통홀(505)에 걸려 있는 광섬유(307) 부분에 대해서 이동하게 되어 절곡부(①, ②, ③, ④)를 형성한다.
도 8은 인출 상태의 절곡 기구(306)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인출 상태는, 예를 들어 와이어(304)에 작용되는 장력이 더 커진 상태, 예를 들어 침입자에 의해서 와이어(304)가 당겨진 경우에, 가동 부재(503)가 탄성 부재(502)의 복원력을 이기고 바디(501)의 상측(화살표(UP)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가동 부재(303)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삽입홀(504)에 삽입된 광섬유(307) 부분을 함께 상측(화살표(UP)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관통홀(505)에 걸려 있는 광섬유(307) 부분에 대해서 이동하게 되어 절곡부(①, ②, ③, ④)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절곡 기구(306)는 광섬유(307)를, 예를 들어, 절곡 직경 1mm 이하로 굽힐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 15dB의 광 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 기구(306)는 광섬유(307)의 짧은 영역에서 4개의 절곡부(도 7 및 도 8의 ①, ②, ③, ④)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광 손실이 크고, 따라서 광검출기(401)에 의해서 확실하게 감지될 수 있다.
광섬유(307)에 이와 같이 절곡부가 생기면, (한국표준과학원의 연구논문(2002년 7월 센서학회지 제11권 제4호 논문 2002-11-4-03)에서 제공되는 실험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광섬유는 굽힘 직경 19mm에서 1.0dB의 광 손실을 보이다가, 굽힘 직경이 작아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여, 굽힘 직경 2mm에서는 광 손실이 15dB에 이른다(일반적으로 광망에서 굽힘 광 손실 3dB정도면 경보기가 감지할 수 있다), 광섬유(307) 내에서 광 손실이 발생되고, 이는 광검출기(401)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광섬유(307)에 광을 송출하고, 광섬유(307)에서 반송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광섬유(307)의 일단에 광학적으로 접점되어 펄스광을 광섬유(307)에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기(401)는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펄스광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광검출기(401)로서 특허공보 1997-0009968에 개시되는 광펄스 송수신부가 굽힘 광 손실을 탐지하도록 최적화되어 사용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고, 예를 들어 바디(501)의 형상을 원통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택하는 것, 또는 탄성 부재(502)를 가동 부재(503)의 하측이 아닌 상측에 배치하는 것 등과 같은 변경 내지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서 상술된 실시형태에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이러한 변경 내지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됨은 자명하다.
휀스를 시설하기 위해서 km당 1억원∼ 1.5억원 소요되고, 토트 와이어 휀스를 시설하기 위해서도 이에 버금가는 비용이 소요되는 데 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보안 휀스는 km당 0.5억∼ 1억원(설치 높이에 따라 가변)의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휀스와 탐지시스템을 동시 확보할 수 있고, 고장이나 오작동 소지가 없어 해안선, 국경선, 주요시설 외곽, 산업 시설 등 주요 시설 뿐만 아니라, 학교, 관공서, 저택, 전원주택, 농장, 야적장 등의 외곽경비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100: 종래의 휀스
101: 지주
102: 횡보
103: 철망
104: 윤형 철조망
200: 토트 와이어 휀스
201: 토트 와이어 휀스의 지주
202: 토트 와이어
203: 스프링
204: 나선형철선
205: 전기식 힘 감지기
206 : 지표
207: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
300: 단위 침입감지 휀스
301: 지주
302; 303: 시브
304: 와이어
305: 쇠창살
306: 절곡 기구
307: 광섬유
308: 지그재그 와이어
401: 광검출기
501: 바디
502: 탄성 부재
503: 가동 부재
504: 삽입홀
505: 관통홀
508: 장착홈
507: 안내홈

Claims (4)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진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 사이에 연장되고, 일단은 상기 지주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절곡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기구는,
    안내 홈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안내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부재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광섬유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삽입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구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가동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는 광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은 지표에 가까운 부분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쇠창살을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KR1020160114078A 2016-09-05 2016-09-05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KR10169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78A KR101698837B1 (ko) 2016-09-05 2016-09-05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78A KR101698837B1 (ko) 2016-09-05 2016-09-05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837B1 true KR101698837B1 (ko) 2017-01-23

Family

ID=5798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78A KR101698837B1 (ko) 2016-09-05 2016-09-05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772A (ko) 2022-07-26 2024-02-02 에스지에스한국 주식회사 매립형 광섬유 침입감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68A (ko) 1995-08-22 1997-03-27 사또우 시게루 초음파 진동접합장치
JPH10162257A (ja) * 1996-11-29 1998-06-19 Omron Corp フェンス構造および信号処理装置
KR100506517B1 (ko) * 2003-03-03 2005-08-04 양관숙 광섬유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를 이용한침입자 감지 시스템
JP2006201071A (ja) * 2005-01-21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ファイバ式荷重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侵入者検知システム
KR200429342Y1 (ko) 2006-03-31 2006-10-20 조이숙 광망용 침입감지 광 케이블
KR101606072B1 (ko) * 2015-12-11 2016-03-25 주식회사 이티스 방범 펜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968A (ko) 1995-08-22 1997-03-27 사또우 시게루 초음파 진동접합장치
JPH10162257A (ja) * 1996-11-29 1998-06-19 Omron Corp フェンス構造および信号処理装置
KR100506517B1 (ko) * 2003-03-03 2005-08-04 양관숙 광섬유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를 이용한침입자 감지 시스템
JP2006201071A (ja) * 2005-01-21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ファイバ式荷重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侵入者検知システム
KR200429342Y1 (ko) 2006-03-31 2006-10-20 조이숙 광망용 침입감지 광 케이블
KR101606072B1 (ko) * 2015-12-11 2016-03-25 주식회사 이티스 방범 펜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백세종 외 3명, 광섬유 ROTDR쎈서를 이용한 침입탐지기법의 개발, 센서학회지 제11권 제4호(2002.07) 논문 2002-11-4-03, pp 209-21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772A (ko) 2022-07-26 2024-02-02 에스지에스한국 주식회사 매립형 광섬유 침입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talano et al. An optical fiber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railway security
US20170039826A1 (en) Fibre Optic Distributed Sensing for Perimeter Monitoring
US7123785B2 (en) Optic fiber security fence system
CN109326070B (zh) 一种周界安防系统及周界安防监测方法
CN101901531B (zh) 一种基于光纤干涉仪的区域防入侵方法
ES2536027A1 (es) Dispositivo detector de intrusión en vallas de seguridad
KR101698837B1 (ko) 침입 감지 휀스 시스템
CN101901532B (zh) 基于光纤干涉仪的区域防入侵系统光纤干涉仪布设方法
KR101698834B1 (ko) 침입 감지 장치용 절곡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장치
CN102395858B (zh) 适合在光幕上使用的光学探测器
KR101483293B1 (ko)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ATE475162T1 (de) Eindringsdetektionszaun mit auslöserdrähten und einem gemeinsamen aktuator
CN103883159B (zh) 围界保护系统
RU151587U1 (ru) Ограждение
US10858857B2 (en) Anti-climbing device
CN112595446A (zh) 一种应力检测防护围栏
CN102213808B (zh) 安全预警系统用的“s”型弯曲放置光缆及其使用方法
CN209879680U (zh) 一种应力探测护栏
CN109671233B (zh) 一种基于光纤探测的周界围栏
CN211286952U (zh) 一种水利工程施工安全防护装置
CN112099105B (zh) 光纤栅栏探测系统及方法
CN211827485U (zh) 一种张力围栏入侵防御探测系统
KR101745510B1 (ko)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CN101901530B (zh) 基于光纤干涉仪的区域防入侵光路系统
ES1066931U (es) Dispositivo de vallado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