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47B1 -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5347B1 KR101745347B1 KR1020160105315A KR20160105315A KR101745347B1 KR 101745347 B1 KR101745347 B1 KR 101745347B1 KR 1020160105315 A KR1020160105315 A KR 1020160105315A KR 20160105315 A KR20160105315 A KR 20160105315A KR 101745347 B1 KR101745347 B1 KR 101745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unit
- delete delete
- mixing
- chem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염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 오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오폐수와 혼합하는 약품혼합부,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가압탱크부, 상기 가압탱크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약품혼합부와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부 및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의 일부는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로 유입되며,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를 거쳐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상기 약품혼합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관련기준의 점진적 강화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축산폐수, 생활오수, 산업폐수, 쓰레기 침출수 등과 같은 오폐수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축산업이 대규모 기업화되면서 축산분뇨로 인하여 하천, 소호의 수질악화 및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지하수 및 토양오염 등 환경 전반에 걸친 오염으로, 축산분뇨의 정화처리에 의한 오염물배출의 감량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축산폐수는 발생량은 적으나 고농도의 유기물 및 질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돼지돈사 폐수의 경우에 분뇨 성상은 함수율이 높고 고액분리가 어려운 슬러리(Slurry) 상태가 대부분으로 적정한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축산폐수는 그 특성상 분(糞)과 뇨(尿) 및 세척수가 혼합된 고농도 유기성 슬러리로서 물리, 화학적 처리나 생물학적 처리 등의 단독공정으로는 현행 방류수질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며, 생물학적 처리시 난점인 고밀도와 고점도 물질로 전처리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종래의 축산폐수 고액분리공정은 물리적 반응과 약품에 의한 화학적 반응으로 처리한 뒤 생물학적 처리로 퇴비 및 액비화하거나 고도처리로 방류하는 공정이 일반적인 축산폐수처리 방식이나, 축산폐수 양돈장의 경우 분과 뇨 및 세척수가 혼합 배출되는 슬러리 방식이 대부분으로 다량의 고형물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 미생물의 존재가 어려워 고형물 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화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전형적인 축산폐수와 고농도 폐수처리 방법은 일련의 물리적 처리와 화학, 생물학적 처리를 조합하여 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 다음의 2단계 처리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제1단계 처리는 통상 전처리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폐수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을 균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으로 걸러내는 분리와, 물보다 무거운 오염물을 중력에 의해 분리하는 침강분리 등의 처리를 적용하여 폐수 중에 포함된 침강성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제2단계 처리에서는 응집제, 흡착제 및 살균제 등의 각종 약품을 사용하여 현탁 부유물을 응집 및 침강시키거나 흡착시키고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등의 화학적 단위 공정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비침강성 생분해 유기물을 분해하여 기체로 전환시키거나 부유물로 응집시켜 침강 제거하는 등의 생물학적 단위 공정을 사용하며, 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을 주로 제거한다.
공개특허 특2002-0037815에서는 전통적인 부상분리의 방식으로 회전 임펠러나 산기관을 이용하여 공기를 직접 폐수에 불어넣어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공기 부상 분리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은 부유물의 부상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폐수의 부유물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는 전처리방법 중 가압부상분리장치에서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처리전의 폐수를 희석하거나, 가압부상처리된 폐수를 재 가압부상분리하기 위해 가압부상분리장치를 2대 설치하여 2회 연속처리하여 생물반응조로 유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처리시설의 용량이 커지는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약품처리 과정에서 과다한 약품이 사용되어 약품이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폐수의 재순환을 통해 오폐수의 효율적인 정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염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 오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오폐수와 혼합하는 약품혼합부,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가압탱크부, 상기 가압탱크부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약품혼합부와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부 및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의 일부는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로 유입되며,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를 거쳐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상기 약품혼합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 중 40% 내지 60%의 오폐수는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로 유입되며,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를 거쳐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상기 약품혼합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약품혼합부에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약품혼합부에 응집되어 침전된 불순물이 탈수되는 탈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응집되어 부상된 불순물이 수거되는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가 미생물로 정화되는 미생물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오폐수유입부의 오폐수 유입량, 상기 가압탱크부의 압력 조절, 상기 가압부 조절, 상기 배출부의 오폐수 배출량, 오폐수 종류에 따라 정화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은 약품혼합부의 오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약품과 오폐수를 혼합하는 약품혼합단계, 상기 약품혼합부를 통과한 오폐수와 가압탱크부에서 압축공기를 포함한 오폐수가 혼합되는 부상분리부에서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단계,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일부가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로 유입되는 약품혼합부 재유입단계,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상기 약품혼합부 재유입단계를 거치지 않는 나머지 오폐수가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로 유입되는 가압탱크부 재유입단계, 상기 가압탱크부에 다시 유입된 오폐수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재가압단계, 상기 약품혼합부 재유입단계를 거친 오폐수와 상기 재가압단계를 거친 오폐수가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되는 재부상분리단계 및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상분리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40% 내지 60%의 오폐수는 상기 약품혼합부 재유입단계로 유입되고, 나머지 오폐수는 상기 가압탱크부 재유입단계로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약품혼합단계 후, 약품에 의해 응집되어 침전된 불순물이 이송되는 이송단계, 상기 이송단계 후, 이송된 침전 불순물이 탈수되는 탈수단계 및 상기 부상분리단계 후, 압축공기에 의해 응집되어 부상된 불순물이 수거되는 수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재부상분리단계를 통과한 오폐수가 미생물로 정화되는 미생물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약품혼합부와 가압탱크부로 재순환시켜 재부상분리함으로써 오폐수 정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의 경제적 효과도 있다.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의 일부 만을 약품혼합부로 재유입시켜 약품처리함으로써 사용약품을 절감할 수 있다.
약품처리부에서 재처리된 오폐수와 가압탱크부에서 재처리된 오폐수가 부상분리부에서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됨으로써 미처리된 불순물을 처리하고 재순환 전에 과잉 공급된 약품을 제거하여 과잉공급된 약품이 하천 등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유입부(100), 약품투입부(200), 약품혼합부(300), 탈수부(400), 부상분리부(500), 수거부(600), 가압탱크부(700), 가압부(800), 미생물처리부(900), 배출부(1000),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폐수유입부(100)는 정화하려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곳으로, 오폐수는 후술하는 약품혼합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약품혼합부(300)는 오폐수유입부(10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와 후술하는 약품투입부(200)에서 투입된 약품을 혼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약품투입부(200)는 약품혼합부(300)에 약품을 투입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약품은 오폐수의 불순물과 반응하여 침전하는 염화제1철(FeCl₃), 염화제2철(Fe₂Cl₃), 황산제1철(FeSO₄), 황산제2철(Fe(SO₄)₃), 황산알루미늄(Al₂(SO₄)₃), 및 PAC(poly aluminium chloride)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폐수의 불순물은 오폐수 내 부유물질, 콜로이드성 물질, 슬러리(slur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탱크부(700)는 후술하는 가압부(800)에 의해 제공된 압축공기를 포함하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탱크부(700)는 가압탱크부(700)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압탱크부(700)의 압력은 2 ~ 5kgf/㎝²을 사용할 수 있다. 압력이 2kgf/㎝²미만인 경우 기체의 용해도가 낮아 효과가 미미하고 5kgf/㎝²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체의 용해도가 높아 유리하나 가압탱크부(700) 제조시 높은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가압부(800)는 가압탱크부(700)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상분리부(500)는 약품혼합부(300)와 가압탱크부(700)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가 혼합되고 가압탱크부(700)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오폐수의 불순물을 부상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상분리부(500)에서는 가압탱크부(700)에서 압축되어 있던 압축공기가 팽창되면서 약품혼합부(300)에서 침전되지 않은 오폐수의 불순물을 팽창된 공기의 부력으로 수면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일례로, 가압탱크부(700)는 가압부(800)와 같은 가압장치를 사용하여 가압탱크부(700)의 폐수에 고압의 공기를 용해시킬 수 있다. 부상분리부(500)로 이송된 가압된 폐수는 압력이 낮아져 약 5 내지 50 미크론의 미세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에 의해 오폐수의 불순물이 부상될 수 있다.
배출부(1000)는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부상분리부(500)에서 처리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탈수부(400)는 약품혼합부(300)에서 약품과 오폐수의 불순물이 반응하여 침전된 불순물을 탈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약품혼합부(300)에서 약품과 반응하여 응집된 오폐수의 불순물은 침전할 수 있으며, 침전된 불순물은 탈수부(400)로 이송되어 탈수부(400)에서 탈수될 수 있다. 일례로, 탈수부(400)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오폐수는 부상분리부(500)로 이송될 수 있다.
수거부(600)는 전술한 부상분리부(500)에서 응집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을 수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생물처리부(900)는 부상분리부(500)를 통과한 오폐수를 미생물로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미생물처리부(900)는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오폐수유입부(100)의 오폐수 유입량이나 유입속도를 조절하거나, 가압탱크부(700)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가압부(800)를 조절하거나, 약품투입부(200)의 약품 투입양이나 투입속도를 조절하거나, 오폐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인 오폐수 처리장치를 통해 처리되는 정화시간을 조절하거나, 배출부(1000)의 정화된 오폐수의 배출양이나 배출속도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부상분리부(500)를 통과한 오폐수 중 일부는 다시 약품혼합부(300)로 유입되고, 부상분리부(500)를 통과한 오폐수 중 다시 약품혼합부(300)로 유입되지 않는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가압탱크부(700)를 거쳐 약품혼합부(300)로부터 부상분리부(500)에 유입되는 오폐수와 부상분리부(500)에서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될 수 있다.
부상분리부(500)를 통과한 오폐수가 재순환되어 약품혼합부(300)와 가압탱크부(700)로 나뉘어지는 비율은 유입되는 오폐수의 불순물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오폐수유입부(100)로 유입된 약 15,000 ㎎/L 정도의 고농도 총인(T-P,total phosphorus)을 함유한 오폐수를 처리할 때, 이러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약 36,290 ㎎/L의 황산알루미늄을 투입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59,032 ㎎/L의 부유물질(suspended solid)이 형성되어 침전이나 부상 분리가 불가할 수 있다(Al2(SO4)318H2O + 2(PO4)-3 + 6NaOH → 2Al(PO4)↓+ 3Na2(SO4)3 + H2O).
이때 약품투입부(200)에서 약품 투입량을 조절하여 약품혼합부(300)에서 불순물과의 혼합을 조절하고, 부상분리부(500)에서 부상 분리한 후 오폐수 재순환과정을 거쳐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다.
일례로, 부상분리부(500)를 통과한 오폐수의 40% 내지 60%는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300)로 유입되며,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700)를 거쳐 상기 부상분리부(500)에서 상기 약품혼합부(300)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처음 약품혼합부(300)를 통과한 오폐수의 40% 내지 60%만이 재 약품 처리되어 부상분리부(500)에서 나머지 오폐수와 합쳐져 재 부상 분리됨으로써 약품의 사용을 줄이고 과잉 사용된 약품이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의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혼합단계(S1), 이송단계(S2), 탈수단계(S3), 부상분리단계(S4), 수거단계(S5), 약품혼합부(300) 재유입단계(S6), 가압탱크부(700) 재유입단계(S7), 재가압단계(S8), 재부상분리단계(S9), 미생물처리단계(S10), 배출단계(S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는 약품혼합부(300)의 오폐수에 약품을 투입하여 약품과 오폐수를 혼합하는 약품혼합단계이다. 일례로 약품투입부(200)의 약품이 약품혼합부(300)에 투입되면 약품과 오폐수의 불순물이 반응하여 응집하여 침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 단계는, (S1) 단계에서 약품혼합부(300) 하부에 침전된 불순물을 탈수부(400)로 이송하는 이송단계이다.
다음으로 (S3) 단계는, 약품혼합부(300)에서 탈수부(400)로 이송된 불순물을 탈수하는 탈수단계이다. 본 단계는 오폐수로부터 침전된 불순물을 탈수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오폐수는 부상분리부(500)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S4) 단계는, 약품혼합부(300)를 통과한 오폐수와 가압탱크부(700)에서 압축공기를 포함한 오폐수가 혼합되어 오폐수의 불순물이 부상 분리되는 부상분리단계이다.
(S4) 단계는 (S2) 단계나 (S3) 단계 전에 행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S5) 단계는, (S4) 단계 후, 압축공기에 의해 응집되어 부상분리부(500)의 수면으로 부상된 불순물이 수거되는 수거단계이다.
다음으로 (S6) 단계는, (S4) 단계인 부상분리부(500)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일부가 다시 약품혼합부(300)로 유입되는 약품혼합부(300) 재유입단계이다.
다음으로 (S7) 단계는, (S4) 단계인 부상분리부(500)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S6) 단계인 약품혼합부(300)로 재유입되지 않는 나머지 오폐수가 다시 가압탱크부(700)로 유입되는 가압탱크부 재유입단계이다.
일례로, (S4) 단계에서 처리된 오폐수 중 40% 내지 60%의 오폐수는 (S6) 단계의 약품혼합부(300)로 유입되고, 나머지 오폐수는 (S7) 단계의 가압탱크부(700)로 재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S8) 단계는, (S7) 단계인 가압탱크부(700)로 재유입된 오폐수에 압축공기를 다시 제공하는 재가압단계이다.
다음으로 (S9) 단계는, (S6) 단계를 거친 오폐수와 (S8) 단계를 거친 오폐수가 상기 부상분리부(500)에서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되는 재부상분리단계이다.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S1) 단계 내지 (S9)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S10) 단계는, (S9) 단계를 통과한 오폐수가 미생물로 정화되는 미생물처리단계이다.
다음으로 (S11) 단계는,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부상분리부(500)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부(1000)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단계이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오폐수유입부 200 : 약품투입부
300 : 약품혼합부 400 : 탈수부
500 : 부상분리부 600 : 수거부
700 : 가압탱크부 800 : 가압부
900 : 미생물처리부 1000 : 배출부
300 : 약품혼합부 400 : 탈수부
500 : 부상분리부 600 : 수거부
700 : 가압탱크부 800 : 가압부
900 : 미생물처리부 1000 : 배출부
Claims (11)
- 오염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오폐수유입부;
상기 오폐수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에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된 약품을 오폐수와 혼합시키는 약품혼합부;
상기 약품이 혼합된 오폐수를 수용하며 2 내지 5 kgf/㎠의 압력을 견디는 가압탱크부;
상기 가압탱크부에 2 내지 5 kgf/㎠의 압력이 될 때까지 압축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오폐수에 용해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에 용해된 압축공기가 상기 가압탱크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 의해 팽창되는 기포에 의해 상기 약품혼합부와 가압탱크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불순물을 부상시키는 부상분리부;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응집되어 부상된 불순물이 수거되는 수거부;
오폐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처리된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약품혼합부에 응집되어 침전된 불순물이 탈수되는 탈수부;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가 미생물로 정화되는 미생물처리부; 및
상기 오폐수유입부의 오폐수 유입량, 상기 가압탱크부의 압력 조절, 상기 가압부 조절, 상기 배출부의 오폐수 배출량, 오폐수 종류에 따라 정화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분리부를 통과한 오폐수의 일부는 다시 상기 약품혼합부로 유입되며,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상기 가압탱크부를 거쳐 상기 부상분리부에서 상기 약품혼합부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와 혼합되어 다시 부상 분리되는 오폐수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315A KR101745347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315A KR101745347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5347B1 true KR101745347B1 (ko) | 2017-06-09 |
Family
ID=5921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315A KR101745347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53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7377B1 (ko) * | 2018-09-17 | 2020-03-11 | 한국전력공사 | 연소장애물질 저감을 위한 팜 부산물 전처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367B1 (ko) * | 2008-04-15 | 2009-09-29 | 이순화 |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
KR101205197B1 (ko) * | 2012-10-16 | 2012-11-27 | 주식회사 씨에텍 | 높은 회수율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한 재이용수 생산방법 |
KR101544546B1 (ko) * | 2015-03-31 | 2015-08-21 | 주식회사 케이디 | 급속침강 및 부상 복합형 간이 하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
2016
- 2016-08-19 KR KR1020160105315A patent/KR101745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367B1 (ko) * | 2008-04-15 | 2009-09-29 | 이순화 |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
KR101205197B1 (ko) * | 2012-10-16 | 2012-11-27 | 주식회사 씨에텍 | 높은 회수율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한 재이용수 생산방법 |
KR101544546B1 (ko) * | 2015-03-31 | 2015-08-21 | 주식회사 케이디 | 급속침강 및 부상 복합형 간이 하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7377B1 (ko) * | 2018-09-17 | 2020-03-11 | 한국전력공사 | 연소장애물질 저감을 위한 팜 부산물 전처리 시스템 |
WO2020059984A1 (ko) * | 2018-09-17 | 2020-03-26 | 한국전력공사 | 연소장애물질 저감을 위한 팜 부산물 전처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73722A (en) |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 | |
US4292176A (en) | Use of activated carbon in waste water treating process | |
JP4323531B2 (ja) | 凝集加圧浮上分離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 |
CN105906142B (zh) | 一种垃圾渗滤液深度处理系统及处理方法 | |
JPS6230597A (ja) | 汚水の生物学的処理の際にバイオマスから清澄液を分離する方法 | |
JP2007136367A (ja) |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及び生物学的排水処理方法 | |
KR101671756B1 (ko) | 지중 오염지하수의 양수, 펜톤산화 및 역삼투막 정화시스템 | |
KR100957851B1 (ko) | 응집제 투입시기에 따른 수처리방법 | |
US20180327289A1 (en) | Water Clarification Method and Device | |
CN106430833A (zh) | 一种含油废水的处理方法 | |
CN106458669B (zh) | 澄清废水的方法 | |
EP1120380B1 (de) | Reaktor zum Enthärten und/oder Aufbereiten von Wasser | |
KR20010053264A (ko) | 돈분뇨 처리방법 | |
KR101119394B1 (ko) | 이동식 침출수 정제시스템 | |
KR101745347B1 (ko) | 오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JP2010000476A (ja) |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 |
JP2008173572A (ja) | 濁水処理方法 | |
JPS58166914A (ja) | 排水処理方法 | |
JP5225307B2 (ja) | リン回収装置 | |
KR100418362B1 (ko) |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 |
JP6437794B2 (ja) |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 |
KR100464872B1 (ko) | 가압부상분리시스템과 전기 반응장치를 모듈화한 음식물 쓰레기 탈리액 폐수처리시스템 | |
KR100385417B1 (ko) |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 |
KR100308531B1 (ko) | 고농도 유,무기 폐수의 복합처리장치 | |
KR101885134B1 (ko) |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