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417B1 -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417B1
KR100385417B1 KR10-2000-0034462A KR20000034462A KR100385417B1 KR 100385417 B1 KR100385417 B1 KR 100385417B1 KR 20000034462 A KR20000034462 A KR 20000034462A KR 100385417 B1 KR100385417 B1 KR 10038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magnetic
bod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273A (ko
Inventor
용 하 김
근 학 서
박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0-003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4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용성 유기물질과 활성 슬러지를 이들과는 반대 전하를 띤 자성 미분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생활 하수내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을 활성탄 흡착을 통해 완전 제거하여 BOD 농도를 저하시키고 BOD 제거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및 오수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침전 분리조와,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폭기조와, 폭기조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상등수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와, 침전조의 상등수와 호퍼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를 교반 혼합시켜 자성 플럭과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와,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에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자성 플럭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 및, 자성 유체분리탑에 포집되어 배출되는 자성 플럭 슬러지를 자성 미분체와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여 자성 미분체는 호퍼로 복귀시키고 활성 슬러지는 배출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Apparatus for Advanced Treatment of BOD in Sewage and Dirty Water}
본 발명은 하수 및 오수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생활하수와 수세식 정화조 오수 또는 생활하수와 수세식 정화조 오수와의 합병 오수내 유기물질과 세제 등으로 인한 BOD를 방류수 기준이하로 신속하게, 그리고 고효율로 제거하여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수세식 화장실 물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와 수세식 정화조 오수 또는 생활하수와 수세식 정화조 오수와의 합병 오수내 BOD 등을 제거하여 방류수를 정화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혐기성 소화와 호기성 소화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많이 보급되어 있는 혐기성 소화에서는 먼저 하수 및 오수를 제1 부패조로 유입시켜 침전물을 제거한 후 제2 부패조를 경유하여 그대로 방류하거나 또는 추가로 여상(濾床)을 통과시켜 방류하게 된다. 이 때, 40 - 46 시간의 부패조에서의 체류를 통해 얻어지는 처리수의 BOD 농도는 93 - 240 mg/l로 제거효율은 65 -80 %인데, BOD 제거효율의 한계와 유기물의 부하율이 0.2 kg BOD/m3/일 이상으로 증가되면서 BOD 제거효율의 현저한 저하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렇게 혐기성 부패조의 효율이 저조하며 냄새가 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소규모에서는 호기성 소화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런 호기성 소화에서는 먼저, 하수 및 오수를 침전 분리실로 유입시켜 고형물을 1차로 침전 제거하고 난 후 폭기조로 유입시켜 폭기 교반하게 된다. 폭기 교반된 하수 및 오수내 슬러지는 2차 침전실에서 침전되고 상등 처리수로 처리되어 배출된다. 이 경우 BOD의 제거효율은 28 - 89 %, 그리고 폭기조에서의 체류시간은 2 - 5 일 정도인데, 처리수의 수질이 불량한 경우가 많아 여과지를 후속처리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하수 및 오수내 BOD 농도는 분뇨와 생활하수가 함께 유입되어 희석되면서 최저 300 mg/l에서 3,000 - 4,000 mg/l까지, 평균 2,500 mg/l로 높게 유입되는데, 1996년 7월 1일부터 적용되는 오수 정화시설 방류수내 BOD 농도기준은 특정 지역이 20 mg/l이하로 이를 기준했을 때 BOD 제거효율은 최저 93 %에서 99.5 %까지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폭기조내에 필요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급기관 설치와 용해성 유기물의 분해가 잘되고 오물이 침적되지 않도록 미생물의 접촉재 사용 등 일부 기술이 보완되고 있지만, 이들만으로는 방류기준에 적합하게 하수 및 오수내 BOD를 제거할 수가 없다. 특히, 일부 청정지역 등에서 방류수내 BOD 농도가 10 mg/l이하로 강화되면서부터는 응집분리, 모래 여과나 활성탄 흡착과 같은 부대시설이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른 처리시간의 증대, 시설규모의 확대 및 처리비용의 증가 등이 큰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패조나 폭기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미제거된 불용성 유기물질과 침전조에서 침전되지 못한 미세한 활성 슬러지를 이들과는 반대 전하를 띤 자성 미분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생활 하수내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을 활성탄 흡착을 통해 완전 제거하여 BOD 농도를 저하시키고 BOD 제거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서 침전조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한 경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서 폭기조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폭기조의 유출수를 침전조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자성 유체분리 처리하는 경우의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BOD의 고도처리장치에서 아파트의 침전조의 상등수에 자성 미분체를 혼합교반하여 자성 유체분리탑으로 통과시켰을 때 BOD의 제거효율에 대한 침전조의 상등수와 자성 미분체의 혼합 슬러리의 공탑유속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침전 분리조 20 : 1차 조정조
30 : 폭기조 40 : 침전조
50 : 2차 조정조 60 : 호퍼
70 :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 80 : 자성 유체분리탑
90 :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 100 : 활성탄 흡착탑
MF : 자성 미분체 MS : 자성 플럭
W1 : 하수 및 오수 W2 : 폭기조의 유출수
W3 : 침전조의 상등수 W4 : 자성 유체분리수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및 오수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 및 오수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침전 분리조와,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에서 생성된 슬러지 중 미생물 증식분은 잉여 슬러지로 제거하고 그 나머지는 상기 폭기조로 반송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를 교반 혼합시켜 자성 플럭과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와, 상기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에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자성 플럭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 및,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에 포집되어 배출되는 자성 플럭슬러지를 자성 미분체와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여 자성 미분체는 상기 호퍼로 복귀시키고 활성 슬러지는 배출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 및 오수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 및 오수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침전 분리조와,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를 교반 혼합시켜 자성 플럭과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와, 상기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에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자성 플럭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 및,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에 포집되어 배출되는 자성 플럭 슬러지를 자성 미분체와 활성 슬러지 및 잉여 슬러지로 분리하여 자성 미분체는 상기 호퍼로 복귀시키고 활성 슬러지는 상기 폭기조로 반송시키며 잉여 슬러지는 배출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부패조나 폭기조에서 불용성으로 미생물에 의해 미제거된 유기물질과 침전조에서 침전되지 못한 미세한 활성 슬러지가 미립 이물질에 대해 흡착성이 높으며 상호 음전하를 띠어 반발력에 의해 서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유기물질과 활성 슬러지와는 반대 전하를 띤 자성 미분체를 폭기조의 유출수나 침전조의 상등수에 혼합 교반시켜 이들사이에 작용하는 물리적, 정전기적상호인력에 의해 유기물질과 활성 슬러지 및 자성미분체로 구성된 자성 플럭을 형성하고, 이런 자성 플럭을 유체의 흐름 과정에서 중력이나 유체력보다 강한 반경방향의 자력으로 분리 배출하며, 생활 하수내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은 활성탄 흡착의 후처리 과정을 통해 완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사항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서 침전조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한 경우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BOD의 고도처리장치는 침전조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먼저, 침전조까지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침전 분리조(10)에서는 하수 및 오수(W1)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고, 1차 조정조(20)에서는 상기 침전 분리조(10)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며, 폭기조(30)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고, 침전조(40)에서는 상기 폭기조(300)에서 생성되어 유출되는 유출수(W2)의 슬러지를 침전시킨다.
그리고, 침전조(40)에서 슬러지가 침전된 상등수(W3)는 BOD 제거장치에 의해 처리되는데, 이런 BOD 제거장치는, 침전조의 상등수(W3)의 일시 저장과 공급제어를 위한 2차 조정조(50)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W3)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MF)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호퍼(60)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W3)와 호퍼(60)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MF)를 교반 혼합시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70)와, 상기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70)에서 자성 플럭(MS)과 침전조의 상등수(W3)내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상향류 흐름으로부터 자성 플럭(MS)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W4)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80)과,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80)에서 배출된 자성 플럭 슬러지를 자성 미분체(MF)와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90)와, 상기 자성 유체분리수(W4)로부터 생활 하수내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 등을 최종 제거하는 활성탄 흡착탑(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 의해 하수 및 오수내 BOD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BOD의 고도처리장치로 유입되는 하수 및 오수(W1)중에 포함되어 있는 대형 오물, 협잡물 등은 침전 분리조(10)에 설치된 스크린 등에 의해 걸러지고, 물리적으로 물보다 무거운 물질과 가벼운 물질은 침전 분리조(10)에 의해 침전물과 스컴으로 분리된다. 이런 침전 분리조(10)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오수의 유량이 생활시간에 따라 불균일하므로 하수 및 오수를 1차 조정조(20)에 유입시켜 정체시간을 가짐으로써 하수 및 오수의 유량 편차를 최소화시킨다.
이렇게 1차 조정조(20)에서 제어된 하수 및 오수는 폭기조(30)로 유입되어 폭기조(30)내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해 하수 및 오수내 잔존하는 미세한 부유물과용해성 유기물 등을 소화 제거한다. 그리고, 폭기조(30)에서 나오는 유출수(W2)내에는 폭기조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침전조(40)에서 상등수(W3)와 침전 분리된다. 침전 분리된 슬러지의 대부분은 폭기조(30)로 반송되어 다시 폭기조(30)에서 원료 슬러지로 사용되며 미생물의 증식분은 잉여슬러지로 제거된다. 그리고, 침전조의 상등수(W3) 역시 물성과 유량이 불균일하므로 2차 조정조(50)에 유입시켜 정체시간을 가짐으로써 물성과 유량 편차를 최소화시킨다.
그리고, 2차 조정조(50)에서 제어된 침전조의 상등수(W3)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70)로 연속적으로 유입되면서 호퍼(60)에 저장되어 있는 습식 또는 건식의 자성 미분체(MF)와 교반 혼합되어 침전조의 상등수(W3)내 물과 자성 플럭(MS)이 혼합된 혼합 슬러리를 만든다. 여기서, 침전조의 상등수(W3)에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MF)의 투입비는 침전조의 상등수(W3)내 BOD의 값을 기준하여 1 : 0.5 - 1 : 4의 범위내에서 혼합한다. 그리고, 자성 미분체(MF)로는 시약용 마그네타이트외에 제철소에서 제선공정의 소결로에 사용되는 미분의 자철광석, 적철광의 환원로에서 발생되는 자철분 및 제강공정에서 배출되는 제강슬러지나 전기로의 더스트 등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 슬러리는 슬러리 펌프에 의해 자성 유체분리탑(80)의 하부 일측으로 유입되는데, 이 때 자성 유체분리탑(80)내 혼합 슬러리의 공탑 흐름속도는 자력과 유체력 및 자성 플럭(MS) 등의 침강력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자성 플럭(MS)에 대해 작용하는 자력이 유체력과 침강력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런 자성 유체분리탑(80)을 통과하면서 자성 유체분리탑(80)의 외측에 다단으로 다수개 장착된 자석세트(81)에 의해 자성 플럭(MS)이 제거된 자성 유체분리수(W4)는 자성 유체분리탑(80)의 상부 일측으로 배출되면서 BOD의 값이 방류수 기준인 10 - 20 mg/l이하로 정제된다.
이 때, 자성 유체분리탑(80)에서 포집된 자성 플럭(MS)의 부하가 높아지면 2차 조정조(50)로부터 침전조의 상등수(W3)의 공급을 수분동안 정지시킨 상태에서 자석세트(81)의 자성력을 오프시키고 자성 유체분리탑(80)의 하측 밸브(V1)를 열어 자성 유체분리탑(80)내의 물과 함께 자성 플럭(MS)을 배출 회수하고, 이를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90)에서 자성 미분체(MF)와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되, 자성 미분체(MF)는 호퍼(60)로 보내 재사용하며 활성 슬러지는 침전조(40)에서 배출되는 잉여슬러지에 합류시켜 폐액으로 최종 배출한다.
그리고, 자성 유체분리탑(80)에서 자성 플럭(MS)의 회수가 종료되면 하측 밸브(V1)를 닫고 자석을 온 시키면서 회수과정에서 닫아 두었던 공급밸브(V2)를 열어 자성 유체분리탑(80)으로 혼합 슬러리의 공급을 재개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성 플럭(MS)이 제거된 자성 유체분리수(W4)는 잔존하는 미량의 유기세제로 인해 평균 50 NTU의 탁도를 갖고 있는데, 세제 제거용 활성탄 흡착탑(100)으로 최종 통과시켜 탁도를 10 NTU이하로 낮춰서 방출하거나 화장실 물로 재사용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BOD의 고도처리장치는 폭기조의 유출수(W2)나 침전조의 상등수(W3)내 BOD의 농도, 폭기조의 유출수(W2)나 침전조의상등수(W3)내 BOD에 대한 자성 미분체(MF)의 질량비, 자성 미분체(MF)의 종류, 자석세트(81)내 자석의 자력과 배치 및 배치단의 개수에 따라 BOD의 제거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BOD의 고도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실험한 하수 및 오수내 BOD의 제거효율 측정결과를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도처리장치에서 BOD가 약 175 mg/l, 탁도가 120 NTU인 1,000 세대 아파트의 침전조의 상등수(W3)에 자성 미분체(MF)를 혼합 교반하여 자성 유체분리탑(80)으로 통과시켰을 때, BOD의 제거효율에 대한 침전조의 상등수(W3)와 자성 미분체(MF)를 혼합한 혼합 슬러리의 공탑유속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자성 미분체(MF)로는 마그네타이트와 숏 더스트(shot dust)를 사용하였으며 침전조의 상등수(W3)내 BOD에 대해 자성 미분체(MF)의 투입비는 1 : 3 으로 하였다.
도 4에 보이듯이, 약 0.2 - 0.85 cm/s의 공탑 혼합 슬러리 유속 범위에서 약 95 - 99 %의 효율로 BOD가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성 플럭(MS)이 제거된 자성 유체분리수(W4)의 탁도는 평균 12 NTU이었으나 이를 세제 제거용 활성탄 흡착탑(100)으로 최종 통과시킨 경우 탁도는 7 NTU까지 낮아지고 이 때의 BOD 제거효율은 99.7 %까지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제2 실시예>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서 폭기조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폭기조의 유출수를 침전조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자성 유체분리 처리하는 경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는 폭기조(30)의 후단에 BOD 제거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폭기조(30)의 유출수(W2)를 침전조로 보내지 않고 바로 BOD 제거장치에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BOD의 고도처리장치를 구성할 경우에는 슬러지가 제거되지 않고 유입되기 때문에 자성 유체분리탑(80)으로 유입되는 혼합 슬러리내 BOD 농도가 높아 처리 부하는 크지만, 침전조의 설치와 체류시간을 생략할 수 있어 공간이 협소하고 하수 및 오수의 처리 요구량이 증대된 경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자성 유체분리탑(80)에서 포집된 자성 플럭(MS)의 부하가 높아지면 2차 조정조(50)로부터 침전조의 상등수(W3)의 공급을 수분동안 정지시킨 상태에서 자석세트(81)의 자성력을 오프시키고 자성 유체분리탑(80)의 하측 밸브(V1)를 열어 자성 유체분리탑(80)내의 물과 함께 자성 플럭(MS)을 배출 회수하고, 이를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90)에서 자성 미분체(MF)와 잉여 슬러지 및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되, 자성 미분체(MF)는 호퍼(60)로 보내 재사용하고 잉여 슬러지는 폐기용으로 배출하며 활성 슬러지는 폭기조(30)로 반송한다.
그 이후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따라 처리되어 방출되거나 화장실 물로 재사용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는 유기물질 및 활성 슬러지와는 반대 전하를 띤 자성 미분체를 폭기조의 유출수나 침전조의 상등수에 혼합 교반시켜 자성 플럭을 형성한 후 자력으로 분리 배출하며, 생활 하수내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은 활성탄 흡착의 후처리 과정을 통해 완전 제거함으로써, 최종 처리수내 BOD 농도를 10 - 20 mg/l이하로 제거하여 방출하거나 화장실 물로 재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7)

  1. 하수 및 오수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 및 오수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침전 분리조와,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에서 생성된 슬러지 중 미생물 증식분은 잉여 슬러지로 제거하고 그 나머지는 상기 폭기조로 반송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를 교반 혼합시켜 자성 플럭과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와,
    상기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에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자성 플럭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 및,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에 포집되어 배출되는 자성 플럭 슬러지를 자성 미분체와 활성 슬러지로 분리하여 자성 미분체는 상기 호퍼로 복귀시키고 활성 슬러지는 배출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2. 하수 및 오수내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 및 오수내 협잡물 등을 제거하는 침전 분리조와,
    미생물에 의한 하수 및 오수내 유기성분 등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에 공급될 자성 미분체를 저장 및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와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를 교반 혼합시켜 자성 플럭과 물로 구성된 혼합 슬러리(slurry)를 만드는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와,
    상기 슬러리 교반 혼합탱크에서 혼합 슬러리를 공급받아 자성 플럭만을 포집하고 자성 유체분리수를 배출하는 자성 유체분리탑 및,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에 포집되어 배출되는 자성 플럭 슬러지를 자성 미분체와 활성 슬러지 및 잉여 슬러지로 분리하여 자성 미분체는 상기 호퍼로 복귀시키고 활성 슬러지는 상기 폭기조로 반송시키며 잉여 슬러지는 배출하는 자성 플럭 슬러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유체분리탑에서 배출되는 자성 유체분리수내에 함유된 세제 등 미제거된 미량의 BOD 성분을 제거하는 활성탄 흡착탑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플럭은 상기 유체분리탑의 외벽 둘레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온오프 가능한 다수의 자석세트에 의해 상기 유체분리탑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분리조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오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1차 조정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나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슬러리 교환 혼합탱크로 공급되는 공급량을 제어하는 2차 조정조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나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에 공급되는 자성 미분체의 투입비는 상기 침전조의 상등수나 상기 폭기조의 유출수내 BOD 농도를 기준하여 1 : 0.5 - 1 : 4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미분체로는 마그네타이트, 자철광석, 자철분 또는 제강슬러지나 전기로의 더스트를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오수내 BOD의 고도처리장치.
KR10-2000-0034462A 2000-06-22 2000-06-22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KR10038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62A KR100385417B1 (ko) 2000-06-22 2000-06-22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62A KR100385417B1 (ko) 2000-06-22 2000-06-22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73A KR20020000273A (ko) 2002-01-05
KR100385417B1 true KR100385417B1 (ko) 2003-05-27

Family

ID=1967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62A KR100385417B1 (ko) 2000-06-22 2000-06-22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359B1 (ko) * 2000-06-22 2002-12-12 근 학 서 자력 및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고도처리장치
KR100479646B1 (ko) * 2000-09-01 2005-03-30 유수홍 전기응집 및 자성유체분리를 조합한 산업폐수의 처리장치및 그 처리방법
CN101050013B (zh) * 2006-04-06 2010-09-29 汤万裕 污水有机铁处理装置及其工艺
KR101581681B1 (ko) * 2012-09-28 2016-01-04 (주)비드앤마이크로 자성물질을 함유한 고분자 비드를 이용한 고속 응집 방법 및 장치
KR102633158B1 (ko) 2023-09-25 2024-02-02 싸트정공 주식회사 파이프 타입 소재의 레이저 가공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684A (en) * 1979-04-02 1980-10-1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agnetic treatment of waste water
JPH0780491A (ja) * 1993-09-13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水等の生物学的処理方法
JPH09117618A (ja) * 1995-10-24 1997-05-06 Hitachi Ltd 浄化装置
KR100248174B1 (ko) * 1997-09-22 2000-03-15 김용하 폐수내부유고형물의 연속제거를 위한 자성유체분리시스템
KR100271392B1 (ko) * 1991-09-13 2000-11-15 카스파르 스튀름, 아를레테 슐레퍼 피부보호와 미용을 위한 단백질성분
KR20010068198A (ko) * 2000-06-22 2001-07-23 용 하 김 자력 및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고도처리장치
KR20010105510A (ko) * 2000-05-12 2001-11-29 오옥수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684A (en) * 1979-04-02 1980-10-1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agnetic treatment of waste water
KR100271392B1 (ko) * 1991-09-13 2000-11-15 카스파르 스튀름, 아를레테 슐레퍼 피부보호와 미용을 위한 단백질성분
JPH0780491A (ja) * 1993-09-13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廃水等の生物学的処理方法
JPH09117618A (ja) * 1995-10-24 1997-05-06 Hitachi Ltd 浄化装置
KR100248174B1 (ko) * 1997-09-22 2000-03-15 김용하 폐수내부유고형물의 연속제거를 위한 자성유체분리시스템
KR20010105510A (ko) * 2000-05-12 2001-11-29 오옥수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010068198A (ko) * 2000-06-22 2001-07-23 용 하 김 자력 및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고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73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093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itrification of treated sewage
US20210230033A1 (en) Treatment using fixed film processes and ballasted settling
JPS6230597A (ja) 汚水の生物学的処理の際にバイオマスから清澄液を分離する方法
CN105906142B (zh) 一种垃圾渗滤液深度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H02290290A (ja) 廃水の磁気的固液分離方法
KR101300466B1 (ko)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KR100385417B1 (ko) 하수 및 오수내 비오디의 고도처리장치
CN109437494A (zh) 一种喷水织机污水的处理装置及方法
KR100917267B1 (ko) 강우 유출수를 이용한 재사용 수도 장치
KR20050075948A (ko) 침출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100479646B1 (ko) 전기응집 및 자성유체분리를 조합한 산업폐수의 처리장치및 그 처리방법
CN112897820A (zh) 滑石粉高浓度活性污泥法污水处理设备及其方法
KR100364359B1 (ko) 자력 및 생물막을 이용한 하수 및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고도처리장치
Bolto et al. Water purification with magnetic particles
JPS58166914A (ja) 排水処理方法
JPH03118896A (ja) 液状物質から固相を分離する方法、特に排水浄化方法
JP4044292B2 (ja) 排水処理装置
KR20080105648A (ko) 축산 분뇨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10045253A (ko) 하수 고도처리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KR100457698B1 (ko) 하수처리장 잉여슬러지를 이용한 축산폐수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1885134B1 (ko)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JPH0688031B2 (ja) 生物学的処理方法
US3300401A (en) Process for dewatering organic sludge which has been separated during treatment of waste water
CN214829577U (zh) 活性焦吸附压载型高密度沉淀池
KR100424748B1 (ko) 생활오수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