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264A - 돈분뇨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돈분뇨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264A
KR20010053264A KR1020007014961A KR20007014961A KR20010053264A KR 20010053264 A KR20010053264 A KR 20010053264A KR 1020007014961 A KR1020007014961 A KR 1020007014961A KR 20007014961 A KR20007014961 A KR 20007014961A KR 20010053264 A KR20010053264 A KR 2001005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pig
ordure
tank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554B1 (ko
Inventor
최주식
권세근
김완수
Original Assignee
최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1967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285298B1/ko
Application filed by 최주식 filed Critical 최주식
Publication of KR2001005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로 오염물질이 함유된 돈분뇨 원액을 1차로 무기응집제에 의해 고액분리 후 2차로 중화·응집처리를 하고, 다시 3차로 생물학적 처리를 하여 수질환경보전을 도모하는 폐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기응집제의 투입에 따른 가스(gas) 발생과 교반에 의한 공기 주입, 그리고 오염물질 산화 및 응집반응 등을 이용하여 반응조 내의 돈분뇨 원액이 거품상태로 고액분리되도록 하는 돈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기응집제의 투여에 의한 반응조에서의 1차 처리단계와 중화·응집조 및 그 후의 부상 또는 침전조를 포함한 2차 처리단계, 그리고 미생물처리조 및 침전조를 포함한 2차 처리단계, 그리고 미생물처리조 및 침전조를 포함한 3차 처리단계와 슬러지 저장조, 농축조, 탈수기를 포함한 슬러지를 탈수 처리하는 응집, 탈수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액분리공정을 돈분뇨 처리에 적용시킴으로써 오염물질 부하의 경감, 각종 반응조 용량의 경감 및 후속공정의 부하감소로 인한 안정적 처리수질 확보 등으로 시설 및 유지관리비가 대폭 절감됨과 동시에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돈분뇨 처리방법{A disposal method of pig ordure}
종래의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표준활성슬러지법 또는 이들의 변법이 대종을 이루어 왔다. 예컨대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축산폐수 처리의 경우 수거된 폐수중의 각종 협잡물을 제거한 후 저류조에 넣어 액성을 균질화하고 수소이온농도(pH)를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여기에 10∼20배의 희석수를 가하여 희석하고 폭기조에 이송하여 호기성 세균군으로 활성화시키며, 이를 침전조에 이송·정치시켜 자연 침전되게 하여, 분리된 상등수는 멸균하여 방류하고 침전물은 농축 탈수시켜 매립 또는 소각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축산폐수에 다량의 희석수를 가하여 처리하므로 수원이 없는 곳에서는 실시하기 어렵고, 또 희석수에 의해 전체오수 용량이 증가되어 폭기조, 침전조등의 시설이 거대화되고, 양수, 폭기등을 위한 동력비가 증가되며, 관리유지비와 운전비가 증가되므로 불완전한 처리수가 방류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돈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의 종류에는 우분뇨, 계분뇨, 돈분뇨 등이 있으며 이 중 우분뇨와 계분뇨는 수분이 많지 않아 축사 내에서 퇴비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기존 유기질 비료제조공정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돈분뇨의 경우 통상의 비육돈 1마리에서 하루 수 킬로그램(kg)의 슬러리(slurry)상태의 돈분뇨가 방출되는데 적게는 수백 내지 수만 두를 기르는 축산농가에서는 매일 수십 톤의 돈분과 뇨를 처리하는 것이 매우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기존의 축산폐수 공공처리장은 가축의 뇨만 처리할 수 있도록(설계 기준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5,000mg/ℓ) 설치되어, 실제 가축의 분과 뇨가 혼합된 고농도의 축산폐수(BOD 20,000mg/ℓ)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돈분뇨 처리공정 흐름도(Flow-Sheet)
도2는 본 발명의 주요반응 설명도
도3은 제 1도에서 발췌한 반응조의 개략적인 구성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축산 분뇨 중 특히 돈분뇨의 수처리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슬러리(slurry) 상태의 돈분뇨 원액은 종전의 경우 1차로 고액분리를 하는 적절한 공정이 결여되어 있어 매일 같이 배출되는 엄청난 양의 돈분을 처리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공정으로 처리케 함으로써, 처리기간의 단축, 기기설치 면적의 경감, 공정설비의 간략화 및 초기 시설비 절감 등의 경제적인 처리공정을 제공하고, 유입부하의 저감으로 최종처리수 수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오염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된 돈분뇨를 처리함에 있어서
1) 무기응집제 주입에 따른 거품화 현상에 의한 고액분리의 처리단계
2) 중화·응집 처리단계
3) 생물학적 처리단계
4) 탈수 처리단계
를 순차적 ·연속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뇨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농도로 오염물질이 함유된 돈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무기응집제를 돈분뇨에 주입 시 오염물의 산화가 일어나고, 또한 무기응집제에 의한 pH 저하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gas)와 교반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 등에 의해 기포가 생성되고, 이들 기포들은 오염물질들이 응집될 때 함께 결합되어, 돈분뇨 내의 고형성분 오염물질들의 비중이 낮아져 슬러리(slurry) 상태의 돈분뇨 상부로 거품상태로 부상하게 된다. 이렇게 거품상태로 돈분뇨 상부로 부상된 고형성분들은 돈분뇨의 액성분과 상분리가 되는데, 이러한 고액분리로서 1차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거품상태로 제거되는 것은 부유성 고형성분만이 아니라, 콜로이드성 물질과 응집가능한 용존성 물질들도 조금씩 함께 응집되어 제거된다. 돈분뇨에서 고액분리된 처리수는 다시 중화시킨 후 유기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하여 플럭(flock)을 형성시켜 부상시키거나 침전시켜 2차 고액분리한다. 이후 2차 고액분리된 처리수는 슬러지 탈수 여액과 함께 공지의 생물학적 처리방법 등을 통하여 재처리한 후 방류한다.
고액분리를 통한 1차 오염물질 제거에 있어서 유입된 돈분뇨 원액을 도 1에서의 무기 응집제가 주입되는 반응조(1)에서 각각의 무기응집제를 부유물질 농도에 대해 응집제의 종류에 따라 1/1∼1/20의 농도로 주입하여 pH를 3.5∼6으로 유지시키며 반응시킬 때, 돈분뇨 원액내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유기탄소(TOC)등으로 나타나는 유기물질과 부유물질(SS)은 대부분 약 80%이상 제거된다. 이때의 반응조는 도 3과 같다.
이때 오염물질들의 제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기응집제는 철 또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폴리황산제이철PFS(poly ferric sulfate), 폴리염화알루미늄PAC (poly aluminum chloride), 황산제일철Fe(SO4), 황산제이철Fe2(SO4)3, 황산알루미늄Al2(SO4)3, 염화제일철(FeCl2), 염화제이철(FeCl3) 등을 단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응집제를 pH 8이상인 알칼리성의 돈분뇨 원액에 주입하면 이들 무기응집제에 의한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동시에 수화반응과 낮은 pH를 가진 무기응집제의 혼합으로 인해 pH 저하가 일어난다.
이러한 pH 저하에 의하여 수중의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황화수소(H2S)와 암모니아(NH3)등과 같은 가스(gas)가 발생하고 또한, 응집을 위한 교반에 의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수중으로 주입되어 이들 가스(gas) 및 공기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는데, 이때 수중의 오염물질들은 가스(gas) 및 공기와 함께 응집되어 거품상태로서 부상하게 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pH가 3.5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만일 pH가 더 낮아지면 오염물질의 제거는 거의 변화 없고, 다만 약품 사용량만 증가할 뿐이며, 거품이 너무 많아져 슬러지 부상 정도가 너무 커짐에 따라 액상의 처리수 추출이 곤란해진다. 그리고, pH 6 이상으로 조절되면, 거품은 생성되지만 그 거품으로 인한 고액분리 효과는 미미하다. 또한, 교반강도가 너무 강할 경우, 거품으로 분리된 오염물질이 수중으로 재 용해 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pH가 3.5∼6으로 조정되면 거품과 처리수와의 부피비는 50 : 50 정도가 되는데(무기응집제 투여 후 2시간 경과)하부의 처리수를 먼저 중화·응집조로 이송시켜 1차로 고액분리한다.
1차 무기응집제에 의해 고액분리된 처리수에 존재하는 수중의 용존성 오염물질들은 가성소다(NaOH)등의 알칼리 약품으로 중화조(2)에서 중화한 후, 유기 고분자 응집제를 부유물질 농도에 대해 1/2,000∼1/5,000 농도로 주입하여 응집조(3)에서 응집시킨 후 부상조 또는 침전조(4)를 이용한 고액분리로 2차 제거하는 데 이때 1차 고액분리후의 처리수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의 50% 이상이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고분자 응집제로는 양이온성(cation) 및 음이온성(anion) 유기 고분자 응집제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2차 고액분리로 고형화 되어 제거된 오염물질들은 도 1의 슬러지 탈수기(9)를 통하여 처리되어 제거되고, 이때의 여액과 2차 처리후의 여액인 처리수는 다시 도 1의 3차 미생물처리조(5)로 유입되어 공지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의해 오염물질 제거가 이루어진다.
3차 미생물처리조에서 생성된 잉여 슬러지는 탈수되어, 1, 2차 고액분리 후 탈수된 슬러지와 함께 톱밥, 왕겨, 부엽토등의 목질을 첨가하여 일정 장소에서 부숙시켜 유기질비료로 재활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은 기존 방식에 비해 목질 사용량을 20%∼25%정도로 낮출 수 있고, 부숙기간과 건조기간을 1개월 이내로 앞당기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돈분뇨 처리의 어려움을 개선한 효율적인 처리방법으로서 1차 고액분리를 통하여 돈분뇨 원액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의 80% 이상이 우선적으로 제거되어 오염물질 부하를 경감시키고, 이로 인해 일반적 돈분뇨 처리방법인 표준활성슬러지법이나 그 변법에서의 희석수 사용으로 인한 전체오수 용량 증가에 비해 돈분뇨 원액만을 처리함으로써 각종 반응조 용량의 경감, 시설 및 유지관리비의 절감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그리고 후속공정에 대한 부하감소로 인한 안정적 처리수질 확보를 가능케함으로써, 기존 수처리 방법에 비하여 수질환경보전에 있어서 안전한 공정을 제공한다. 또한, 제거된 고형성분들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에 있어서 기존방식에 의해 소비되는 목질량의 20%∼25%까지 목질 사용량을 저감시키고, 부숙기간과 건조기간을 1개월 이내로 앞당기며, 기존의 공정이 불합리하거나 가동이 불가능할 때 기존 설비를 최대한 활용하는 등의 결과로서, 각개 양돈 농가의 축산폐수처리에 드는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과 부유물질(SS)이 모두 20,000mg/ℓ이상인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슬러리 상태의 돈분뇨 원액에 무기응집제인 폴리황산제이철(PFS)과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및 황산알루미늄Al2(SO4)3, 염화제일철(FeCl2), 염화제이철(FeCl3), 황산제일철(FeSO4), 황산제이철Fe2(SO4)3 등을 부유물질의 농도에 대해 응집제 종류에 따라 1/1∼1/20의 농도로 주입하여 pH를 3.5∼6정도로 조절하게 되면 오염물질인 고형성분이 거품상태가 되어 상분리가 일어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무기응집제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에 나타낸 분석항목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SS)은 모두 수질오염 공정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이며, 총유기탄소(TOC)는 Standard Method의 기기분석에 의거하여 TOC 5000 analyzer(Shimadsu)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Sol.로 나타낸 시료는 각각의 시료를 GF/C filter로 여과하고 다시 0.45㎛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한 결과로서, 수중의 용존성 오염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보면 폴리황산제이철(PFS)과 폴리염화알루미늄(PAC) 및 3가 양이온이 해리되는 황산제이철Fe2(SO4)3, 황산알루미늄Al2(SO4)3, 염화제이철(FeCl3)의 무기응집제를 주입하여 반응시킨 경우,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80% 이상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중 고분자 무기응집제인 폴리황산제이철(PFS)과 폴리염화알루미늄(PAC)등의 주입에 의한 제거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이러한 고분자 무기응집제에 의해 더 많은 오염물질들이 결합되어 부상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에서 거품이 생성되었을 때와 생성되지 않았을 경우의 비교를 위하여 거품억제제인 소포제로서 무기응집제에 의한 초기 거품 생성을 억제하면서 단순 응집하였을 때의 결과를 보면 모두 40% 미만의 제거율로서, 거품이 생성되지 않았을 경우의 오염물질 제거는 극히 미약함을 알 수 있다.
거품이 생성되지 않은 단순 응집의 경우, 제거율이 극히 적은 것은 돈분뇨 원액의 함수율이 약 95%로서 일반적인 침전슬러지의 함수율 98%∼99%, 농축슬러지의 함수율 95%∼98%와 비교할 때, 돈분뇨 원액 자체가 농축 슬러지와 유사한 함수율의 슬러리 상태로 볼 수 있으므로, 응집제 주입에 의한 침전으로는 효율적인 고액분리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돈분폐수를 황산제이철Fe2(SO4)3로 처리할 경우, 여과하지 않은 시료의 제거율은 CODMn 89%, TOC 90%, BOD 84%이나, 소포제로서 거품을 억제하고 황산제이철(Fe2(SO4)3)로 처리한 경우 각각의 제거율이 28%, 39%, 24%로 저하된다. 그러나, 여과한 시료의 제거율은 소포제를 주입하지 않은 황산제이철Fe2(SO4)3 처리에서 각각 CODMn 86%, TOC 85%, BOD 81%로 나타났으며, 소포제를 주입하여 거품을 억제한 시료의 경우, 각각의 제거율은 CODMn 69%, TOC 65%, BOD 68%로서, 저하되는 정도가 여과하지 않은 시료보다 적다.
소포제로 거품을 억제하였음에도 여과한 시료에서의 제거율이 그다지 저하되지 않은 것은 주입된 황산제이철Fe2(SO4)3이 오염물질산화에 반응하여 수중의 용존성 오염물질이 제거된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액분리된 고형물 슬러지는 함수율이 약 90%로서 슬러리 상태인 돈분뇨를 거품상태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고액분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무기응집제에 의한 pH 저하와 공기용해에 따른 거품 생성을 이용한 오염물의 부상 제거가 아닌 단순 응집에 의한 침전으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제거효과를 결코 얻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무기응집제에 의한 거품등으로 1차 고액분리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 처리수를 도 1의 중화·응집에 의한 플럭형성을 통하여 부상시키거나 침전시켜 1차 고액분리처리에서 제거되지 않고 처리수내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2차 제거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이 나타난다.
이 결과에서 유기 고분자 응집제인 polymer는 무기응집제로 고액분리시킨 처리수를 중화제인 가성소다(NaOH)로서 중성으로 조절한 후 혼합하였다.
이때 중화·응집 후 부상이나 침전으로 2차 처리된 처리수는 대부분 오염물질의 약 40%∼90%가 제거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2차 처리공정에서 수중의 용존성 오염물질의 제거 후 배출되는 처리수를 다시 3차 처리공정인 일반적인 생물학적 처리공정으로 유입시켜, 2차 처리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2차 고액분리후의 처리수에 잔류하는 오염물질들은 생물학적인 분해에 의해 약 80%∼90% 제거된다. 3차 생물학적 처리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는 다음 표 3과 같다.
3차 생물학적 처리수는 기타지역의 허가대상이나 신고대상시설에서 추가공정없이 방류할 수 있는 수질을 만족하며, 그외 지역의 시설에서는 간단한 추가공정을 통하여 방류가 가능하다.
그리고, 앞서의 처리공정들에서 생성된 슬러지는 종래의 축산 고형물 처리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농축조에서 고분자 응집제로 응집시켜 농축하고, 농축된 슬러지는 탈수기에서 탈수하여 탈수케이크와 탈리액을 얻게된다. 탈수케익은 퇴비화 장치에 의해 완숙퇴비로 생성시켜 농업용으로 이용하게 되며, 탈리액은 앞서의 처리공정들로 재유입된다.
이상의 처리공정은 본 발명에 의한 돈분뇨의 고액분리 처리방법을 설명하고자 1차 처리에서 고액분리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수를 2차 처리하는 회분식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이다. 1차 처리되어 고액 분리된 상태의 처리수 및 고형물을 모두 2차 처리단계인 중화·응집으로 유입시키는 연속적 공정에 의한 처리는 여전히 높은 제거율을 구할 수 있었다.

Claims (3)

  1. 고농도로 오염물질이 함유된 돈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돈분뇨에 무기응집제를 가하여 수소이온농도(pH)를 3.5 내지 6으로 조정하면서 거품을 형성시키고 고형물을 거품과 함께 부상시켜 고액 상분리시키는 처리단계, 2) 상기 고액 상분리되는 처리단계에서 분리한 처리수를 중화 후 유기 고분자 응집제로 재차 거품을 형성시키고 고형물을 거품과 부상시키는 2차 고액 상분리 처리단계, 3) 상기 2차 고액 상분리 처리단계에서 분리한 처리수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4) 분리된 고형물을 탈수 처리하는 단계를 순차적 ·연속적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뇨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응집제가 철 또는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무기응집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뇨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응집제가 폴리황산제이철, 폴리염화알루미늄, 황산제일철, 황산제이철, 황산알루미늄, 염화제일철 및 염화제이철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뇨 처리방법.
KR10-2000-7014961A 1999-05-29 2000-05-25 돈분뇨 처리방법 KR100407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671 1999-05-29
KR1019990019671A KR100285298B1 (ko) 1999-05-29 1999-05-29 산화 촉매반응에 의한 돈분 처리방법
KR1020000013083 2000-03-15
KR20000013083 2000-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264A true KR20010053264A (ko) 2001-06-25
KR100407554B1 KR100407554B1 (ko) 2003-12-01

Family

ID=2663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961A KR100407554B1 (ko) 1999-05-29 2000-05-25 돈분뇨 처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07554B1 (ko)
WO (1) WO200007322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10A (ko) * 2001-11-17 2003-05-23 주식회사 와트렌 폐수의 정화처리방법
KR100521649B1 (ko) * 2003-09-24 2005-10-13 손을택 소규모하수종말처리방법
KR20160139791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스월로썬 진공분리 폐수처리장치
US20230183109A1 (en) * 2019-10-10 2023-06-15 Lincoln Universit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fflu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554B1 (ko) * 1999-05-29 2003-12-01 최주식 돈분뇨 처리방법
ES2233164B1 (es) * 2003-02-10 2006-04-01 Soluciones Termicas Aplicadas, S.L. Procedimiento de depuracion integral de efluentes con alto contenido de materia organica.
JP2006026478A (ja) 2004-07-13 2006-02-02 Ik Shoji Kk 畜産処理水の脱色方法
CN104944553B (zh) * 2015-07-06 2017-03-15 江苏绿川环保科技有限公司 污水处理流程中的精准投料方法及装置
CN105330098B (zh) * 2015-10-26 2017-03-22 黄文龙 应用液体静、动力学原理的废水深度处理工艺
CN105417778B (zh) * 2015-11-26 2018-05-25 南京贝克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处理规模化奶牛场粪污废水的方法
CN105502852B (zh) * 2016-01-22 2018-06-19 南京贝克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处理垃圾焚烧厂垃圾渗滤液的方法
CN106946359A (zh) * 2017-02-28 2017-07-14 嵊州市派特普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水质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8793675B (zh) * 2017-05-02 2019-05-24 蔡万祥 用于污泥调质的组合物及方法
CN107500472B (zh) * 2017-09-05 2021-05-11 成都锐达机电实业有限公司 高效脱磷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588A (en) * 1979-05-16 1980-11-27 Nippon Rensui Kk Coagulation and filtering operation
JPS59127699A (ja) * 1983-01-05 1984-07-2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汚泥の脱水方法
JPS59179200A (ja) * 1983-03-31 1984-10-11 Kurita Water Ind Ltd 汚泥脱水法
US4882069A (en) * 1984-02-03 1989-11-21 Continental Manufacturing & Sales In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wage and other impure water
JPH01310800A (ja) * 1988-06-10 1989-12-14 Aoki Corp 汚泥凝集方法
JP3272389B2 (ja) * 1992-02-17 2002-04-08 憲仁 丹保 下水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H0686986A (ja) * 1992-03-30 1994-03-29 Ube Ind Ltd 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装置
JP4301582B2 (ja) * 1996-08-26 2009-07-22 味の素株式会社 凝集沈殿法による排水処理方法
JPH10137767A (ja) * 1996-11-14 1998-05-26 Toyota Auto Body Co Ltd 廃水の処理方法
KR100407554B1 (ko) * 1999-05-29 2003-12-01 최주식 돈분뇨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910A (ko) * 2001-11-17 2003-05-23 주식회사 와트렌 폐수의 정화처리방법
KR100521649B1 (ko) * 2003-09-24 2005-10-13 손을택 소규모하수종말처리방법
KR20160139791A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스월로썬 진공분리 폐수처리장치
US20230183109A1 (en) * 2019-10-10 2023-06-15 Lincoln University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fflu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73220A1 (en) 2000-12-07
KR100407554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272B2 (en) Recovery of phosphorus compounds from wastewater
KR100407554B1 (ko) 돈분뇨 처리방법
Owen Removal of phosphorus from sewage plant effluent with lime
CN105906142B (zh) 一种垃圾渗滤液深度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368459B1 (ko) 음폐수 혐기성 에너지화 고도처리 설비
KR100957851B1 (ko) 응집제 투입시기에 따른 수처리방법
KR100707975B1 (ko) 고농도 유기물 함유 축산폐수의 처리방법
CN114291964A (zh) 一种脱氮回收磷的污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111847764A (zh) 一种基于臭氧催化氧化处理印染废水的方法
JP3570888B2 (ja) 廃棄物処理方法
CN113698049A (zh) 一种水冲粪、水泡粪养猪废水处理及回用工艺
CN109942150A (zh) 一种废植物油利用生产废水的处理方法
JPS5845920B2 (ja) 有機性廃液の生物化学的処理方法
CN107963784A (zh) 一种造纸废水处理工艺
KR100229237B1 (ko) 분뇨의 고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43637B1 (ko) 생활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 정화처리방법
JP2796909B2 (ja) 廃水の処理方法
KR101665943B1 (ko) 폴리염화황산철 수용액(PCSFe)을 이용한 고농도 현탁물질과 총인(T-P)의 제거방법
CN109761446A (zh) 一种危废处置中心综合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JPH0687942B2 (ja) 臭気成分の生物脱臭方法
CN104478166B (zh) 一种皮革废水中含硫废水的处理工艺与处理系统
KR100331132B1 (ko) 돈 분뇨 정화처리장치
JPH07275900A (ja) 有機性物質を含有する廃水の処理方法
KR910004127B1 (ko) 고농도의 유기폐수의 처리방법
KR100468403B1 (ko) 축산폐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