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22B1 - 교통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22B1
KR101744722B1 KR1020150038354A KR20150038354A KR101744722B1 KR 101744722 B1 KR101744722 B1 KR 101744722B1 KR 1020150038354 A KR1020150038354 A KR 1020150038354A KR 20150038354 A KR20150038354 A KR 20150038354A KR 101744722 B1 KR101744722 B1 KR 101744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ffic light
output signal
predetermined are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513A (ko
Inventor
강경현
강기동
노희진
윤석영
김성운
백빛나
김가희
허종혁
김치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3System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passive traffic signs by mean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차량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은,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에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정보 제공 방법{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도로 상의 교통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2020년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를 목표로 최근 여러 나라들이 경쟁적으로 연구 개발 및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으며, 5G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자 광대역 주파수 기술, 이종망간 네트워크 기술, 다중 빔 기반 기술, 디바이스간 (Device to Device, D2D) 통신 기술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와 같은 5G 통신이 차량에 적용될 경우, 차량은 고용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전자는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주행과 관련된 운전자의 편의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안전성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차량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은,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에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서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변경에 따라 진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상기 차량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상기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제동을 안내하는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을 제동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에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따르면,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에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의 수신이 가능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기초로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변경에 따라 진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상기 차량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상기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주행방법의 수신이 가능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제동을 안내하는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을 제동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선에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에 따르면,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차량에 송신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한 운전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신호등 정보를 차량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원의 낭비 없이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의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송신부가 빔 패턴을 송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차량의 디스플레이가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른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은 차량; 기지국; 신호등(T); 및 송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현재 위치하는 메인 도로 중 어느 하나의 차선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차량의 외관 및 내부를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및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00)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00)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00)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00)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131)는 차량(100)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00)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4)는 후술할 송신부(AT)로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여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134)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00)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대시보드(150)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후술할 송신부(AT)로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여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도로에서 주행 시 기지국 또는 신호등(T)과 통신하여 획득한 신호등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기지국 또는 신호등(T)과 연결된 송신부(AT)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200); 송신부(AT)로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400); 차량(100)을 제동하는 제동장치; 및 통신부(200), 출력부(400) 및 제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제동장치(500)는 주행중인 차량(100)의 속도를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동장치(500)는 유압 또는 모터의 전기적 회전력에 의해 제동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동장치(500)는 이렇게 획득한 제동력을 회전하는 차륜에 부과하여 차량(100)을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통신부(200)는 송신부(AT)를 거쳐 기지국(ST)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통신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00)는 3G(3Generation), 4G(4Gener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기지국(ST)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방식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에서 기지국(ST)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00)는 5G(5Generation) 통신방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5G 통신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의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5G 통신방식은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5G 통신방식은 약 28GHz 대의 초고대역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5G 통신방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G 통신방식에는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를 수십 개 이상 사용하여 초고대역 주파수까지 커버 가능하고, 다중 접속을 통해 많은 양의 정보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소자의 배열을 조정하여 특정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용량 송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5G 통신 네트워크 망의 사용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많은 디바이스들과 정보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전파를 송신하는 방향 외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전파를 최소화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품질 향상과 전력량의 감소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직교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변조하는 기존과 달리, 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xing Access, NOMA) 방식을 통해 변조한 무선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더 많은 디바이스의 다중 접속이 가능하며, 대용량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최대 응답 속도 1ms 이하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5G 통신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전에 반응하는 실시간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주행 중에도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센서 정보를 전달 받아, 실시간 처리를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원격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5G 통신방식을 통해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과의 센서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충돌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경로 상에 발생될 교통정보, 신호등(T)의 출력신호 변경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이 제공하는 초 실시간 처리 및 대용량 송신을 통해, 차량은 차량 내 탑승객들에게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각종 웹 정보, SNS 정보 등을 분석하여, 차량 내 탑승객들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은 빅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주행 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음식점, 볼거리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객들이 주행 중인 지역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통신부(200)와 기지국이 상술한 5G 통신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차량(100)은 대용량의 정보를 빠른 속도로 기지국(ST)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특정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의 통신부(200)만 송신부(AT)로부터 신호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00)는 송신부(AT)로부터 현재 차량(100)이 위치하는 차선에 대응되는 신호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송신부(AT)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도록 출력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40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송신부(AT)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400)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4);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60); 및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촉각적으로 출력하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 및 스피커(16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 발생부는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진동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부는 후술할 송신부(AT)로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에 대응되는 진동을 출력하여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발생부(410)는 탑승자와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부(410)는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어, 운전자의 손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진동 발생부(410)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시트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는 진동 발생부(410)가 마련되는 위치의 실시예들을 나열한 것으로, 진동 발생부(410)의 위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신호등(T)의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등(T)이 직진신호를 출력하면, 직진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은 직진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T)이 정지신호를 출력하면, 직진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은 정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신호등(T)이 좌회전 신호를 출력하면, 좌회전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은 좌회전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0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주행 중에도 신호등(T)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운전자가 신호등(T)을 확인하지 못한 채 주행할 경우, 신호등(T)이 출력하는 출력신호에 따라 주행하는 다른 차량(100)과 충돌 내지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획득하고, 신호등(T) 또는 기지국과 연결된 송신부(AT)는 신호등 정보를 차량(10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송신부(AT)는 신호등 정보가 필요한 차량(100)에만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송신부(AT)는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에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AT)가 송신하는 신호등 정보는 출력신호 변경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신호등(T)이 현재 직진신호를 출력 중이라면,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정지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송신부(AT)는 직진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에만 정지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을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직진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의 운전자는 현재 신호에 따라 직진할 것인지, 또는 다음 신호에 따라 정지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AT)는 직진차선이 아닌 차선, 예를 들어 좌회전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에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송신하지 않아, 좌회전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100)의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ST)이 송신하는 신호등 정보가 차량(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영역이란, 출력신호의 변경에 따라 진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기초로 차량(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송신부(AT)는 결정된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주행 가이드를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에는 상단에 신호등(T)이 도시되며, 신호등(T)의 하단에는 편도 3차선의 도로가 교차되는 교차로가 도시된다. 특히, 3차선의 도로 중 1차선은 좌회전 차선을 의미하고, 2차선 및 3차선은 직진차선을 의미한다.
도 5a에서, 신호등(T)은 녹색등만 점등된 직진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 경우, 도로의 복수의 차선 중 2차선 및 3차선에 위치한 차량(100)은 진행 가능하다. 특히, S 영역은 직진신호 시에만 진입 가능한 영역으로, 상술한 미리 정해진 영역에 해당된다.
이 경우,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직진신호에서 정지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직진신호에 대응되는 2차선 및 3차선에 위치한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직진신호가 정지신호로 변경되기 전에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차량(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차량(100)의 주행 속도, 차량(100)에 인접한 인접차량(100)의 수, 인접차량(100)의 주행 속도, 및 인접차량(10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고려 사항은 수치화된 후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합산되어 이용될 수 있다.
S 영역 통과 여부를 결정한 후, 송신부(AT)는 결정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이 S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송신부(AT)는 차량(100)의 제동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반면,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이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고 결정되면, 송신부(AT)는 차량(100)의 진행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b를 참조하면, 신호등(T)은 적색등과 좌회전등 이 점등된 좌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 경우, 도로의 복수의 차선 중 1차선에 위치한 차량(100)은 좌회전이 가능하다. 특히, S 영역은 직진신호 시에만 진입 가능한 영역으로, 상술한 미리 정해진 영역에 해당된다.
이 경우,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좌회전 신호에서 좌회전이 불가한 다른 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을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좌회전 신호에 대응되는 1차선에 위치한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좌회전 신호가 좌회전이 불가한 다른 신호로 변경되기 전에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차량(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차량(100)의 주행 속도, 차량(100)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고려 사항은 수치화된 후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합산되어 이용될 수 있다.
S 영역 통과 여부를 결정한 후, 송신부(AT)는 결정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1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선 차량(100)이 S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송신부(AT)는 차량(100)의 제동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반면,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이 S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고 결정되면, 송신부(AT)는 차량(100)의 좌회전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2차선 및 3차선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이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한 후, 송신부(AT)가 이를 기초로 권장 주행방법을 차량(100)에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차량(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송신부(AT)가 이를 기초로 제어 명령과 제어 명령의 내용을 차량(1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등 정보는 제어 명령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송신부(AT)는 차량(100)을 자동으로 제동하는 제동 명령을 차량(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AT)는 자동으로 차량(100)을 제동한다는 제동 명령의 내용을 함께 차량(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100)의 제어부(30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제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제동 장치는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특정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으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송신부(AT)는 지향성 빔 패턴을 생성하여 신호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부(AT)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상 배열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방향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패턴은 무선 신호를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하는 경우, 무선 신호의 세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단위 안테나 소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단위 안테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배열 안테나의 빔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이 때, 배열 안테나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는 전파의 빔 패턴의 주 방향이 θ인 경우, 각각의 단위 안테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φ)는 [수학식 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27113363-pat00001
(△φ는 위상 차이,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θ는 빔 패턴의 주 방향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 의하면, 빔 패턴의 주 방향(θ)은 단위 안테나 사이의 위상 차이(△φ) 및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배열 안테나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나는 빔 패턴의 3dB 빔 폭 BW은 [수학식 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5027113363-pat00002
(BW는 빔 패턴의 빔 폭,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N은 배열 안테나의 개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에 의하면, 빔 패턴의 빔 폭은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및 단위 안테나의 개수에 의하여 결정된다.송신부(AT)는 위상 배열 안태나 중 단위 안테나 사이의 위상 차이를 제어하여 빔 패턴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송신부(AT)는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선에 신호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부(AT)는 신호등(T)의 출력신호 변경시점,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 및 제어명령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신부(AT)는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선에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빔 패턴을 송신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서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은 영역 B로 표시된다.
송신부(AT)는 복수의 차선 각각에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빔 패턴을 송신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AT)는 차선의 연장방향으로 빔 패턴을 송신할 수 있도록 신호등(T)의 출력신호가 출력되는 위치에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등(T)이 곡선 도로 상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신호등(T)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성을 일반적인 경우보다 낮은 것을 전제로 결정하고, 송신부(AT)는 결정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해당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신호등(T)이 곡선 도로 상에 위치하여 빔 패턴의 송신을 통해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차선에 형성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송신부(AT)는 반대편 차선의 차량에 빔 패턴을 송신하고, 반대편 차선이 D2D 통신을 통해 해당 차선의 차량에 신호등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AT)는 하나의 위상 배열 안테나에서 빔 포밍을 이용하여 복수의 차선 각각에 빔 패턴을 송신할 수도 있고, 복수의 도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위상 배열 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신부(AT)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등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6a 및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송신부(AT)가 빔 패턴을 송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서 송신부(AT)는 신호등(T)의 상부에 형성되어 차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빔 패턴을 송신할 수 있다.
신호등 정보가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포함하는 경우, 동일 차선에 위치하는 복수의 차량이라도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권장되는 주행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AT)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송신하는 빔 패턴을 달리 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서, C1 차량은 C2 차량 보다 신호등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신호등(T) 우측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이라고 하면, 출력신호 변경에 따라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성은 C1 차량이 C2 차량보다 높다.
따라서, 송신부(AT)는 진행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포함하는 빔 패턴 B1을 C1 차량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AT)는 제동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포함하는 빔 패턴 B2를 C2 차량에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AT)가 차량(100)으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출력부(400)는 신호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차량(100)의 디스플레이(134)가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 내지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차량의 디스플레이가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송신부(AT)에서 차량(100)에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신호등 정보로서 송신하는 경우, 출력부(400) 중 디스플레이(134)가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a의 경우 디스플레이(134)가 "1초후, 정지신호로 변경됩니다."라는 문장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진행 가능 시간이 1초임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확인한 후, 운전자는 1초내에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있을지를 판단하여,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송신부(AT)에서 차량(100)에 주행 가이드를 송신하는 경우, 출력부(400) 중 디스플레이(134)가 주행 가이드를 표시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도울 수 있다. 도 6b의 경우 디스플레이(134)가 "곧 신호가 변경됩니다. 정지하세요!!"라는 문장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확인한 후, 운전자는 차량(100)의 제동 페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차량(100)을 제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신부(AT)에서 차량(100)에 제어 명령을 송신함과 함께 제어 명령의 내용을 신호등 정보로서 송신하는 경우, 출력부(400) 중 디스플레이(134)가 제어 명령의 내용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c의 경우 디스플레이(134)가 "곧 신호가 변경됩니다. 차량(100)이 자동으로 제동됩니다."라는 문장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100)이 제동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를 확인함으로써, 운전자는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어 차량(100)이 자동으로 제동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a 내지 c에서는 출력부(400)의 일 실시예인 디스플레이(134)를 예시하였으나, 스피커(160) 또는 진동 발생부에서도 신호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600)
그 다음, 송신부(AT)는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에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610) 여기서,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이란 신호등(T)에 변경 전 출력신호 표시 시 진행 가능한 차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신호등 정보란 출력신호 변경시점 및 이를 기초로 생성되는 차량(100)의 주행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호등 정보를 수신한 차량에서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620)차량(100)의 출력부(400)는 디스플레이(134), 스피커(160), 또는 진동 발생부로 구현 가능하므로, 차량(10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으로 신호등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의 경우, 신호등 정보는 주행 가이드로 한다.
먼저,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제 1 신호를 출력중인 신호등(T)이 출력신호를 제 2 신호로 변경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를 획득한다. (700)
다음으로,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제 1 신호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을 결정한다. (710) 여기서. 제 1 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이란 신호등(T)이 제 1 신호를 출력 시 진행 가능한 차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영역이란 신호등(T)이 제 1 신호 출력 시 진입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을 결정하기 위해 차량(100)의 주행 속도, 차량(100)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고려 사항은 수치화된 후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합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와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720) 만약,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가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이상이라면, 차량(100)이 출력신호 변경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료한다.
반면,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가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보다 작다면, 송신부(AT)는 차량에 제동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송신할 수 있다. (730) 차량(100)이 출력신호 변경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차량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동을 안내하는 권장 주행방법을 출력할 수 있다. (740) 운전자는 출력된 권장 주행방법을 확인한 후, 차량(100)을 제동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정보 전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의 경우, 신호등 정보는 제어 명령의 내용으로 한다.
먼저,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제 1 신호를 출력중인 신호등(T)이 출력신호를 제 2 신호로 변경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를 획득한다. (800)
다음으로,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제 1 신호 대응되는 차선에 위치하는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을 결정한다. (810) 여기서. 제 1 신호에 대응되는 차선이란 신호등(T)이 제 1 신호를 출력 시 진행 가능한 차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영역이란 신호등(T)이 제 1 신호 출력 시 진입 가능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ST) 또는 신호등(T)은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을 결정하기 위해 차량(100)의 주행 속도, 차량(100)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상술한 고려 사항은 수치화된 후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합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 또는 신호등(T)은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와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820) 만약,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가 차량(100)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이상이라면, 차량(100)이 출력신호 변경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종료한다.
반면, 출력신호가 변경되는 시점까지의 잔여시간 t0가 차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1보다 작다면, 송신부(AT)는 차량을 제동하는 제어 명령과 제어 명령의 내용을 신호등 정보로서 송신할 수 있다. (830) 차량(100)이 출력신호 변경 전에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 다음, 차량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의 내용, 즉 차량이 제동됨을 알리는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840) 이와 함께, 차량은 제어 명령에 따라 제동될 수 있다. (850) 이를 통해, 운전자가 신호등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라도 차량(100)이 자동으로 제동됨으로써, 운전자를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100: 차량
134: 디스플레이
200: 통신부
300: 제어부
400: 출력부
500: 제동장치
ST: 기지국
T: 신호등
AT: 송신부

Claims (20)

  1.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로에 위치하는 차량에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 정보로부터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차로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 패턴을 형성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서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출력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기초로 상기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변경에 따라 진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상기 차량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상기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출력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제동을 안내하는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을 제동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에 송신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로에 위치하는 차량에 상기 신호등 정보를 송신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1.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로에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과 관련된 신호등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 정보로부터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차로 방향으로의 지향성 빔 패턴을 형성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등의 출력신호 변경시점의 수신이 가능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 변경시점을 기초로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대응되는 차로에 위치하는 차량의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변경에 따라 진입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상기 차량에 인접한 인접차량의 수, 상기 인접차량의 주행 속도, 및 상기 인접차량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권장 주행방법의 수신이 가능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의 제동을 안내하는 상기 권장 주행방법을 결정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 통과 가능 여부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과할 수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차량을 제동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에 송신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 전 출력신호에 따라 진행 가능한 차로에 상기 신호등 정보 수신 영역을 형성하는 교통정보 제공방법.

KR1020150038354A 2015-03-19 2015-03-19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101744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54A KR101744722B1 (ko) 2015-03-19 2015-03-19 교통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354A KR101744722B1 (ko) 2015-03-19 2015-03-19 교통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13A KR20160112513A (ko) 2016-09-28
KR101744722B1 true KR101744722B1 (ko) 2017-06-08

Family

ID=5710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354A KR101744722B1 (ko) 2015-03-19 2015-03-19 교통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660A (ja) * 2002-10-10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交通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3660A (ja) * 2002-10-10 2004-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交通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13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08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034722B1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CN108928351B (zh) 车辆用用户界面装置
US11400933B2 (en) Vehicle having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9774474B (zh) 显示设备和具有显示设备的车辆
CN109923019B (zh)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装置和车辆的控制方法
EP3492296B1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5992131B (zh) 车辆、车辆的通信方法以及用于车辆的无线通信装置
KR20190056800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210041873A1 (en) Path providing device and path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053608A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及控制该车辆的方法
KR20160112552A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US9809229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7923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324305B2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096243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396049B1 (ko) 이동 its 스테이션 및 상기 이동 its 스테이션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CN110723149A (zh) 车辆控制装置和包括该车辆控制装置的车辆
US10442295B2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7799882A (zh) 天线和具有该天线的车辆
KR101744722B1 (ko) 교통정보 제공 방법
US20210041874A1 (en) Path providing device and path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65043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744731B1 (ko)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4979A (ko) 차량, 차량의 통신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된 무선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