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436B1 -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436B1
KR102650436B1 KR1020197024094A KR20197024094A KR102650436B1 KR 102650436 B1 KR102650436 B1 KR 102650436B1 KR 1020197024094 A KR1020197024094 A KR 1020197024094A KR 20197024094 A KR20197024094 A KR 20197024094A KR 102650436 B1 KR102650436 B1 KR 10265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passenger
processor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102A (ko
Inventor
송치원
김형국
임형진
조재훈
허희정
홍윤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1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2
    • B60K35/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B60K2360/1438
    • B60K2360/149
    • B60K2360/182
    • B60K2360/349
    • B60K2360/741
    • B60K35/29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9Priority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 및 오토바이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각종 센서와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편의 기능, 그리고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기능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편의 기능은 차량에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 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개발 동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적응 순향 제어(active cruise control, ACC), 스마트주자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나이트비전(night vision, NV),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어라운드 뷰 모니터(around view monitor, AVM),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eadlight system, AHS) 기능 등이 있다.
안전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기능 등이 있다.
차량에는, 차량에 탑승한 적어도 하나의 탑승객을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이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다양한 주행 정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디스플레이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에서 사용자와 교감하는 장치로 변화해 감에 따라,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운전자가 없어도 스스로 주행을 수행하는 자율 주행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자율 주행 차량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주행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자율 주행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탑승객의 안전과 편의에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율 주행이 도입됨에 따라 차량 내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다양한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화면들이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하고, 상기 메인 화면에 대하여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화면이 다른 화면보다 밝아지는 로컬 디밍이 실행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화면들을 고려하여 상기 메인 화면의 최대화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화면이 상기 최대화 크기로 확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최대화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각 화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우선순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화면들은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일 단은 상기 탑승객이 탑승한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선 범위는 상기 탑승객의 머리 위치, 상기 탑승객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탑승객의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어야 하는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개수의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시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온 되고, 상기 나머지 영역은 오프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시선 범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제1 및 제2 탑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탑승객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복제되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지는 서브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탑승객의 손이 위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손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탑승객의 검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1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탑승객의 중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내에 탑재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탑승객에게 다양한 인터렉션을 제공할 수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탑승객의 시선 범위를 고려한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1은 복수의 승객들이 차량에 탑승한 경우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3a 및 도 13b는 메인 화면을 강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14는 차량에 구비된 서브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도 14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은 가속, 감속, 및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운전 조작 장치에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지 않아도, 상기 운전 조작 장치가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0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무선 통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100)에 구비되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차량(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차량(100)의 일부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를 상기 차량(100)의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800)의 동작 및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100)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3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 및/또는 제어방법은, 차량(800)의 제어부(17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그리고 프로세서(830)를 포함한다.
통신부(810)는, 도 7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통신부(810)는 CAN(controller are network)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신부(810)는, 차량, 이동 단말기와 서버, 다른 차량과 같이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으로 명명될 수 있다.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통신부(810)는 차량(100)에 구비된 대부분의 장치들로부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1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8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로 호칭한다.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100)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정보,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주변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가속도, 각속도, 위치(GPS),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각 바퀴의 공기압,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물체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정보는,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정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 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충돌 가능성,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통신부(81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족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830)는 차량(10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83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차량(100)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방 추돌 방지(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사각 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보행자 감지(Pedestrian Detection, PD), 커브 속도 경고(Curve Speed Warning, CSW) 및 턴 바이 턴 길안내(turn by turn navigation, T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은,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시동 온(start on), 시동 오프(start off), 자율 주행 온/오프,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벤트 발생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서 설정한 경고 발생, ADAS에서 설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forward collision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후측방 경고(blind spot detection)가 발생하는 경우, 차선 이탈 경보(lane departure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주행 조향 보조 경보(lane keeping assist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제동 기능(autonomous emergency braking)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진 기어에서 후진 기어로 변경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가속이 발생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감속이 발생되는 경우, 동력장치가 내연기관에서 모터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모터에서 내연기관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100)에 구비된 다양한 EC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발생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830)는 만족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차량(100)에서 자율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차량(100)에 구비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자율 주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브레이크로 자율 주행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주행 방향이 변경되도록 조향 장치로 자율 주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상기 차량(100)에 탑재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제어한다. 자율 주행이 가능해지면서 차량(100)에는 스티어링 휠과 같은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가 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생기는 공간에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차량(100) 내에 고정되어 있던 좌석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시트 포지션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화면 디스플레이에 각종 정보를 정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최적화 되도록 동적으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시선 범위를 고려하여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동적으로 가변시킬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경우 시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야각은 정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15도(총 30도)에 해당한다.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한 시야각은 좌우 각각 35도(총 70도)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시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은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줄어들고,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늘어난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탑승객의 시선 범위를 고려한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9는 도 8의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시선 범위를 추적한다(S910).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통신부(810)를 통해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정보에는 상기 차량(100) 내의 탑승객을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로부터 탑승객 영상, 탑승객 영상에 의하여 추적되는 탑승객의 시선 방향, 시선 방향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 탑승객이 탑승한 좌석의 시트 포지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탑승객의 탑승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시선 범위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시선 범위는 시선 방향, 상기 시선 방향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 및 기준 각도에 의하여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탑승객의 위치에 근거하여 기준점이 정의되고, 기준점으로부터 시선 방향이 정의된다. 그리고, 기준점과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소정 각도 이내의 범위가 시선 범위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시선 범위는 상기 탑승객의 머리 위치, 상기 탑승객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탑승객의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한다(S930).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시선 범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30)는 시선 범위와 디스플레이(251)가 맞닿는 영역을 도 10a에 도신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st DA)으로 설정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nd DA)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탑승객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더라도 탑승객이 탑승한 좌석의 시트 포지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기준점이 달라짐에 따라 디스플레이(251)와 탑승객 사이의 거리(d1 또는 d2)가 달라지고, 시선 범위와 디스플레이가 맞닿는 영역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시선 범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된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한다(S950).
상기 프로세서(83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정보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어야 하는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개수의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st DA)에서는 4개(A-D)의 컨텐츠들이 표시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영역(2nd DA)에서는 6개(A-F)의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25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디스플레이 영역이 커지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각 컨텐츠는 물리적으로 이격된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컨텐츠들은 각각 4개의 이격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화면들이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하고, 상기 메인 화면에 대하여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830)는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B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결정하고, 메인 화면인 B 화면이 다른 화면보다 밝아지는 로컬 디밍이 실행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복수의 화면들을 고려하여 상기 메인 화면의 최대화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화면이 상기 최대화 크기로 확장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에 4개의 화면들이 표시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화면이 메인 화면으로 결정되고, 나머지 화면들은 최소화될 수 있다. 최소화되고 남은 나머지 영역에 메인 화면이 최대화 되어 표시된다.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251)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최대화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830)는, 각 화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우선순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면들은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일 단은 상기 탑승객이 탑승한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객이 운전석에 탑승한 경우, 일 단은 탑승객이 바라보고 있는 디플레이의 좌측 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탑승객이 조수석에 탑승한 경우, 타 단은 탑승객이 바라보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우측 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화면 순으로 탑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시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온 되고, 상기 나머지 영역은 오프될 수 있다. 탑승객이 사용하지 못하는 나머지 영역에 시각 정보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하게 전력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대화면 스크린에 다수의 컨텐츠들이 표시되지만, 사용자는 하나의 컨텐츠만 집중해서 바라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탑승객이 바라보고 있는 컨텐츠를 보다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인 화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른 화면들은 어둡게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시야각 범위 내에 메인화면을 최대화 표시하고, 나머지 컨텐츠는 압축 표시할 수 있다. 탑승객의 시선이 이동함에 따라 로컬디밍의 위치도 가변된다.
도 11은 복수의 승객들이 차량에 탑승한 경우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제1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11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30)는 제1 탑승객(1210)의 시선 범위(이하, '제1 시선 범위'로 호칭)와 제2 탑승객(1220)의 시선 범위(이하, '제2 시선 범위'로 호칭)를 추적한다. 그리고, 제1 시선 범위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시선 범위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A 화면 및 B 화면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C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중첩되는 영역에는 제1 탑승객과 제2 탑승객이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공유 정보는 현재 시각, 지도 상의 현재 위치,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 공유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중첩되는 경우, 공유 정보는 중첩되는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제2 탑승객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바라보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복제되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S1130).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30)는 제2 탑승객이 제1 탑승객을 위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들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제2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2 탑승객의 시선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함에 따라 시선 범위가 변경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중첩이 발생된다. 프로세서(830)는 선택된 화면을 중첩된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리적으로 그 크기에 제한이 있는 디스플레이(251)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탑승객(1220)의 시선에 근거하여 A 화면을 선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에 A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메인 화면을 강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하고, 메인 화면이 다른 화면보다 밝아지는 로컬 디밍이 실행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화면이 메인 화면인 경우, A 화면은 제1 밝기를 가지고, 다른 화면들(B-F)은 제1 밝기보다 어두운 제2 밝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객의 시선 또는 탑승객의 요청에 의하여 메인 화면이 A 화면에서 B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 화면의 밝기는 제1 밝기에서 제2 밝기로 변경되고, B 화면의 밝기는 제2 밝기에서 제1 밝기로 변경된다.
차량(100)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암레스트에 서브 디스플레이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는 상기 디스플레이(251)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251)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들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정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탑승객의 요청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정보는 각 화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A 화면에 대응하는 A 그래픽 객체, B 화면에 대응하는 B 그래픽 객체 등이 상기 가이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탑승객은 B 그래픽 객체에 터치를 인가함으로써, B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각 그래픽 객체에 다양한 터치 입력을 인가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화면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4는 차량에 구비된 서브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 상에 위치하는 탑승객 의 손을 탐지할 수 있다(S1410).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830)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서브 디스플레이(1310)에 표시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S1430).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 상에 상기 탑승객의 손이 위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한다.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 중 메인 화면에 대응하는 어느 그래픽 객체에는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손의 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30)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1310)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탑승객의 검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1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탑승객의 중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81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영역에 3개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다면, 제1 내지 제3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4개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다면, 제1 내지 제4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다. 이때, 제3 그래픽 객체는 약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표시되고, 제4 그래픽 객체는 소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표시된다.
탑승객에 따라 그리고 손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표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원하는 그래픽 객체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복수의 화면들 중 메인 화면에 대응하고, 제1 그래픽 객체는 메인 화면의 좌측 단에 인접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화면 내지 F 화면이 디스플레이(251)의 좌측 단에서부터 우측 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중에 메인 화면이 B 화면으로 설정된 경우, 제2 그래픽 객체는 B 화면에 대응하고, 제1 그래픽 객체는 A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메인 화면이 C 화면인 경우, 제2 그래픽 객체는 C 화면에 대응하고, 제1 그래픽 객체는 B 화면에 대응하게 된다.
시트 포지션은 다양하게 변형되지만, 사용자는 암레스트에 위치한 서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디스플레이에 손을 올려놓기만 하면 각 손가락 끝 지점에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어느 그래픽 객체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코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시각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탑승객의 시선 범위와 상기 디스플레이가 맞닿는 영역에 근거하여 결정되며,
    상기 시선 범위는,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가 멀어질수록 상기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화면들이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선택하고, 상기 메인 화면에 대하여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화면이 다른 화면보다 밝아지는 로컬 디밍이 실행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화면들을 고려하여 상기 메인 화면의 최대화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화면이 상기 최대화 크기로 확장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최대화 크기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 화면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객의 시선에 근거하여 각 화면의 우선순위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면들은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단에서 타 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 단은 상기 탑승객이 탑승한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범위는 상기 탑승객의 머리 위치, 상기 탑승객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탑승객의 시선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선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어야 하는 컨텐츠의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개수의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개수가 많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시각 정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온 되고, 상기 나머지 영역은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시선 범위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제1 및 제2 탑승객이 탑승하는 경우, 상기 제1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탑승객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탑승객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지는 서브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탑승객의 손이 위치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는 상기 손의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탑승객의 검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1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상기 탑승객의 중지가 위치하는 영역에 제2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KR1020197024094A 2019-07-01 2019-07-01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650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965 WO2021002487A1 (ko) 2019-07-01 2019-07-01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02A KR20220018102A (ko) 2022-02-15
KR102650436B1 true KR102650436B1 (ko) 2024-03-26

Family

ID=7410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94A KR102650436B1 (ko) 2019-07-01 2019-07-01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07309B2 (ko)
KR (1) KR102650436B1 (ko)
WO (1) WO2021002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0888A (ja) * 2021-04-30 2022-11-11 ウーブン・プラネット・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15033155A (zh) * 2022-06-08 2022-09-09 上海集度汽车有限公司 显示设备的显示控制方法、装置、车辆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310A (ja) * 2005-10-31 2007-06-14 Denso Corp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2013137711A (ja) * 2011-12-28 2013-07-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操作装置
JP2014225728A (ja) * 2013-05-15 2014-12-0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周囲モニタ装置
JP2018083441A (ja) * 2016-11-21 2018-05-31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88A (ja) * 1997-06-18 1999-01-12 Nissan Motor Co Ltd 車両周辺状況表示装置
JP3711864B2 (ja) * 2000-12-01 2005-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EP1983402A4 (en) * 2006-02-03 2013-06-26 Panasonic Corp INPUT DEVICE AND ITS METHOD
US20090256813A1 (en) * 2008-04-09 2009-10-15 Amici Alan J Vehicle moving-image interface
JP2010215194A (ja) * 2009-03-19 2010-09-30 Hyundai Motor Co Ltd 車載機器の操作装置
JP4840620B2 (ja) * 2009-04-30 2011-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電子機器操作装置
US9678662B2 (en) * 2010-04-23 2017-06-13 Handscape Inc. Method for detecting user gestures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handheld computerized device
US9383579B2 (en) * 2011-10-12 2016-07-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component of an adaptive display system
JP2016004541A (ja) 2014-06-19 2016-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入力装置
KR101648017B1 (ko) * 2015-03-23 2016-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09316B1 (ko) * 2015-06-02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1730315B1 (ko) * 2015-11-05 2017-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CN110140098B (zh) * 2016-07-11 2023-08-11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车辆内部部件
US11104229B2 (en) * 2016-07-11 2021-08-3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6665819B2 (ja) * 2017-03-17 2020-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KR102391664B1 (ko) * 2017-07-04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528132B1 (en) * 2018-07-09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aze detection of occupants for vehicle displays
JP7219041B2 (ja) * 2018-10-05 2023-02-07 現代自動車株式会社 注視検出装置及びその輻輳制御方法
US10809801B1 (en) * 2019-05-16 2020-10-20 Ambarella International Lp Electronic mirror visual parameter adjustment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5310A (ja) * 2005-10-31 2007-06-14 Denso Corp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2013137711A (ja) * 2011-12-28 2013-07-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操作装置
JP2014225728A (ja) * 2013-05-15 2014-12-0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用周囲モニタ装置
JP2018083441A (ja) * 2016-11-21 2018-05-31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487A1 (ko) 2021-01-07
US20210354559A1 (en) 2021-11-18
KR20220018102A (ko) 2022-02-15
US11407309B2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0620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US10513184B2 (en)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KR10230941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13080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CN109849906B (zh) 自主行驶车辆及其控制方法
KR1019698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3368A (ko)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216389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29820B1 (ko) 차량 제어 장치
EP3506601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vehicle control device
CN109703363B (zh) 显示装置及包括其的车辆
KR10197709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88133A (ko) 입출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88090A (ko)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0702B1 (ko)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342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212777B1 (ko) 영상 출력 장치
KR20220125148A (ko) 영상 출력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65043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239166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14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252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1524581B2 (en) Image output device for vehicle displaying timeline of events
KR1019198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