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175B1 - 적외선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175B1
KR101744175B1 KR1020140024063A KR20140024063A KR101744175B1 KR 101744175 B1 KR101744175 B1 KR 101744175B1 KR 1020140024063 A KR1020140024063 A KR 1020140024063A KR 20140024063 A KR20140024063 A KR 20140024063A KR 101744175 B1 KR101744175 B1 KR 10174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ubstrate
disposed
infrared absorption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325A (ko
Inventor
이상훈
박기용
황하룡
윤중현
홍다정
Original Assignee
(주)와이즈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즈산전 filed Critical (주)와이즈산전
Priority to KR102014002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17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25Shape of the cavity itself or of elements contained in or suspended over the cavity
    • G01J5/023Particular leg structure or construction or shape; Nano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95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removing other types of optical noise or for performing 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1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률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지 장치{Infrared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별도의 렌즈 없이도 모든 각도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감지 장치는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침입자 경보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적외선 감지 장치는 인체에서 발생되는 7 내지 14 ㎛ 정도의 긴 파장을 가진 적외선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발생된 신호는 신호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후, 신호 감지 회로를 통해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 및 그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감지 장치는 인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센서로 집광하기 위한 다양한 집광렌즈가 사용되며, 일 예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집광렌즈 없이 적외선 센서만 사용하여 동작시키려면 감지범위가 상당히 좁으며, 감도 또한 좋지 않게 된다. 즉, 집광렌즈의 주요 역할은 감지범위의 확대와 감도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따라서, 감지범위 및 각도를 확인하여 집광렌즈를 선택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집광렌즈는 모든 각도의 적외선을 센서에 집중시키기 위하여 정밀한 가공을 요하며, 각 적외선 센서의 스펙에 따라 집광렌즈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집광렌즈 없이도 모든 각도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는, 곡률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절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열전쌍 모듈; 상기 열전쌍 모듈을 커버하는 적외선 투과 필터; 상기 열전쌍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된 전극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적외선 센서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 및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열전쌍 모듈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단부와, 상기 기판의 중앙부로 연장 형성된 제2단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 및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2단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가상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전극 패턴은, 일 측에 배치된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1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 및 타 측에 배치된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2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에서, 상기 적외선 흡수 패턴은 그래핀(Graphen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집광렌즈 없이도 모든 방향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각각의 적외선 센서에 적외선이 수직하게 입사되므로 감도가 향상되고, 감지 범위가 넓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가 적외선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스트립 형상인 적외선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적외선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쌍 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부분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적 카메라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가 적외선을 감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가 스트립 형상인 적외선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적외선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는 반구 또는 반타구 형상의 지지부재(300)와, 지지부재(300) 상에 배치되어 소정의 곡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10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00)는 내부가 빈 반구 또는 반타구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인쇄회로기판(200)이 그와 대응되는 반구 또는 반타구 형상을 가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타구 형상이란 완벽한 구의 형상이 아니라 약간 찌그러진 구의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소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지지부재(3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지지부재(300)와 거의 동일하게 구 형상의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0)은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형성된 절단부(210)를 갖는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200)은 반구 형상의 지지부재(300)에 평탄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적외선 센서(10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홀(220)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 삽입되는 적외선 센서(100)의 개수는 모든 방위에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센서(100)는 20 내지 30개 일 수 있다.
적외선 센서(100)는 인쇄회로기판(200)상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200)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적외선 센서(100)는 각각 수직하게 입사하는 적외선(IR)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렌즈 없이도 모든 방향에서의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어 센서등(Sensor Lamp)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지지부재(301)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스트립으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은 지지부재(301)에 부착되어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일방향으로 입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센서등과 달리 전방의 움직임만을 검출하는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인쇄회로기판(200)은 적외선 센서(100)의 전극패드(150)와 통전되는 회로패턴(2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패드(150)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관통홀(220)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00)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WLP, Wafer Level Package) 방식으로 제작되고 높이와 폭이 약 1mm 정도이므로 약 0.2 내지 0.5mm 두께의 인쇄회로기판(20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외선 센서(100)의 일부가 인쇄회로기판(200) 외부로 노출되어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서는 기판(110)과, 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열전쌍 모듈(140), 열전쌍 모듈(140)과 연결된 한 쌍의 전극패드(150), 열전쌍 모듈(140)을 커버하는 적외선 투과 필터(120), 및 기판(110)의 후면을 밀폐하는 후면 커버(13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실리콘(Si)층의 양면에 대칭적으로 이산화실리콘 산화막(SiO2)이 형성되고 그 위에 다시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3N-4) 유전막이 형성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110)의 단면은 Si3N4/SiO2/Si/SiO2/Si3N4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열전쌍 모듈(140)은 기판(110) 상에 형성되어 흡수된 적외선의 양에 따라 기전력을 발생한다. 열전쌍 모듈(140)의 패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중심부로 집중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전극패드(150)는 열전쌍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기판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적외선 투과 필터(120)는 열전쌍 모듈(140)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열전쌍 모듈(140)에 적외선을 입사시킨다. 적외선 파장대를 제외한 나머지 파장대의 광은 반사 또는 흡수한다. 후면커버(130)는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기판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적외선 센서(100)는 웨이퍼 레벨 패키징(WLP)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열전쌍 모듈(140)이 형성된 소자 웨이퍼(기판, 110)에 캡 웨이퍼(적외선 투과 필터, 120) 및 후면 웨이퍼(후면 커버, 130)를 접합하여 적외선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웨이퍼 레벨 패키징은 진공 분위기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적외선 투과 필터(120)의 내부 공간(S1)과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공간(S2)은 진공 상태로 밀폐된다.
이때, 열전쌍 모듈(140)의 상부에는 절연층(160)이 형성되고 그 위에는 별도의 적외선 흡수층(17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서(100)는 웨이퍼 레벨 패키징을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초소형화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쌍 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도이다.
도 9과 도 10을 참고하면, 열전쌍 모듈(140)은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141), 및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141) 사이에 배치되어 적외선 흡수 패턴(14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 패턴(144)을 포함한다.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적외선을 흡수하는 재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탄소물질로 구성되거나, 탄소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래핀은 흑연의 표면층을 한 겹만 떼어내서 얻어지는 물질로서 탄소로 구성된 나노물질이다. 그래핀은 2차원 평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온 캐리어 이동도와 열전도율이 매우 높고 전기전도도가 매우 뛰어난 반도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그래핀 옥사이드(grapheme oxide)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래핀 옥사이드는 흑연을 강력한 산화제로 산화시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검출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그래핀을 다수 적층하거나, 촉매를 첨가하거나, 또는 그래핀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물질을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기판(110)의 외측에서 중앙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앙부에 집중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중앙부로 연장된 제2단부(142)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가상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제2단부(142a)가 상기 기판(110)의 중심점(C1)을 둘러싸는 제1가상원(C2) 상에 배치되는 제1적외선 흡수 패턴(141)과, 제2단부(142b)가 제1가상원(C2)을 둘러싸는 제2가상원(C3) 상에 배치되는 제2적외선 흡수 패턴(141)과, 제2단부(142c)가 제2가상원(C3)을 둘러싸는 제3가상원(C4) 상에 배치되는 제3적외선 흡수 패턴(141), 및 제2단부(142d)가 제3가상원(C4)을 둘러싸는 제4가상원(C5) 상에 배치되는 제4적외선 흡수 패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따라서, 중앙부에 적외선 흡수 패턴(141)을 집중시킴으로써 적외선 검출 소자의 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극 패턴(144)은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141) 사이에 배치되어 적외선 흡수 패턴(141)을 직렬 연결한다.
도 11과 도 12를 참고하면, 전극 패턴(144)은 일 측에 배치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의 제1단부(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147)과, 타 측에 배치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의 제2단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145), 및 적외선 흡수 패턴(14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접촉단(147)과 제2접촉단(145)을 연결하는 연장부(146)를 포함한다.
제1접촉단(147) 및 제2접촉단(145)은 적외선 흡수 패턴(141)의 상부에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제1접촉단(147) 및 제2접촉단(145)에 커버되지 않은 적외선 흡수 패턴(141)은 외부의 적외선을 흡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흡수 패턴(141)이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극 패턴(144)은 제1접촉단(147)과 제2접촉단(145)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외선 흡수 패턴(141)과 전극 패턴(144)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극 패턴의 제2접촉단(145)이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2단부(142) 위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2단부(142)가 전극 패턴의 제2접촉단(145) 위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외선 흡수면적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전극 패턴의 제1접촉단(147)과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1단부(143)가 접촉하는 제1접촉면적(P1)은 전극 패턴의 2접촉단(145)과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2단부(142)가 접촉하는 제2접촉면적(P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적외선 조사시 적외선 흡수 패턴(141)의 노출영역이 적외선을 흡수하여 온도가 증가하면, 제1접촉면적(P1)과 제2접촉면적(P2)간의 온도차가 발생하므로 제벡효과(Seebeck Effect)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접촉면적(P1)과 제2접촉면적(P2)의 차가 커질수록 적외선 조사시 접촉면적간의 온도차가 커져 적외선 검출 감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접촉면적(P1)과 제2접촉면적(P2)은 적어도 2배 이상 차이 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패턴(144)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금속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으나, 제벡계수(Seebeck Coefficient)가 낮은 물질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단가 등을 고려할 때 니켈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개념도이다.
카메라는 촬영 렌즈(3), 및 몸체(2)를 포함하고, 촬영 렌즈(3)를 통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몸체(2)의 상측에는 방향 전환부(4)가 결합되고, 방향 전환부(4)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 등에 고정되어 카메라를 지지한다.
방향 전환부(4)는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 렌즈(3)가 향하는 방향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구동 모터, 및 기어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부(4)의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 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카메라의 몸체(2) 하부에는 적외선 감지 장치(1)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적외선 감지 장치(1)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 인쇄회로기판, 및 적외선 센서의 구조는 이미 설명하였는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감지 장치(1)는 별도의 렌즈 없이도 넓은 범위를 감시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장치(1)는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적외선이 입사되는 해당 위치의 적외선 센서가 가장 높은 출력을 가지며, 그 주위에 있는 소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출력 비율에 따라 침입자 종류를 판단하고, 추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 장치(1)에 의해 특정 지점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방향 전환부(4)는 카메라를 회전시켜 특정 지점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CCTV 카메라는 촬영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제한된 방향의 상황만을 촬영함으로써 사각 지대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00: 적외선 센서
110: 기판
120: 적외선 투과 필터
130: 후면 커버
140: 열전쌍 모듈
200: 인쇄회로기판
300: 지지부재

Claims (10)

  1. 곡률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상에 배치되어 곡률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된 열전쌍 모듈,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쌍 모듈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적외선 투과필터, 및
    상기 열전쌍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투과필터의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전극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적외선 센서가 삽입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 및
    상기 전극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투과필터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적외선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곡률을 갖는 스트립인 적외선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반구 또는 반타구 형상을 갖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복수 개의 절단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쌍 모듈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기판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단부 및 상기 기판의 중앙부로 연장된 제2단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 및
    상기 복수 개의 적외선 흡수 패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흡수 패턴의 제1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접촉단 및 상기 제2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을 포함하는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흡수 패턴은,
    상기 제2단부가 상기 기판의 중심을 둘러싸는 제1가상원 상에 배치되는 제1적외선 흡수 패턴,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1가상원을 둘러싸는 제2가상원 상에 배치되는 제2적외선 흡수 패턴, 및
    상기 제2단부가 상기 제2가상원을 둘러싸는 제3가상원 상에 배치되는 제3적외선 흡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가상원의 중심은 상기 기판의 중심과 일치하고,
    상기 제2가상원의 직경과 제3가상원의 직경의 차이는 상기 제1가상원의 직경과 제2가상원의 직경의 차이보다 크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접촉단은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후면을 밀폐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후면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인 적외선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인 적외선 감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니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흡수 패턴은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탄소물질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외선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KR1020140024063A 2014-02-28 2014-02-28 적외선 감지 장치 KR10174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63A KR101744175B1 (ko) 2014-02-28 2014-02-28 적외선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63A KR101744175B1 (ko) 2014-02-28 2014-02-28 적외선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25A KR20150102325A (ko) 2015-09-07
KR101744175B1 true KR101744175B1 (ko) 2017-06-08

Family

ID=5424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63A KR101744175B1 (ko) 2014-02-28 2014-02-28 적외선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1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9067A1 (en) * 2009-05-18 2012-03-01 Masatake Takahashi Infrared senso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rared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9067A1 (en) * 2009-05-18 2012-03-01 Masatake Takahashi Infrared senso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frared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25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4255A1 (ja) 赤外線センサ、電子機器、及び赤外線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7139643A (ja) 傾斜センサ
JP2019504298A (ja) ウェハレベルパッケージ内の熱赤外線センサアレイ
JP2004317152A5 (ko)
JP2012173191A (ja) 熱型光検出器、熱型光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94791A (ja) 赤外線センサ装置
JP2012198191A (ja) 遠赤外線検出装置
JP2013246021A (ja) 熱型電磁波検出素子、熱型電磁波検出素子の製造方法、熱型電磁波検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020003A (ja) 光電信号検出器
KR101744175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KR102054312B1 (ko) 인체 적외선 감지소자 및 그를 구비한 전자장치
JP6292297B2 (ja) テラヘルツ波検出器
JP2010127892A (ja) 赤外線センサ
JP2012154762A (ja) 赤外線センサおよび赤外線センサアレイ
WO1999041575A1 (fr) Element detecteur a infrarouge, et unite capteur a infrarouge et detecteur a infrarouge utilisant ledit element detecteur
JP2008082791A (ja) 赤外線センサ
KR101336916B1 (ko) 일체형 듀얼 센서
JP2007292461A (ja) 焦電素子および焦電型赤外線センサ
US10794765B2 (en) Device for securing an infrared radiation detector from unwanted infrared radiation and heat
KR101701953B1 (ko) 적외선 검출 소자
CN109781267A (zh) 一种温度检测装置
KR100404743B1 (ko) 적외선 센서와 공간필터를 이용한 미세 동작 감지장치
JP2004093535A (ja) 熱型赤外線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07477B2 (ja) 焦電型光検出器、焦電型光検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891029B2 (ja) 受動型赤外線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