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913B1 -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913B1
KR101743913B1 KR1020150030305A KR20150030305A KR101743913B1 KR 101743913 B1 KR101743913 B1 KR 101743913B1 KR 1020150030305 A KR1020150030305 A KR 1020150030305A KR 20150030305 A KR20150030305 A KR 20150030305A KR 101743913 B1 KR101743913 B1 KR 10174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hic
outer frame
frame
inner frame
sea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642A (ko
Inventor
함동진
이근창
지상범
주세종
김경홍
김형직
유옥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3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913B1/ko
Priority to PCT/KR2016/001547 priority patent/WO2016140448A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ve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기하학적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프레임의 폭에 비해서 더 작은 폭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과 이에 대응하는 내측 프레임에 대해서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을 상하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며,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과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응하여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수평 프레임;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부상을 돕기 위한 부력재;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 프레임의 내측을 상하로 및 좌우로 등분하는 다수의 제 2 수평 프레임; 하나 이상의 상하로 등분된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봉; 지지봉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파지턱에 맞물려서 연장되는 체인; 체인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해저면으로의 착저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웨이트; 및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 중의 하측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BENTHIC LANDER FOR CATCHING MACROFAUNA}
본 발명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히 해저의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함에 있어서, 이 해저의 바닥면에 착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서 생물(低棲 生物)이라는 것은, 강이나 바다의 저면(바닥)에서 서식하는 생물을 통틀어서 지칭하는 표현이다.
저서 생물은 통상 물 속의 바닥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이를 채집 또는 포획하기 위해서는, 종래 저인망이나 바닥까지 도달하는 통발, 또는 낚시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저인망을 이용하는 경우는 얕은 바다의 경우에는 비교적 사용하기가 용이하나 수심이 점점 깊어지면 사용이 곤란해지고, 특히 저인하면서 그물에 구멍이 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그물 자체가 찢어지는 경우에는 기껏 포획한 저서 생물이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불필요하게 과도한 저서 생물을 포획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었다.
낚시로는 심해저의 저서 생물을 포획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함을 잘 알 것이다.
한편, 통발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발을 사용하여 저서 생물을 포획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저서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 사용의 일례에 따르면, 수면 상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표(10)에 연결된 계류색(20)의 하단부에 고정된 통발 목줄(40)에 적어도 하나의 통발(50)을 통발 목줄(40)로부터 이격시켜서 고정한 구성을 사용하고 있었다.
통발은 통발 목줄(40)에 직결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발 목줄(40)로부터 더 연장된 통발 안내줄(도면 부호 미도시)을 통해서 통발 목줄(4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이 통발 안내줄은 적절한 길이로 형성하여 통발(50)이 바닥면에 닿도록 또는 닿지 않도록 적당한 길이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발이 바닥면에 닿는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서식하는 저서 생물의 포획에 유리하고, 통발이 바닥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활동하는 저서 생물의 포획에 유리하다고 하겠다.
이때 계류색(20)의 설치 위치를 가늠하기 위해서, 이 계류색(20)의 최상단, 즉 수면상에는 부표(10)가 설치되며, 이 부표(10) 상에는 이 부표(10)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 깃발(1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계류색(20)은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물 속의 저면에 착저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이동 또는 고정 선박의 적어도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계류색(20)은 수면으로의 부상을 염두에 두고 수면상의 부표(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계류색(20)이 조류에 의해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지 않도록 충분한 중량의 웨이트(30)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웨이트(30)를 사용하지 않으면 계류색(20)이 수중에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통발 목줄(4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통발(50) 역시 수중에서 이동하게 되어 설사 통발(50)에 저서 생물이 포획되더라도 어떤 위치에서 포획되었는지를 알 수 없게 되어 통상적인 연구용으로는 무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통발 목줄(40)의 불필요한 이동을 막기 위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계류색(도면 부호 미지정, 도면 우측, 계류색(20)에 대응), 제 2 부표, 또는 제 2 웨이트 등을 설치하고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여러 가지 단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예를 들어, 그물이나 통발의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든 계류색(20)을 끌어 올려야 하였으며, 또한 이 포획 장치의 설치 및 유지를 위해서 불가피하게 수중의 바닥면에 웨이트(30)를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저서 생물의 서식처가 깊으면 깊을 수록 이를 직접 전개함에 있어서 계류색을 풀거나 감는데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특히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계류색을 완전히 감아야 하기 때문에 그 회수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막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상의 불순 등에 의해서 포획 장치의 설치 및 회수 역시 다소 곤란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서 존재하고 있었던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 강구한 바, 각고의 노력 끝에, 본 발명의 장치를 완성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선행 기술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476호(2006.03.15. 공고; 고안의 명칭: "소라 포획구")
따라서, 본 발명은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해저의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함에 있어서, 이 해저의 바닥면에 착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와는 달리 그 전개 및 회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개 및 회수가 반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와는 달리 계류색 등을 끌어 올리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해저 저서 생물의 포획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와는 달리 웨이트를 부양시키지 않도록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와는 달리 저서 생물의 서식처가 깊더라도 반자동으로 포획 장치의 전개 및 회수가 가능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저서 생물 포획 장치와는 달리 저서 생물의 포획에 있어서 기상의 불순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기하학적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프레임의 폭에 비해서 더 작은 폭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과 이에 대응하는 내측 프레임에 대해서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을 상하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며,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과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진 내측 프레임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응하여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수평 프레임;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부상을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력재;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 프레임의 내측을 상하로 및 좌우로 등분하는 다수의 제 2 수평 프레임; 하나 이상의 상하로 등분된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봉; 지지봉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파지턱에 맞물려서 연장되는 체인; 체인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해저면으로의 착저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웨이트; 및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 중의 하측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하나 이상의 부력재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상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부력재의 부상력은 웨이트의 착저력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봉의 상부에는 장치 취급 고리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수평 프레임 중의 최상측의 수평 프레임에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이동시킬 때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자세 교정을 위한 안전 고리가 두 개 이상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프레임의 최하단에는 해저면 착저시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한 바닥 패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는 원격 신호에 의해서 파지턱에 맞물려서 연장되어 있는 체인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체인에 고정되기 위한 웨이트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웨이트를 인양하기 위한 보조 웨이트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이트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중심부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발은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는 제 1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수평 프레임의 최하단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발에는 미끼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발에는 저서 생물의 포획 여부를 통지하는 센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통발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이루는 기하학적인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부력재는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제 1 수평 프레임의 이 상하 및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각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하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의 내용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할 뿐이고,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각각의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과장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의 바닥에 서식하는 저서 생물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 및 회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 및 회수가 반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 저서 생물의 포획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절감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트를 부양시키지 않아도 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서 생물의 서식처가 깊더라도 반자동으로 포획 장치의 전개 및 회수가 가능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서 생물의 포획에 있어서 기상의 불순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발을 사용하여 저서 생물을 포획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일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일부를 이루는 음파 이격기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좌측은 조립된 상태를, 우측은 단위 장치를 일부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회수되는 경우에 장치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력재 중의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통발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원형 구조와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상을 갖는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되어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또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는,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그 중간에 언급하거나 언급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동일한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된 각종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일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이루는 음파 이격기의 일부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좌측은 조립된 상태를, 우측은 단위 장치를 일부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가 회수되는 경우에 장치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부력재 중의 하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통발의 일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 도 2)는 일정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일정한 기하학적인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육각형의 형상을 갖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기하학적인 형상의 상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한 그 형상의 상위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 또한 제한되거나 축소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 이하 단순히 '장치'라고도 함)는 일정한 폭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정한 폭이라는 것은,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가 그 폭이 제한되지 않고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폭이 3 미터 또는 10 미터일 수도 있으며, 장치를 더욱 축소하여 50 센티미터 또는 1 미터의 폭을 갖는 크기일 수도 있다.
또한, 일정한 폭을 갖는 평면이라는 말은,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그 평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크기를 갖는 임의의 평면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다수의 수직봉(102, 104, 106, 108)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100)을 구비한다.
이때, 외측 프레임(100)은 상술한 일정한 폭을 갖는 평면의 각 꼭지점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프레임(100)을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원을 적어도 3 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지점에 각각 상술한 다수의 수직봉(102, 104, 106, 108)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외측 프레임(100)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이 외측 프레임(100)의 폭에 비해서 더 작은 폭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측 프레임(11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측 프레임(100)을 이루는 다수의 수직봉(102, 104, 106, 108)에 대응하는 수직봉(미도시)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수직봉은 외측 프레임(100)을 이루는 다수의 수직봉(102, 104, 106, 108)과 함께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의 강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내측 프레임(110)은 외측 프레임(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100)이 일정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응하여 내측 프레임(110) 역시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외측 프레임(100)이 육각형의 형상을 가진다고 하면, 내측 프레임(110)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의 형상의 차이는, 저서 생물 포획 목적에 적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외측 프레임(100)과 이에 대응하는 내측 프레임(110)에 대해서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을 상하로 하나 이상의 부분(예를 들면, 도면 부호 180과 도면 부호 160에 의해서 나눠지는 부분, 또는 도면 부호 160과 도면 부호 140에 의해서 나눠지는 부분, 또는 도면 부호 140과 도면 부호 120에 의해서 나눠지는 부분 등, 도 2 참조)으로 분할하는 제 1 수평 프레임(120, 140, 160, 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수평 프레임(120, 140, 160, 180)은 상술한 외측 프레임(100)과 이에 대응하는 내측 프레임(110)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1 수평 프레임(120, 140, 160, 180)은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응하여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도면 부호 미지정, 도 3에서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 방향의 수평봉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수평 프레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설치 갯수가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최상측(도면 부호 180) 및 최하측(도면 부호 120)의 수평 프레임에 더하여 하나 이상 더 추가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에서는, 제 1 수평 프레임으로서 최상측 수평 프레임(180) 및 최하측 수평 프레임(120)에 추가하여 수평 프레임(140 및 160)을 두 개 더 형성하였으나, 필요하다면 이 제 1 수평 프레임(140 또는 160)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어떠한 경우에라도, 후술하는 부력재(202, 204)의 고정 설치를 위해서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바로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 예를 들면, 도면 부호 160의 제 1 수평 프레임과의 거리는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최하단 제 1 수평 프레임(120)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만약, 부력재(202, 204)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의 크기, 즉 폭이나 높이 또한 이에 상응하여 재조정되어야 함을 잘 알 것이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바로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60) 사이에 부력재(204)가 고정 설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수평 프레임(160)과 그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40) 사이에도 부력재(202)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제 1 수평 프레임(160)과 그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40) 사이의 거리 역시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바로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6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내측 프레임(110)과 외측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재(200, (202, 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력재(200)는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바로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60) 사이에도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부력재(200)는,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네 군데의 장소에서 서로 대칭적으로, 각각,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 및 각각의 제 1 수평 프레임(180 및 160)의 상하의 개소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부력재(200)는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의 수면으로의 부상을 돕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즉, 전체로서의 하나 이상의 부력재(200)는 후술하는 웨이트(400)를 제외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 전체가 해저면으로 착저하기 위한 착저력 보다 큰 부상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의 부상력은 장치(1000) 전체,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웨이트(400)가 분리된 이후의 장치(1000) 전체가 수면 상으로 부상하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부력재(200)에 의해서 발생하는 부상하기 위한 힘의 합계를 의미한다.
또한, 착저력은 장치(1000) 전체,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웨이트(400)가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의 장치(1000) 전체가 해저면으로 향해서 하강하여 착저하려는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상력과 착저력의 차이에 의해서 장치(1000)는 수면 상으로 부상할 수도 있고, 해저면으로 하강하여 착저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이때, 후술하는 웨이트(400)는 장치(1000)의 부상시에 별도로 분리되므로 장치(1000)의 부상시에 웨이트(400)는 부상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부력재(200)의 설치 갯수는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의 수면으로의 부상이 가능한 크기, 즉 웨이트(400)를 제외한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 자체의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상력을 가지는 크기이면 충분하다.
또한, 부력재(20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한 두 개의 반구를 접합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부력재(200)의 형상이 도면에 도시한 형상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도 5로부터, 도면 부호 206 및 208은 부력재(200, (202, 204))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부력재(200)는 반구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한 돌출부(도면 부호 미지정)가 제 1 수평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도 5의 도면 부호 206 및 208의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 사이에서, 장치(1000)의 외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형성된 경우에, 장치(1000)의 전개 및 회수시 불필요한 손상으로부터 적극적으로 회피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해저면의 저서 생물의 경우 급격하게 장치(1000)를 부상시키는 경우 압력 차이에 의해서 저서 생물 자체에 대해서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부상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 예를 들면, 분당 상승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부력 가변 부력재(2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내측 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 2 수평 프레임(도면 부호 미지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다수의 제 2 수평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110)의 내측을 상하로 및 좌우로 등분할 수 있다.
제 2 수평 프레임은 도 3에서 내측 프레임(110) 내에 "X"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 2 수평 프레임은 이와 같은 "X" 형태 이외에도, "|"의 형태, "+"의 형태, 또는 "="의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제 2 수평 프레임은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과 바로 아래의 제 1 수평 프레임(160) 사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수평 프레임은, 후술하는 음파 이격기(320, 3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게 위해서, 최상단 제 1 수평 프레임(180)의 아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찬가질 이유로, 음파 이격기(320, 340)의 상하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 음파 이격기(320, 340)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또 다른 제 2 수평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2 수평 프레임은 음파 이격기(320, 340)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하로, 적어도 두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상하로 등분된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봉(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봉(190)은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의 최종 중량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지지봉(190)의 상부에는 장치 취급 고리(도면 부호 미지정)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취급 고리는 장치(1000)를 해저면에 착저시키기 위해서 선박 상에서 소정 위치로 전개하기 위해서 장치(1000)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고리임을 알아야 한다.
한편, 제 1 수평 프레임 중의 최상측의 수평 프레임(180)에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를 이동시킬 때 장치(1000)의 자세 교정을 위한 안전 고리(184)가 두 개 이상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취급 고리에 의한 자세 교정에 추가하여, 안전 고리(184)에 의한 장치(1000)의 자세 제어를 통해서 원하는 해저면으로의 장치(1000)의 전개가 가능하다.
지지봉(190)이 장치(1000)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치 취급 고리 역시 장치(1000)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장치(1000)를 해저면에 착저시키기 위해서 크레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장치(1000)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용이하다.
다음으로, 지지봉(190)에는 음파 이격기(320, 340)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도면 부호 미지정)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부는 지지봉(190)에다가 음파 이격기(320, 340)를 수직으로 고정하는 구성을 상정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지지봉(190)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acoustic release)(320 또는 3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음파 이격기(320, 340)는 좌측에 대해서는 L을, 우측에 대해서는 R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음파 이격기(320, 340)가 두 개 설치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한편, 음파 이격기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지지봉(190)의 수직축 내에 실질적으로 공축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파 이격기(320, 340)가 세 개 또는 네 개와 같이 복수개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명확하게도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야 함을 잘 알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를 해저면에 착저시킬 때 장치(1000)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도 도움이 되지만, 목표가 달성되었을 때, 즉 해저면의 저서 생물을 포획한 다음에 수면으로 장치(1000)를 부상시킬 때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장치(1000)를 부상시키기 위해서도 필요한 조건이라고 하겠다.
음파 이격기(320, 340)는 수면 상의 선박 등에서 음파를 이용하여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배터리 등의 전원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기간만큼 해저면에 장치(1000)를 착저시켜 둘 수 있다는 장점을 발휘한다.
후술하는 통발(500) 내에 해저의 저서 생물이 포획되었음을 알게 된 경우에, 원격 신호에 의해서 이 음파 이격기(320, 3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음파 이격기(320, 340)를 원격으로 동작시키게 되면, 후술하는 웨이트(400)에 고정된 체인(380)이 이 음파 이격기(320, 3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330은 음파 이격기(320, 340)를 지지봉(190)에 고정 부착하기 위한 연결판을 나타낸다.
이 연결판(330)은 도 4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봉(190)의 상하 두 군데 고정될 수도 있으며, 도 4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세 군데의 개소에서 고정될 수도 있다고 하겠다.
음파 이격기(320, 340) 상단의 고리 형상의 구성은 음파 이격기의 운반시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구성이다.
음파 이격기(320, 340)의 원격 조작을 통한 장치(1000)의 부상을 위해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해저면으로의 착저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그 중심부 하단에 위치하는 웨이트(4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웨이트(400)는 도시한 형태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웨이트(400)는 좌우 대칭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는 것은 잘 알 것이다.
이때, 음파 이격기(320, 304)와 웨이트(400)는 체인(38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체인(380)의 일단부는 음파 이격기(320, 340)의 하부에 고정되고, 체인(380)의 타단부, 즉 체인(380)의 하단부는 웨이트(400)의, 바람직하게는, 상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음파 이격기(320, 340)에 고정 연결되는 부분은 체인으로 구성하고, 웨이트(400)에 고정 연결되는 부분은 별도의 고리(미도시)로 형성하여, 음파 이격기(320, 340)의 원격 동작시 한번에 실수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웨이트(400)는 체인(380)에 고정되기 위한 웨이트 고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웨이트 고리(420)는 웨이트(400)를 체인(380) 또는 상술한 별도의 고리 등에 맞물리는 구성이면 충분하며, 구체적인 형상 역시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때, 웨이트 고리(420)는 웨이트(4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웨이트 고리(420)를 복수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상호 대칭적으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해양 폐기물의 투기가 각국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웨이트(400)는 웨이트(400)를 인양하기 위한 보조 웨이트 고리(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보조 웨이트 고리는 웨이트 고리(420)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으나, 장치(100)의 부상시 불필요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로, 예를 들면, 웨이트(4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인양색(mooring rope, 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양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400)를 폐기물로서 해저면에 폐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장치(1000)를 부상시킨 이후에 적당한 시간에 필요에 따라서 웨이트(400)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인양색에는 오로지 웨이트(400)의 회수를 위해서 적절한 부표(미도시, 도 1에 도시한 부표(10)와 유사한 부표이면 충분함)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웨이트(400)의 회수는 시급하게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서 생물의 포획이 이루어진 다음에 시간을 두고 행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당한 시간이 흐른 이후에 회수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참고로, 웨이트(400)는 중력에 의해서 충분히 낮은 곳에 위치하도록 장치(10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치(1000)의 가장 낮은 곳보다는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음파 이격기(320, 340)를 원격으로 조작하였을 때 웨이트(400)의 중량이 체인(380)에 충분히 가해지고 있어서, 단 한번의 조작으로도, 웨이트(4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체인(380)이 느슨하게 유지되고 있는 경우 음파 이격기(320, 340)의 확실한 동작을 보장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고 하겠다.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320, 340)는 원격 신호에 의해서 동작하며, 음파 이격기(320 또는 340)의 하부에는 파지턱(360, 각각 322, 3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턱(360)은 적절한 조작에 의해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구성으로, 이 파지턱(360)에 신호를 보내 개방하면, 개방된 파지턱(360)에 상술한 체인(380)을 연결 고정한 다음 파지턱(360)을 폐쇄하고, 장치(1000)를 수중으로 하강시켜 해저면에 착저한 다음에, 저서 생물이 포획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원격 조작을 통해서 음파 이격기(320, 340)를 조작하면 이 파지턱(360)이 개방되면서, 이 파지턱(360)에 맞물려서 연장되어 있는 체인(380)이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 중의 하측의 내측 프레임(110)과 외측 프레임(100)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통발(5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인 형상의 통발이면 충분하다.
이 통발(500)은 장치(1000)를 해저면에 착저하려고 할 때 웨이트(400)가 요동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장치(1000)의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는 웨이트(400)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호판(미도시)으로 보호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치(1000) 하단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대략 사각형으로 도시한 통발(500)의 구성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발(500)은 외측 프레임(100)과 내측 프레임(110) 사이에서 네 군데,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400)가 장치(1000)의 중심부 하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웨이트(400)와의 간섭을 피해서 통발(500)은 장치(1000)의 외주부를 따라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하지만, 통발(500)은 외측 프레임(100)의 외부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발(500) 역시 본 발명의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는 제 1 수평 프레임 중의 하부측의 제 1 수평 프레임(140)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 1 수평 프레임의 최하단의 제 1 수평 프레임(120)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치(1000)가 해저면에 착저할 때의 환경을 고려한 것으로 연약 지반에 착저하는 경우에 통발(500)이 눌리게 되어 궁극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통발(500)에는 미끼(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끼는 필요에 따라서 포함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저서 생물의 경우 먹이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획하고자 하는 저서 생물이 미끼 보다는 안전한 집(shelter)을 원하는 경우에는 미끼가 없어도 된다는 점을 잘 알 것이다.
미끼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발(500)은 통상의 투명한 통발 대신에 불투명한 통발이라도 무방하며, 더 나아가 통발(500)은 저서 생물이 수직 형상의 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통발(500)에는 저서 생물의 포획 여부를 통지할 수 있는 센서 수단(미도시)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로는 접촉식 센서도 무방하며, 광학 카메라를 센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통발(5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치(1000)가 통상 해저면에 착저한 이후 수시간 내지 수일, 길게는 수십일까지 유지될 수도 있는데, 저서 생물을 포획하였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시로 장치(1000)를 부양시킨 다음에 저서 생물의 포획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외측 프레임(100)의 최하단에는 장치(1000)의 해저면 착저시 장치(1000) 자체의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한 바닥 패드(10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바닥 패드(101)는 외측 프레임(100)을 이루는 각각의 수직봉(100) 마다 그 최하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수평을 이루는 구성이면서 수직봉(100)의 굵기보다 충분히 넓은 정도로 형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바닥 패드(101)는 장치(1000)가 해저면에 착저하고 있을 때 장시간에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바닥 패드(101)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이면서 적당히 넓은 면적을 가진 구성 요소이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원형 구조와는 다른 기하학적인 형상을 갖는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도면은 도 3의 도면과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불필요하다고 간주되는 구성을 모두 삭제하고 최상측 제 1 수평 프레임(180), 외측 프레임(100), 내측 프레임(104)과 장치(1000)의 중간에 위치하는 지지봉(190) 및 이 지지봉(190)에 고정되어 설치된 음파 이격기(320, 340)의 구성만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도 8에서는 제 2 수평 프레임을 더욱 단순화하여 "|"의 형태로 배치하였음을 알아야 한다.
도 8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1000)는 도 3에 나타낸 원형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기하학적 형상의 다른 예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원형,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형상의 경우에도 외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은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 프레임 내의 지지봉(190)의 고정 설치 위치 또한 장치의 중앙부 상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즉, 그 기하학적인 형상이 달라지더라도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은 여전히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각종 부가물 역시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한 취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1000)는 다음과 같은 장점 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통발(500)이 해저면에 가능한한 가깝게 위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발(500)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저서 생물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
2) 해상의 선박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장치(1000)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장치(1000) 자체는 웨이트(400)에 의한 착저력에 의해서 자발적으로 해저면으로 하강하여 착저하기 때문에 장치(1000)의 전개에 들어가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발(500) 내에 저서 생물이 포획된 경우에도 원격 조작에 의해서 음파 이격기(320, 340)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1000)의 회수 또한 매우 용이하다.
3) 종래 계류색(미도시)에 의한 장치(1000)의 전개 및 회수와 비교하여 이 계류색 자체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장치(1000)의 전개 및 회수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대폭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협소한 선박 내의 공간 중에서 장치(1000)의 전개 및 회수에 소요되는 권취기(미도시)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박 내의 공간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4) 장치(1000)가 해저면에 전개된 이후에는 웨이트(400)를 분리한 다음 장치(1000)를 회수하기 때문에 웨이트(400)를 포함하는 장치(1000) 전체의 회수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5) 설혹 저서 생물의 서식처가 심해저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장치(1000)를 전개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모든 프로세스가 인력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최종 회수를 위해서 계류색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전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장치(1000)는 계류색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전개가 시작되면 전개 자체에 대해서 집중하지 않아도 되고, 역으로 회수시에도 원격으로 장치(1000)의 부상을 제어하기 때문에 부상에 자체에 대해서도 집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반자동으로 장치(1000)의 전개 및 회수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6) 본 발명은 장치(1000)의 회수에 있어서 기상의 문제(예를 들면, 일기 불순)를 전혀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바, 이는 통발(500)에 저서 생물이 포획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의한 알람에 의해서 장치(1000)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부담을 획기적으로 경감시켜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트(400)는 단순 폐기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 해저면에 위치한 웨이트(400)를 별도로 회수할 수도 있으므로,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로부터도 자유롭다는 부가적인 장점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부표
12 : 식별 깃발
20 : 계류색
30 : 웨이트
40 : 통발 목줄
50 : 통발
1000 :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00 : 외측 프레임
101 : 바닥 패드
102, 104, 106, 108 : 수직봉
110 : 내측 프레임
120, 140, 160, 180 : 제 1 수평 프레임
190 : 지지봉
200; 202, 204 : 부력재
320, 340 : 음파 이격기
360; 322, 342 : 파지턱
380 : 체인
400 : 웨이트
420 : 웨이트 고리
500 : 통발

Claims (16)

  1.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있어서,
    기하학적 형상의 평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기하학적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의 폭에 비해서 더 작은 폭을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을 상하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며, 상기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프레임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수평 프레임;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부상을 돕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력재;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의 내측을 상하로 및 좌우로 등분하는 다수의 제 2 수평 프레임;
    상기 하나 이상의 상하로 등분된 제 2 수평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
    상기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파지턱에 맞물려서 연장되는 체인;
    상기 체인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해저면으로의 착저에 도움을 주기 위한 웨이트; 및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 중의 하측의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저서 생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력재는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부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상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력재의 부상력은 상기 웨이트의 착저력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장치 취급 고리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 중의 최상측의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이동시킬 때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자세 교정을 위한 안전 고리가 두 개 이상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의 최하단에는 해저면 착저시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한 바닥 패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파 이격기는 원격 신호에 의해서 상기 파지턱에 맞물려서 연장되어 있는 체인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체인에 고정되기 위한 웨이트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를 인양하기 위한 보조 웨이트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중심부 하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상기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를 이루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는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최하단 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발에는 미끼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발에는 저서 생물의 포획 여부를 통지하는 센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인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력재는 상기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부분의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상하 및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1020150030305A 2015-03-04 2015-03-04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10174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05A KR101743913B1 (ko) 2015-03-04 2015-03-04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PCT/KR2016/001547 WO2016140448A1 (ko) 2015-03-04 2016-02-16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305A KR101743913B1 (ko) 2015-03-04 2015-03-04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42A KR20160108642A (ko) 2016-09-20
KR101743913B1 true KR101743913B1 (ko) 2017-06-08

Family

ID=5684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305A KR101743913B1 (ko) 2015-03-04 2015-03-04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3913B1 (ko)
WO (1) WO2016140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8165A (zh) * 2020-01-13 2020-06-09 万宁市港北富渔水产有限公司 一种基于马鲛鱼捕捞用捕捞装置及方法
CN112525654B (zh) * 2020-10-15 2024-04-09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底栖生物采集清洗装置
CN112535158B (zh) * 2020-11-23 2022-03-15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海洋底栖生物采集装置
CN114431197B (zh) * 2022-01-20 2022-11-04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一种海洋底栖生物原位固定系统和方法
CN114902992B (zh) * 2022-05-01 2023-09-29 辽宁五合生态科技有限公司 立体三角形组合式人工鱼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31A (ja) 2001-01-10 2002-07-23 Kazunori Koto 竹製人工魚礁(海水・淡水両用)
JP2003047365A (ja) 2001-07-18 2003-02-18 Seiki Kensetsu Kk 人工浮魚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788B1 (ko) * 2001-07-24 2003-05-09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JP3101430U (ja) * 2003-11-05 2004-06-10 東京製綱繊維ロープ株式会社 浮魚礁等中層型海洋構造物のアンカー位置検知装置
KR200375141Y1 (ko) * 2004-11-20 2005-03-11 고지영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
KR200411476Y1 (ko) 2005-12-23 2006-03-15 박연식 소라 포획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4631A (ja) 2001-01-10 2002-07-23 Kazunori Koto 竹製人工魚礁(海水・淡水両用)
JP2003047365A (ja) 2001-07-18 2003-02-18 Seiki Kensetsu Kk 人工浮魚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0143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42A (ko) 2016-09-20
WO2016140448A1 (ko)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913B1 (ko) 해저면 착저식 저서 생물 포획 장치
US20190059339A1 (en) Semi-submersible fish farming system
EP0393276B1 (en) Spar buoy pen system
JP4464389B2 (ja) 水没可能囲い網
EP1806964B1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JP5237155B2 (ja) 中層浮魚礁の回収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回収用金具
TW512051B (en) Twist closure drop fishing net
CN1183025A (zh) 浮筒和支承环可锚定和漂动的养鱼围栏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CN107351992A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水下救援方法及其系统
WO2001052638A1 (en) Device for anchoring floating cages for fish, fish pots and cages
JP2012188054A (ja) 海上浮体建造物或いは洋上浮体建造物
JP7142522B2 (ja) 生簀及び養殖方法
US20210029975A1 (en) Buoyancy System for a Fish Pen
JP2018131199A (ja) 繋留補助部材
JP3150490U (ja) 養殖用水深可変係留施設
JP4183133B2 (ja) 生簀
JP2016068759A (ja) 水中機器の揚収用装置、水中機器の母船、及び水中機器の揚収方法
JP2003061513A (ja) 囲い網
KR101689288B1 (ko) 자연 침하형 전복 가두리 양식장
JP5670643B2 (ja) 漁撈生簀漁法或いは漁撈生簀及び漁撈生簀に兼用可能な養殖生簀
JP5681268B2 (ja) 漁撈建造物
KR20170064692A (ko) 해제 가능한 하단고정용 로프를 구비한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JP2011217615A5 (ko)
JPH04532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