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732B1 -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732B1
KR101743732B1 KR1020150016252A KR20150016252A KR101743732B1 KR 101743732 B1 KR101743732 B1 KR 101743732B1 KR 1020150016252 A KR1020150016252 A KR 1020150016252A KR 20150016252 A KR20150016252 A KR 20150016252A KR 101743732 B1 KR101743732 B1 KR 101743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igs
seq
pur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787A (ko
Inventor
노일섭
양기웅
박종인
황인덕
김영욱
우딘 아메드 나잘
정희정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7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양친에 대하여 다형성을 나타내는 프라이머 세트를 설계하고, 상기 설계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IGS 부위를 증폭시키고 검정하여 간단하고 정확하게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이 순종인 것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Purity checking method for F1 hybrid seeds using intergenic spacer regions of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ribosomal DNA}
본 발명은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양배추의 IGS 부위에 대하여 다형성을 나타내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IGS 부위를 증폭시켜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이 순종인 것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배추(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는 배추과(Brassicacea)에 속하는 종으로, 미국, 유럽 등 구미지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지역까지 세계 채소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작물이다. 특히 중국 및 인도 국가의 재배면적과 종자가격은 매년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며, 점점 내병성, 내충성, 내서성, 내한성, 내열구성 등의 내재해성과 고순도, 고품질 형질을 갖춘 품종 욕구가 더해가고 있다.
현재 유통 중인 양배추는 대부분 양친의 교배를 통하여 생산된 일대잡종(F1) 품종들이다. 상기 일대잡종(F1) 품종에서 생산된 종자에 대해서는 양친간 교배의 성립여부, 즉 이형성(heterozygosity)을 검정하고 그 정도를 순도(%)로서 표시하는 순도검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종래 양배추 품종에 순도검정은 형태적 관찰에 의한 포장검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재배면적과 인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배추를 수확하여 양친과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지며, 검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기 때문에 순도검정의 정확성이 떨어져 신뢰를 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분자 생물학이 발달하면서 특정 DNA 염기서열의 다형성을 탐색하고, 이를 분자표지(molecular marker)로 활용하는 기술은 유전적 특성을 본질적으로 반영할 뿐만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연차간 변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유전자 지도 작성, 내병성 유전자의 맵핑(mapping), 품종 식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Helentjaris T., et al., 1986, Theor. Appl. Genet., 72:761-769.; Seller M and Bechmann J.S., 1983, Theor. Appl. Genet., 67:25-33.; Kwon Y.S., et al., 2003, Korean J. Breed., 35:319-328.).
하나의 구체적 예로, 종자식물의 45S 핵 리보솜 RNA 유전자(nuclear ribosomal DNA, nrDNA)는 18S, 5.8S 및 25S/26S/28S 암호화 유전자 클러스터와 각 유전자 사이에 상대적으로 변이가 많은 ITS1(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및 ITS2(internal transcribed spacer 2)를 포함하는 한 개의 45S 시스트론 단위로 구성된다. 각각의 45S 시스트론 단위는 다양한 크기의 IGS(intergenic spacers)로 나누어지며 종렬배열(tandem repeat)을 이루고 있다. 이중 ITS 부위 염기서열은 종(species) 특이적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종 수준이나 종 이하 분류군 수준의 계통을 추론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또한, IGS 부위 염기서열 역시 nrDNA의 여러 부위 중에서 변이가 심하여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품종 간에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며, 반복염기서열이 있어 동일한 품종 사이에서도 생물간에 차이를 보이므로 속간, 종간 분류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5S 핵 리보솜 RNA 유전자 ITS 또는 IGS 부위를 이용하여 배추과에 속하는 아종 또는 품종을 동정한 기술과 관련하여, Mummenhoff 등(Mummenhoff M. et al., 2001, Am. J. Bot., 88:2051-2063.)은 엽록체 DNA trnL 유전자, trnT - trnL intergenic spacer, trnL- trnF intergenic spacer을 이용하여 다닥냉이속(Lepidium)의 계통분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Mummenhoff 등(Mummenhoff M. et al., 2005, Ann. Mossouri Bor. Grad., 92:400-424.)은 핵 DNA ITS 구간과 엽록체 DNA trnL-F intergenic spacer을 이용하여 남아프리카의 배추과 고유종의 계통발생, 형태진화 및 종 분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Koch 등(Koch M.A. et al., 2012, Taxon 61:955-969.)은 핵 DNA ITS와 엽록체 DNA trnL 유전자, trnL-F intergenic spacer를 이용하여 배추과 갯장대족 새로운 속의 계통분류, 분류학 및 생물지리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양배추 아종 또는 품종의 핵 DNA IGS 부위 염기서열의 확립 및 IGS 부위를 이용한 양배추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양배추의 45S nrDNA에 존재하는 IGS 부위의 염기서열을 확인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양배추 의 45S nrDNA의 IGS 부위를 증폭시켜 생성된 증폭 산물의 유전자 패턴을 확인함으로써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검정할 수 있음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의 IGS 부위를 증폭시킨 후 증폭된 IGS 부위를 검정하여 아가로스 겔 상에서 생성물의 크기의 차이에 따라 간단하고 정확하게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이 순종인 것을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 검정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IGS(intergenic spacer) 부위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IGS 부위 염기서열이 품종 특이적인 크기를 나타내면서 그 개수가 이형접합(heterozygous) 형식으로 존재하는 경우 일대잡종(F1) 품종이 순종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는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종자 또는 양배추 전체로부터 게놈 DNA를 채취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를 파종하고 출아한 후 어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채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순도 검정 방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채취된 게놈 DNA를 증폭시킨 것을 사용하여 검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다양한 양배추 품종의 IGS 부위를 증폭시켜 종 특이적으로 363~3,788bp의 8개의 유형으로 구별되는 다형성을 나타내며, 양배추 일대잡종(F1)에서 나타내는 IGS 부위 유전자가 양배추 양친으로부터 유래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히 판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IGS 부위는 양배추의 25S rRNA와 18S RNA 사이의 부위를 말하며, 상기 IGS 부위는 비암호화 유전자, 또는 암호화 유전자 및 비암호화 유전자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30개의 양배추 품종(15개의 모본 및 15개의 부본)에 대하여 기존에 밝혀진 2가지의 IGS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6가지의 IGS(363 bp, 1,212 bp, 1,717 bp, 1,969 bp, 2,036 bp 및 2,111 bp)를 증폭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상기 30품종의 양배추 양친과 이들을 이용하여 교배한 일대잡종(F1) 15계통으로부터 분리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 및 2)를 사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한 결과, 모든 IGS type은 양배추 일대잡종(F1)로 유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양배추 품종의 IGS 부위를 증폭할 수 있다면 크기 및 주형에 결합하는 위치가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통상의 프라이머 선정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프라이머 디자인이 가능하다. 상기 양배추 품종의 전체 IGS 부위 구성과 프라이머 부위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GS 부위의 증폭은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PCR 반응은 당업계에 알려진 PCR 반응용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CR 반응용액은 분석하고자 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적당량의 DNA 중합효소(예를 들어, Thermus aquatiucs(Taq), Thermus thermophilus(Tth), Thermus filiformis, Thermis flavus, Thermococcus literalis 또는 Phyrococcus furiosis(Pfu)로부터 얻은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 dNTP, PCR 완충용액 및 물(dH2O)을 포함한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적당량의 트리톤 X-100(Triton X-100),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foxide, DMSO), Tween20, nonidet P40, PEG 6000, 포름아마이드 및 소혈청 알부민(BSA)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PCR 반응액에서 IGS 부위를 증폭시키는 반응조건 역시 관련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PCR 반응 조건에 기초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하나의 구체적 예로, 94℃에서 3분 동안 1차 변성시킨 후, 94℃에서 30초간 유지하고, 프라이머의 어닐링을 위해서는 58℃에서 30초, 그리고 프라이머의 확장을 위해서는 72℃에서 30초로 구성된 반응을 34회 정도 반복한 후 최종적으로 완전한 프라이머 연장을 위해 72℃에서 7분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IGS 부위는 전기영동, 전기적 측정 및 광학적 측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폭된 IGS 부위를 전기영동에 의해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영동시 사용하는 겔은 통상적으로 전기영동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겔을 사용할 수 있고, 대표적인 예로 아가로스 겔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영동 후 실버 염색(silver staining)으로 전기영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전기영동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 검정은 양배추 일대잡종(F1)의 게놈 DNA를 증폭시켰을 때 나타나는 밴드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순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양배추 양친으로부터 유래된 IGS에 대해 다형성을 나타내므로, 각 품종 유전형질이 고정된 부본과 모본 양친에서는 이들의 대립 유전자가 각각 단일(homozygous) 밴드 패턴으로 나타나게 된다. 양배추 일대잡종(F1)의 게놈 DNA를 증폭 시켰을 때, 양배추 양친에서 나타났던 단일 밴드들이 이형접합(heterogyzous)한 상하 이중 밴드 형식으로 모두 나타나게 되면, 이 종자는 순도로 검정 받게 된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IGS를 가지는 모본과 부본을 교배하여 생성된 양배추 일대잡종(F1)의 게놈 DNA를 증폭하였을 때 모본과 같은 형식의 대립 유전자만 단일 밴드 형식으로 나타난다면, 이 종자는 부본의 꽃가루가 수정되지 않은 모본만의 자식 개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원래 부본에서 확인된 것과 다른 크기의 대립 유전자가 양배추 일대잡종(F1)에서 나타난다면, 이는 다른 부본의 꽃가루가 수정되거나, 교배 조합이 다른 이품종이 혼입된 것으로 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친에 대한 검정과정 없이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이형성(heterozygosity) 검정 결과만으로도 순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순도검정 방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양친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서열번호 1 및 2)를 이용하여 양친의 IGS 부위를 증폭하고, 증폭된 IGS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양친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는 직접 양배추 종자로부터 게놈 DNA를 채취하는 방법 또는 양배추로부터 게놈 DNA를 채취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양배추 양친 품종과 양배추 일대잡종(F1)의 IGS 부위를 각각 증폭한 후, 동시에 전기영동하였을 때, 양배추 양친 품종에서 나타나는 단일 밴드들이 일대잡종(F1)에서 상하 이중 밴드 형식으로 모두 나타나게 되면, 이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은 양배추 양친만이 교배된 순도로 검정 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25S rRNA와 18S rRNA 사이에 존재하는 IGS 부위를 증폭시켜 종 특이적으로 363~3,788bp의 8개의 유형으로 구별되는 다형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데 필요한 실험(예를 들어, PCR 등) 및 결과 확인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약들, 예컨대, PCR 조성물, 제한효소, 아가로스, 혼성화 및 전기영동에 필요한 완충용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시약들은 상기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프라이머"란 상보적인 주형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핵산 서열은 온도와 프라이머의 용도에 따라 변이가 있지만 전형적으로 1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개의 연속 염기로 구성되며, 주형과 충분히 안정된 염기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보다 낮은 온도를 요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는 양배추 품종의 IGS(intergenic spacer) 부위를 증폭하고, 증폭된 IGS 부위를 검정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한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양배추 일대잡종(F1) 종자의 순도를 검정하는 마커로 사용하는 경우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순도검정 방법은,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놈 DNA에서 IGS 부위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IGS 부위의 크기 및 대립 유전자(밴드) 패턴을 분석하여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순도를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방법, 추출된 게놈 DNA에서 IGS 부위를 증폭하는 방법 및 반응조건, 및 증폭된 IGS 부위의 크기 및 밴드 패턴 분석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순도검정 방법은 분자표지를 기초로 하고 유전자의 전기영동에 의한 객관적인 검정방법이므로, 포장검정에서 소요되는 재배면적, 인력 및 시간의 손실 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양친 교배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순도검정 방법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는 다양한 양배추 품종의 IGS 부위를 증폭시켜 종 특이적으로 8개의 유형으로 구별되는 다형성 마커로, IGS 생성물의 크기가 다른 양친의 경우 아가로스 겔 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양친의 순도 유지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양배추 품종의 IGS의 다양성을 확인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양배추 품종의 IGS를 증폭한 후 아가로오스 겔에 전기영동하여 IGS 크기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양배추 품종의 8개 유형의 IGS를 pCR® TOPO TA 벡터에 리게션(ligation)한 후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양배추 품종의 IGS를 아가로오스 겔에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양배추 품종의 8개 유형의 IGS를 pCR® TOPO TA 벡터에 리게션(ligation)한 후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양배추 품종의 IGS의 염기서열을 시퀀싱(sequencing)하여 얼라인먼트(alignment)한 결과이다.
도 5는 양배추 품종의 8개 유형의 IGS 간의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MEGA 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성한 계통도이다.
도 6은 양배추 품종의 8개 유형의 IGS 간의 유사도를 확인하기 위해 mVIST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사부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양배추 품종의 8개 유형의 IGS 염기서열을 각각 얼라이먼트하여 반복부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30점의 양배추 양친품종(female(F) 15점; male(M) 15점)과 이들을 교배한 일대잡종(F1) 15 계통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한 후 본 발명의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IGS 부위를 증폭하여 아가로오스 겔에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양배추 시료 준비
아시아 종묘에서 30점의 양배추 양친품종(female 15점; male 15점)과 이들을 교배한 일대잡종(F1) 15 계통을 준비하였다. 표 1에서 나타내고 있는 교배조합은 아시아 종묘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통명을 기재하였으며, 교배조합에서 F는 female, M은 male, F1은 일대잡종을 나타낸다.
번호 계통명 교배조합 번호 계통명 교배조합
1 F1 25 F1
2 1464 F 26 632 F
3 621 M 27 755 M
4 F1 28 F1
5 8352 F 29 842 F
6 636 M 30 621 M
7 F1 31 F1
8 225 F 32 337S F
9 94 M 33 94 M
10 F1 34 F1
11 9051 F 35 IB14 F
12 3074 M 36 DWB M
13 F1 37 F1
14 2409 F 38 842 F
15 8S8-7 M 39 2409 M
16 F1 40 F1
17 26S F 41 496B F
18 NC1 M 42 2409 M
19 F1 43 F1
20 337 F 44 9051 F
21 P15-41 M 45 PKT-41 M
22 F1
23 2418 F
24 CT5-51 M
실시예 2 : 양배추 검출용 프라이머의 설계 및 합성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의 전체 45S rDNA 염기서열을 파이젠(www.phyzen.com)에 의뢰하여 확인하였다. 그 다음 25S의 말단부위와 18S 개시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IGS(intergenic spacer) 영역의 염기서열을 증폭할 수 있는 Forward 프라이머와 Reverse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orward 프라이머(5′→3') 염기서열 reverse 프라이머(5′→3')
IGS ATTCAGCCCTTTGTCGCTAA(서열번호 1) ATGACTACTGGCAGGATCAACCAG(서열번호 2)
실시예 3 : 양배추의 게놈 DNA 추출 및 IGS 증폭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30점의 양배추 양친품종(female 15점; male 15점)과 이들을 교배한 일대잡종(F1) 15 계통의 어린잎을 막자사발에 넣고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곱게 간 후, DNA 추출 키트(DNeasy Plant Mini Kit, QIAGEN, Cat. No. 69104)를 사용하여 게놈 DNA(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품종의 게놈 DNA 100ng에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프라이머 세트(10pmol), Taq 중합효소 및 PCR 용액(Cat. No. G2002, ㈜제넷바이오, korea)을 혼합한 후 94℃에서 3분 동안 반응시킨 후, 94℃에서 30초, 58℃에서 30초, 72℃에서 30초를 1 사이클로 하여 34번 반복하였고, 마지막으로 72℃에서 7분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실시하였다. PCR 증폭이 끝난 생산물은 EtBr(ethidium bromide) 0.5㎍/㎖이 혼합된 1.5%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UV 상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30점의 양친품종에서 기존에 밝혀져 있는 X56978(3,567bp)와 X60324(3,788bp)의 IGS 이외에 크기 차이를 가지는 6가지의 IGS를 확인하였다. 상기 6가지 IGS는 크기순으로 각각 IGS-A, IGS-B, IGS-C, IGS-D, IGS-E 및 IGS-F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 새롭게 발견된 IGS 영역 클로닝 및 염기서열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확인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6가지의 IGS(A 내지 F) 밴드를 DNA 정제키트(purification kit, Promega)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정제한 DNA는 pCR® TOPO TA vector(Invitrogen, USA)에 리게이션(ligation)한 후 유전자 정제키트(plasmid purification kit, Promega)를 사용하여 벡터를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된 벡터는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PCR 조건으로 유전자를 증폭한 후 EtBr(ethidium bromide) 0.5㎍/㎖이 혼합된 1.5%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UV 상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정제된 벡터는 마크로젠(Macrogen, korea)에 시퀀싱(sequencing)을 의뢰하였고,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새롭게 발견된 IGS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도 4 및 서열번호 3 내지 8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6가지 IGS의 염기서열의 크기는 각각 363bp(IGS-A; 서열번호 3), 1,212bp(IGS-B; 서열번호 4), 1,717bp(IGS-C; 서열번호 5), 1,969bp(IGS-D; 서열번호 6), 2,036bp(IGS-E; 서열번호 7) 및 2,111bp(IGS-F; 서열번호 8)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의 양배추 품종 식별 가능성 검정
상기 실시예 4에서 확인된 6가지의 IGS 염기서열과 기존에 밝혀진 두가지의 IGS(X56978 및 X60324)의 염기서열을 MEGA 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도(phylogenetic tree)를 작성하여 각각의 서열에 대한 유사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mVIST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IGS 염기서열간의 유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양배추 양친품종이 서로 다른 크기의 IGS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양배추 품종의 식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 새롭게 발견된 IGS의 반복부위(repeat region) 확인
상기 실시예 4에서 확인된 6가지의 IGS 염기서열과 기존에 밝혀진 두가지의 IGS(X56978 및 X60324)의 염기서열을 각각 얼라이먼트(alignment)하여 반복부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IGS-A와 IGS-B는 반복부위가 없었으며, IGS-C, IGS-D, IGS-E 및 IGS-F는 약간의 반복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 :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양배추 품종 내 IGS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30점의 양배추 양친품종(female(F) 15점; male(M) 15점)과 이들을 교배한 F1 일대잡종 15 계통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한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IGS 부위를 증폭하였다. 상기 게놈 DNA 추출과 IGS 부위 증폭은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증폭된 DNA는 EtBr(ethidium bromide) 0.5㎍/㎖이 혼합된 1.5%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한 후 UV 상에서 밴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양친품종이 가지고 있는 모든 IGS 타입이 일대잡종(F1)으로 유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양배추 품종에 대한 순도검정용 마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종자혼입을 쉽게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10> Sunchon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Purity checking method for F1 hybrid seeds using intergenic spacer regions of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 ribosomal DNA <130> PA-14-0217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 forward primer <400> 1 attcagccct ttgtcgctaa 20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 reverse primer <400> 2 atgactactg gcaggatcaa ccag 24 <210> 3 <211> 3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A sequence <400> 3 ccctccccct ttctaatcat acgttcctcc ccaaaacgtt aaacaccgga aaacgcaaaa 60 aaattcaagt atctaagaag acgtcgtcag aggttcgaga tttttacttg gtgaaattca 120 ctctcgcccc aatatttcag attgaccgat gaaatgcaac cctcatgtgc acaagtctcg 180 gccaaaaata acacacatgt aatatgggat tcaggtcaat catggccata tagagttgag 240 tgacatggag gaagtagtga caataacaca catattctcc atccacggcc aagtcttcgt 300 ctgttccctc tttccatgtg tttgcgggaa catgaccagg gcttgccgtg atttatgaat 360 gct 363 <210> 4 <211> 1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B sequence <400> 4 ccctccccct ttccaatcat acgttcctcc tcaaaacgtt aaacaccgga agtggagaag 60 aaaagaggtt ttaagacgag gtgttcttca aaggcagcag ccacatctct tccttcaatt 120 ggggtaataa tcaaaaagat attttgatta ttatcttgta acgagtagaa acattctcat 180 tgagattttt tttattattt aattggtagg aaggtttcga tgcacgggct caatcagtat 240 ttgctcagtc aaagctgaaa agtgaaatca ggttcaagtc tgaggttgtg taaactcatc 300 tctacgctgt agaaaaaatt gtgtaaaaat aacataaagg gggattgaac tcgggctcgt 360 tgtgaaagga aaaagagacc aaaccaacat gccatatgag ttattcgttt ataactataa 420 gttcaaaaat ttaaggtaaa ttcaatgatc tgaattaatt atgtatttca aaaaaaaatt 480 gtttggcatg aagctagaga caaagaggta cacaaaaatg tattcggatt ataaattcag 540 ttcaaaaaat aaataaaatc acagttttaa aacacaaaga tagaagcaaa gcatacaaga 600 aaaattcgtt tagcaataat aacaccgaga gtggttggaa agattgatgt tagcggggca 660 atgaacgtgc ggcgtatgag tggtgattgg atagctagtg tttgtaggct ctgtgctcgc 720 gcacccaact acagaccaac tatccttctc agtttcttca ctagcatagc tatgcttgtt 780 gaactgatca ggggcctgtg ttgcgtacct atctagaagg aattgttaag ctttgcttaa 840 aatattgttc gcggcatctc cttcattggg gaagtcgtga acgcataagc cggcacttgt 900 gatccttgcg tctttgcata atttatgcat tgttcgccaa ggtgaacaag ttgtttgctg 960 ggatctcggt tgcggaaaga ttatggcggt gactcgaaga aattctgtcc tgctaagcac 1020 gtttgtctcc ggacaaaaga tgacggtcaa gtcttcgtct gttccctctt tccatgtgtt 1080 tgcgggaaca tgaccagggc ttgccgtgat ttatgaatgc t 1121 <210> 5 <211> 17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C sequence <400> 5 ccctccccct ttccaatcat acgttcctcc ccaaaacgtt aaacaccgga aacgcaaaaa 60 aattcaagta tctaagaaga cgtcgtcaga ggttcgagat ttttacttgg tgaaattcac 120 tgtcacccca atatttcaga ttgaccgatg aaatgctgcc ctcatgtgca caattctcgg 180 ccaaaagcat cctgacggga gcattaactc ccgaaagagc tttcgttcac agttgtgtcc 240 acgggtatca tggcagctgg cttgatataa ttcatccctt cagtacgctt ggcctcgatc 300 agaccacggg aagggccaac gtgctgatat gtgtactgat gtactgtcct cgtgggcgaa 360 aatcacccgg acagtccacg gaaagggcca acgtgctgat atgcgtactg acggacagtc 420 atcgtgggcc aaaatcaccc ggacagtcca cgggaagggc caacgtgctg atatgtgtac 480 tgacggacag tcctcgtggc gaaaatcacc cacggacagt cctcgtgggc gaaaatcacc 540 cacgtcgtgg cgaaaatcac ccacgtcgtg gcgaaaatca cccacgtcgt gggcgaaaat 600 cccccacgga cagccaaaat cacccgagaa gccaaaaatt caaaaattaa tatttttgaa 660 gaaagttttc tgaaaggaaa caacaaaaat atgtcaacaa tgagtttagg atgtcaagtg 720 ttgatcaaaa gttgctatag acatccgtga agacaacaaa actccgaacc ttgtagcatg 780 caaaagacat ggttagaagc aaaagaaaat tatgaaaatt taccagaaaa tagctttaac 840 catccttatg aagcatgcaa aaaatcagat tcaaattcaa agtatttttt tttttacatt 900 aaaaatactc ccggaacaca accaatgtct actggtgaca tgctgaaaaa aagtgttttg 960 tctatataag gggtaggcat tccttttgtg cctaccagga gggtgggagt ccgaatgggt 1020 gtgggtaatg tccgagtgct tggtgcagca cgatgatgct tgggttgagg tccgatggcc 1080 gggactgtct ccggtgactt ttccggtgac ttttccggcg acttttccgg tggaccattt 1140 tgcccctaaa atcaaatttt cgcgcttgtg tggtcttggc ctggtttcat ccgtcttcca 1200 gctgctcttt tgattacatc tcgagagtgg ttggaaagat tgatgttagc ggggcaatga 1260 acgtgcggcg tatgagtggt gattggatag ctagtgtttg taggctctgt gctcgcgcac 1320 ccaactacag accaactatc cttctcagtt tcttcactag catagctatg cttgttgaac 1380 tgatcagggg cctgtgttgc gtacctatct agaaggaatt gttaagcttt gcttaaaata 1440 ttgttcgcgg catctccttc attggggaag tcgtgaacgc ataagccggc acttgtgatc 1500 cttgcgtctt tgcataattt atgcattgtt cgccaaggtg aacaagttgt ttgctgggat 1560 ctcggttgcg gaaagattat ggcggtgact cgaagaaatt ctgtcctgct aagcacgttt 1620 gtctccggac aaaagatgac ggtcaagtct tcgtctgttc cctctttcca tgtgtttgcg 1680 ggaacatgac cagggcttgc cgtgatttat gaatgct 1717 <210> 6 <211> 196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D sequence <400> 6 ccctccccca ttccaatcac aggttcctcc ccaaaacgtt acaaacaaaa acccctaaca 60 aaattcaagt atataagaag acgtcgtccg aggttcgaga tttttacttg gtgaaattca 120 ctctcgccac aatatttcag attgaccgat gaaatgcagc ccgcctgtgc acaagtctct 180 aataaaagca tcctgacggg agcattaaaa cccgaaaaaa tcaagggaaa atgttaatat 240 aacacttgat tggatgatgg atgatctagc cagcatcagt acacaggaca gagtgatatg 300 atcggccacc actcccggga aggatttaat cgagccagca tcatggacca tcagtctatg 360 aaaaagttga gccagcataa ctacaccgac agtcgaaggg ccagcgtgct gatatgagtt 420 cagtacatga atagtccacg gacagtccat gggaagggcc agcgtgctga tatgagttca 480 gtacatgaat agtccacgga cagtccatgg gaagggccag cgtgctgata tgagttcagt 540 acatgaacat tccacggaca gtccatggga atggccaacg tgctgatatg tgtactgacg 600 gacagtccat gggaagggcc agcgtgctga tatgagttca gtacacaaac tgtccgtggg 660 aagggccaac gtgctgatat gtgtactgac agacagggca tgcgtgctga tatgagttca 720 gaagacgaac agtcaactgg aagggccagc gtgctgatat gtgtactgga aagtcctcct 780 gggccaaaat cagtacacta acagtccatg ggaaggtcaa gtgtgctgaa atatgtactg 840 acagacagcc cacgtgggcc aaaatcaccc acggatagcc aaaatcaccc gagaagccaa 900 aaattaatat ttttgaaaaa cgttttctga aaggaaacat caaaaatatg tcaacaaaga 960 gtttcagatg tcaagtgttg atcaaaagtt gctatacaca tccgttaagg ccacgaaacc 1020 ccgaaccttg tagcatgcaa aagacatggt taacagcaaa agaaaattat gaaactttac 1080 cagaaaatag ctttaaccat tcttatgaag catacaaaaa aatcagattc aaattcgatg 1140 tatttgtttt tttacattaa aaatactccc gtaacacaac caatgtctaa tggtgacaga 1200 ctgaaaaaaa gtgttttgtc tatataaagg gtaggcactc ttctgtgcct acgctgaagg 1260 tgggagtccg aatgggtatg tccgacttct cggtcctaca cgatcgatgg ttgggctgag 1320 gtccgatggc aggactgtct ctggcgaatt ttacggcaac ttttctgtca aattttccgg 1380 cggaccgttt agcccctaac ctcaaatttt cgcgcttgtg tggtcatggc ctggtttcat 1440 ccgtcttcta gctgctcttt tgattacatc ttgagagtgg ttggaaagat tgatgttagc 1500 ggggcatttg aacgtgtggc gtatgagtgg tgattggata gctagtgttt gtaggctctg 1560 tgctcgcgca cccaacaaca gaccaactat ccttctcatt ttcttcacta gcatagttat 1620 gcttgtttga actgatcagg ggcatatgtt gcgtacctat ctagaaggaa ttattaaact 1680 ttgcttaaaa ttttgtttgc ggcatctcct tcacttggga agttgtgaac acataagccg 1740 gcacttgtga tccttgcgtc tttgcataat ttatgcatcg tttgcaaagg tgaataagtt 1800 gtttgctgag atctcggttg cggaaagatt atggcggtga ttcgaagaaa tactgtcccg 1860 ctaagcacgt ttgtctccgg acaaaagatg acggtcaagt ctgcgtctgt tcccactttc 1920 catgtgtttg cgggaatatg acgtggtctt tccctgattt atgaaagct 1969 <210> 7 <211> 20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E sequence <400> 7 ccctcccctt tccaatcata cgttcctccc caaaacgtta aacaccgaaa acgcaaaaaa 60 attcaagtat ctaagaagac gtcgtcagag gttcgagatt tttacttggt gaaattcact 120 ctcaccccaa tatttcagat tgaccgatga aatgctgccc tcatgtgcac aattctcggc 180 caaaagcatc ctgacgggag cattaactcc cgaaagagct ttcgttcaca gttgtgtcca 240 cgggtatcat ggcagctggc ttgatataat tcatcccttc agtacgcttg gcctcgatca 300 gaccacgaaa aaaataaggg aaaatgttaa cacttggttg gatgatcagc cactactgcc 360 gggaaggatg taatcgagcc agcatcagta aaacttgaga ccatcatgga ccatcagtcc 420 atgaaaaatt ctcaagctat cagtacactc agacaaaaat cacgatatgt gtactgatgg 480 actgtcaacg tgggtcagtt gtccactgac agtccacggg aagggcaaac gtgctgctga 540 tatgtgtact aacggacagt cctcgtgggc gaaaatcacc caaacagtcc acgttgactg 600 tccatcagta cacaattgtc tactgacgga cagtcctcgt aggcgaaaat cacccacgga 660 cattcctcgt gggcgaaaat cacccacgga tagtccacgg gaagggccaa cgtgctgata 720 tgcgtactaa cggacagtca tcgtgggcca aaatcacccg gatagtccac gggaagggcc 780 aacgtgctga tatgtgtact gacggacagt cctcgtggcg aaaatcaccc acggacagtc 840 ctcgtgggcg aaaatcaccc acgtcgtggc gaaaatcacc cacgtcgtgg cgaaaatcac 900 ccacgtcgtg ggcgaaaatc ccccacggac agccaaaatc ccccgagaag ccaaaaattc 960 aaaaattaat atttttgaag aaagttttct gaaaggaaac atcaaaaata tgtcaacaat 1020 gagtttagga tgtcaagtgt tgatcaaaag ttgctataga catccgtgaa gacaacaaaa 1080 ctccgaacct tgtagcatgc aaaagacatg gttagaagca aaagaaaatt atgaaaattt 1140 accagaaaat agctttaacc atccttatga agcatgcaaa aaatcagatt caaattcgaa 1200 gtattttttt ttttacatta aaaatactcc cggaacacaa ccaatgtcta ctggtgacat 1260 gctgaaaaaa agtgttttgt ctatataagg ggtaggcatt ccttttgtgc ctaccaggag 1320 ggtgggagtc cgaatgggtg tgggtaatgt ccgagtgctt ggtgcagcac gatgatgctt 1380 gggttgaggt ccgatggccg ggactgtctc cggtgacttt tccggtgact tttccggcga 1440 cttttccggt ggaccatttt gcccctaaaa tcaaattttc gcgcttgtgt ggtcttggcc 1500 tggtttcatc cgtcttccag ctgctctttt gattacatct cgagagtggt tggaaagatt 1560 gatgttagcg gggcaatgaa cgtgcggcgt atgagtggtg attggatagc tagtgtttgt 1620 aggctctgtg ctcgcgcacc caactacaga ccaactatcc ttctcagttt cttcactagc 1680 atagctatgc ttgttgaact gatcaggggc ctgtgttgcg tacctatcta gaaggaattg 1740 ttaagctttg cttaaaatat tgttcgcggc atctccttca ttggggaagt cgtgaacgca 1800 taagccggca cttgtgatcc ttgcgtcttt gcataattta tgcattgttc gccaaggtga 1860 acaagttgtt tgctgggatc tcggttgcgg aaagattatg gcggtgactc gaagaaattc 1920 tgtcctgcta agcacgtttg tctccggaca aaagatgacg gtcaagtctt cgtctgttcc 1980 ctctttccat gtgtttgcgg gaacatgacc agggcttgcc gtgatttatg aatgct 2036 <210> 8 <211> 21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S-F sequence <400> 8 ccctccccct ttccaatcat acgttcctcc ccaaaacgtt aaacaccgaa aacgcaaaaa 60 aattcaagta tctaagaaga cgtcgtcaga ggttcgagat ttttacttgg tgaaattcac 120 tctcacccca atatttcaga ttgaccgatg aaatgctgcc ctcatgtgca caattctcgg 180 ccaaaagcat cctgacggga gcattaactc ccgaaagagc tttcgttcac agttgtgtcc 240 acgggtatca tggcagctgg cttgatataa ttcatccctt cagtacgctt ggcctcgatc 300 agaccacgaa aaaaataagg gaaaatgtta acacttggtt ggatgatcag ccactactgc 360 cgggaaggat gtaatcgagc cagcatcagt aaaacttgag accatcatgg accatcagtc 420 catgaaaaat tctcaagcta tcagtacact cagacaaaaa tcacgatatg tgtactgatg 480 gactgtcaac gtgggtcagt tgtccactga cagtccacgg gaagggcaaa cgtgctgctg 540 atatgtgtac taacggacag tcctcgtggg cgaaaatcac ccaaacagtc cacgttgact 600 gtccatcagt acacaattgt ctactgacgg acagtcctcg taggcgaaaa tcacccacgg 660 acattcctcg tgggcgaaaa tcacccacgg atagtccacg ggaagggcca acgtgctgat 720 atgcgtacta acggacagtc ctcgtgggcg aaaatcaccc acggacagtc cacgggaagg 780 gccaacgtgc tgatatgcgt actgacggac agtcatcgtg ggccaaaatc acccggacag 840 tccacgggaa gggccaacgt gctgatatgt gtactgacgg acagtcctcg tggcgaaaat 900 cacccacgga cagtcctcgt gggcgaaaat cacccacgtc gtggcgaaaa tcacccacgt 960 cgtggcgaaa atcacccacg tcgtgggcga aaatccccca cggacagcca aaatcatccg 1020 agaagccaaa aattcaaaaa ttaatatttt tgaagaaagt tttctgaaag gaaacatcaa 1080 aaatatgtca acaatgagtt taggatgtca agtgttgatc aaaagttgct atagacatcc 1140 gtgaagacaa caaaactccg aaccttgtag catgcaaaag acatggttag aagcaaaaga 1200 aaattatgaa aatttaccag aaaatagctt taaccatcct tatgaagcat gcaaaaaatc 1260 agattcaaat tcgaagtatt ttttttttta cattaaaaat actcccggaa cacaaccaat 1320 gtctactggt gacatgctga aaaaaagtgt tttgtctata taaggggtag gcattccttt 1380 tgtgcctacc aggagggtgg gagtccgaat gggtgtgggt aatgtccgag tgcttggtgc 1440 agcacgatga tgcttgggtt gaggtccgat ggccgggact gtctccggtg acttttccgg 1500 tgacttttcc ggcgactttt ccggtggacc attttgcccc taaaatcaaa ttttcgcgct 1560 tgtgtggtct tggcctggtt tcatccgtct tccagctgct cttttgatta catctcgaga 1620 gtggttggaa agattgatgt tagcggggca atgaacgtgc ggcgtatgag tggtgattgg 1680 atagctagtg tttgtaggct ctgtgctcgc gcacccaact acagaccaac tatccttctc 1740 agtttcttca ctagcatagc tatgcttgtt gaactgatca ggggcctgtg ttgcgtacct 1800 atctagaagg aattgttaag ctttgcttaa aatattgttc gcggcatctc cttcattggg 1860 gaagtcgtga acgcataagc cggcacttgt gatccttgcg tctttgcata atttatgcat 1920 tgttcgccaa ggtgaacaag ttgtttgctg ggatctcggt tgcggaaaga ttatggcggt 1980 gactcgaaga aattctgtcc tgctaagcac gtttgtctcc ggacaaaaga tgacggtcaa 2040 gtcttcgtct gttccctctt tccatgtgtt tgcgggaaca tgaccagggc ttgccgtgat 2100 ttatgaatgc t 2111

Claims (3)

  1. 양배추 일대잡종(F1)으로부터 유래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IGS(intergenic spacer) 부위를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IGS 부위 염기서열이 서열번호 3의 363bp 증폭산물, 서열번호 4의 1,212bp 증폭산물, 서열번호 5의 1,717bp 증폭산물, 서열번호 6의 1,969bp 증폭산물, 서열번호 7의 2,036bp 증폭산물, 서열번호 8의 2,111bp 증폭산물, 3,567bp 증폭산물 및 3,788bp 증폭산물의 8개 유형으로 구별되는 다형성을 나타내면서 그 개수가 이형접합(heterozygous) 형식으로 존재하는 경우 일대잡종(F1) 품종이 순종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놈 DNA는 상기 양배추 일대잡종(F1)의 종자 또는 어린 식물체의 잎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는 방법.
  3.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양배추 일대잡종(F1) 품종의 순도를 검정하기 위한 키트.
KR1020150016252A 2015-02-02 2015-02-02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KR10174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2A KR101743732B1 (ko) 2015-02-02 2015-02-02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2A KR101743732B1 (ko) 2015-02-02 2015-02-02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87A KR20160094787A (ko) 2016-08-10
KR101743732B1 true KR101743732B1 (ko) 2017-06-05

Family

ID=5671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52A KR101743732B1 (ko) 2015-02-02 2015-02-02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90B1 (ko) 2020-07-30 2021-04-14 이동섭 복합밸브 및 팬코일 유닛을 통합 제어하는 스마트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024A (ja) 2002-06-12 2004-01-22 Q'sai Co Ltd キャベツdna検出用プライマー及び当該プライマーを用いたキャベツ混入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024A (ja) 2002-06-12 2004-01-22 Q'sai Co Ltd キャベツdna検出用プライマー及び当該プライマーを用いたキャベツ混入判定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Facul.Agric.Niigata Univ., 65(2):137-147
Genome 43: 317-3231
HORTSCIENCE 42(3):724-727
Scientia Horticulturae 155 (2013) 92-9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90B1 (ko) 2020-07-30 2021-04-14 이동섭 복합밸브 및 팬코일 유닛을 통합 제어하는 스마트 통합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87A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1687B2 (en) Sidt 1 gene controlling determinate growth habit in sesame and SNP molecular marker thereof
CN108893551B (zh) 一种检测花生高油酸含量的分子标记方法及应用
KR101095220B1 (ko)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2198566B1 (ko) 고구마 품종 판별을 위한 테트라 프라이머 arms-pcr용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816573B1 (ko) 수박의 덩굴마름병 저항성 또는 감수성 판별용 마커
KR100769366B1 (ko) 녹두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052428B1 (ko) 머루 자원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TWI635182B (zh) 用於早期鑑別木瓜性別及性別相關性狀之分子標記及其應用
KR102192666B1 (ko) 황색 과육의 복숭아 품종 선발용 snp 마커
KR102264299B1 (ko) 수박 잎 결각 형질 선발용 신규 유전자 마커 및 이의 이용
JP5799600B2 (ja) ユーカリ属の種間雑種の樹種識別法
KR101743732B1 (ko)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Halász et al. Preliminary characterization of the self-incompatibility genotypes of European plum (Prunus domestica L.) cultivars
CN113046464B (zh) 筛选大豆材料的分子标记、筛选方法、育种方法和应用
KR101219546B1 (ko) 녹두에서 바구미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개발 및 이의 용도
KR102461763B1 (ko) 서양계 호박의 여교배 세대단축 육종을 위한 단일염기 다형성 마커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458440B1 (ko)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 방법
CA2711633A1 (en) Maize plants characterised b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KR100736152B1 (ko)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CN109652579B (zh) 水稻抗稻瘟病基因Pi2的共显性分子标记及其检测方法与应用
TWI600768B (zh) 用於早期鑑別木瓜性別及性別相關性狀之分子標記及其應用
KR100769367B1 (ko) 기장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42429B1 (ko) 잔디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N112980985B (zh) 鉴定或筛选甘蓝杂种致死亲本类型1的pcr引物组及应用
KR102572418B1 (ko) 양파 잿빛곰팡이 저항성 형질을 예측 또는 진단하기 위한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또는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