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52B1 -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 Google Patents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52B1
KR100736152B1 KR1020060012268A KR20060012268A KR100736152B1 KR 100736152 B1 KR100736152 B1 KR 100736152B1 KR 1020060012268 A KR1020060012268 A KR 1020060012268A KR 20060012268 A KR20060012268 A KR 20060012268A KR 100736152 B1 KR100736152 B1 KR 10073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ubspecies
japonica
indica
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희종
진중현
김정희
강문수
추상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6001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벼의 두 아종인 인디카와 자포니카를 감별할 수 있는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개발하여 두 아종을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벼 품종 및 계통들 게놈의 아종성을 감별하여, 생산력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우량형질품종개발 등 아종간 게놈을 이용하는 품종 육성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벼, 아종, 인디카, 자포니카, STS 마커세트, 아종 감별

Description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STS Marker Set for Identification of Subspecies in Rice}
도 1은 염색체 1~5에 대한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들의 프라이머 세트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1)STS 마커의 명명 방식: "S"(STS마커 표시) + "00"(염색체번호) + (마커의 위치:cM)
2)일본 게놈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Nipponbare/Kasalath의 RELP 지도에 근거한 마커의 염색체상 위치
3)마커가 속한 각 BAC 또는 PAC 클론들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됨
4)프라이머는 웹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Primer 3' (http://frode.wi.edu/cgi-bin/primer3/primer3_www.cgi)에 의해 제작
5)PCR 후 증폭된 앰플리콘의 크기(bp)
6)각 BAC 또는 PAC 클론내에서 마커의 위치를 염기서열 번호로 나타낸 것
7)마커들의 아종 특이성 정도(%)로서 아종특이성이 93.3% 이상인 경우 아종 특이적인 마커로 간주됨
도 2는 염색체 6~12에 대한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들의 프라이머 세트 정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는 염색체 1에 대한 STS 마커 S01022(A), S01054(B), S01140(C), S01157B(D), S01160(E)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은 염색체 2에 대한 STS 마커 S02026(A), S02052(B), S02054(C), S02057B(D), S02081B(E), S02085(F), S02140(G)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염색체 3에 대한 STS 마커 S03010B(A), S03020(B), S03027(C), S03041(D), S03046(E), S03048(F), S03096(G), S03099(H), S03120(I), S03136(J), S03145(K)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는 염색체 4에 대한 STS 마커 S04058(A), S04060(B), S04077A(C), S04077B(D), S04087A(E), S04097B(F), S04128(G), S04129B(H)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염색체 5에 대한 STS 마커 S05064(A), S05080A(B)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염색체 6에 대한 STS 마커 S06001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은 염색체 7에 대한 STS 마커 S07011(A), S07048(B), S07050A(C), S07050C(D), S07101(E), S07103(F)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는 염색체 8에 대한 STS 마커 S08066(A), S08090(B), S08106(C), S08107(D)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염색체 9에 대한 STS 마커 S09000A(A), S09026B(B), S09040B(C), S09058(D), S09062B(E), S09065(F), S09073(G), S09075A(H), S09075B(I), S09093A(J)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은 염색체 10에 대한 STS 마커 S10001(A), S10003A(B), S10013A(C), S10019(D), S10026C(E), S10071(F), S10072(G)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는 염색체 11에 대한 STS 마커 S11004A(A), S11006A(B), S11028(C)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은 염색체 12에 대한 STS 마커 S12011B(A), S12030(B), S12109B(C)의 PCR 수행 후,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Sequence Tagged Site) 마커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벼의 두 아종인 인디카와 자포니카를 감별할 수 있는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개발하여 두 아종을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벼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벼의 육종기술은 1960~70년대의 녹색혁명 이래 두드러진 연구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근래에 분자 유전자지도, DNA 마커(DNA marker)의 개발과 마스(marker-assisted selection, MAS)기술이 대두되면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식물학적으로 벼속(Oryza)에는 야생벼를 포함해 22~24개의 종이 있다. 이 가운데 재배벼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아시아종(Oryza sativa L.)과 서아프리카 일부지역에서 밭벼로 재배하는 아프리카종(Oryza glaberrima Steud.) 두 가지 종뿐이다. 아프리카종은 유전적 변이가 단순한 반면, 아시아종은 매우 다양한 생태형으로 분화하여 각 지역으로 전파, 재배지역이 확대되면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오랜 진화과정을 통해 자연적으로 이뤄졌다.
벼는 품종들간의 잡종불임 정도와 형태적 차이 등에 따라 일명 안남미로 불리는 인디카(indica)와 한국과 일본인이 주로 먹는 자포니카(japonica)로 구분되는 두 아종이 있으며, 교잡친화성면에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중간적인 특성을 보이는 자바니카(javanica)는 최근 분자마커로 조사한 결과 자포니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어 이를 열대 자포니카로, 자포니카는 온대 자포니카로 구분하게 되었다.
인디카 품종들은 쌀알이 길쭉하고 끈기가 없어 부슬부슬 흩어지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적응한 열대형으로서, 전세계 쌀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며 병해충 저항성이 강하다. 인디카와 자포니카 교배 후 인디카로 다시 여교배(back cross)하여 육성된 품종군으로 유전적으로 인디카에 가까운 변형된 인디카인 통일형 품종들은 수량성은 우수하나, 내냉성 또는 저온저항성이 매우 불량하고 밥을 지었을 때 그 맛이 동북지역의 소비자들에게는 불량하다. 반면 온대 자포니카 품종들은 온대에 적응한 형태로서 낟알이 짧고 둥글며 기름지고 찰기가 많다. 수량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내냉성이 좋고, 식미가 우수하여 동북아시아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육종학자들은 이러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장점들을 결합시켜 수량성이 높고, 병해 충 저항성이 강하며, 내냉성이 강하고 식미가 우수한 이상적인 품종을 육성하고자 노력해왔다. 외국의 경우, 초다수성벼에 내냉성과 고품질을 추가하고자 국제 벼연구소를 중심으로 초다수성 벼 육종에 주력하고 있는데, 이는 열대 자포니카와 인디카 품종을 이용하여 새로운 초형을 만듦으로써 달성코자하나, 이 초다수성 계통은 동북아의 생태조건에 잘 적응이 되지 않으며 설사 그렇더라도 내냉성과 품질이 역시 매우 저조하여 이용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의 주요 품종인 온대 자포니카 벼는 내냉성과 품질은 우수하지만, 수량증가는 거의 10여 년 동안 큰 진전이 없으며(1987년 4.93톤/ha에서 1999년 4.95톤/ha), 금후에도 급속한 수량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워 증산을 위해서는 초다수성벼의 개발이 불가피하다. 1970년 통일벼 육성 이후 최근의 초다수성벼 육성까지 벼의 잠재 수량성은 증가하여 왔으나(1970년대 5.13톤/ha에서 1995년 다산벼 7.10톤/ha), 내냉성이 약하고 품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여 그 보급 확대가 제한되고 있다. 이에, 통일벼의 다수성과 자포니카의 내냉성 및 식미를 결합하는 것은 벼 유전육종에서 대단히 중요한 과제임이 틀림없다.
2002년 12월 18일 12개의 염색체에서 366 Mb의 염기서열, 62,435개의 추정 유전자를 발표함으로써, 고등식물에서 애기장대에 이어 두 번째로 벼의 염기서열이 해독 공개되었고, 이는 벼의 기능유전체 연구의 발달을 가져왔으며, 유전 육종적 측면에서의 다음 단계인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주요 농업형질들에 대한 유전자를 분 리하고 그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구명하며, 선발마커를 개발하는 연구를 가능케 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디카와 자포니카간 교배된 잡종후대에서는 불임이 심하게 발생하고 우량형질들간에 재조합이 잘 일어나지 않아 이들의 육종이 성공적이지 못하였으나, 지금까지 아종간 재조합이 제약되는 원인조차 구명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디카와 자포니카간 재조합이 잘 일어나지 않는 유전학적인 원인 구명과, 재조합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마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벼에서 아종인 인디카와 자포니카를 효과적으로 구분하는 아종 특이적 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종 특이적 마커를 이용하여 벼에서 아종인 인디카와 자포니카간의 품종 및 계통들 게놈의 아종성을 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벼에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두 아종을 감별할 수 있는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벼에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두 아종에 특이적인 대립유전자를 감별할 수 있는 67개의 프라이머 세트로 이루어진 STS 마커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벼에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두 아종을 감별할 수 있는 서열번호 1~13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아종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이용하여 벼의 아종을 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전자 다형성 분석기술에 있어, 다형성 DNA 마커(DNA marker)로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또는 VNTR(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기법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수의 유전자에 대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간단히 타이핑(typing)할 수 있는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microsatellite marker)를 활용하고 있다.
염색체별로 이에 대응되는 물리적 지도를 만드는 데에는 유전적 연관지도에서 유전 적 마커(genetic marker)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위치계표(sequence tagged site, STS)라는 물리적 표지가 중요하다(Olson MV et al., Science, 1989, 245:1434-1435). STS는 유전체상의 일정한 고유의 위치와 특이한 서열을 가지는 표지, 곧 일정 염색체상의 고유한 물리적 위치를 점유하는 고유서열을 지칭하며, STS는 전체 게놈의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기준점이 된다. 대부분 무작위로 STS를 함유하는 라이브러리(library)가 만들어져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유전적 표지로 사용된 마이크로새틀라이트도 물리적 지도의 관점에서 보면 STS이다.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내부의 반복서열의 수가 개체별로 차이가 난다해도(따라서 대립인자로 판정할 수 있다), 그 인접부위의 서열은 고유하며 그 염색체상의 위치는 개체별 차이가 없다. 이렇게 유전체적으로 고유한 STS를 이용하여 유전체의 조각들을 함유한 유전체적 클론(clone)들의 물리적 위치관계를 지정할 수 있으며, 겹침(overlapping)을 보여주는 클론들을 STS의 함유에 근거하여 콘티그(contig)로 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벼에서 아종 특이적인 STS(Sequence Tagged Site) 마커 개발을 위하여, 벼 염기서열 국제 컨소시움에서 발표된 자포니카벼(Nipponbare)의 염기서열과 중국에서 분석하고 미국 국가생명공학센터(NCBI)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통하여 공개된 인디카벼 염기서열 간에 각 염색체에서 2~3 cM(centiMorgan) 간격으로 염기서열을 비교하였고, 삽입이나 결실에 의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 간에 10 bp 이상 차이가 나는 부위를 탐색하였다. 차이가 있는 부위의 염기서열을 프라이머(primer) 제작 프로그램(http://frodo.wi.mit.edu/cgi-bin/primer3/primer3_www.cgi)에 입력하여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아종 특이성을 검정하기 위한 벼 품종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자포니카와 인디카 모두 우리나라 품종들을 포함하고, 지리적 기원이 다양한 품종들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적은 품종으로도 많은 수의 품종을 사용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이다.
[표 1] 아종 특이적 마커 개발을 위하여 검정에 사용한 30품종
자포니카 인디카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통일형 인디카
1a) Tong88-7 Cb) 11 Gogowiere IN 16 다산벼 K 21 China1039 C
2 일품벼 K 12 Malagit Sinaguing P 17 밀양23 K 22 IR36 IR
3 동진벼 K 13 B581A6 P 18 청청벼 K 23 IR72 IR
4 TR22183 C 14 CP-SLO U 19 한강찰벼 K 24 Tadukan M
5 Hapcheon1 K 15 Azucena P 20 남풍벼 K 25 Tetep M
6 Norin mochi1 J a) 품종번호 b) 품종이 유래된 지리적 기원지 C:중국, K:한국, J:일본, I:인도, S:스리랑카, U:미국, P:필리핀, V:베트남, IN:인도네시아, M:미얀마, IR: 국제 벼연구소(IRRI) 26 ARC10239 I
7 낙동벼 K 27 Basmati370 S
8 신금오벼 K 28 IR21015 IR
9 Nipponbare J 29 New Sabramati I
10 화청벼 K 30 Chinsurah BoroⅡ I
처음 제작한 총 765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BSA(Bulked segregant Analysis)법으로 예비선발 하였다.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통일형, 인디카의 각 품종군에서 최초 5개 품종씩을 정하여 4개의 벌크(bulk) DNA 샘플을 제작하고 765개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각각 중합효소 연쇄반응한 후 증폭된 것을 전기영동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 간에 증폭 길이가 다른지를 비교하였다. 이때 증폭된 길이는 처음 프라이 머를 제작할 때 증폭 앰플리콘(amplicon)의 예상 크기와 동일한지를 확인하였다. BSA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하기의 표 2와 같이 총 338개의 프라이머를 특이성이 있을 것으로 예비 선발하였다.
[표 2]
염색체 번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평균
제작 검정한 전체 프라이머수(T) 66 53 66 61 82 60 62 81 64 51 70 49 765 63.8
BSA screened primers (B) 29 23 32 29 42 21 35 26 37 23 23 18 338 28.2
No. of SS primers (S) 5 7 11 8 2 1 6 4 10 7 3 3 67 5.6
S/T (%) 7.6 13.2 16.7 13.1 2.4 1.7 9.7 4.9 15.6 13.7 4.3 6.1 8.8 8.8
예비 선발된 프라이머들을 30개의 품종에 각각 중합효소 연쇄반응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 품종들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때 30품종 중 2개까지의 예외를 인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3개부터는 불인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없는 마커로 분류하였다. 아종특이성 검정 공식을 세워 아종특이성이 93.3% 이상이면 아종특이성이 있는 마커로 간주하였고, 결과적으로 12개의 염색체에 속한 67개의 아종 특이적 마커들을 동정하였다(표2).
마커의 아종특이성(Subspecies-specificity score of each marker) 검정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09415458-pat00001
품종 또는 계통의 아종성(Subspecies-prototype score) 검정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09415458-pat00002
아종 특이적 마커는 세포유전학적으로 아종간 재조합이 잘 안되거나, 생태적 동시선발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자포니카와 인디카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벼 품종의 육성, 기존 품종의 아종성 검정,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교배 후대에서 육성된 계통의 아종성 검정, 아종 특이적인 유전자 대립인자 또는 일배체형(haplotype), 유전자들의 물리적 또는 생태적 연관 부위 동정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벼의 DNA 추출
상기의 표 1과 같이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통일형, 인디카의 30 품종을 재배하여 최고 분얼기에 각 품종의 벼 잎을 채취하여 -20℃에 보관한 후 잎 조직이 높지 않도록 액체질소로 냉각하면서 막자사발에 넣고 곱게 간 분말 15~20 ㎖에 DNA 추출 버퍼(0.5 M NaCl, 0.1 M Tris-Cl pH8.0, 0.05 M EDTA, 1.25% SDS) 20~25 ㎖를 넣고 65℃에서 20~30분간 배양하였다. 약 15 ㎖의 클로로포름(chloroform):이소아밀알콜(isoamylalcohol)(24:1) 용액을 넣어 잘 섞은 후 10~15분간 진탕하고 28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미라클로스(miracloth)를 통해 새 50 ㎖ 튜브(tube)에 넣고 2배액의 95% 에탄올(ethanol)로 1~2회 세척하였다. 1000~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DNA를 가라앉힌 후 에탄올 용액을 따라내고 완전히 증발시켰다. DNA를 멸균 TE 버퍼용액에 용해시킨 후 5℃에 보관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반응 전에 RNAase를 처리하여 RNA를 제거하였다. 0.8% 아가로스겔(agarose gel)에서 농도가 미리 알려진 λDNA를 대비로 전기영동하여 추출한 벼 DNA의 양을 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PCR 반응을 위해 각 품종별로 20 ng/㎕의 DNA stock을 만들었다.
실시예 2. 프라이머 제작
벼 염기서열 국제 컨씨움에서 발표된 자포니카벼의 염기서열(http://rgp.dna.affrc.go.jp/IRGSP/)과 중국에서 분석하고 NCBI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공개된 인디카벼의 염기서열(http://www.ncbi.nlm.nih.gov/BLAST/Genome/PlantBlast.shtml?10)간에 각 염색체에서 2~3 cM 간격으로 염기서열을 비교하였고, 삽입이나 결실에 의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간에 10 bp이상 차이가 나는 부위를 탐색하였다. 차이가 있는 부위의 염기서열을 탐지할 수 있도록 PCR 마커화하기 위해서 차이가 있는 부위를 포함하는 염기서열을 프라이머 제작 프로그램(http://frodo.wi.mit.edu/cgi-bin/primer3/primer3_www.cgi)에 입력하여 765개의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특이성 있는 프라이머의 예비 선발
상기 실시예에서 우선 제작한 765개의 프라이머 세트와 추출한 DNA 샘플을 사용하여 PCR반응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를 예비선발하기 위해서 BSA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각 품종군에서 5개 품종씩의 DNA를 동량으로 섞어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통일형, 인디카의 4개 벌크(bulk)를 만들고 그 bulk DNA를 765개의 프라이머로 PCR하여 증폭하였다. PCR방법은 실시예 4에서와 같다. 이렇게 증폭된 산물(product)을 전기영동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간에 증폭 길이가 다른지를 비교하였다. 이때 증폭된 길이는 처음 프라이머를 제작할 때 증폭 앰플리콘(amplicon) 의 예상 크기와 동일한지를 확인하였다. 증폭된 앰플리콘이 예상 크기와 같고 인디카와 자포니카 간에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 338개의 프라이머들을 특이성이 있을 것으로 예비 선발하였다.
실시예 4. 프라이머의 아종 특이성 검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예비 선발된 338개의 프라이머들을 30개의 벼 품종에 각각 PCR 하여 인디카와 자포니카 품종들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는지를 검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 용액의 조성은 50 ng의 게놈 DNA(genomic DNA), 5 pmol의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5 pmol의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 250 uM의 dATP, dTTP, dCTP, dGTP, 0.5 unit Taq ploymerase, PCR 버퍼(100 mM Tris(pH8.3), 500 mM KCl, 15 mM MgCl2, 2 ㎍ gelatin)를 최종 25 ㎕로 하였다. PCR 반응은 94℃에서 5분간 가열하여 변성시킨 다음, 94℃에서 1분, 55℃에서 1분, 그리고 72℃에서 2분간 35회 반복 수행한 후, 72℃에서 5분간 최종 반응하였다. 그리고 3% 메타포아 아가로스 겔(metaphor agarose gel)에서 200 볼트(volts)로 2시간동안 전기영동하였다. 이때 30개 품종 중 2개까지의 예외를 인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3개부터는 불인정하여 아종특이성이 없는 마커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하여 12개의 염색체에 속한 67개의 아종 특이적인 마커들을 동정하였다(도1~2, 도3~14).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벼의 두 아종인 인디카와 자포니카를 감별할 수 있는 아종 특이적인 대립유전자를 가지는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벼에서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아종 특이적인 STS 마커세트를 이용함으로써, 벼에서 두 아종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전적 재조합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벼 아종간 유용형질의 결합을 통하여 생산력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우량형질품종개발 등 아종간 게놈을 이용하는 품종 육성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5)

  1. 벼에서 인디카와 자포니카의 두 아종을 감별할 수 있는 서열번호 1~13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67개의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아종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
  2. 제 1항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종 특이적인 위치계표(STS) 마커세트.
  3. 삭제
  4. 삭제
  5. 제 2항의 아종 특이적인 위치계표(STS) 마커세트를 이용하여 벼의 아종을 감별하는 방법.
KR1020060012268A 2006-02-08 2006-02-08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KR10073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68A KR100736152B1 (ko) 2006-02-08 2006-02-08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268A KR100736152B1 (ko) 2006-02-08 2006-02-08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152B1 true KR100736152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268A KR100736152B1 (ko) 2006-02-08 2006-02-08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1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59B1 (ko) * 2008-12-01 2011-08-0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088775B1 (ko) 2009-02-03 2011-12-02 (주)케엔유라이스밀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1485030A (zh) * 2019-01-25 2020-08-04 华南农业大学 水稻转录因子btf3在鉴别粳稻和籼稻中的应用以及一种鉴别粳稻和籼稻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794A (ja) * 2000-09-26 2002-04-02 Olympia:Kk 遊技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794A (ja) * 2000-09-26 2002-04-02 Olympia:Kk 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95794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459B1 (ko) * 2008-12-01 2011-08-0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088775B1 (ko) 2009-02-03 2011-12-02 (주)케엔유라이스밀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1485030A (zh) * 2019-01-25 2020-08-04 华南农业大学 水稻转录因子btf3在鉴别粳稻和籼稻中的应用以及一种鉴别粳稻和籼稻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llele-specific SNP/indel markers for eight yield-enhancing genes using whole-genome sequencing strategy to increase yield potential of rice, Oryza sativa L.
CN108893551B (zh) 一种检测花生高油酸含量的分子标记方法及应用
Wang et al. Genetic mapping of the evergrowing gene in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KR101095220B1 (ko)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WO2013016520A1 (en) SOYBEAN EVENT pDAB9582.814.19.1 DETECTION METHOD
CN112266973B (zh) 一种与小麦穗发芽抗性相关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Sudha et al. Molecular studies o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and ricebean (Vigna umbellata (Thunb.)) interspecific hybridisation for Mungbean yellow mosaic virus resistance and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SCAR marker for ricebean
EP3603384B1 (en) Plant resistant to bremia
KR102052428B1 (ko) 머루 자원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CN110904266A (zh) 玉米茎秆抗倒伏性qtl的鉴定及分子标记的开发与应用
KR100842432B1 (ko) 귤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736152B1 (ko) 벼에서의 아종 감별용 sts 마커 세트
KR101822995B1 (ko) 쥬빌리계 수박 호피 무늬 형질 선발용 dna 마커
Mori et al. Mapping of QTLs controlling epicotyl length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AU2014318041A1 (en) Molecular markers for blackleg resistance gene Rlm2 in Brassica nap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Hu et al. Fine mapping of a major quantitative trait locus, qgnp7 (t), controlling grain number per panicle in African rice (Oryza glaberrima S.)
KR101219546B1 (ko) 녹두에서 바구미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개발 및 이의 용도
Prathepha et al. Variation of Wx microsatellite allele, waxy allele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loroplast DNA in a collection of Thai rice (Oryza sativa L.)
US20110041214A1 (en) Genetic Markers For Orobanche Resistance in Sunflower
AU2014318042B2 (en) Molecular markers for blackleg resistance gene Rlm4 in Brassica nap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961855B1 (ko) 식물의 화분 발달에 관여하는 phd 유전자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적 웅성불임성의 판별방법
KR100769367B1 (ko) 기장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878539B1 (ko) 콩의 싸리수염진딧물 저항성 염기다형성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43732B1 (ko) 양배추 리보솜 dna의 igs 부위를 이용한 일대잡종 종자 순도 검정방법
KR20090121918A (ko) 벼의 잡종퇴화에 관여하는 상보적인 열성 유전자 및스크리닝 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