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31B1 - 델타-시그마 변조기 - Google Patents

델타-시그마 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31B1
KR101742131B1 KR1020160134650A KR20160134650A KR101742131B1 KR 101742131 B1 KR101742131 B1 KR 101742131B1 KR 1020160134650 A KR1020160134650 A KR 1020160134650A KR 20160134650 A KR20160134650 A KR 20160134650A KR 101742131 B1 KR101742131 B1 KR 101742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fir
output
integ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배선
최무열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31B1/ko
Priority to US15/784,642 priority patent/US101482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9/00Networks using time-varying elements, e.g. N-path filters
    • H03H19/004Switched capacit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9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3/436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order of the loop filter, e.g. error feedback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2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3/35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deviations from the desired transfer characteristic
    • H03M3/354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deviations from the desired transfer characteristic at one point, i.e. by adjusting a single reference value, e.g. bias or gain error
    • H03M3/356Offset or drift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2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3/358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non-linear distortion, e.g. instability
    • H03M3/3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non-linear distortion, e.g. instability by temporarily adapting the operation upon detection of instability conditions
    • H03M3/36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non-linear distortion, e.g. instability by temporarily adapting the operation upon detection of instability conditions in feedback mode, e.g. by reducing the order of the modu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9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3/412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 H03M3/422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50Digital/analogue converters using delta-sigma modulation as an intermediate step
    • H03M3/502Details of the final digital/analogue conversion following the 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 H03M3/504Details of the final digital/analogue conversion following the digital delta-sigma modulation the final digital/analogue converter being constituted by a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i.e. FIRD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9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3/412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 H03M3/422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 H03M3/43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quantisers and their type and resolution having one quantiser only the quantiser being a single bit on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9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3/436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order of the loop filter, e.g. error feedback type
    • H03M3/438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order of the loop filter, e.g. error feedback type the modulator having a higher order loop filter in the feedforward path
    • H03M3/454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characterised by the order of the loop filter, e.g. error feedback type the modulator having a higher order loop filter in the feedforward path with distributed feedback, i.e. with feedback paths from the quantiser output to more than one filter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458Analogue/digital converters using delta-sigma modulation as an intermediate step
    • H03M3/464Details of the digital/analogue conversion in the feedback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입력 신호 및 제1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1 적분기; 상기 제1 적분기의 출력 값과 제2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2 적분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지연 변조 신호를 제1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1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1 FIR 필터 회로; 및 상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상기 지연 변조 신호를 제2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2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2 FIR 필터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델타-시그마 변조기{DELTA-SIGMA MODULATOR}
본 발명은 델타-시그마 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산시간(discrete-time, DT)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이하 DSM)는, 클록 지터에 대한 둔감성, 정확한 필터 계수, 클록 주파수의 스케일성(scalability)으로 인해서 연속시간(continuous-time) DSM에 비해, 고해상도 오디오 및 중저속 무선 수신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쓰인다. 스위치드-커패시터(switched-capacitor) 적분기(이하 SC 적분기)를 사용하는 DT DSM에서, 오피-앰프 세틀링 조건(op-amp settling requirement)에 구속됨없이 효과적인 오버샘플링 비율(oversampling ratio)(이하 OSR)을 두 배로 하는 더블 샘플링 기법이 사용되어 왔다(비특허문헌 1 참조).
두 배의 OSR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더블-샘플드(double-sampled) DSM은, 피드백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경로들 사이에서의 미스매치로 인한 노이즈 폴딩(noise folding)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노이즈 폴딩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두 개의 피드백 경로에 대해 단일 커패시터(single capacitor)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 방법에 따르면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입력 및 피드백 DAC 신호에 의해 샘플링 커패시터가 공유되는 구성을 허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비특허문헌 3 참조). 이러한 제한은 증가된 kT/C 노이즈, 오피-앰프의 보다 큰 바이어스 전류, 및 더블드 샘플링 및 집적 커패시터들에 의해 증가된 실리콘 면적을 야기한다.
노이즈 폴딩을 피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수정된 노이즈 전달 함수(noise transfer function, NTF)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비특허문헌 4 참조). 수정된 노이즈 전달 함수에서는 fs/2 부근의 성형된 양자화 노이즈(shaped quantisation noise)의 감소를 위해 제로(zero)가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기법은 노이즈 폴딩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입력-샘플링 커패시터 공유 구조를 채용할 수 있어, 감소된 kT/C 노이즈, 보다 낮은 오피-앰프 바이어스 전류, 및 보다 작은 실리콘 영역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NTF의 (1+z-1)는 SQNR(signal-to-quantisation noise ratio)을 제로 당 6 dB 만큼 악화시킬 수 있으며, fs/2에서의 제로의 구현을 위한 복잡한 더블-샘플드 레조네이터(complex double-sampled resonator)는 전력 및 면적 면에서 오버헤드(overheads)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특허문헌 1) Yang, Z., Yao, L., and Lian, Y.: 'A 0.5-V 35-uW 85-dB DR double sampled sigma-delta modulator for audio applications', IEEE J. Solid-State Circuits, 2012, 47, (3), pp. 722-735 (비특허문헌 2) Koh, J., Choi, Y., and Gomez, G.: 'A 66 dB DR, 1.2 V, 1.2 mW, single-amplifier double-sampling 2nd-order sigma-delta ADC for WCDMA in 90 nm CMOS'. ISSCC Dig. Tech. Pap., Grenoble, France, February 2005, pp. 170-171 (비특허문헌 3) Geerts, Y., Steyaert, M.S., and Sansen,W.: 'A high-performance multibit sigma-delta CMOS ADC', IEEE J. Solid-State Circuits, 2000, 35, (12),pp. 1829-1840 (비특허문헌 4) Rombouts, P., Raman, J., and Weyten, L.: 'An approach to tackle quantization noise folding in double-sampling sigma-delta modulation A/D converters', IEEE Trans. Circuits Syst. II Analog Digit. Signal Process., 2003, 50, (4), pp. 157-1633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이즈 폴딩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입력 신호 및 제1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1 적분기; 상기 제1 적분기의 출력 값과 제2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2 적분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지연 변조 신호를 제1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1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1 FIR 필터 회로; 및 상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상기 지연 변조 신호를 제2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2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2 FIR 필터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상기 제1 적분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합하는 제1 가산기; 및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상기 제2 적분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적분기의 출력 값과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합하는 제2 가산기; 및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 변조 신호에 제1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1 FIR 탭; 상기 지연 변조 신호에 제2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2 FIR 탭; 및 상기 제1 FIR 탭과 상기 제2 FIR 탭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3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 변조 신호에 제3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3 FIR 탭; 상기 지연 변조 신호에 제4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4 FIR 탭; 및 상기 제3 FIR 탭과 상기 제4 FIR 탭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4 가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1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1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1 피드백 탭;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1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1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2 피드백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3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4 스위치; 상기 제3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2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2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3 피드백 탭;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2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2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4 피드백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상기 제2 적분기의 출력 값과 제3 피드백 신호를 합산하는 제5 가산기; 상기 제5 가산기의 출력 값을 적분하는 제3 적분기; 및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3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5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6 스위치; 상기 제5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3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5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5 피드백 탭; 및 상기 제6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3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5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6 피드백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상기 제3 적분기의 출력 값을 양자화하여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지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지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는 노이즈 폴딩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피드백 DAC의 주파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NTF의 주파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FIR 필터 회로,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 가산기, 및 적분기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FIR 필터 회로,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 가산기, 및 적분기의 다른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성능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제1 적분기(110), 제2 적분기(120), 제1 FIR 필터 회로(210), 및 제2 FIR 필터 회로(2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제1 가산기(310), 제2 가산기(320),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10),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20), 제5 가산기(350), 제3 적분기(130),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30), 슬라이서(800), 및 지연 유닛(90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산기(310)는 제1 적분기(110)의 전단에 위치하며 입력 신호(U) 및 제1 피드백 신호를 합할 수 있다. 제1 적분기(110)는 입력 신호(U) 및 제1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할 수 있다.
제2 가산기(320)는 제2 적분기(120)의 전단에 위치하며 제1 적분기(110)의 출력 값과 제2 피드백 신호를 합할 수 있다. 제2 적분기(120)는 제1 적분기(110)의 출력 값과 제2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할 수 있다.
제1 FIR 필터 회로(210)는 출력 변조 신호(V) 및 지연 변조 신호를 제1 FIR 필터링 처리하여 제1 적분기(110)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다. 지연 변조 신호는 후술하는 지연 유닛(900)에 의해 출력 변조 신호(V)를 지연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1 FIR 필터 회로(210)는 제1 FIR 탭(510), 제2 FIR 탭(520), 및 제3 가산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FIR 탭(510)은 출력 변조 신호(V)에 제1 FIR 계수(f1)를 가중시킬 수 있고, 제2 FIR 탭(520)은 지연 변조 신호에 제2 FIR 계수(f2)를 가중시킬 수 있다. 제3 가산기(330)는 제1 FIR 탭(510)과 제2 FIR 탭(520)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계수를 가중시킨다는 의미는 입력 신호에 그 계수를 수학적으로 곱한다는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FIR 필터 회로(220)는 출력 변조 신호(V) 및 지연 변조 신호를 제2 FIR 필터링 처리하여 제2 적분기(120)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다.
제2 FIR 필터 회로(220)는 제3 FIR 탭(530), 제4 FIR 탭(540), 및 제4 가산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FIR 탭(530)은 출력 변조 신호에 제3 FIR 계수(f3)를 가중할 수 있고, 제4 FIR 탭(540)은 지연 변조 신호에 제4 FIR 계수(f4)를 가중할 수 있다. 제4 가산기(340)는 제3 FIR 탭(530)과 제4 FIR 탭(540)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10)는 제1 FIR 필터 회로(210)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1
) 및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2
)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제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10)는 제1 스위치(610), 제2 스위치(620), 제1 피드백 탭(710), 및 제2 피드백 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610)는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3
)에 따라 제1 FIR 필터 회로(210)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킬 수 있고, 제2 스위치(620)는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4
)에 따라 제1 FIR 필터 회로(210)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킬 수 있다.
제1 피드백 탭(710)은 제1 스위치(610)의 출력 값에 제1 피드백 계수(a1)를 가중하여 제1 가산기(310)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피드백 탭(720)은 제2 스위치(620)의 출력 값에 제1 피드백 계수(a1)를 가중하여 제1 가산기(3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20)는 제2 FIR 필터 회로(220)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5
) 및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6
)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제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20)는 제3 스위치(630), 제4 스위치(640), 제3 피드백 탭(730), 및 제4 피드백 탭(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스위치(630)는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7
)에 따라 제2 FIR 필터 회로(210)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킬 수 있고, 제4 스위치(640)는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8
)에 따라 제2 FIR 필터 회로(210)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킬 수 있다.
제3 피드백 탭(730)은 제3 스위치(630)의 출력 값에 제2 피드백 계수(a2)를 가중하여 제2 가산기(320)로 출력할 수 있고, 제4 피드백 탭(740)은 제4 스위치(640)의 출력 값에 제2 피드백 계수(a2)를 가중하여 제2 가산기(3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5 가산기(350)는 제2 적분기(120)의 출력 값과 제3 피드백 신호를 합산할 수 있다. 제3 적분기는 제5 가산기(350)의 출력 값을 적분할 수 있다.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30)는 출력 변조 신호(V)를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09
) 및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0
)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제3 피드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30)는 제5 스위치(650), 제6 스위치(660), 제5 피드백 탭(750), 및 제6 피드백 탭(7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스위치(650)는 제1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1
)에 따라 출력 변조 신호(V)를 도통시킬 수 있고, 제6 스위치는 제2 스위칭 신호(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2
)에 따라 출력 변조 신호(V)를 도통시킬 수 있다.
제5 피드백 탭(750)은 제5 스위치(650)의 출력 값에 제3 피드백 계수(a3)를 가중하여 제5 가산기(350)로 출력할 수 있다. 제6 피드백 탭(760)은 제6 스위치(660)의 출력 값에 제3 피드백 계수(a3)를 가중하여 제5 가산기(350)로 출력할 수 있다.
슬라이서(800)는 제3 적분기(130)의 출력 값을 양자화하여 출력 변조 신호(V)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서(800)로서 1 비트 양자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지연 유닛(900)은 출력 변조 신호(V)를 지연시켜 지연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연 유닛(900)는 출력 변조 신호(V)를 한 주기 지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FIR 피드백 DAC들을 갖는 더블-샘플드 델타-시그마 변조기이다. 예시적인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3차 다단형 적분기 피드백 구조(third-order cascaded integrator feedback architecture)를 가지며, 2 개의 2 탭 FIR 필터를 피드백 경로에 포함한다.
종래의 더블-샘플드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성능 저하는, 피드백 경로들 사이의 미스매치로 인한 fs/2에서의 단일 톤(single tone) 및 성형된 양자화 잡음 사이의 주파수 변조에 의해 발생된 노이즈 폴딩으로부터 야기된다.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이러한 노이즈 폴딩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1 적분기(110)를 향하는 피드백 경로에 2 탭의 제1 FIR 필터 회로(210)를 포함한다. 제1 FIR 필터 회로(210)는 fs/2에서 제로를 갖도록 설계됨에 따라 fs/2 부근의 성형된 양자화 잡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달 함수(transfer function)에 새로운 폴(pole)이 생김에 따라, NTF의 변화를 야기하고, 노이즈 성형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원본 NTF를 복원시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2 적분기(120)를 향하는 피드백 경로에 2 탭의 제2 FIR 필터 회로(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가 목적하는 동작을 하기 위해서, 루프 계수들(loop coefficients)이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3
이때, a1p는 FIR 피드백이 없는 3차 프로토타입 DSM(third-order prototype DSM)에서 첫번째 적분기 피드백 계수(Nth integrator feedback coefficient)를 의미한다. a2p 및 a3p는 대응하는 각각 두번째, 세번째 적분기 피드백 계수를 의미한다.
유도 과정에 있어서, 전달 함수의 분모의 다항식 차수(polynomial degree)를 3차로 하기 위해서, 양쪽 FIR 필터 회로에 대한 지연된 신호의 제2 FIR 계수(f2) 및 제4 FIR 계수(f4)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제1 FIR 계수(f1) 및 제2 FIR 계수(f2)는 fs/2에서 제로가 추가되도록 및 그 주파수에서 감쇄(attenuation)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설정되었다.
이러한 계수 설정으로 인해서, 제1 적분기(110)에 대한 피드백 DAC 출력의 fs/2 부근의 노이즈 성분들이 억제되고, NTF가 FIR 피드백이 적용되지 않은 프로토타입 DSM의 그것과 동일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피드백 DAC의 주파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NTF의 주파수 응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특허문헌 1 및 2와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노이즈 폴딩을 회피하기 위한 두 개의 피드백 경로 사이의 커패시터 공유(capacitor sharing)가 불필요하다. 한편으로는, 입력 및 피드백 DAC 경로 사이의 커패시터 공유를 허용할 수도 있고, 이는 더 낮은 kT/C 노이즈를 달성할 수 있다. kT/C 노이즈의 감소는 작은 크기의 샘플링 및 집적 커패시터들의 사용을 허용시키며, 이는 오피-앰프 설계 조건의 완화로 인한 더 낮은 전력 소모와 더 작은 면적으로 이어진다.
수정된 NTF 기법을 적용한 비특허문헌 4와 비교해도,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SQNR 저하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양쪽 경우 모두 제1 적분기에 대한 피드백 DAC의 주파수 응답에서 fs/2에서 제로가 있으며, 이는 해당 주파수 부근의 노이즈를 억압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비특허문헌 4)은 fs/2에서 제로를 갖도록 NTF를 수정함으로써 제로를 구현하며, 이는 증가된 인밴드 노이즈(in-band noise)를 야기한다(제로 당 6dB). 반면에,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FIR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제로를 구현하고, 그럼으로써, NTF는 그러한 제로 값을 갖지 않으며, 이는 인밴드 노이즈의 증가가 없음을 의미한다.
도 4는 FIR 필터 회로,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 가산기, 및 적분기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입력 커패시터 공유 구조에 기초한 실시예으로서, 적분기 구조는 각 더블 샘플링 경로에 대해 샘플링 커패시터(CS1, CS2, CS3, CS4)를 2개씩 갖는다.
샘플링 커패시터(CS1, CS2)를 통한 신호 경로는 입력 신호(Vin)와 현재 FIR 피드백 DAC 신호(V[n]) 사이의 공유된 더블 샘플링(shared double sampling)을 수행한다. 반면에 샘플링 커패시터(CS3, CS4)를 통한 신호 경로는 입력 신호(Vin)와 한 주기 딜레이된 버전의 FIR 피드백 신호(V[n-1]) 사이의 다른 공유된 더블 샘플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패시터들의 미스매치를 고려하고 Vin을 0으로 가정했을 때, 도 4의 SC 적분기의 출력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4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5
수학식 2에서 마지막 2 개의 텀은 각 피드백 신호(Vdac[n] 또는 Vdac[n-1])가 용량성 미스매치(capacitive mismatch)(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6
또는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7
)로 인한 연관된 싱글 톤(associated single tone)에 의해 인터모듈레이션됨을(intermodulated) 보여준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용량성 미스매치(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8
Figure 112016100582300-pat00019
)가 서로 동일해야하는 조건을 갖는다. 만약, 용량성 미스매치(
Figure 112016100582300-pat00020
Figure 112016100582300-pat00021
)가 서로 동일하지 않는다면, FIR에 의해 추가된 제로는 fs/2에 위치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아래 도 5의 회로 구성이 제안된다.
도 5는 FIR 필터 회로,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 가산기, 및 적분기의 다른 예시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회로(50)는 제1 FIR 필터 회로(210),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410), 제1 가산기(310), 및 제1 적분기(110)의 통합적인 회로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 회로(50)는 1.5 비트 FIR 피드백 DAC를 갖는 더블-샘플드 SC 적분기로 명칭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1.5 비트 FIR 피드백 DAC를 포함하게 된다. 1.5 비트 FIR 피드백 DAC는 각 더블 샘플링 경로에 대해 하나의 단일 샘플링 커패시터(CS1, CS2)를 포함하게 된다.
샘플링 커패시터(CS1, CS2)를 통하는 각각의 신호 경로에는 입력 신호(Vin)와 1.5 비트 FIR 피드백 DAC 신호(d[n]) 사이의 공유된 더블 샘플링이 구현된다.
신호(d[n])는 도 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상태(state)를 2 개의 비트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1.5 비트 신호라고 명칭될 수 있다. 현재 및 이전 샘플 타임에 대한 슬라이서(800)의 출력은, 각 신호 경로가 3 개 참조 전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3 비트 신호인 신호(d[n])로 인코딩된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에 비해서, 더 컴팩트(compact)하고 노이즈 폴딩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도 5의 실시예의 SC 적분기의 출력은 아래 수학식 3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6100582300-pat00022
Figure 112016100582300-pat00023
도 4의 경우와 달리, 수학식 2의 마지막 2개 텀이 조합되고, FIR에 의해 추가된 제로가 정확히 fs/2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더블 샘플드 DSM의 노이즈 폴딩 문제는 본 실시예를 통해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기의 성능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예시적인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128 OSR을 갖고, 피드백 경로들 사이에 0.5% 미스매치를 갖도록 SIMULINK를 통해 시뮬레이션되었다. 도 6은 종래 및 본 실시예에 따른 더블-샘플드 DSM의 시뮬레이션된 PSD(Power Spectral Density)를 도시한다. 싱글-샘플드 DSM의 시뮬레이션된 PSD 또한 참조를 위해 포함되었다.
싱글-샘플드 DSM의 SQNR은 102.7 dB이며, 종래의 더블-샘플드 DSM은 노이즈 폴딩으로 인해 64.3 dB의 SQNR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101.5dB SQNR을 가짐으로써 37 dB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이는 싱글-샘플드 DSM의 성능과 거의 유사한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또한, 회로-레벨 평가를 통해서, 본 실시예의 델타-시그마 변조기(10)는 비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보다 30% 저전력 및 20% 더 적은 면적을 사용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더 작은 커패시터 사이즈와 오피-앰프 세틀링 조건이 완화됨으로부터 기인한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델타-시그마 변조기

Claims (11)

  1. 입력 신호 및 제1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1 적분기;
    상기 제1 적분기의 출력 값과 제2 피드백 신호의 합을 적분하는 제2 적분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지연 변조 신호를 제1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1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1 FIR 필터 회로; 및
    상기 출력 변조 신호 및 상기 지연 변조 신호를 제2 FIR 필터링 처리하여 상기 제2 적분기의 전단으로 피드백시키는 제2 FIR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분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합하는 제1 가산기; 및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1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분기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적분기의 출력 값과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합하는 제2 가산기; 및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1 스위칭 신호 및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2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 변조 신호에 제1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1 FIR 탭;
    상기 지연 변조 신호에 제2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2 FIR 탭; 및
    상기 제1 FIR 탭과 상기 제2 FIR 탭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3 가산기를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는
    상기 출력 변조 신호에 제3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3 FIR 탭;
    상기 지연 변조 신호에 제4 FIR 계수를 가중하는 제4 FIR 탭; 및
    상기 제3 FIR 탭과 상기 제4 FIR 탭의 출력 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제4 가산기를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1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1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1 피드백 탭;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1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1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2 피드백 탭을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3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FIR 필터 회로의 출력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4 스위치;
    상기 제3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2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2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3 피드백 탭; 및
    상기 제4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2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2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4 피드백 탭을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적분기의 출력 값과 제3 피드백 신호를 합산하는 제5 가산기;
    상기 제5 가산기의 출력 값을 적분하는 제3 적분기; 및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스위칭 신호 및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처리 경로를 통해서 상기 제3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를 더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피드백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1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5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도통시키는 제6 스위치;
    상기 제5 스위치의 출력 값에 제3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5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5 피드백 탭; 및
    상기 제6 스위치의 출력 값에 상기 제3 피드백 계수를 가중하여 상기 제5 가산기로 출력하는 제6 피드백 탭을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적분기의 출력 값을 양자화하여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슬라이서를 더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변조 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지연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지연 유닛을 더 포함하는
    델타-시그마 변조기.
KR1020160134650A 2016-10-17 2016-10-17 델타-시그마 변조기 KR101742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50A KR101742131B1 (ko) 2016-10-17 2016-10-17 델타-시그마 변조기
US15/784,642 US10148283B2 (en) 2016-10-17 2017-10-16 Delta-sigma mod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50A KR101742131B1 (ko) 2016-10-17 2016-10-17 델타-시그마 변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131B1 true KR101742131B1 (ko) 2017-05-31

Family

ID=5905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650A KR101742131B1 (ko) 2016-10-17 2016-10-17 델타-시그마 변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48283B2 (ko)
KR (1) KR101742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32A (ko) 2018-05-17 2019-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임 도메인 연속 시간 델타 시그마 모듈레이터 및 이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819B1 (en) * 2018-11-02 2020-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dified pi-sigma-delta-modulator based digital signal processing system for wide-band applications
US10763888B1 (en) * 2019-05-09 2020-09-01 Nxp B.V. Metastability shaping technique for continuous-time sigma-delta analog-to-digital converters
US10998917B1 (en) * 2020-07-14 2021-05-04 Nxp B.V. Sigma-delta analog-to-digital converter
US11581902B2 (en) * 2020-08-26 2023-02-14 Infineon Technologies Ag Pulse width modulation generated by a sigma delta lo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790B1 (ko) 1993-03-22 2001-01-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개선된 신호음 제거 기능과 그 방법을 지닌 시그마-델타 변조기
US20050052299A1 (en) 2002-03-20 2005-03-10 Omid Oliaei Analogue-to-digital sigma-delta modulator with FIR filters
JP2008067181A (ja) 2006-09-08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ルタシグマ変調器の制御方法およびデルタシグマ変調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475A (ja) * 1992-04-10 1993-11-16 Nec Corp ノイズシェイパ
US7852249B2 (en) * 2009-02-27 2010-12-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igma-delta modulator with digitally filtered delay compens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790B1 (ko) 1993-03-22 2001-01-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개선된 신호음 제거 기능과 그 방법을 지닌 시그마-델타 변조기
US20050052299A1 (en) 2002-03-20 2005-03-10 Omid Oliaei Analogue-to-digital sigma-delta modulator with FIR filters
JP2008067181A (ja) 2006-09-08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ルタシグマ変調器の制御方法およびデルタシグマ変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932A (ko) 2018-05-17 2019-12-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임 도메인 연속 시간 델타 시그마 모듈레이터 및 이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9268A1 (en) 2018-04-19
US10148283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131B1 (ko) 델타-시그마 변조기
CN107852164B (zh) 抑制前馈δς转换器中的信号传递函数峰化
US8325074B2 (en) Method and circuit for continuous-time delta-sigma DAC with reduced noise
JP4745267B2 (ja) デルタシグマ変調器とそれを備えたda変換装置
WO2012032690A1 (ja) デルタシグマ変調器、積分器、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170288693A1 (en) Continuous time delta-sigma modulator with a time interleaved quantization function
EP3694109B1 (en) Microphone arrangement
CN104579346A (zh) 模数转换器
EP3297169A1 (en) Continuous-time cascaded sigma-delta analog-to-digital
Kumar et al. Reset-free memoryless delta–sigma analog-to-digital conversion
Koppula et al. Efficient design and synthesis of decimation filters for wideband delta-sigma ADCs
Rombouts et al. An approach to tackle quantization noise folding in double-sampling/spl Sigma//spl Delta/modulation A/D converters
Kumar et al. Multi-Channel Analog-to-Digital Conversion Using a Delta-Sigma Modulator Without Reset and a Modulated-Sinc-Sum Filter
CN108063621B (zh) 可变架构的sigma-delta数据转换器
JP2004274606A (ja) モジュレータ
KR101559456B1 (ko) 지연된 피드―포워드 경로를 갖는 저전력·저면적 3차 시그마―델타 변조기
Pracny et al. S? Modulator System-Level Considerations for Hearing-Aid Audio Class-D Output Stage Application
Mem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rnary FIR filter using Sigma Delta Modulation
Sadollahi et al. Passive 3 rd order delta-sigma ADC with VCO-based quantizer
TWI625044B (zh) 多階三角積分類比數位轉換器中之訊號轉移函數等化
CN101120507A (zh) 一种ad转换器装置
Han et al. Continuous time delta-sigma modulator with an embedded passive low pass filter
JP5275196B2 (ja) 積分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オーバーサンプリングa/d変換器
Shen et al. Double-sampled ΔΣ modulator with relaxed feedback timing
Sung et al. A third-order switched-current delta-sigma modulator with analog error cancellation logic and digital comb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