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113B1 - 고추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고추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113B1
KR101742113B1 KR1020150109657A KR20150109657A KR101742113B1 KR 101742113 B1 KR101742113 B1 KR 101742113B1 KR 1020150109657 A KR1020150109657 A KR 1020150109657A KR 20150109657 A KR20150109657 A KR 20150109657A KR 101742113 B1 KR101742113 B1 KR 10174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ole
drying
drying chamber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208A (ko
Inventor
김희석
Original Assignee
김희석
(주)주신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석, (주)주신식품 filed Critical 김희석
Priority to KR102015010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1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23V2200/048Preventing colour chan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는 열풍을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로서, 상부에 습공기 배출구와 열풍 흡입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습공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건조실, 상기 본체와 상기 건조실 사이에 형성되는 열풍이동로, 상기 건조실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과 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양쪽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열풍이동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실 내부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추 건조장치{THE DRYER OF A GUINEA PEPPER}
본 발명은 고추 건조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을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확한 고추는 수분 함량이 높아(약83%) 그대로 장기간 저장하면 잘 썩고, 수송에도 불편하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건조하여 출하하거나 저장하였다가 가격이 높을 때 판매한다. 건조 방법에는 천일건조, 이용건조, 열풍 건조 등이 있으나 천일건조나 비닐하우스 이용건조는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건조기간 중 부패할 위험이 크므로 가급적 건조사를 만들어 화력건조를 하는 것이 추세이다. 그런데 고추를 잘못 건조하게 되면 외관상 고유의 색깔이나 형태를 잃게 되고 마른 고추로서의 매운맛이 떨어져 상품가치를 잃게 되어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가져오므로 건조과정에 특히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고추건조기는 태양광을 조사시켜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자연건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건조공간과 관리에 적지 않은 인력이 요구되어 효율적인 생산성을 달성하기 곤란하였다.
특히, 햇빛을 이용한 자연건조방식은 충분한 건조공간뿐만 아니라, 아침에 돗자리나 방석을 깔고 고추를 그 위에 펼쳐 놓은 후 저녁이 되면 펼쳐 놓았던 고추를 수거하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갑자기 비가 오는 경우에는 고추가 비에 젖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신경을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바닥에 펼쳐진 고추의 바닥부분은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통풍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시로 펼쳐진 고추를 뒤집어 주는 작업이 필요하여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고추를 자주 뒤집어 준다 하여도 바닥의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생겨 고추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한 번에 다량으로 자연건조작업 보다 신속하게 고추건조작업을 할 수 있도록 기계적 장치로서 인위적으로 고추를 건조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고추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고추건조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617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히터에서 발생한 뜨거운 바람을 송풍기로 열풍 공급실을 통해 건조실로 송풍, 순환시켜 고추 등의 농작물을 건조 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기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종래 고추건조기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3920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고추의 량에 따라 건조기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건조기 본체를 구성하여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고추를 일정시간 동안 이동 순환시켜 주면서 다량으로 건조 시킨 고추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이동 순환식 고추건 조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고추건조기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143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수확된 고추를 세척조에 투입하면 투입된 고추가 세척조에서 세척된 후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건조기 내부로 투입되어 버킷 엘리베이터에 의해 계속 순환하면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고추건조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고추건조기는 고추의 표피층 내부로 열풍이 닿지 않기 때문에 열풍건조가 고추의 외부와 내부로 고르게 행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추건조기의 경우 유류 및 전기를 과도하게 이용하여 열풍건조를 하기 때문에 많은 유지비와 함께 CO2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높은 전력을 사용하여 유지비가 많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6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39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143호
본 발명은 고추마다 건조의 정도를 달리하여 건조 시킬 수 있는 고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추에 근접하여 열을 공급하게 되어 영양소의 파괴 없이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고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고추의 건조속도가 빨라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는 열풍을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로서, 상부에 습공기 배출구와 열풍 흡입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습공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건조실, 상기 본체와 상기 건조실 사이에 형성되는 열풍이동로, 상기 건조실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과 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양쪽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열풍이동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실 내부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유도체는 복수의 제1홀이 형성되어 열풍이 상기 서랍에 탑재되어 있는 고추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열풍이동로에 노출되어 열풍을 상기 열풍유도체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열풍유도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보다 크다.
여기서, 상기 열풍유도체는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이 형성되는 외부타공관 및 상기 외부타공관에 형성되는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외부타공관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타공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타공관은 일측단부에 상기 본체의 측벽에 관통되어 노출되며, 상기 내부타공관을 회전시키는 손잡이인 회전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는 고추의 건조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추의 건조를 상대적으로 빨리 일어나게 되어 건조고추 제조과정이 빨라지고,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는 건조가 빨리 일어나게 되어 영양소의 파괴가 덜 일어나고, 연료소비가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유도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유도체의 회전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 건조장치는 열풍을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로서, 상부에 습공기 배출구(110)와 열풍 흡입구(120)가 구비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부에 형성되고 습공기 배출구(110)와 연결되는 건조실(200),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건조실(200) 사이에 형성되는 열풍이동로, 상기 건조실(20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210)과 레일(210)을 따라 삽입되는 서랍(220) 및 상기 서랍(2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200)의 양쪽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열풍이동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실(200) 내부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본체(100)는 열에 강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고온이나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재질일 수 있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습공기 배출구(110)와 열풍 흡입구(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습공기 배출구(110)는 건조전의 고추에서 증발하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습공기 배출구(110)는 아래 설명한 건조실(200) 각각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열풍 흡입구(120)는 뜨거운 바람을 건조실(200)에 공급하기 위해 송풍장치와 연결되어 열풍을 공급받는 통로이다. 습공기 배출구(110)나 열풍 흡입구(120)는 열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분에 의해서 쉽게 부식되지 않는 알루미늄이나 합금재질일 수 있다.
건조실(200)은 실제 고추의 건조가 일어나는 장소로서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건조실(200)이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실(200)은 본체(100) 내부에 고정설치되되, 열풍이동로가 본체(100)와 건조실(200)의 밑면을 제외한 각 격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실(200)의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서랍(220)이 배치되고, 서랍(220)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건조실(200)내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210)이 건조실(200)의 측벽에 대칭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열풍이동로는 열풍 흡입구(120)를 통해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이동하는 경로로서, 건조실(200)을 둘러쌓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열풍이동로는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 개의 건조실(200)의 중앙을 따라서 열풍이 유입되고, 건조실(200)을 주변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열풍유도체(300)는 서랍(2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열풍유도체(300)는 고추와 직접 맞닿지 않도록 설치되며, 열풍을 고추에 직접 전달한다. 열풍 유도체(300)는 건조실(200)의 양쪽 측벽을 관통하여 열풍이동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을 건조실(200) 내부로 유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유도체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유도체(300)는 복수의 제1홀(310)이 형성되어 열풍이 서랍(220)에 탑재되어 있는 고추에 공급되도록 하고, 열풍이동로에 노출되어 열풍을 열풍유도체(300)로 유입시키기 위해 열풍유도체(300)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2홀(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홀(320)은 제1홀(310)보다 클 수 있다. 제1홀(310)과 제2홀(320)은 열풍유도체(300)에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제2홀(320)은 열풍이동로에 노출되어 열풍을 열풍유도체(300) 안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제1홀(310)보다 큰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제1홀(310)과 제2홀(320)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유도체의 회전상태도이다.
열풍유도체(300)는 제1홀(310)과 제2홀(320)이 형성되는 외부타공관(301) 및 외부타공관(301)에 형성되는 제1홀(310)과 제2홀(320)의 대응되는 위치에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외부타공관(301)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타공관(302)을 포함한다.
외부타공관(301)과 내부타공관(302)은 원통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타공관(302)의 단면 지름은 외부타공관(301)의 단면 지름보다 작으며, 내부타공관(302)의 외면과 외부타공관(301)의 내면이 밀착되되, 내부타공관(302)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밀착 형성될 수 있다.
내부타공관(302)에는 건조실(200)의 측벽을 관통하고, 본체(100)의 측벽에 관통되어 노출되며, 내부타공관(302)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인 회전레버(330)가 형성된다.
본체(100)의 측벽에 관통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의 직경은 내부타공관(302)의 직경과 같아 열풍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폐된다. 특히 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회전레버(330)는 사람의 손으로 회전시켜 내부타공관(302)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레버(330)의 회전정도에 따른 제1홀(310)과 제2홀(320)의 개방정도가 본체(100)의 측벽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외부타공관(301)에 형성되어 있는 제1홀(310)과 제2홀(320)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타공관(302)의 홀이 형성되며, 내부타공관(302)의 홀은 외부타공관(301)의 제1홀(310), 제2홀(320)과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돌출되는 회전레버(330)를 회전시켜서 고추에 가해지는 열풍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되어 간편하게 고추의 건조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열풍유도체(300)가 건조실(200)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는 서랍(220)의 각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서랍(220)에 탑재되는 고추의 건조레벨을 서로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랍(220)마다 고추의 수분함유량이 다를 경우이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고추를 하나의 장치내에서 건조시킬 경우에 과건조되거나 건조가 미흡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는 건조상태를 서로 달리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에서 알맞은 건조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건조실(200) 밑면에는 고추의 건조로 인하여 공기중에 증발한 수분이 응집하여 아래로 가라앉음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파이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추 건조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열풍흡입구(120)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이 두 개의 건조실(200) 사이에 투입된다. 투입된 열풍은 열풍유도체(300)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2홀(320)을 통해서 열풍유도체(300)로 유입된다. 열풍은 열풍유도체(300)의 제1홀(310)을 통해 고추에 열풍을 제공한다. 만일 열풍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본체(100)의 측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회전레버(330)를 회전시켜 고정되어 있는 외부타공관(301)의 제1홀(310)과 제2홀(320)에 대응되어 있는 내부타공관(302)의 홀을 서로 엇갈리게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내부타공관(302)을 일정각도 회전시켰을때 외부타공관(301)의 제1홀(310)과 내부타공관(302)의 홀은 서로 어긋난 형태가 되고, 열풍이 공급되는 통로인 제1홀(310)이 막히거나 개방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도 1의 우측 건조실은 좌측의 건조실과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열풍유도체(300)는 한층의 서랍(220)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건조실(200)내로 투입되지 않고 열풍이동로를 따라 열풍이 이동하면서 건조실(200) 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고추에 가해지는 보다 직접적인 열풍은 열풍유도체(300)에 의해서 건조실 내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이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습공기 배출구
120 열풍 흡입구 200 건조실
210 레일 220 서랍
300 열풍유도체 301 외부타공관
302 내부타공관 310 제1홀
320 제2홀 330 회전레버

Claims (4)

  1. 열풍을 이용한 고추 건조장치로서,
    상부에 습공기 배출구와 열풍 흡입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고 습공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건조실;
    상기 본체와 상기 건조실 사이에 형성되는 열풍이동로;
    상기 건조실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레일과 레일을 따라 삽입되는 서랍; 및
    상기 서랍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의 양쪽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열풍이동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열풍을 상기 건조실 내부로 유도하는 열풍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유도체는 복수의 제1홀이 형성되어 열풍이 상기 서랍에 탑재되어 있는 고추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열풍이동로에 노출되어 열풍을 상기 열풍유도체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열풍유도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홀은 상기 제1홀보다 크며,
    상기 열풍유도체는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이 형성되는 외부타공관; 및
    상기 외부타공관에 형성되는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의 대응되는 위치에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되고, 외부타공관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타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타공관은 일측단부에 상기 본체의 측벽에 관통되어 노출되며, 상기 내부타공관을 회전시키는 손잡이인 회전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건조장치.
KR1020150109657A 2015-08-03 2015-08-03 고추 건조장치 KR10174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57A KR101742113B1 (ko) 2015-08-03 2015-08-03 고추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57A KR101742113B1 (ko) 2015-08-03 2015-08-03 고추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08A KR20170016208A (ko) 2017-02-13
KR101742113B1 true KR101742113B1 (ko) 2017-05-31

Family

ID=5815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57A KR101742113B1 (ko) 2015-08-03 2015-08-03 고추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356B1 (ko) * 2020-01-14 2022-06-23 농업회사법인아들래주식회사 모링가 잎의 건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0Y1 (ko) 2005-09-26 2005-12-14 대원전기 주식회사 고추 건조기
KR100815854B1 (ko) * 2007-08-07 2008-03-24 신한수 농수산물 건조기 겸 저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143B1 (ko)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KR101392617B1 (ko) 2013-05-21 2014-05-12 정천섭 고추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20Y1 (ko) 2005-09-26 2005-12-14 대원전기 주식회사 고추 건조기
KR100815854B1 (ko) * 2007-08-07 2008-03-24 신한수 농수산물 건조기 겸 저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208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6898A (zh) 一种带钢烘干装置
CN204408882U (zh) 一体化水稻浸种催芽装置
KR102341485B1 (ko) 자동 온습도 제어방식과 음압 연동 시스템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CN206583238U (zh) 一种可变风向的多通道混流干燥箱
KR101742113B1 (ko) 고추 건조장치
CN210197903U (zh) 一种自控热泵柿饼烘干房
CN109059437A (zh) 一种家具制作用板材干燥装置
CN208965247U (zh) 一种持续恒温恒湿的导辊式蒸化机
KR20080094351A (ko) 태양열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CN208751212U (zh) 一种纺织物烘干箱
CN204168980U (zh) 带温控系统的塔式粮食烘干机
CN204742465U (zh) 晒青毛茶的对流传热干燥晾晒设备
CN201108009Y (zh) 穿流供风组合加热式蔬菜脱水机
CN215809803U (zh) 烘干槽结构
CN216048898U (zh) 一种烘干效率高且烘干均匀的茶叶烘干机
KR102431531B1 (ko) 음압 연동 자동 온습도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용 고효율 열교환기
CN205079561U (zh) 用于灵芝干燥的烘干机
CN206207926U (zh) 一种面条烘干机
CN205939989U (zh) 一种玛卡用旋转式节能烘干系统
CN205784466U (zh) 一种烘箱
CN211185791U (zh) 一种脱水蔬菜用烘干装置
CN103719776B (zh) 一种干百合的加工方法
CN207351077U (zh) 一种木材均匀干燥装置
CN204969364U (zh) 一种食用菌烘干设备
CN205580132U (zh) 一种新型节能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