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37B1 -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37B1
KR101741537B1 KR1020150117703A KR20150117703A KR101741537B1 KR 101741537 B1 KR101741537 B1 KR 101741537B1 KR 1020150117703 A KR1020150117703 A KR 1020150117703A KR 20150117703 A KR20150117703 A KR 20150117703A KR 101741537 B1 KR101741537 B1 KR 10174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upport member
elastic
vibr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565A (ko
Inventor
신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13Sound or noise reduction or dampening, e.g. built in via the furniture panels
    • B63B270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바닥에 결합되고, 상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 형성된 중공 형상의 제1지지부재, 캐비닛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의 저면과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ANTI-VIBRATION SUPPORTING STRUCTURE FOR CABINET}
본 발명은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구비되는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캐비닛에 수용된 전자장비들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캐비닛(Cabinet)은 서류나 물품 등을 보호하고 수용하는 구조물로서, 선박에 구비되어 측정장비 또는 서버와 같은 전자장비들을 수용할 수 있다.
선박은 해상에서 파도 또는 바람의 작용으로 인해 흔들리게 되며, 이러한 흔들림이 캐비닛에 수용된 전자장비에 전달되면, 전자장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박에 설치된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캐비닛에 수용된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물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4-0003405호)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선박에 구비되는 구조물에 진동 방지용 서포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선행문헌의 경우, 제1 벽면과 제2 벽면에 각각 고정하여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나, 벽면과 구조물 사이에 서포터가 구비되어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포터의 설치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3405호 (공개일: 2014.06.10)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된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캐비닛에 수용된 장비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바닥에 결합되고, 상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 형성된 중공 형상의 제1지지부재, 캐비닛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의 저면과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상기 제2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서로 다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접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재의 일면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의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측면에는 탄성 변형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탄성부재에 의해 캐비닛에 가해지는 수직방향의 진동이 흡수되어 캐비닛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제2탄성부재에 의해 캐비닛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여 캐비닛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된 장비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이 캐비닛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이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접촉부재의 비교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 배치되는 캐비닛(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50)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20)은 선박 바닥(10)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선상에서 사용하는 각종 측정장치와 같은 전자 장비들이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지지구조물(50)은 제1지지부재(100), 제2지지부재(200), 제1탄성부재(300) 및 제2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100)는 바닥(10)에 결합되고, 상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 형성된 중공(100a)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지지부재(100)는 바닥(10)에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100)는 예를 들어 자석이나 무게가 큰 중량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지지부재(100)는 캐비닛(20)이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제2지지부재(200)는 캐비닛(20)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부재(200)는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210)는 캐비닛(20)의 저면에 결합되고, 제1지지부재(100)의 중공(10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재(100)의 내측면에는 탄성 변형되는 완충부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110)에 의해 제1결합부재(210)의 외측면과 제1지지부재(100)의 내측면 사이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2결합부재(220)는 제1결합부재(210)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을 감쌀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면(220a) 사이에는 이격공간(20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210)가 제1지지부재(100)의 중공(100a)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1지지부재(100)는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 사이의 이격공간(20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제2지지부재(200)의 이격공간(200a)에는 제1지지부재(100)의 상측면과 제2지지부재(20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부재(25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00)와 제2탄성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00)는 제1지지부재(100)의 중공(100a)의 저면(100b)과 제1결합부재(210)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A)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300)는 제1지지부재(100)와 함께 캐비닛(20)의 하중을 바닥(1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진동이 제2지지부재(200)를 통해 제1지지부재(100)에 전달되면, 제1탄성부재(300)는 수직방향(A)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2탄성부재(400)는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면(220a)에 결합되고,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접촉하며 수평방향(B)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제1결합부재(210)와 제2결합부재(220) 사이에는 이격공간(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재(100)는 제1결합부재(210)의 외측면을 감싸고,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면(220a)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400)는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면(22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는 동일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400)는 제1지지부재(100)의 중공(100a)의 중심을 향하는 탄성 회복력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외력의 방향에 따른 제1탄성부재(300) 및 제2탄성부재(4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에 수직방향(A)의 외력(F)이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닛(20)에 수직방향(A)의 외력(F)이 가해지게 되면, 제1지지부재(100)와 제1결합부재(210) 사이에는 구비된 제1탄성부재(300)가 수직방향(A)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외력(F)에 의해 캐비닛(20)이 바닥(10)으로부터 상승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300)는 팽창되고, 캐비닛(20)이 바닥(10)을 향하여 하강하면 제1탄성부재(300)는 수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탄성부재(300)는 외력(F)에 의해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수직방향(A)의 진동을 흡수하여 탄성 변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비닛(20)의 내부에 수용된 장비들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0)에 수평방향(B)의 외력(F)이 가해질 경우, 외력(F)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탄성 수축되는 제2탄성부재(400a)와 제1지지부재(100)를 중심으로 수축된 제2탄성부재(400a)와 대응되는 팽창된 제2탄성부재(400b)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탄성부재(400a, 400b)는 외력(F)에 의해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수평방향(B)의 진동을 흡수하여 탄성 변형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0)에 수직방향(A) 및 수평방향(B)으로 동시에 외력(F)이 가해질 경우, 제2지지부재(200)는 제1지지부재(100)에 대하여 수직방향(A)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B)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00)와 제2지지부재(200) 사이에 구비된 제1탄성부재(300)와 제2탄성부재(400a, 400b)는 동시에 탄성 변형되어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제1탄성부재(300)와 제2탄성부재(400)를 이용하여 외력(F)에 의해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에 가해지는 수평방향(B)의 외력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제2탄성부재(400)가 제2결합부재(220)의 내측면(220a)에 복수 개가 구비되어, 캐비닛의 서로 다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수평방향에서 캐비닛(20)에 제1 수평방향(X) 또는 제2 수평방향(Y)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 때, 수평방향에서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에 따라 복수 개의 제2탄성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 수축되고, 나머지는 팽창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제2탄성부재(400)가 제2지지부재(20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재(100)는 바닥(10)에 고정되어야 하며, 제2탄성부재(400)는 이러한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접촉하는 제2탄성부재(400)의 일단에는 제1지지부재(1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접촉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410)는 제2지지부재(200)가 수평방향으로 진동할 경우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제2지지부재(200)가 수직방향으로 진동할 경우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접촉하는 접촉부재(410)의 일면은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을 감싸도록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접촉부재(410)의 곡면은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이룰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접촉부재(410)에 의해 외측면(100c)이 둘러싸임으로써 제2탄성부재(400)와 제1지지부재(100)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제2탄성부재(400)에 결합된 접촉부재(410)는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제2탄성부재(400)의 탄성 변형이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의 방향에 따라 각각의 제2탄성부재(400)는 서로 다른 정도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450)가 서로 연결될 경우 진동의 방향에 상관없이 모든 제2탄성부재(400)가 진동에 의해 탄성 변형하게 된다.
제2탄성부재(400)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캐비닛에 가해지는 진동이 흡수될 수 있으나, 진동이 전달되면 접촉부재(450)에 연결된 제2탄성부재(400)는 모두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제2탄성부재(400)가 서로 연결되면 제2탄성부재(400)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안정된 상태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촉부재(410)를 서로 분리시켜 제2탄성부재(400)가 각각 탄성 변형되게 함으로써 진동에 신속히 반응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제1지지부재(100), 제2지지부재(200), 제1탄성부재(300) 및 제2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제2탄성부재(400)는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의 제1지지부재(100)의 외측면(100c)에는 수직방향(A)의 가이드홈(15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400)의 일단에는 가이드홈(15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00)가 가이드홈(150)에 삽입됨에 따라 제2탄성부재(400)는 제1지지부재(100)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200)와 제1지지부재(100) 역시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은 제1지지부재(100) 및 제2지지부재(200)를 통해 캐비닛(20)에 가해지는 진동을 제1탄성부재(300) 및 제2탄성부재(4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탄성부재(300)와 제2탄성부재(400)를 통해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캐비닛(20)에 수용된 장비들이 진동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바닥 20: 캐비닛
50: 지지구조물 100: 제1지지부재
100a: 중공 100b: 저면
100c: 외측면 110: 완충부재
150: 가이드홈 200: 제2지지부재
200a: 이격공간 210: 제1결합부재
220: 제2결합부재 220a: 내측면
250: 완충부재 300: 제1탄성부재
400, 400a, 400b: 제2탄성부재 410, 450: 접촉부재
500: 가이드부재 A: 수직방향
B: 수평방향 X: 제1 수평방향
Y: 제2 수평방향 F: 진동

Claims (6)

  1. 바닥에 결합되고, 상측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 형성된 중공 형상의 제1지지부재;
    캐비닛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의 중공의 저면과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저면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며 수평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의 서로 다른 수평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재의 일면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의 가이드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내측면에는 탄성 변형되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KR1020150117703A 2015-08-21 2015-08-21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KR10174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03A KR101741537B1 (ko) 2015-08-21 2015-08-21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703A KR101741537B1 (ko) 2015-08-21 2015-08-21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65A KR20170022565A (ko) 2017-03-02
KR101741537B1 true KR101741537B1 (ko) 2017-05-30

Family

ID=5842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703A KR101741537B1 (ko) 2015-08-21 2015-08-21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717B1 (ko) 2019-07-16 2021-04-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타다라필의 경구용 고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8909B1 (ko) * 2020-04-01 2020-11-13 (주)중앙씨엠아이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KR102618575B1 (ko) * 2022-11-18 2023-12-27 엔일 주식회사 치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6189A (zh) * 2007-05-30 2007-12-12 北京工业大学 摩擦-弹簧三维复合隔震支座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405U (ko) 2012-11-29 2014-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구조물의 진동방지용 서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86189A (zh) * 2007-05-30 2007-12-12 北京工业大学 摩擦-弹簧三维复合隔震支座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565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1397804B1 (ko)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US9394967B2 (en) Three-dimensional shock-absorbing device
KR101741537B1 (ko)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KR101386253B1 (ko) 내진보강장치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20180053826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60160B1 (ko) 지진저감용 스프링 면진 모듈
KR102067239B1 (ko) 내진 구조물
KR102000278B1 (ko) 내진 배전반
KR20110108913A (ko) 전기캐비닛 구조물의 지진응답 감쇠를 위한 2방향 동조질량감쇠기
JPWO2011071172A1 (ja) 緩衝部材および梱包装置
JP2018066432A (ja) 防振装置
JP6417296B2 (ja) プリント基板の防振固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CN104653694B (zh) 减振器
KR102001860B1 (ko) 면진구조가 적용된 태양광발전시스템
JP4562659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544898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722070B1 (ko) 제진용 마운트
KR101225892B1 (ko) 탄소성 변형을 이용한 통신기지단말기의 진동 및 충격 흡수장치
JP2006161985A (ja) 電子機器
KR102056861B1 (ko) 충격흡수 방진 플레이트 조립체
KR101738624B1 (ko) 전력기기용 내진 장치
KR101267134B1 (ko) 면진 장치
JP6258902B2 (ja) 収納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