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909B1 -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 Google Patents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909B1
KR102178909B1 KR1020200039936A KR20200039936A KR102178909B1 KR 102178909 B1 KR102178909 B1 KR 102178909B1 KR 1020200039936 A KR1020200039936 A KR 1020200039936A KR 20200039936 A KR20200039936 A KR 20200039936A KR 102178909 B1 KR102178909 B1 KR 102178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locker
panel
skirt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20003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4Elastic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3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 F16F15/1316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the rotating system comprising two or more gyratory masse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체를 개재한 고정체와 작동체로 구성된 내진모듈을 통하여 쉽고 빠르게 사물함 하면에 장착할 수 있고, 또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가 고정체나 작동체의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조립시나 내진기능시 정위치를 유지하며, 나아가 고정체의 제1베이스패널의 체결공과 제2베이스패널의 작업공을 관통하여 피스로 쉽게 내진모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진행되며, 추가로 작동체의 제2베이스패널에 결합된 발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쉽게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 맞춤에 유리함은 물론 발의 볼트가 탄성체인 코일스프링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은 하는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1베이스패널과 양측 제1스커트패널을 갖고, 사물함 본체의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측이 접촉하여 장착되는 고정체;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2베이스패널과 양측 제2스커트패널을 갖고, 제2스커트패널이 제1스커트패널 사이에 내삽되거나 제1스커트패널을 내삽 수용하고, 체결수단을 통하여 제1 및 제2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가 변위되도록 결합되는 작동체; 및 상기 고정체 및 작동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LOCKER EQUIPPED WITH EARTHQUAKE-PROOF MODULE}
본 발명은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체를 개재한 고정체와 작동체로 구성된 내진모듈을 통하여 쉽고 빠르게 사물함 하면에 장착할 수 있고, 또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가 고정체나 작동체의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조립시나 내진기능시 정위치를 유지하며, 나아가 고정체의 제1베이스패널의 체결공과 제2베이스패널의 작업공을 관통하여 피스로 쉽게 내진모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진행되며, 추가로 작동체의 제2베이스패널에 결합된 발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쉽게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 맞춤에 유리함은 물론 발의 볼트가 탄성체인 코일스프링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내진 기능을 갖는 사물함이 공지되어 있다. 먼저 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02049호(공개일자 2000년01월25일) [텔레비젼 캐비넷의 진동방지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고안은 캐비넷의 내측에 결합되는 스피커케이스에 스피커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케이스가 결합되는 캐비넷의 내측에 보강편이 결합되어 스피커케이스가 결합되는 캐비넷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캐비넷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로 포닉(micro phonic)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에 의한 텔레비젼 캐비넷의 진동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피커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넷의 높이방향의 진동력을 캐비넷 내측의 보강리브와 금속재의 보강편에 의해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캐비넷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로 포닉현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캐비넷에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한 캐비넷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하며, 캐비넷 내측의 보강리브와 그 상측면에 밀착되는 보강편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공개고안의 진동방지 구조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캐비넷 자체에 가해는 충격 및 진동을 억제하는 기술과는 무관하다.
또 특허등록 제10-1349616호(등록일자 2014년01월03일) [면진형 배전반]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함체의 하단부에 마련된 방진유닛이 거동하면서 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여 지진파에 의한 배전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면진형 배전반에 관한 것이며, 지진이나 배전반 주변의 폭발 사고로 인한 진동이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경우, 수직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X축 방진유닛과 Y축 방진유닛의 사이에 설치된 쿠션블록이 진동을 흡수하여 배전반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고,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X축 방진유닛과 Y축 방진유닛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가 진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처럼 베이스 플레이트가 이동할 때 X축 방진유닛과 Y축 방진유닛에 구비된 댐퍼가 공기 또는 탄성체를 압축하면서 진동을 완화하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배전반의 손상이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특허기술은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 범용 캐비넷에 적용하기에는 고사양이어서 비용 대비 효율성에서 부적합하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445570호(등록일자 2014년09월23일)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되어 상시 발생하는 기계진동과 지진 발생 시 진동 및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내진 및 방진 성능을 갖춘 전기 및 통신 설비용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바닥 쪽에 내진 및 방진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시 발생하는 기계 진동이나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및 충격 발생 시에도 외력이나 진동이 내부 기기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부 및 도어, 그리고 측면부에 휨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외부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 시에도 내부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특허기술 역시 고사양 모델에 해당하며, 신규 캐비넷은 물론 기설치 캐비넷에 적용하기에는 범용성이 부족하여 시장성 및 구매 유인성이 약하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2050497호(등록일자 2019년11월25일) [내진용 랙 캐비넷]이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나 기타 외력에 의한 비틀림 충격 등이 작용시 이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진성(耐震性)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한 내진용 랙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캐비넷을 일정 장소에서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시, 지진에 의한 진동에너지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한 비틀림 충격 등이 영향을 미치더라도 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진성(耐震性)을 발휘할 수 있으며, 랙캐비넷 자체는 물론 내부에 수납되어 보관된 각종 장비들을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이 등록특허 역시 고사양, 고가, 특수성 측면에서 일반 캐비넷 적용은 부적합한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탄성체를 개재한 고정체와 작동체로 구성된 내진모듈을 통하여 쉽고 빠르게 사물함 하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고정체와 작동체가 측면 스크트패널을 관통한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되고, 고정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장공이어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를 흡수하기 위한 상하 작동 탄성 거동을 하는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가 고정체나 작동체의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조립시나 내진기능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 생산을 위한 조립 편의성은 물론 내진 거동시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한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고정체의 제1베이스패널의 체결공과 제2베이스패널의 작업공을 관통하여 피스로 쉽게 내진모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진행되며, 추가로 작동체의 제2베이스패널에 결합된 발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쉽게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 맞춤에 유리함은 물론 발의 볼트가 탄성체인 코일스프링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은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1베이스패널과 양측 제1스커트패널을 갖고, 사물함 본체의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측이 접촉하여 장착되는 고정체;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2베이스패널과 양측 제2스커트패널을 갖고, 제2스커트패널이 제1스커트패널 사이에 내삽되거나 제1스커트패널을 내삽 수용하고, 체결수단을 통하여 제1 및 제2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가 변위되도록 결합되는 작동체; 및
상기 고정체 및 작동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진모듈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제1 및 제2 스커트패널을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핀이고,
제1 또는 제2 스커트패널, 또는 이 둘 모두의 관통홀은 장공이며,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이고,
제1 또는 제2 베이스패널,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베이스패널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베이스패널에는 내진모듈을 사물함 본체 하면에 피스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베이스패널에는 피스의 헤드 및 공구팁이 통과하는 작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은 탄성체를 개재한 고정체와 작동체로 구성된 내진모듈을 통하여 쉽고 빠르게 사물함 하면에 장착할 수 있고, 또 고정체와 작동체가 측면 스크트패널을 관통한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되고, 고정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장공이어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이를 흡수하기 위한 상하 작동 탄성 거동을 하는 단순구조 및 저렴한 가격 대비 우수한 내진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체가 고정체나 작동체의 베이스패널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결합하여 조립시나 내진기능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 생산을 위한 조립 편의성은 물론 내진 거동시 내구성이 확보되며, 아울러 고정체의 제1베이스패널의 체결공과 제2베이스패널의 작업공을 관통하여 피스로 쉽게 내진모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진행되며, 추가로 작동체의 제2베이스패널에 결합된 발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쉽게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 맞춤에 유리함은 물론 발의 볼트가 탄성체인 코일스프링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내진모듈에 대한 도면 대용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A)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A]의 정면도, 도 1 [B]의 측면도, 도 2 [F]의 내진 모듈 정면 관찰 사진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A] 정면도, [B] 측면도) 및 도 2(도면 대용 사진임. 각각 [A] 평면, [B] 배면, [C] 측면, [D] 발(50)이 분리된 부분 배면, [E] 뒤집은 상태에서의 정면, [F] 정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A)은 통상의 2단 사물함으로 본체(A1)가 저장부 상하 2곳에 접근할 수 있는 상하 도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하면(A2)에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내진모듈(M)을 구비하고 있다.
장착 편리성, 유지 보수 편리성, 내진 성능 유지 등을 고려하여 사물함(A)의 하면(A2)에는 두 내진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내진모듈의 수를 선택할 수 있고, 하나의 내진모듈의 고정체 및 작동체의 면적을 크게 하여 하나의 내진모듈이 하나의 사물함 하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A)은 크게 사물함(A) 하면(A2)에 장착되는 고정체(10), 작동체(20), 고정체와 작동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체(10)는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1베이스패널(11)과 양측 제1스커트패널(13)을 갖고, 사물함 본체의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11)측이 접촉하여 장착된다.
작동체(20)는 역시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2베이스패널(21)과 양측 제2스커트패널(23)을 갖고, 제2스커트패널(23)이 제1스커트패널(13) 사이에 내삽되거나 제1스커트패널을 내삽 수용하고, 체결수단(30)을 통하여 제1 및 제2 베이스패널(10,20) 사이의 거리가 변위되도록 결합된다.
고정체(10) 및 작동체(2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40)는 구체적으로 고무 등의 쿠션 소재이거나 판스프링일 수도 있는데, 도면에서는 상기 탄성체(40)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1 또는 제2 베이스패널(11,21),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11A,21A)가 구비되어 있어 조립시나 내진기능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 생산을 위한 조립 편의성은 물론 내진 거동시 내구성이 확보할 수 있다. 이 고정돌기는 각 베이스패널(11,21)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제1 및 제2 스커트패널(13,23)을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핀(31), 특히 볼트이고,
제1 또는 제2 스커트패널(13,23), 또는 이 둘 모두의 관통홀(13A,23A)은 장공(도면에서는 관통홀(13A)만이 장공임)이어서 작동체의 승강 내진 거동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베이스패널(11)에는 내진모듈(M)을 사물함(A) 본체(A1) 하면(A2)에 피스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공(1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베이스패널(21)에는 피스의 헤드 및 공구팁이 통과하는 작업공(21B)이 형성되어 있어 내진모듈(M)이 장착 편리성이 확보되는데, 결국 피스로 쉽게 내진모듈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나아가 작동체(20)의 제2베이스패널(21)에는 발(50)이 나사결합을 통하여 쉽게 높낮이가 조절되어 수평 맞춤에 유리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발(50)의 볼트(51)가 탄성체(40)인 코일스프링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50)은 하나의 내진모듈(M) 당 2개 구비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그 수 및 배열 위치가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발(50)의 볼트(51)는 작동체(20)의 베이스패널(21)에 고정된 너트(53)에 결합되는데, 이 너트는 압입 또는 용접, 이 둘 모두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 너트(53) 역시 탄성체(40)인 코일스프링에 내삽되는 형태에서 코일스프링의 정위치 유지에 일조하여 안정적인 내진거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도 2 [F]의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10)의 제1베이스패널(11)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11A)에는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체(40)인 코일스프링의 조립시 공구 등을 통공에 삽입한 상태로 코일스프링을 조립하여 코일스프링이 제자리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활용되며,
또 발(50)의 볼트(51)가 이 통공(11a)까지 관통하도록 하는 길이가 되도록 하여 발의 높이조절의 최대 스트로크를 보장하고 사물함에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 증가시나 이동시에도 통공(11a)에 삽입된 볼트(51) 형태로 조절하여 발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이 통공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사물함 및 내진모듈의 소재나 크기와 같은 사양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내진모듈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사물함 A1: 본체
10: 고정체 20: 작동체
11,21: 베이스패널 13,23: 스커트패널
11A,21A: 고정돌기 13A,23A: 관통홀
30: 체결수단 40: 탄성체
50: 발

Claims (4)

  1.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1베이스패널과 양측 제1스커트패널을 갖고, 사물함 본체의 하면에 제1베이스패널측이 접촉하여 장착되는 고정체;
    단면이 ㄷ자형 절곡 형태를 갖도록 제2베이스패널과 양측 제2스커트패널을 갖고, 제2스커트패널이 제1스커트패널 사이에 내삽되거나 제1스커트패널을 내삽 수용하고, 체결수단을 통하여 제1 및 제2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가 변위되도록 결합되는 작동체; 및
    상기 고정체 및 작동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이고, 제1 또는 제2 베이스패널,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는 위치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베이스패널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발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베이스패널에는 내진모듈을 사물함 본체 하면에 피스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베이스패널에는 피스의 헤드 및 공구팁이 통과하는 작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제1 및 제2 스커트패널을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핀이고,
    제1 또는 제2 스커트패널, 또는 이 둘 모두의 관통홀은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의 볼트는 작동체의 제2베이스패널에 고정된 너트에 결합되고, 이 너트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에 내삽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제1베이스패널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의 볼트가 이 통공까지 관통하는 길이가 되도록 하여 발의 높이조절의 최대 스트로크를 보장하고, 하중 증가시나 이동시에 통공에 삽입된 볼트 형태로 조절하여 발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KR1020200039936A 2020-04-01 2020-04-01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KR102178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36A KR102178909B1 (ko) 2020-04-01 2020-04-01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36A KR102178909B1 (ko) 2020-04-01 2020-04-01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909B1 true KR102178909B1 (ko) 2020-11-13

Family

ID=7339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36A KR102178909B1 (ko) 2020-04-01 2020-04-01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9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17Y1 (ko) * 1994-11-10 1998-07-01 윤은중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JP3065591U (ja) * 1999-07-08 2000-02-02 隆 新井 空調機械用防振架台
JP3370275B2 (ja) * 1998-05-26 2003-01-27 株式会社稲葉製作所 家具類の高さ調節機構
KR20170022565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KR101739790B1 (ko) * 2017-02-17 2017-05-26 (주)에스케이엘엠스 유물의 낙하 방지기능을 구비한 수장고용 수납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17Y1 (ko) * 1994-11-10 1998-07-01 윤은중 밀폐형 스프링 마운트
JP3370275B2 (ja) * 1998-05-26 2003-01-27 株式会社稲葉製作所 家具類の高さ調節機構
JP3065591U (ja) * 1999-07-08 2000-02-02 隆 新井 空調機械用防振架台
KR20170022565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비닛 방진 지지구조물
KR101739790B1 (ko) * 2017-02-17 2017-05-26 (주)에스케이엘엠스 유물의 낙하 방지기능을 구비한 수장고용 수납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608B1 (ko)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0448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185213B1 (ko) 내진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수배전반
KR101870158B1 (ko) 변위 제한형 내진 마운트
KR101768031B1 (ko) 접시 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 유닛
CN109931360B (zh) 吸震器装置与机架
KR101778155B1 (ko) 전방향 내진 성능을 갖는 배전반
CN210857538U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梁柱连接结构
KR101787336B1 (ko) 면진 및 제진이 동시에 가능한 배전반
KR101888094B1 (ko)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102005763B1 (ko)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106523B1 (ko) 스틸볼을 이용한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170061032A (ko) 지반 연동판이 장착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427497B1 (ko)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KR102178909B1 (ko) 내진모듈을 구비한 사물함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325402B1 (ko) 수변전반용 면진장치
KR102341159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KR102210963B1 (ko) 내진 스토퍼 방진스프링 복합 방진가대
KR101757703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757704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2472187B1 (ko) 리프트업 응력 감쇠를 포함한 3축 진동 감쇠 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CN215101340U (zh) 一种新型电梯隔振降噪导轨撑架装置
KR102332515B1 (ko) 진동감쇠기능이 구비된 함체
KR102201228B1 (ko) 충격 완화장치를 구비한 내진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