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520B1 -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520B1
KR101741520B1 KR1020150145733A KR20150145733A KR101741520B1 KR 101741520 B1 KR101741520 B1 KR 101741520B1 KR 1020150145733 A KR1020150145733 A KR 1020150145733A KR 20150145733 A KR20150145733 A KR 20150145733A KR 101741520 B1 KR101741520 B1 KR 10174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ling
wall
roof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807A (ko
Inventor
백종원
Original Assignee
백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원 filed Critical 백종원
Priority to KR1020150145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5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5Trimming strips; Edge strips; Fascias; Expansion joints f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건물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옥상용 얼룩방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몸체, 상기 외측몸체 끝에 하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빗물이 떨어질 때 건물 외벽에서 멀어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빗물안내부, 상기 외측몸체의 가장 외측에서 30 ~ 50mm 내측에 난간 외벽에 밀착되도록 직각으로 하향되어 형성되는 난간외벽밀착부재,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 상기 외측몸체와 맞물려 조립되고, 일단에는 외측몸체의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에 맞물리는 내측걸림홈과 내측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의 끝에 형성되고, 30 ~ 50mm의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20 ~ 30mm 이며 둥그럽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몸체나 내측몸체에 떨어진 빗물이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되고 외측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는 빗물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Stain preventing rainwater drain appratus for rooftop}
본 발명은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얼룩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얼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난간의 내벽과 외벽 모두 얼룩을 방지할 수 있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및 주택과 같은 건물에는 평평한 옥상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옥상에서 오염물질이 쌓여 빗물이 흘러내리면 혼입되면서 구조물 아래의 외벽에는 물이 흐른 자국을 남기게 되어 외벽이 얼룩지거나 변색됨으로써 미관을 해친다.
특히, 옥상에는 안전을 위하여 벽돌이나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난간이 설치되는데, 난간의 구조상 별도의 다른 구조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는 난간 위에 떨어진 빗물이 난간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려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 등 얼룩지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은 미관을 위해서 건물 외벽에 주기적으로 페인트칠을 하게 되는데,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 등 지저분한 흔적이 생기면, 그 흔적들을 지우기 위해 더 자주 페인트 칠을 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증가 등 관리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옥상 난간에서 발생되는 얼룩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가지 종류의 얼룩방지장치가 개발되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워 얼룩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8175 호 2. 대한믹국 등록특허 10-1096647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137307호 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1355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옥상 난간에 떨어진 빗물이 난간의 내벽을 타고 흐르지 않게 하고, 난간의 외벽 및 난간의 외벽과 연결되는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여 난간의 내벽은 물론이고 건물의 외벽이 빗물로 인해 오염되거나 얼룩지지 않도록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옥상용 얼룩방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몸체, 상기 외측몸체 끝에 하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빗물이 떨어질 때 건물 외벽에서 멀어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빗물안내부, 상기 외측몸체의 가장 외측에서 30 ~ 50mm 내측에 난간 외벽에 밀착되도록 직각으로 하향되어 형성되는 난간외벽밀착부재,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 상기 외측몸체와 맞물려 조립되고, 일단에는 외측몸체의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에 맞물리는 내측걸림홈과 내측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의 끝에 형성되고, 30 ~ 50mm의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20 ~ 30mm 이며 둥그럽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몸체나 내측몸체에 떨어진 빗물이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되고 외측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는 빗물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빗물안내부의 하부 끝과 이어지면서 상기 변형방지부재 외측끝에 상기 빗물방지부재의 끝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빗물안내부를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난간의 외벽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도록 외측단차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빗물막이의 하부 끝과 이어지면서 상기 내측몸체 끝에 상기 빗물막이의 끝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빗물막이를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난간의 내벽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도록 내측단차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몸체는 설치 현장마다 난간의 폭 넓이가 다르더라도 그때마다 폭 넓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내측몸체를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로 구비하였다가 난간의 폭 넓이에 맞는 내측몸체의 선택하여 외측몸체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측몸체와 내측몸체 사이에 설치 현장마다 난간의 폭 넓이가 다르더라도 그때마다 폭 넓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연결몸체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옥상의 모서리 부분에 떨어진 빗물은 옥상에 별도로 마련된 배수구를 통하지 않고 건물의 외벽을 타고 흐르게 되면 빗물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 때문에 외벽을 변색시키거나 얼룩을 남기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얼룩방지장치를 설치하면 빗물이 난간 상면을 덮어버리기 때문에 난간 상면의 오염물질이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을 타고 흐르는 근원이 차단되고, 난간의 상면을 덮는 외측몸체나 내측몸체에 빗물이 떨어져도 난간의 내벽이나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고 옥상 바닥이나 건물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서 난간 내벽이나 외벽 및 난간 외벽과 이어지는 건물 외벽 전체가 누렇게 변색 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얼룩방지장치가 외측몸체나 내측몸체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몸체는 길이가 다르게 미리 제조되기 때문에 난간의 폭이 설치 현장마다 다르더라도 그 폭에 맞는 내측몸체를 선택함으로써 난간 폭에 상관없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빗물이 점성에 의하여 일부라도 빗물이 난간의 내벽이나 외벽으로 흘러 들 수 있는데, 외측몸체와 내측몸체에 외측단차홈과 내측단차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점성에 의해 벽면 쪽으로 역류하는 빗물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옥상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룩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룩방지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룩방지장치가 옥상 난간에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얼룩방지장치가 옥상 난간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룩방지장치가 옥상 난간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룩방지장치가 옥상 난간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옥상(RT)에는 외곽을 따라 대략 100 ~ 300mm의 폭과 높이가 500 ~ 1000mm 인 난간(HD)이 구비되어 있다.
난간(HD)은 대부분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고, 옥상에 올려놓은 물건이 옥상 밖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거나 옥상 이용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옥상의 난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는 비가 올 경우 빗물이 모여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구(WW)가 형성되어 파이프 라인을 통해 지상이나 지하의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난간에 떨어진 빗물의 일부는 난간의 내벽(IW)을 타고 옥상으로 흘러내리고, 다른 일부는 난간의 외벽을 타고 건물의 외벽(OW)으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다.
난간 위에 떨어진 빗물이 난간의 내벽을 타고 흐르던지, 외벽을 타고 흐르던지 빗물에는 오염물질이 섞여 있고, 오염물질이 섞여 있지 않더라도 난간 위에 먼지들이 쌓여 있어서 빗물이 흘러내리기만 하면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 빗물이 흐른 자국이 생긴다.
빗물에 의해 난간의 내벽이나 외벽을 타고 흐르면서 건물 내벽이나 외벽 전체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옥상의 난간 위에 떨어진 빗물이 난간의 내벽이나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 ~ 300mm 정도인 난간을 중앙선을 기준으로 난간 바닥에 밀착하여 덮을 수 있도록 두께가 5mm 정도이고, 하부가 평평하며 난간의 외측으로 30 ~ 50mm 정도 연장되는 외측몸체(110)가 구비된다. 외측몸체(110)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서 압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몸체(110) 끝에는 하향 되어 외측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빗물이 떨어질 때 건물 외벽에서 멀어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는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길이가 30 ~ 40mm 정도인 빗물안내부(120)가 형성된다. 빗물안내부(120)는 측면에서 그 단면이 반구형을 이룬 것으로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고 그 양쪽으로 가면서 점점 튀어나온 길이가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는 외측몸체(110)의 끝에서 빗물안내부를 타고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흐를때 경사면이 되도록 하여 외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되 필요 이상으로 멀리 까지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람 등의 영향으로 외벽으로 튀어 묻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 밖으로 너무 멀리 떨어져 불필요한 민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빗물안내부(120)가 경사각을 갖는 수평면이라면 빗물이 낙하속도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멀리 떨어지지만,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면 빗물에 포물선과 같이 토크(회전력)가 걸려 외벽에서 멀어지기는 하되 필요 이상으로 멀리 떨어지지 않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외측몸체(110)의 끝에서 30 ~ 50mm 정도 내측에는 난간 외벽에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난간외벽밀착부재(130)가 직각으로 하향되어 형성된다. 난간외벽밀착부재(130)의 길이도 빗물안내부(130)와 동일하며 그 길이는 30 ~ 40mm 이다.
빗물안내부(120)와 난간외벽밀착부재(130) 사이에는 빗물안내부(120)와 난간외벽밀착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상호간의 버팀 작용으로 빗물안내부(120)와 난간외벽밀착부재(1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140)가 형성된다. 변형방지부재(140)는 빗물안내부(120)와 난간외벽밀착부재(130)가 내측으로 오므라 들거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난간외벽밀착부재(130)가 난간 외벽에 접착제 등으로 결합 되었을 때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결합상태가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기능도 한다.
빗물안내부(120)의 하부 끝과 이어지면서 변형방지부재(140) 한쪽 끝에 변형방지부재(140)의 끝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빗물안내부(120)를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일부라도 난간의 외벽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는 외측단차홈(150)이 형성된다.
빗물은 빗물안내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오다가 빗물안내부(120)의 가장 높은 부분인 가운데 부분에서 대부분 건물의 바닥을 향해서 자유낙하를 하게 되는데, 빗물은 점성이 있기 때문에 일부는 가운데 부분을 지나 곡면을 따라 빗물안내부(120)의 하단까지 흘러 내려오고 빗물안내부(120)와 일체로 형성된 변형방지부재(140)를 따라 외벽까지 흘러 내려갈 수 있는데, 외측단차홈(150)이 빗물의 흐름을 끊어주어 난간 외벽으로 빗물이 흐르지 않도록 한다.
외측몸체의 다른 일단에는 단차가 형성되는 외측걸림홈(112)과 외측걸림돌기(114)이 연속으로 형성 된다.
외측몸체(110)에는 옥상 난간 위를 덮고 남은 부분을 덮을 수 있는 내측몸체(210)가 조립된다. 내측몸체(210)도 난간 상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닥이 평평하며 150 ~ 200mm의 폭을 갖는다. 외측몸체(110)와 조립되는 내측몸체(110)의 한쪽 끝에는 외측몸체(110)의 외측걸림홈(112)과 외측걸림돌기(114)에 대응되도록 내측걸림홈(212)과 내측걸림돌기(214)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옥상 난간의 폭은 건물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내측몸체(210)의 폭을 30 ~ 50mm 정도의 길이 차이를 두어 몇 가지 종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옥상 난간의 폭이 좁을 때는 상대적으로 짧은 내측몸체(210)를 외측몸체(110)에 연결하고 상대적으로 길때는 상대적으로 긴 내측몸체(210)를 외측몸체(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내측몸체(210)의 끝에는 30 ~ 40mm의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20 ~ 30mm 이며, 외면이 둥그럽게 형성되어 외측몸체(110)나 내측몸체(210)에 떨어진 빗물이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 외측 방향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는 빗물막이(220)가 형성된다.
빗물막이(220)의 하부이면서 내측몸체(210)의 끝 저면에는 빗물막이(220)의 하단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각형으로 형성되어 빗물막이(220)의 하단을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난간의 내벽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는 내측단차홈(230)이 형성된다. 내측단차홈(230)과 외측단차홈(150)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몸체(110)의 저면이나 외측몸체(110)가 올려질 난간(HD) 위에 접착제를 바르고, 외측몸체(110)를 난간 위에 올려 결합시킨다. 이때 난간외벽밀착부재(130)가 난간의 외벽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난간외벽밀착부재(130)의 뒷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난간외벽밀착부재(130)가 난간 외벽에 일체로 달라붙게 할수도 있지만 외측몸체(110)의 저면에 발라진 접착제만으로도 결합력은 충분하므로 난간의 구조에 따라 선택한다.
외측몸체(110)를 난간 위에 결합한 뒤 내측몸체(210)를 외측몸체(110)에 조립한다. 내측몸체(210)의 길이는 난간의 폭에 맞게 선택되어야 하므로 30 ~ 50mm 길이 차이로 미리 제조된 내측몸체(210) 중에서 난간의 폭에 맞는 길이의 내측몸체(210)를 선택하면 된다.
내측몸체(110)의 저면에도 접착제를 바르거나 난간 상면에 접착제를 발라서 결합한다. 외측몸체(210)의 끝에 외측걸림홈(112)과 외측걸림돌기(114)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몸체(210)의 끝에도 내측걸림홈(212)과 내측걸림돌기(2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몸체(210)의 내측걸림돌기(214)가 외측몸체(110)의 외측걸림홈(112)에, 내측몸체(210)의 내측걸림홈(212)에 외측몸체(110)의 외측걸림돌기(114)가 서로 맞물려 결합 된다. 이때 외측걸림홈(112)과 내측걸림홈(212)에 접착제를 바르고 조립할 수도 있으나, 액상 실리콘을 외측걸림홈(112)이나 내측걸림홈(212)에 소량 주입한 후 조립하면 액상 실리콘이 경화되면서 외측몸체(110)와 내측몸체(210)를 더 단단히 일체로 결합 되도록 해준다.
외측몸체(110)를 난간 위에 연속으로 이어붙이고 여기에 내측몸체(210)를 연속으로 이어붙이면서 조립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몸체(110)와 내측몸체(210)로 이루어진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가 완성된다. 외측몸체(110)와 외측몸체(110) 및 내측몸체(2100와 내측몸체(210)를 연속으로 이어 붙일 때, 경계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는 데, 이곳에는 조립후 액상 실리콘을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그 틈새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몸체(210)와 외측몸체(1100의 상면에 빗물이 떨어지게 된다. 빗물막이(220)에 의해 난간의 내측으로는 흐르지 못하고, 난간의 외측으로 흘러 빗물안내부(120)를 따라 건물 바닥으로 떨어진다. 빗물 안내는 경사면이면서 둥그럽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벽(OW)에서 멀어지면서 낙하하여 바람이 불어도 외벽까지는 잘 비산 되지 않는다.
빗물안내부(120)의 가장 볼록한 부분을 통과하면서 빗물은 대부분 바닥으로 낙하하지만, 빗물의 일부는 점성에 의해 빗물안내부(120)의 하단까지 흘러내리고, 이렇게 흘러내린 빗물은 변형방지부재(140)를 타고 난간 외벽으로 흘러갈 수 있지만, 외측단차홈(150)에 의해 더 이상 흐르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빗물이 빗물막이(220)에 떨어지면 빗물막이(220)의 최고점을 기준으로 바깥쪽 빗물은 내측몸체(210)와 외측몸체(110)를 따라 흘러 빗물안내부(120)를 따라 건물 밖으로 낙하하고, 안쪽의 빗물은 빗물막이(220)를 타고 내려가 옥상으로 떨어진다. 내측몸체(210)가 난간의 내측으로 30 ~ 50mm 정도 돌출되어 있으므로 난간의 내벽(IW)에서 30 ~ 50mm 이격된 상태로 낙하한다. 빗물막이(220) 하단에서 일부 빗물이 점성에 의해 내측몸체(210)의 저면을 타고 내벽쪽으로 흐를때 내측단차홈(230)에 의해 차단되어 더 이상 흐르지 못하고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옥상 바닥에 떨어진 빗물은 옥상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WW)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난간의 폭이 넓어서, 내측몸체(2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설치한 것이다. 즉 내측몸체(210)의 폭을 조절하여 난간의 폭 변화에 따라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외측몸체(110)와 내측몸체(210) 사이에 연결몸체(310)를 조립한 것이다. 폭 넓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연결몸체(310)를 구비하여 놓았다가, 현장에서 난간의 폭이 다를때 그에 맞는 연결몸체(310)를 선택함으로써 난간의 폭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옥상 난간에 떨어지는 빗물이 옥상 난간의 외벽이나 내벽은 물론이고, 난간의 외벽과 이어지는 건물 전체의 외벽으로도 빗물이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난간의 내벽과 외벽 및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흔적이 남거나 누렇게 변하는 등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건물의 벽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110 : 외측몸체 112 : 외측걸림홈
114 : 외측걸림돌기 120 : 빗물안내부
130 : 난간외벽밀착부재 140 : 변형방지부재
150 : 외측단차홈
210 : 내측몸체 212 : 내측걸림홈
214 : 내측걸림돌기 220 : 빗물막이
230 : 내측단차홈

Claims (5)

  1. 건물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옥상용 얼룩방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외측걸림홈(112)과 외측걸림돌기(114)가 형성되고,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몸체(110);
    상기 외측몸체(110) 끝에 하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빗물이 떨어질 때 건물 외벽에서 멀어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빗물안내부(120);
    상기 외측몸체(110)의 가장 외측에서 30 ~ 50mm 내측에 난간 외벽에 밀착되도록 직각으로 하향되어 형성되는 난간외벽밀착부재(130);
    상기 빗물안내부(120)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13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빗물안내부(120)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1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140);
    상기 변형방지부재(140)에는 상기 빗물안내부(120)의 하부 끝과 이어지면서 상기 변형방지부재(140) 외측 끝에 상기 변형방지부재(140)의 끝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빗물안내부(120)를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난간의 외벽 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도록 형성된 외측단차홈(150);
    상기 외측몸체(110)와 맞물려 조립되고, 일단에는 외측몸체(110)의 외측걸림홈(112)과 외측걸림돌기(114)에 맞물리는 내측걸림홈(212)과 내측걸림돌기(214)가 형성되며,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몸체(210);
    상기 내측몸체(210)의 끝에 형성되고, 30 ~ 50mm의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20 ~ 30mm 이며 둥그럽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몸체(110)나 내측몸체(210)에 떨어진 빗물이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되고 외측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빗물막이(220); 및
    상기 내측몸체(210)의 끝 저부에는 상기 빗물막이(220)의 하부 끝과 이어지면서 상기 내측몸체(210) 끝에 상기 빗물막이(220)의 끝과 단차가 생기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빗물막이(220)를 따라 점성에 의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난간의 내벽 쪽으로 흐르지 않게 그 흐름을 끓어주도록 형성된 내측단차홈(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는 설치 현장마다 난간의 폭 넓이가 다르더라도 그때마다 폭 넓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내측몸체를 길이가 다른 여러 종류로 구비하였다가 난간의 폭 넓이에 맞는 내측몸체의 선택하여 외측몸체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몸체와 내측몸체 사이에 설치 현장마다 난간의 폭 넓이가 다르더라도 그때마다 폭 넓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연결몸체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KR1020150145733A 2015-10-20 2015-10-20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KR10174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33A KR101741520B1 (ko) 2015-10-20 2015-10-20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33A KR101741520B1 (ko) 2015-10-20 2015-10-20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807A KR20170045807A (ko) 2017-04-28
KR101741520B1 true KR101741520B1 (ko) 2017-05-30

Family

ID=5870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33A KR101741520B1 (ko) 2015-10-20 2015-10-20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39B1 (ko) * 2021-04-22 2021-07-07 유지씨 주식회사 옥상 난간 보수용 보수 유닛 및 그 보수 유닛을 이용한 옥상 난간 보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2435A (zh) * 2020-06-10 2020-09-04 刘超 一种预制装配式建筑隔热结构及其隔热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87Y1 (ko) * 1999-09-01 2000-02-15 김웅중 난간용 두겁대
JP2005133436A (ja) * 2003-10-30 2005-05-26 Try Engineering Co Ltd 笠木
JP2007113326A (ja) * 2005-10-21 2007-05-10 Try Engineering Co Ltd 笠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87Y1 (ko) * 1999-09-01 2000-02-15 김웅중 난간용 두겁대
JP2005133436A (ja) * 2003-10-30 2005-05-26 Try Engineering Co Ltd 笠木
JP2007113326A (ja) * 2005-10-21 2007-05-10 Try Engineering Co Ltd 笠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39B1 (ko) * 2021-04-22 2021-07-07 유지씨 주식회사 옥상 난간 보수용 보수 유닛 및 그 보수 유닛을 이용한 옥상 난간 보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807A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666B2 (en) Linear drain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120180295A1 (en) Trench Drai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n Level Floor Surface, Particularly for Shower Rooms
KR101741520B1 (ko)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EP2598705B1 (en) Improved waste fitting
KR20160040757A (ko) 물 유입 차단을 위한 창틀프레임
KR20110010420U (ko) 계단용 논슬립
KR20140013556A (ko) 건물 외벽용 우수배수장치
EP3686363A1 (en) Lined drain
JP2018012980A (ja) 側溝用排水板
JP2007056549A (ja) 階段用床材
CN210134520U (zh) 建筑墙面的导水防污装置
JP6264402B2 (ja) バルコニーの排水仕切部材を用いたバルコニー構造
JP2004197316A (ja) 階段排水構造
JP4948947B2 (ja) 階段の排水構造
JP4100507B2 (ja) 階段構造
JP6072651B2 (ja) 開口部装置
KR200169887Y1 (ko) 난간용 두겁대
KR101575604B1 (ko) 옥상용 얼룩방지 우수배수장치
KR100514381B1 (ko) 방충망레일 일체형 공틀
TWM540174U (zh) 浴室用門檻及其護條
JP6704381B2 (ja) 雨水誘導階段、プレキャスト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雨水誘導階段用ブロック
JP6905901B2 (ja) 管ガイド
KR20140005702U (ko) 빗물막이 발코니 난간대 커버
KR200319423Y1 (ko) 보행 유도돌기
JP6312240B2 (ja) 型枠パネ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