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677B1 -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677B1
KR101739677B1 KR1020157026372A KR20157026372A KR101739677B1 KR 101739677 B1 KR101739677 B1 KR 101739677B1 KR 1020157026372 A KR1020157026372 A KR 1020157026372A KR 20157026372 A KR20157026372 A KR 20157026372A KR 101739677 B1 KR101739677 B1 KR 10173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phenyl
carbamate
dichlorophenyl
hydroxypropyl
n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61A (ko
Inventor
최용문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팜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팜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바이오팜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6000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7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amic or thiocarbamic acids, meprobamate, carbachol, neostig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25Carbamic acids; Thiocarbamic acids; Anhydride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6Central respiratory anal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8Mydriatics or cyclople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4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2/00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2602/36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more than two atoms in common
    • C07C2602/42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the rings having more than two atoms in common the bicyclo ring system containing seven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ddic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분 장애 또는 야기된 경련과 관련되는 다양한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한, 항-불안 활성 및 발작 및 양극성 장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PHENYL CARBAMATE COMPOUND AN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PSYCHIATRIC DISORD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신의학은 정신 장애의 연구, 진단,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전문적인 의학 분야이다. 이 정신 장애는 다양한 감정, 행동, 인지 및 지각 이상을 포함한다. 많은 정신의학적 증후군의 주된 증상으로 우울한 기분을 특징으로 한다. 우울증은 사람의 생각, 행동, 감정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어 활기가 쳐지고 반감을 갖는 상태를 말한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슬픔, 불안, 공허함, 절망감, 걱정스러움, 무력함, 무기력함, 죄책감, 짜증, 마음의 상처, 또는 산만함을 느낄 수 있다. 기분 장애는 기분의 원발성 교란으로 일어나는 장애이다. 이러한 장애는 최소 2주간 우울한 기분 또는 거의 모든 활동에서의 관심 또는 흥미를 잃어버리는 주요 우울 장애(MDD; 통상적으로 주요 우울증 또는 임상적 우울증이라고 한다); 및 기분 변조, 만성적인 우울한 상태, 주요 우울증 단계의 중증도를 못 미치는 증상을 포함한다.
다른 기분 장애, 양극성 장애는 기분, 인지,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이 비정상적으로 고조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하나 이상의 우울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울증 단계의 과정이 계절성 형태를 따르는 경우에, 장애(주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등)는 계절성 정서 장애로 설명될 수 있다. 기분 장애 이외에: 경계성 인격 장애는 통상적으로 우울한 기분을 특징으로 하고; 우울한 기분을 수반한 적응 장애는 인식 가능한 사건 또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나타나는 기분 교란이 나타나고, 기분 교란으로부터 야기된 감정 또는 행동 증상이 중요하지만, 주요 우울증 단계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며, 가끔 트라우마를 수반하는 불안 장애는 통상적으로 우울한 기분을 동반한다. 양극성 장애는 높은 재발률과, 대체로 무기력증을 동반한 추정상 신경생물학적 기질을 가지는 만성적인 정신 장애로 수십년간 알려져 왔다. 최근 신경생물학의 활발한 연구로 많은 부분이 알려졌지만, 양극성 장애는 실제 병리생리학적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드물다. 양극성 장애에 적용되어 왔던 모델 중 하나는 간질 모델로부터 가져온 킨들링(kindling)이며, 발작의 반복은 점진적으로 역치 감소를 초래하는 뉴런의 민감화 과정을 야기할 수 있고, 간질성 발작(조증)의 재발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물 모델 연구를 통해서 이 과정이 유전자 발현 및 2차 전달자에서 일련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실, 약리학 연구는 유전자 발현 및 세포 가소성의 조절을 포함하는 몇몇 세포내 메커니즘에서 항우울제 및 기분 안정제의 작용을 나타내는 이들 발견과 일치하여 왔다(Benicio Noronha Frey et al., Rev Bras Pisquiatr 2004;26(3): 180-8).
불안은 내적 혼란의 불쾌한 상태이고, 종종 신경과민성 행동, 예컨대 서성거림, 신체증상 호소(somatic complaints) 및 반추를 수반한다. 발생하지 않을 것 같은 어떤 것에 대한 근심의 주관적인 불쾌감, 예컨대 임박한 죽음의 감정 같은 것이 있다. 펜틸렌테트라졸(PTZ), GABA(A) 수용체 길항제 및 보편적인 불안유발 약물이 동물 불안 모델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PTZ는 주로 GABA(A)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확실히 특징적인 자극을 생성한다(Jung ME et al., Neurosci Biobehav Rev. 2002 Jun;26(4):429-39). 불안은 공포심과 다르게, 현실적으로 겁을 주거나 위험을 감지하는 것에 대한 느낌이고, 감지된 위협에 적합한 반응이다. 불안은 기분이다. 이러한 불안이 정신 장애가 될 경우에, 즉 근심의 실제 근원과 맞지 않는 일상에 대해 과도하고 제어불능하며 종종 이성을 잃는 근심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에는, 범불안 장애(GA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로 진단된다. GAD는 인식 가능한 트리거링 자극 없이 발생한다. 갈수록 심해지는 근심이 임의의 특정 위협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고; 사실, 이들은 종종 과장되고 비이성적이기 때문에 '범(generalized)'이라고 한다. 불안 장애의 부분적인 형태로는 공포증, 사회 불안, 강박 행동,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들 및 특허문헌들이 참조되고 인용 문헌은 괄호 안에 제공된다. 이들 논문들 및 특허문헌들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는 기분 장애뿐만 아니라, 야기된 신체 증상에 관련된 정신 질환에 대한 우수한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제제를 개발하고자 심도깊게 연구해왔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페닐카바메이트 유도체가 항-불안 활성 및 발작 및 양극성 장애에 대한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및 발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1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및 할로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2
(A1은 수소, C1-C5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1-C3 알킬 및 가교형 C6-C8 바이사이클로알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이고, R6 및 R7 중 하나는 수소이고; R8은 C1-C5 알킬이다.
본 발명자는 기분 장애뿐만 아니라, 야기된 신체 증상에 관련된 정신 질환에 대한 우수한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 제제를 개발하고자 심도깊게 연구해왔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페닐카바메이트 유도체가 항-불안 활성 및 발작 및 양극성 장애에 대한 보호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된 "정신 질환"은 정신 또는 행동 패턴을 가진 상태 또는 고뇌 또는 신체장애를 야기하는 기형을 말하고, 발육 또는 사회적 표준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정신 질환"은 "정신 장애(mental disorder)"와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우울 장애"는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저기압인 정신 장애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우울 장애는 환자가 적어도 2주간의 우울한 기분이거나 거의 모든 활동마다 흥미를 잃는 주요 우울 장애(MDD) 및 만성적인 우울 기분을 보이고, 증후가 MDD보다는 덜 중증인 기분변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양극성 장애"는 우울의 에피소드와 번갈아 나오는 조증으로 알려진, 고조되거나 동요된 기분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정신 장애를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불안 장애"는 현실 또는 상상의 사건에 의거하여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해 과도한 반추, 근심, 공포, 불안 및 걱정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장애를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발작"은 뇌에서의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거나 동시적 뉴런 활성의 짧은 에피소드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발작은 간질성 발작, 비간질성 발작, 초점성 발작 및 전신성 발작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알킬"은 포화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3차 부틸 및 펜틸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C1-C5 알킬기"는 탄소수 1-5개의 알킬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아릴"은 방향성을 갖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 단환식 또는 다환식 탄소고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아릴기는 바람직하게는 모노아릴 또는 바이아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가교형 바이사이클로알칸"은 분자 내에 식별 가능한 모든 3개의 고리에 의해 공유되는 2개의 고리 및 2개의 가교형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알칸을 말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의하면,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염소, 불소 및 요오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1, R2, R3, R4 및 R5는 동시에 수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의하면,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3
(A1은 수소, C1-C4 알킬,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헥실, 페닐 C1-C3 알킬 및 바이사이클로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의하면,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4
(A1은 수소, C1-C4 알킬,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헥실, 벤질 및 바이사이클[2.2.1]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이고, 여기서 R6 및 R7 중 하나는 수소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 의하면, 상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2)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3)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4)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5)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메틸카바메이트;
(6)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프로필카바메이트;
(7)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8)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9)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10)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벤질카바메이트;
(1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바이사이클로[2,2,1]헵탄카바메이트;
(12)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3)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4)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5)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6)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17)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18)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19)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20)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1)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메틸카바메이트;
(22)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프로필카바메이트;
(23)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24)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25)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26)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벤질카바메이트;
(27)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8)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9)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부틸-1-카바메이트;
(30)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부틸-1-카바메이트;
(31)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3-메틸-부틸-1-카바메이트;
(32)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3-메틸-부틸-1-카바메이트;
(33)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헥실-1-카바메이트;
(34)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헥실-1-카바메이트;
(35) 1-(2-플루오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6)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7)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38) 1-(2,3-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및
(39) 1-(2,3-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예에 의하면, 상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2)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4)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6)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프로필카바메이트;
(8)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12)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3)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4)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7)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35) 1-(2-플루오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6)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7)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및
(38) 1-(2,3-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화합물은 라세미체,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형태이다.
이러한 화합물에서, 2 키랄성 탄소는 페닐기로부터 1 및 2위치에 존재하고;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라세미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 의하면, 상기한 라세미체,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은: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S)-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R)-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부틸-(S)-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부틸-(S)-2-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부틸-(R)-2-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3-메틸-부틸-(S)-2-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3-메틸-부틸-(S)-2-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3-메틸-부틸-(R)-2-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메틸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메틸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메틸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메틸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프로필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프로필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및 1-(2-클로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의 라세미체;
1-(2-플루오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카바메이트;
1-(2-플루오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카바메이트;
1-(2-요오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카바메이트;
1-(2-요오드페닐)-(R)-1-히드록시프로필-(R)-2-카바메이트; 및
1-(2-요오드페닐)-(S)-1-히드록시부틸-(S)-2-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입체화학의 화합물들을 합성하였고, 다각적인 실험들에 의해 이들의 신경보호 활성도를 연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광학이성질체"는 하나 이상의 키랄성 탄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겹쳐지지 않는 거울상인 입체이성질체 2개중 하나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광학이성질체는 키랄성 탄소 C1 및 C2가 다양한 입체-구조(stereo-configuration)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부분입체이성질체"는 광학이성질체가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하고,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입체이성질체가 등가의 키랄중심 중 하나 이상(전부는 아님)에서 다른 구조를 갖는 경우에 발생하므로 서로 거울상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라세미체"는 다른 입체-구조인 2개의 광학이성질체가 등량이고, 광학활성이 결여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특정한 입체화학을 갖는 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하 실시예로부터 숙련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합물을 무기산, 유기산, 아미노산, 설폰산,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들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것들, 예를 들면, 무기산을 갖는 염들, 예컨대 염화수소산, 브롬산,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및 카보네이트; 및 유기산을 갖는 염들, 예컨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숙신산, 벤조산, 시트르산, 말레산, 말론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젖산, 겐티신산, 푸마르산, 락토바이온산, 살리실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 또는 아미노산을 갖는 염들,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발린, 이소루신,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리신, 아르기닌, 티로신 및 프롤린; 설폰산을 갖는 염들, 예컨대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및 톨루엔설포네이트; 알칼리금속과의 반응에 의한 금속염들, 예컨대 나트륨 및 칼륨; 또는 암모늄 이온을 갖는 염들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및 발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기분 장애 또는 야기된 경련과 관련된 정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제에 사용될 수 있으면, 즉각적인 화합물의 투여가 항-불안 활성 및 발작 및 양극성 장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된 질환에 관한 통상적인 설명을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학적 유효량"은 정신 질환을 예방, 경감, 치료하기 위한 효능 및 활성도를 나타내고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 화합물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통상적으로 약제 처방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륨,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륨,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제형의 상세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제19판, 1995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로서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또는 관절내 주입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근육 주입 또는 복강 주입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약제 처방 방법, 투여 방법,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사용된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일 투여량 0.001-10000 mg/kg(체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알려진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로 제형화하여 마침내 단위 용량 형태 및 다용량 형태를 포함하는 여러 형태로 제공한다. 제형의 비한정적인 예로서는 용액, 현탁액 또는 유중유액 또는 수성 매질, 엘릭서형(elixir), 분말, 과립, 정제(tablet) 및 캡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산제 또는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도록 의도된 것이고, 청구범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로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화학 반응식 I] 디올-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5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된 디올 화합물은 트랜스-올레핀 화합물의 이중수산화 반응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광학 활성이 있는 디올 화합물은 샤플리스 비대칭 이중수산화(Sharpless asymmetric dihydroxylation) 촉매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화학 반응식 II] 디올-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6
또한, 화학 반응식 II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올의 또 다른 광학 활성 물질은 할로로-만델산(Haloro-Mandelic acid)을 사용하여 히드록시-케톤 화합물을 합성한 후에 환원제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화학 반응식 II에서, PG(보호기)는 트리알킬실릴기(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TMS)기, 트리에틸실릴(TES)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TIPS)기, t-부틸디메틸실릴(TBDMS)기 등), 트리알킬아릴실릴기(여기서, 알킬 및 아릴기의 총 수는 3이고; 예를 들면, t-부틸디페닐실릴(TBDPS)기 등), 에스테르기[Ac(아세테이트), Bz(벤조에이트), Pv(피발로에이트), Cbz(벤질카보네이트), BOC(t-부틸카보네이트), Fmoc((9-플루오렌일메틸)카보네이트), Alloc(알릴카보네이트), Troc(트리클로로에틸카보네이트), p-메톡시벤조에이트, 메틸카보네이트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알킬기는 독립적으로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C1-C4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각각의 아릴기는 독립적으로 C5-C8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일 수 있다.
[화학 반응식 III] 카바메이션 반응-1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7
페닐 고리에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디올의 단일 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의 높은 선택성 형태는 상기 반응을 통해 제조된다.(실시예 1~4 및 36~67을 화학 반응식 III에 의해 합성한다)
[화학 반응식 IV] 카바메이션 반응-2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8
페닐 고리에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디올의 단일 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 형태인 두 물질은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시켜 두 가지 단일 카바메이트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실시예 15~35 및 68~115는 화학 반응식 IV에 의해 합성된다)
[화학 반응식 V] 보호 반응
Figure 112015092891773-pct00009
화학 반응식 V에서, PG(보호기)는 트리알킬실릴기(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TMS)기, 트리에틸실릴(TES)기, 트리이소프로필실릴(TIPS)기, t-부틸디메틸실릴(TBDMS)기 등), 트리알킬아릴실릴기(여기서, 알킬 및 아릴기의 총 수는 3이다; 예를 들면, t-부틸디페닐실릴(TBDPS)기 등), 에스테르기[Ac(아세테이트), Bz(벤조에이트), Pv(피발로에이트), Cbz(벤질카보네이트), BOC(t-부틸카보네이트), Fmoc((9-플루오렌일메틸)카보네이트), Alloc(알릴카보네이트), Troc(트리클로로에틸카보네이트), p-메톡시벤조에이트, 메틸카보네이트 등] 및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알킬기는 독립적으로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C1-C4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및 각각의 아릴기는 독립적으로 C5-C8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학 반응식 IV 및 V에서, A1은 수소, C1-C5 알킬기, C3-C7 사이클로알킬기, C6-C10 아릴 C1-C3 알킬 및 가교형 C6-C8 바이사이클로알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페닐 고리에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디올의 단일 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 형태인 두 물질은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시켜 두 가지 단일 카바메이트 화합물를 얻을 수 있다.
제조예 1: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0
플라스크에서 2-클로로벤젠알데히드(0.42mol) 48ml 및 3-펜탄온(0.47mol) 49.7ml를 헥산 600mL에 용해하고 나서, 교반하며 승온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환류 조건 하에서 삼불화붕소 에터레이트(BF3OEt2, 0.42mol) 53.6ml를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물을 이에 첨가하였다. 층분리 후, 수득된 유기층을 1M 수산화나트륨 용액(1M NaOH)으로 2회 세척하고 나서, 분리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g, 수율 5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4(d, J=4.8Hz, 3H), 6.24(m, 1H), 6.78(d, J=14Hz, 1H), 7.11~7.51(m, 4H)
제조예 2: 1-(2-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1
4-헵탄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9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4(d, J=7.6Hz, 3H), 2.29~2.33(m, 2H), 6.28(dt, J=16Hz, 6.4Hz, 1H), 6.78(d, J=15.6Hz, 1H), 7.13~7.54(m, 4H)
제조예 3: 1-(2-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2
2,6-디메틸-헵탄-4-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8.0g, 수율 5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4(d, J=6.8Hz, 6H), 2.25~2.57(m, 1H), 6.20(dd, J=16Hz, 7.2Hz, 1H), 7.64(d, J=16Hz, 1H), 7.12~7.54(m, 4H)
제조예 4: 1-(2-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3
6-운데칸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0g, 수율 8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2Hz, 3H), 1.33~1.56(m, 4H), 2.26~2.32(m, 4H), 6.24(dt, J=15.6Hz, 7Hz, 1H), 6.78(d, J=16Hz, 1H), 7.13~7.54(m, 4H)
제조예 5: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4
2,4-디클로로벤젠알데히드를 2-클로로벤젠알데히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5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5(dd, J=6.8Hz, 1.6Hz, 3H), 6.24(m, 1H), 6.72(d, J=15.6Hz, 1H), 7.18~7.44(m, 3H)
제조예 6: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5
4-헵탄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1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4(d, J=7.6Hz, 3H), 2.20~2.33(m, 2H), 6.26(dt, J=16HZ, 6.8Hz, 1H), 6.70(d, J=15.6Hz, 1H), 7.18~7.46(m, 3H)
제조예 7: 1-(2,6-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6
2,6-디메틸-헵탄-4-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3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8Hz, 6H), 2.53~2.58(m, 1H), 6.19(dd, J=16.4Hz, 6.8Hz, 1H), 6.31(d, J=16.4Hz, 1H), 7.18~7.46(m, 3H)
제조예 8: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7
6-운데칸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2g, 수율 40~8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2Hz, 3H), 1.38~1.52(m, 4H), 2.25~2.31(m, 2H), 6.22(dt, J=15.6Hz, 6.8Hz, 1H), 6.70(d, J=15.6Hz, 1H), 7.18~7.46(m, 3H)
제조예 9: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8
2,6-디클로로벤젠알데히드를 2-클로로벤젠알데히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4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8(d, J=8Hz, 3H), 6.23-6.31(m, 1H), J=16Hz, 1H), 7.05~7.32(m, 3H)
제조예 10: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19
4-헵탄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2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7(t, J=7.6Hz, 3H), 2.30~2.37(m, 2H), 6.29(dt, J=16.4Hz, 6Hz, 1H), 6.37(d, J=16.4Hz, 1H), 7.05~7.32(m, 3H)
제조예 11: 1-(2,6-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0
2,6-디메틸-헵탄-4-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3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8Hz, 6H), 2.53~2.58(m, 1H), 6.19(dd, J=16.4Hz, 6.8Hz, 1H), 6.31(d, J=16.4Hz, 1H), 7.05~7.32(m, 3H)
제조예 12: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1
6-운데칸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9(t, J=7.2Hz, 3H), 1.14~1.59(m, 4H), 2.30~2.36(m, 2H), 6.24(dt, J=16Hz, 6.6Hz, 1H), 6.38(d, J=16.4Hz, 1H), 7.05~7.33(m, 3H)
제조예 13: 1-(2,3-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2
2,3-디클로로벤젠알데히드를 2-클로로벤젠알데히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g, 수율 10~4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4(d, J=4.8Hz, 3H), 6.24(m, 1H), 6.78(d, J=14Hz, 1H), 7.11~7.51(m, 3H)
제조예 14: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3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1.5g, 제조예 1)을 t-BuOH/H2O(1:1(V/V))의 혼합물 30mL에 용해하였다. 0℃에서, AD-mix-β(미국의 Aldrich)(13.7g) 및 메탄설폰아미드(CH3SO2NH2, 0.76g, 0.0080mol)를 이에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아황산나트륨(Na2SO3) 수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5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0(d, J=6.4Hz, 3H), 2.48(d, J=4.0Hz 1H), 2.92(d, J=4.4Hz, 1H), 3.93~3.97(m, 1H), 4.97(t, J=4.8Hz, 1H), 7.22~7.51(m, 4H)
13CNMR(100MHz, CDCl3) δ18.8, 71.5, 74.4, 127.1, 128.1, 128.9, 129.5, 132.6, 138.9
제조예 15: 1-(2-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4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2.5g, 제조예 1)을 t-BuOH/H2O(1:1(V/V))의 혼합물 50mL에 용해하였다. 0℃에서, AD-mix-α(미국의 Aldrich)(23.5g) 및 메탄설폰아미드(CH3SO2NH2, 1.27g, 0.013mol)를 이에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아황산나트륨(Na2SO3) 수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96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0(d, J=6.4Hz, 3H), 2.48(d, J=4.0Hz, 1H), 2.92(d, J=4.4Hz, 1H), 3.93~3.97(m, 1H), 4.97(t, J=4.8Hz, 1H), 7.22~7.51(m, 4H)
제조예 16: 1 -(2- 클로로페닐 )-( S,S )-1,2- 프로판디올 및 1-(2- 클로로페닐 )-(R,R)-1,2-프로판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5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6.53g, 제조예 1)을 아세톤/t-BuOH/H2O(5:1:1 V/V)의 혼합물 45mL에 용해하였다. 실온에서, N-메틸모폴린-N-옥시드(7.51g) 및 OsO4(0.54g)를 이에 첨가하고 2~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물 및 메틸렌클로라이드(MC)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42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0(d, J=6.4Hz, 3H), 2.48(d, J=4.0Hz, 1H), 2.92(d, J=4.4Hz, 1H), 3.93~3.97(m, 1H), 4.97(t, J=4.8Hz, 1H), 7.22~7.51(m, 4H)
제조예 17: 1-(2-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6
1-(2-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6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1(t, J=7.4Hz, 3H), 1.52~1.65(m, 2H), 2.01(d, J=4.4Hz, 1H), 2.74(d, J=5.2Hz, 1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18: 1-(2-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7
1-(2-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84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1(t, J=7.4Hz, 3H), 1.52~1.65(m, 2H), 2.01(d, J=4.4Hz, 1H), 2.74(d, J=5.2Hz, 1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19: 1 -(2- 클로로페닐 )-( S,S )-1,2- 부탄디올 및 1-(2- 클로로페닐 )-(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8
1-(2-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5.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1(t, J=7.4Hz, 3H), 1.52~1.65(m, 2H), 2.01(d, J=4.4Hz, 1H), 2.74(d, J=5.2Hz, 1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20: 1-(2-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29
1-(2-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t, J=7.2Hz, 6H), 1.83~1.89(m, 1H), 1.92(d, J=5.6Hz, 1H), 2.69(d, J=6.4Hz, 1H), 3.53-3.56(m, 1H), 5.22~5.25(m, 1H), 7.23~7.55(m, 4H)
제조예 21: 1-(2-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0
1-(2-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4.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t, J=7.2Hz, 6H), 1.82~1.90(m, 1H), 1.93(d, J=5.6Hz, 1H), 2.79(d, J=6Hz, 1H), 3.53~3.57(m, 1H), 5.23~5.25(m, 1H), 7.23~7.54(m, 4H)
제조예 22: 1 -(2- 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부탄디올 및 1-(2- 클로로페닐 )-3-메틸-(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1
1-(2-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t, J=7.2Hz, 6H), 1.83~1.90(m, 1H), 1.92(d, J=5.6Hz, 1H), 2.69(d, J=6.4Hz, 1H), 3.53~3.56(m, 1H), 5.22~5.25(m, 1H), 7.23~7.55(m, 4H)
제조예 23: 1-(2-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2
1-(2-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4)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7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0(t, J=7.2Hz, 3H), 1.35~1.65(m, 6H), 2.08(d, J=4.4Hz, 1H), 2.71(d, J=5.2Hz, 1H), 3.78~3.83(m, 1H), 5.04(t, J=5.0Hz, 1H), 7.23~7.53(m, 4H)
제조예 24: 1-(2-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3
1-(2-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4)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4.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1(t, J=6.6Hz, 3H), 1.35~1.65(m, 6H), 2.08(d, J=4.8Hz, 1H), 2.70(d, J=5.2Hz, 1H), 3.80~3.83(m, 1H), 5.05(t, J=5.0Hz, 1H), 7.24~7.56(m, 4H)
제조예 25: 1 -(2- 클로로페닐 )-( S,S )-1,2- 헥산디올 및 1-(2- 클로로페닐 )-(R,R)-1,2-헥산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4
1-(2-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4)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7.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0(t, J=7.2Hz, 3H), 1.26~1.55(m, 6H), 2.08(d, J=4.4Hz, 1H), 2.71(d, J=5.6Hz, 1H), 3.78~3.84(m, 1H), 5.04(t, J=3.2Hz, 1H), 7.24~7.55(m, 4H)
제조예 26: 1-(2,4-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5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5)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3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2.10(d, J=4.4Hz, 1H), 2.71(d, J=4.8Hz, 1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dd, J=2.0Hz, J=8.0Hz, 1H), 7.40(d, J=2.0Hz, 1H), 7.49(d, J=8.4Hz, 1H)
제조예 27: 1-(2,4-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6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5)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45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2.10(d, J=4.4Hz, 1H), 2.71(d, J=4.8Hz, 1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28: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프로판디올 및 1-(2,4- 디클로로페닐 )-(R,R)-1,2-프로판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7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5)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45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2.10(d, J=4.4Hz, 1H), 2.71(d, J=4.8Hz, 1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29: 1-(2,4-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8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6)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2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2(t, J=7.4Hz, 3H), 1.54~1.61(m, 2H), 2.07(d, J=4.8Hz, 1H), 2.74(d, J=4.8Hz, 1H), 3.65~3.68(m, 1H), 5.01(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30: 1-(2,4-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39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6)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4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2(t, J=7.4Hz, 3H), 1.54~1.61(m, 2H), 2.07(d, J=4.8HZ, 1H), 2.74(d, J=4.8Hz, 1H), 3.65~3.68(m, 1H), 5.01(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31: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부탄디올 및 1-(2,4- 디클로로페닐 )-(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0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6)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2(t, J=7.4Hz, 3H), 1.54~1.61(m, 2H), 2.07(d, J=4.8Hz, 1H), 2.74(d, J=4.8Hz, 1H), 3.65~3.68(m, 1H), 5.01(t, J=5.0Hz, 1H), 77.31~7.49(m, 3H)
제조예 32: 1-(2,4-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1
1-(2,4-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7)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5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33: 1-(2,4-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2
1-(2,4-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7)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6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34: 1 -(2,4-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부탄디올 및 1-(2,4- 디클로로페닐 )-3-메틸-(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3
1-(2,4-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7)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6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35: 1-(2,4-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4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8)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2(m, 2H), 2.05(d, J=5.2Hz, 1H), 2.74(d, J=5.2Hz, 1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36: 1-(2,4-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5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8)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2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2(m, 2H), 2.05(d, J=5.2Hz, 1H), 2.74(d, J=5.2Hz, 1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37: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헥산디올 및 1-(2,4- 디클로로페닐 )-(R,R)-1,2-헥산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6
1-(2,4-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8)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67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2(m, 2H), 2.05(d, J=5.2Hz, 1H), 2.74(d, J=5.2Hz, 1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38: 1-(2,6-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7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9)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1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36(m, 3H)
제조예 39: 1-(2,6-디클로로페닐)-(R,R)-1 , 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8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9)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8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l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36(m, 3H)
제조예 40: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프로판디올 및 1-(2,6- 디클로로페닐 )-(R,R)-1,2-프로판디올의 혼합물의 합
Figure 112015092891773-pct00049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9)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1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36(m, 3H)
제조예 41: 1-(2,6-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0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10)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23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7(t, J=7.6Hz, 3H), 1.26~1.53(m, 2H), 2.64(dd, J=0.8Hz, J=4.0Hz, 1H), 3.14(d, J=8.4Hz, 1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42: 1-(2,6-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1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10)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6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7(t, J=7.6Hz, 3H), 1.26~1.53(m, 2H), 2.64(dd, J=0.8Hz, J=4.0Hz, 1H), 3.14(d, J=8.4Hz, 1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43: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부탄디올 및 1-(2,6- 디클로로페닐 )-(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2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10)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86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7(t, J=7.6Hz, 3H), 1.26~1.53(m, 2H), 2.64(dd, J=0.8Hz, J=4.0Hz, 1H), 3.14(d, J=8.4Hz, 1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44: 1-(2,6-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3
1-(2,6-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11)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5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45: 1-(2,6-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4
1-(2,6-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11)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7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46: 1 -(2,6-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부탄디올 및 1-(2,6- 디클로로페닐 )-3-메틸-(R,R)-1,2-부탄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5
1-(2,6-디클로로페닐)-3-메틸-트랜스-1-부텐(제조예 11)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47g, 수율 6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8Hz, 6H), 1.60~1.65(m, 1H), 2.35(d, J=4.0Hz, 1H), 3.12(d, J=8.4Hz,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47: 1-(2,6-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6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1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3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6.8Hz, 3H), 1.20~1.31(m, 4H), 1.45~1.53(m, 2H), 2.61~2.62(m, 1H), 3.12(d, J=8.4Hz, 1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48: 1-(2,6-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7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1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5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H NMR(400MHz, CDCl3) δ0.85(t, J=6.8Hz, 3H), 1.20~1.31(m, 4H), 1.45~1.53(m, 2H), 2.61-2.62(m, 1H), 3.12(d, J=8.4Hz, 1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49: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헥산디올 및 1-(2,6- 디클로로페닐 )-(R,R)-1,2-헥산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8
1-(2,6-디클로로페닐)-트랜스-1-헥센(제조예 12)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6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6.8Hz, 3H), 1.20~1.31(m, 4H), 1.45~1.53(m, 2H), 2.61~2.62(m, 1H), 3.12(d, J=8.4Hz, 1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50: 메틸 2-(2-클로로페닐)-(R)-2-히드록시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59
플라스크에서 (R)-2-클로로만델산 15g을 메탄올(CH3OH, 150ml) 및 포스포러스 클로라이드 옥시드(POCl3, 0.76ml)와 혼합하여, 자기 교반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반응물을 아황산나트륨(Na2SO3) 수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64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3.59(d, J=5.2, 1H), 3.79(t, J=6.0, 3H), 5.59(d, J=5.2, 1H), 7.28~7.43(m, 4H)
제조예 51: 2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N- 메톡시 -N- 메틸아세트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0
N,O-디메틸히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N,O-디메틸히드록실아민.HCl, 15.2g)를 디클로로메탄(DCM, 150ml)에 용해하고, 얼음수조를 사용하여 0℃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헥산에 녹은 2.0M 트리메틸알루미늄 77.7ml을 적가 방법으로 30분간 이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그 후에, 얼음수조를 제거하고, 수득된 생성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DCM, 150ml)에 용해된 메틸-2-(2-클로로페닐)-(R)-2-히드록시아세테이트(15.64g)를 적가 방법으로 실온에서 30분간 이에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환류를 행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0℃로 냉각시키고, 염산(HCl, 200ml)을 천천히 적가하여 세척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증류수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68g, 수율 8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3.23(s, 3H), 3.28(s, 3H), 4.33(d, J=6.0Hz, 1H), 5.81(d, J=5.6Hz, 1H), 7.23~7.42(m, 4H)
제조예 52: 2 -(2- 클로로페닐 )-N- 메톡시 -(R)-2-(t- 부틸디메틸실릴옥시 )-N- 메틸아세트아미드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1
제조예 51에서 수득된 2-(2-클로로페닐)-(R)-2-히드록시-N-메톡시-N-메틸아세트아미드(0.81g, 3.52mmol)을 디클로로메탄(DCM)에 용해하고, 0℃로 냉각하였다. 이미다졸(0.36g, 5.28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TBDMS-Cl(t-부틸디메틸실리클로라이드, 0.79g, 5.28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 혼합물을 H2O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회수하였다. 수층을 CH2Cl2(300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켰다. 감압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97g, 80~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3(s, 3H), 0.14(s, 3H), 0.94(s, 9H), 2.97(s, 3H), 3.02(s, 3H), 5.83(s, 1H), 7.25~7.60(m, 4H)
제조예 53: 1 -(2- 클로로페닐 )-(R)-1-(t- 부틸디메틸 - 실릴옥시 )프로판-2-온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2
제조예 52에서 수득된 2-(2-클로로페닐)-N-메톡시-(R)-2-(t-부틸디메틸실릴옥시)-N-메틸아세트아미드(0.9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서 용해하고, 0℃로 냉각하였다. 에테르에 녹은 3.0M 브롬화 메틸 마그네슘(MeMgBr, 2.18ml) 용액을 적가 방법으로 30분간 이에 첨가하고, 수득된 생성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디에틸에테르를 이에 첨가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10%(w/v) 황산수소칼륨(KHSO4; 100ml)으로 세척하고 나서, 염수로 재차 세척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69g, 수율 85~9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3(s, 3H), 0.14(s, 3H), 0.94(s, 9H), 2.18(s, 3H), 5.50(s, 1H), 7.27~7.56(m, 4H)
제조예 54: 1 -(2- 클로로페닐 )-(R)-1-(t- 부틸디메틸 - 실릴옥시 )-(S)-2-프로판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3
제조예 53에서 수득된 1-(2-클로로페닐)-(R)-1-(t-부틸디메틸-실릴옥시)프로판-2-온(0.14g)을 에테르에 용해하고, -78℃로 냉각하였다. 징크보로하이드라이드(Zn(BH4)2)를 이에 천천히 첨가하고, 수득된 생성물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H2O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H2O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4g, 수율 25~33%, 시스:트랜스=2: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11(s, 3H), 0.11(s, 3H), 0.93(S, 9H), 1.07(d, J=6.4 3H), 2.05(d, J=6.4 1H), 4.01~4.05(m, 1H), 5.18(d, J=4.0, 1H), 7.20~7.56(m, 4H))
제조예 55: 1-(2-클로로페닐)-(R,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4
제조예 54에서 수득된 1-(2-클로로페닐)-(R)-1-(t-부틸디메틸-실릴옥시)-(S)-2-프로판올(10.38 g)을 메탄올(CH3OH, 100ml)에 용해하고 나서, 0℃로 냉각하였다. 8M 염산(HCl, 56.2ml)을 적가 방법으로 수득된 생성물에 천천히 첨가하고 나서, 수득된 생성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0℃로 냉각하였다. 5N 수산화나트륨(NaOH, 30ml)을 이에 천천히 첨가하고, 수득된 생성물을 진공 농축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05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d, J=6.8, 3H), 2.01(d, J=5.6, 1H), 2.61(s, 1H), 4.21~4.27(m, 1H), 5.24(d, J=3.6, 1H), 7.22~7.64(m, 4H)
제조예 56: 1-(2-클로로페닐)-(S,R)-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5
(S)-2-클로로만델산을 (R)-2-클로로만델산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0~5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5.04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d, J=6.8, 3H), 2.00(d, J=5.6, 1H), 2.54(d, J=3.6, 1H), 4.22~4.26(m, 1H), 5.25(t, J=3.2, 1H), 7.22~7.65(m, 4H)
제조예 57: 1-(2,3-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6
1-(2,3-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1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m, 3H)
제조예 58: 1-(2,3-디클로로페닐)-(R,R)-1 , 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7
1-(2,3-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8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1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m, 3H)
제조예 59: 1 -(2,3- 디클로로페닐 )-( S,S )-1,2- 프로판디올 및 1-(2,3- 디클로로페닐 )-(R,R)-1,2-프로판디올의 혼합물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8
1-(2,3-디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3)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9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4Hz, 3H), 2.72(d, J=2.4Hz, 1H), 3.10(d, J=8.4Hz, 1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m, 3H)
제조예 60: 1-(2-플루오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69
2-플루오로벤젠알데히드를 2-클로로벤젠알데히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6.67g, 수율 6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4(d, J=6.8Hz, 3H), 6.30~6.38(m, 1H), 6.57(d, J=16Hz, 1H), 7.00~7.41(m, 4H)
제조예 61: 1-(2-플루오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0
1-(2-플루오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60)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6.46g, 수율 7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2.43(d, J=3.6Hz, 1H), 2.69(d, J=4.8Hz, 1H), 3.90~3.98(m, 1H), 4.78(dd, J=4.4, 7.2Hz, 1H), 7.04~7.50(m, 4H)
제조예 62: 1-(2-플루오로페닐)-(R,R)-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1
1-(2-플루오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60)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29g, 수율 7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2.43(d, J=3.6Hz, 1H), 2.69(d, J=4.8Hz, 1H), 3.90~3.98(m, 1H), 4.78(dd, J=4.4, 7.2Hz, 1H), 7.04~7.50(m, 4H)
제조예 63: 2-요오드벤젠알데히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2
플라스크에서, 2-요오드벤질알코올(4g, 17.09mmol)을 디클로로메탄(DMC, 85ml)에서 용해시키고 나서, 산화망간(MnO2, 14.86g, 170.92mmol)를 이에 첨가하였다.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환류 조건 하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나서, 셀라이트(celite)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3.6g, 수율 9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7.30~7.99(m, 4H), 10.10(s, 1H)
제조예 64: 1-(2-요오드페닐)-트랜스-1-프로펜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3
2-요오드벤젠알데히드(제조예 63)를 2-클로로벤젠알데히드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4g, 수율 6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95(dd, J=6.8Hz, 1.6Hz, 3H), 6.09~6.18(m, 1H), 6.60(dd, J=15.66Hz, 1.8Hz, 1H), 6.89~7.84(m, 4H)
제조예 65: 1-(2-요오드페닐)-트랜스-1-부텐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4
4-헵탄온을 3-펜탄온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8.5g, 수율 7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46(t, J=7.6Hz, 3H), 2.26~2.34(m, 2H), 6.17(dt, J=15.6Hz, 6.6Hz, 1H), 6.57(d, J=15.6Hz, 1H), 6.89~7.85(m, 4H)
제조예 66: 1-(2-요오드페닐)-(S,S)-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5
1-(2-요오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64)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4g, 수율 8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7(d, J=6.4Hz, 3H), 2.26(br s, 1H), 2.74(br s, 1H), 3.99(t, J=6.0Hz, 1H), 4.81(d, J=4.0Hz, 1H), 7.01~7.87(m, 4H)
제조예 67: 1-(2-요오드페닐)-(R,R)-1,2-프로판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6
1-(2-요오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64)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7.4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6(d, J=6.4Hz, 3H), 2.35(br s, 1H), 2.85(br d, J=4.0Hz, 1H), 3.98(t, J=6.2Hz, 1H), 4.80(dd, J=5.0, 4.4Hz, 1H), 7.00~7.87(m, 4H)
제조예 68: 1-(2-요오드페닐)-(S,S)-1,2-부탄디올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7
1-(2-요오드페닐)-트랜스-1-부텐(제조예 65)을 1-(2-클로로페닐)-트랜스-1-프로펜(제조예 1)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9.5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4(t, J=7.6Hz, 3H), 1.60~1.7 l(m, 2H), 2.07(br s, 1H), 2.74(br s, 1H), 3.71~3.76(m, 1H), 4.87(d, J=4.8Hz, 1H), 7.01~7.87(m, 4H)
제조예 69: 1 -(2- 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8
CH2Cl2(670ml)에 녹인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67g, 0.35mol)의 교반된 용액에, Et3N(200mL, 1.43mol) 및 TMSCl(113.9mL, 0.89mol)을 0℃에서 N2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키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H2O(650mL)를 주입하여 반응종료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회수하였다. 수층을 CH2Cl2(300mL)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하여 미정제 수득물 104.18g(117.44%)을 제공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5.6Hz, 3H), 3.977~3.918(m, 1H), 4.973(d, J=6.4Hz, 1H), 7.207~7.165(m, 1H), 7.321~7.245(m, 2H), 7.566~7.543(m, 1H)
제조예 70: 1 -(2- 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79
1-(2-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1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8.5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5.6Hz, 3H), 3.977-3.918(m, 1H), 4.973(d, J=6.4Hz, 1H), 7.21~7.54(m, 4H)
제조예 71: 1-(2-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0
1-(2-클로로페닐)프로판-1,2-디올(제조예 1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5.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5.6Hz, 3H), 3.977~3.918(m, 1H), 4.973(d, J=6.4Hz, 1H), 7.21~7.54(m, 4H)
제조예 72: 1 -(2- 클로로페닐 )-( S,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1
1-(2-클로로페닐)-(S,R)-1,2-프로판디올(제조예 5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4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5.6Hz, 3H), 3.977~3.918(m, 1H), 4.973(d, J=6.4Hz, 1H), 7.21~7.54(m, 4H)
제조예 73: 1 -(2- 클로로페닐 )-( R,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2
1-(2-클로로페닐)-(R,S)-1,2-프로판디올(제조예 5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5.6Hz, 3H), 3.977~3.918(m, 1H), 4.973(d, J=6.4Hz, 1H), 7.21~7.54(m, 4H)
제조예 74: 1 -(2- 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3
1-(2-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1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1(t, J=7.4Hz, 3H), 1.52~1.65(m, 2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75: 1 -(2- 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4
1-(2-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제조예 1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5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1(t, J=7.4Hz, 3H), 1.52~1.65(m, 2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76: 1-(2-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5
1-(2-클로로페닐)-1,2-부탄디올(제조예 1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0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1(t, J=7.4Hz, 3H), 1.52~1.65(m, 2H), 3.69~3.75(m, 1H), 5.05(t, J=5.0Hz, 1H), 7.23~7.54(m, 4H)
제조예 77: 1 -(2- 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6
1-(2-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제조예 2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7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7(t, J=7.2Hz, 6H), 1.83~1.89(m, 1H), 3.53~3.56(m, 1H), 5.22~5.25(m, 1H), 7.23~7.55(m, 4H)
제조예 78: 1 -(2- 클로로페닐 )-3- 메틸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7
1-(2-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제조예 2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7(t, J=7.2Hz, 6H), 1.83~1.89(m, 1H), 3.53~3.56(m, 1H), 5.22~5.25(m, 1H), 7.23~7.55(m, 4H)
제조예 79: 1 -(2- 클로로페닐 )-3- 메틸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8
1-(2-클로로페닐)-3-메틸-1,2-부탄디올(제조예 2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7(t, J=7.2Hz, 6H), 1.83~1.89(m, 1H), 3.53~3.56(m, 1H), 5.22~5.25(m, 1H), 7.23~7.55(m, 4H)
제조예 80: 1 -(2- 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89
1-(2-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제조예 23)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0(t, J=7.2Hz, 3H), 1.35~1.65(m, 6H), 3.78~3.83(m, 1H), 5.04(t, J=5.0Hz, 1H), 7.23~7.53(m, 4H)
제조예 81: 1 -(2- 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0
1-(2-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제조예 24)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0(t, J=7.2Hz, 3H), 1.35~1.65(m, 6H), 3.78~3.83(m, 1H), 5.04(t, J=5.0Hz, 1H), 7.23~7.53(m, 4H)
제조예 82: 1 -(2- 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1
1-(2-클로로페닐)-1,2-헥산디올(제조예 2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0(t, J=7.2Hz, 3H), 1.35~1.65(m, 6H), 3.78~3.83(m, 1H), 5.04(t, J=5.0Hz, 1H), 7.23~7.53(m, 4H)
제조예 83: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2
1-(2,4-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2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22(d, J=6.4Hz, 3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dd, J=2.0Hz, J=8.0Hz, 1H), 7.40(d, J=2.0Hz, 1H), 7.49(d, J=8.4Hz, 1H)
제조예 84: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3
1-(2,6-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3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4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3~7.36(m, 3H)
제조예 85: 1 -(2,3-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4
1-(2,3-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5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22(m, 3H)
제조예 86: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5
1-(2,4-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2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2(t, J=7.4Hz, 3H), 1.54~1.61(m, 2H), 3.65~3.68(m, 1H), 5.01(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87: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6
1-(2,6-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4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7(t, J=7.6Hz, 3H), 1.26~1.53(m, 2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88: 1 -(2,4-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7
1-(2,4-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제조예 3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7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30~7.53(m, 3H)
제조예 89: 1 -(2,6-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8
1-(2,6-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제조예 44)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90: 1 -(2,4-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099
1-(2,4-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제조예 9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m, 2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91: 1 -(2,6- 디클로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0
1-(2,6-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제조예 4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5(t, J=6.7Hz, 3H), 1.20~1.31(m, 4H), 1.45~1.53(m, 2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92: 1 -(2,4-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1
1-(2,4-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2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22(d, J=6.4Hz, 3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93: 1 -(2,6- 디클로로페닐 )-( R,R )-1 , 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2
1-(2,6-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3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36(m, 3H)
제조예 94: 1 -(2,3-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3
1-(2,3-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5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9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22(m, 3H)
제조예 95: 1 -(2,4-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4
1-(2,4-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제조예 3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2(t, J=7.4Hz, 3H), 1.54~1.61(m, 2H), 3.65~3.68(m, 1H), 5.01(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96: 1 -(2,6-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5
1-(2,6-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제조예 4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7(t, J=7.6Hz, 3H), 1.26~1.53(m, 2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97: 1 -(2,4-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6
1-(2,4-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제조예 33)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5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30~7.53(m, 3H)
제조예 98: 1 -(2,6- 디클로로페닐 )-3- 메틸 -( R,R )-1 , 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7
1-(2,6-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부탄디올(제조예 4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4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99: 1 -(2,4-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8
1-(2,4-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제조예 3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2(m, 2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100: 1 -(2,6- 디클로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09
1-(2,6-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제조예 4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5(t, J=6.7Hz, 3H), 1.20~1.31(m, 4H), 1.45~1.53(m, 2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101: 1 -(2,4-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0
1-(2,4-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2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22(d, J=6.4Hz, 3H), 3.90~3.95(m, 1H), 4.94(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102: 1 -(2,6-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1
1-(2,6-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4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36(m, 3H)
제조예 103: 1 -(2,3-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2
1-(2,3-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5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7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0(d, J=6.4Hz, 3H), 4.47~4.54(m, 1H), 5.24(t, J=8.8Hz, 1H), 7.18~7.22(m, 3H)
제조예 104: 1 -(2,4-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3
1-(2,4-디클로로페닐)-1,2-부탄디올(제조예 3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9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2(t, J=7.4Hz, 3H), 1.54~1.61(m, 2H), 3.65~3.68(m, 1H), 5.01(t, J=5.0Hz, 1H), 7.31~7.49(m, 3H)
제조예 105: 1 -(2,6-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4
1-(2,6-디클로로페닐)-1,2-부탄디올(제조예 43)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97(t, J=7.6Hz, 3H), 1.26~1.53(m, 2H), 4.22~4.26(m, 1H), 5.26(t, J=8.4Hz, 1H), 7.17~7.35(m, 3H)
제조예 106: 1 -(2,4- 디클로로페닐 )-3- 메틸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5
1-(2,4-디클로로페닐)-3-메틸-1,2-부탄디올(제조예 34)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7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30~7.53(m, 3H)
제조예 107: 1 -(2,6- 디클로로페닐 )-3- 메틸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6
1-(2,6-디클로로페닐)-3-메틸-1,2-부탄디올(제조예 4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0(d, J=6.8Hz, 6H), 1.60~1.65(m, 1H), 4.13~4.18(m, 1H), 5.36(t, J=7.6Hz, 1H), 7.17~7.35(m, 3H)
제조예 108: 1 -(2,4-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7
1-(2,4-디클로로페닐)-1,2-헥산디올(제조예 3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7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9~0.93(m, 3H), 1.30~1.39(m, 2H), 1.49~1.52(m, 2H), 1.56~1.62(m, 2H), 3.72~3.77(m, 1H), 4.98(t, J=4.8Hz, 1H), 7.28~7.50(m, 3H)
제조예 109: 1 -(2,6- 디클로로페닐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 헥산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8
1-(2,6-디클로로페닐)-1,2-헥산디올(제조예 4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2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0.85(t, J=6.7Hz, 3H), 1.20~1.31(m, 4H), 1.45~1.53(m, 2H), 4.28~4.33(m, 1H), 5.25(t, J=8.4Hz, 1H), 7.18~7.35(m, 3H)
제조예 110: 1 -(2- 플루오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19
1-(2-플루오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6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6.4Hz, 3H), 3.90~3.98(m, 1H), 4.78(dd, J=4.4, 7.2Hz, 1H), 7.04~7.50(m, 4H)
제조예 111: 1 -(2- 플루오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0
1-(2-플루오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6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5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15(d, J=6.4Hz, 3H), 3.90~3.98(m, 1H), 4.78(dd, J=4.4, 7.2Hz, 1H), 7.04~7.50(m, 4H)
제조예 112: 1 -(2- 요오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1
1-(2-요오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6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27(d, J=6.4Hz, 3H), 3.99(t, J=6.0Hz, 1H), 4.81(d, J=4.0Hz, 1H), 7.01~7.87(m, 4H)
제조예 113: 1 -(2- 요오드페닐 )-( R,R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프로판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2
1-(2-요오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6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26(d, J=6.4Hz, 3H), 3.98(t, J=6.2Hz, 1H), 4.88(d, J=4.4Hz, 1H), 7.00~7.87(m, 4H)
제조예 114: 1 -(2- 요오드페닐 )-( S,S )-1,2-( 비스 - 트리메틸실라닐옥시 )-부탄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3
1-(2-요오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6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6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g, 수율 90~12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053(s, 9H), 0.044(s, 9H), 1.04(t, J=7.6Hz, 3H), 1.60~1.71(m, 2H), 3.71~3.76(m, 1H), 4.87(d, J=4.8Hz, 1H), 7.01~7.87(m, 4H)
실시예 1: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1)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4
톨루엔(670mL)에 녹인 미정제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104g, 0.31mol)이 교반된 용액에, 클로로설포닐 이소시아네이트(62.5mL, 0.71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로 반응종료시키고 나서, 차가운 H2O(500mL)을 첨가하면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 분리 후, 수층을 포화 NaHCO3(400mL)에 의해 pH 2~3으로 조정하고, EtOAc(300mLx3)로 추출하였다. EtOAc층을 포화 NaHCO3(500mL) 및 H2O(500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차콜(Charcol)로 1.5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유기층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MgSO4로 건조시켰다. 여과 후 감압 농축으로, 백색 고형물의 표제 화합물(수율 85%(71.1g), ee=99.9% MP=83~84℃, [α]D=+57.8(c=0.25, MeOH))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 3H), 2.91(d, J=4.8, 1H), 4.68(br s, 2H), 5.06~5.09(m, 1H), 5.18~5.21(m, 1H), 7.23~7.39(m, 3H), 7.55(dd, J=1.6, J=7.8, 1H)
13C NMR(100MHz, CDCl3) δ16.4, 73.1, 75.0, 127.0, 128.4, 129.1 , 129.5, 132.7, 138.0, 156.6
실시예 2: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2)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5
1-(2-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70)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5.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 3H), 2.91(d, J=4.8, 1H), 4.68(br s, 2H), 5.06~5.09(m, 1H), 5.18~5.21(m, 1H), 7.23~7.39(m, 3H), 7.55(dd, J=1.6, J=7.8, 1H)
실시예 3: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3)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6
1-(2-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71)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3=6.4, 3H), 2.91(d, J=4.8, 1H), 4.68(br s, 2H), 5.06~5.09(m, 1H), 5.18~5.21(m, 1H), 7.23~7.39(m, 3H), 7.55(dd, J=1.6, J=7.8, 1H)
실시예 4: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4)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7
1-(2-클로로페닐)-(S,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72)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 3H), 2.91(d, J=4.8, 1H), 4.68(br s, 2H), 5.06~5.09(m, 1H), 5.18~5.21(m, 1H), 7.23~7.39(m, 3H), 7.55(dd, J=1.6, J=7.8, 1H)
실시예 5: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5)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8
1-(2-클로로페닐)-(R,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73)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 3H), 2.91(d, J=4.8, 1H), 4.68(br s, 2H), 5.06~5.09(m, 1H), 5.18~5.21(m, 1H), 7.23~7.39(m, 3H), 7.55(dd, J=1.6, J=7.8, 1H)
실시예 6: 1 -(2- 클로로페닐 )-(S)-1- 히드록시부틸 -(S)-2- 카바메이트(6)의 제조
Figure 112015092891773-pct00129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4)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4Hz, 3H), 1.57~1.73(m, 2H), 3.01(d, J=5.6Hz, 1H), 4.74(br s, 2H), 4.95(dt, J=7.2, 8.8Hz, 1H), 5.23(t, J=5.6Hz, 1H), 7.22~7.54(m, 4H)
실시예 7: 1 -(2- 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bty1 -(R)-2- 카바메이트(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0
1-(2-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5)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5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4(t, J=7.4Hz, 3H), 1.53~1.73(m, 2H), 2.92(s, 1H), 4.78(br s, 2H), 4.91~4.96(m, 1H), 5.22(d, J=5.5Hz, 1H), 7.20~7.54(m, 4H)
실시예 8: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1
1-(2-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6)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7(t, J=7Hz, 3H), 1.58~1.74(m, 2H), 2.94(d, J=6Hz, 1H), 4.69(br s, 2H), 4.94~4.99(m, 1H), 5.24(t, J=6Hz, 1H), 7.23~7.56(m, 4H)
실시예 9: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3- 메틸 -부틸-(S)-2- 카바메이트(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2
1-(2-클로로페닐)-3-메틸-(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7)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1(d, J=6.4Hz, 3H), 1.09(d, J=6.8Hz, 3H), 2.06(m, 1H), 2.75(d, J=6.8Hz, 1H), 4.58(br s, 2H), 4.85~4.88(m, 1H), 5.34~5.37(m, 1H), 7.22~7.33(m, 2H), 7.35~7.37(m, 1H), 7.51~7.53(m, 1H)
실시예 10: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3- 메틸 -부틸-(R)-2- 카바메이트(1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3
1-(2-클로로페닐)-3-메틸-(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8)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1(d, J=6.8Hz, 3H), 1.09(d, J=6.8Hz, 3H), 2.06(m, 1H), 2.73(d, J=6.8Hz, 1H), 4.57(br s, 2H), 4.85~4.88(m, 1H), 5.34~5.37(m, 1H), 7.24~7.30(m, 2H), 7.35~7.37(m, 1H), 7.51~7.53(m, 1H)
실시예 11: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3- 메틸 -부틸-2- 카바메이트(1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4
1-(2-클로로페닐)-3-메틸-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79)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d, J=6.4Hz, 3H), 1.09(d, J=6.4Hz, 3H), 2.08(m, 1H), 2.76(d, J=6.0Hz, 1H), 4.59(br s, 2H), 4.87(dd, J=7.2Hz, 4.4Hz, 1H), 5.36(t, J=4.6, 1H), 7.23~7.54(m, 4H)
실시예 12: 1 -(2- 클로로페닐 )-(S)- 히드록시헥실 -(S)-2- 카바메이트(1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5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80)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8(t, J=7Hz, 3H), 1.33~1.42(m, 4H), 1.53~1.71(m, 2H), 2.89(d, J=5.6Hz, 1H) 4.64(br s, 2H), 5.04(dt, J=5.0, 9.0Hz, 1H), 5.20(t, J=5.6Hz, 1H), 7.23~7.55(m, 4H)
실시예 13: 1 -(2- 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헥실 -(R)-2- 카바메이트(1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6
1-(2-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81)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dd, J=5Hz, 3H), 1.28~1.43(m, 4H), 1.52~1.58(m, 1H), 1.65~1.72(m, 1H), 2.90(d, J=6Hz, 1H), 4.64(br s, 2H), 5.01~5.06(m, 1H), 5.22(t, J=6Hz, 1H), 7.22~7.56(m, 4H)
실시예 14: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14)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7
1-(2-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82)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8(dd, J=5Hz, 3H), 1.31~1.43(m, 4H), 1.63~1.70(m, 1H), 1.52~1.60(m, 1H), 3.06(d, J=6Hz, 1H), 4.75(br s, 2H), 5.00~5.05(m, 1H), 5.21(t, J=6Hz, 1H), 7.22~7.55(m, 4H)
실시예 15: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N- 메틸카바메이트(1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8
제조예 14에서 수득된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2.4g),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2ml), 및 카보닐디이미다졸(CDI, 3.12g)을 플라스크 내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약 3시간 후, 메틸아민 용액(CH3NH2, 4ml(EtOH 중 33%))을 이에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1M HCl 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g, 수율 5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 Hz, CDCl3) δ1.03~1.25(m, 3H), 2.76(s, 3H), 3.34(s, 1H), 4.80(br s 1H), 5.04(t, J=12.5Hz, 1H), 5.14(s, 1H), 7.20~7.53(m, 4H)
실시예 16: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N- 프로필카바메이트(1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39
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79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 Hz, CDCl3) δ0.90(t, J=6.8Hz, 3H), 1.20(d, J=5.96Hz, 3H), 1.49(dd, J=14.2Hz, 2H), 3.11(d, J=6.28Hz, 2H), 3.34(s, 1H), 4.84(br s, 1H), 5.05(t, J=5.88Hz, 1H), 5.14(s, 1H), 7.22~7.53(m, 4H)
실시예 17: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1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0
이소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5g, 수율 41%)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4(dd, J=6.5Hz, 6H), 1.19(d, J=6.4Hz, 3H), 3.21(s, 1H), 3.73~3.82(m, 1H), 4.59(br s, 1H), 5.01~5.07(m, 1H), 5.14(t, J=5.8Hz, 1H), 7.20~7.53(m, 4H)
실시예 18: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1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1
사이클로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4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50~0.56(m, 2H), 0.74(d, J=7.21Hz, 2H), 1.25(s, 3H), 2.56~2.61(m, 1H), 3.72(s, 1H), 4.98(br s, 1H), 5.05~5.11(m, 1H), 7.16(s, 1H), 7.23~7.54(m, 4H)
실시예 19: 1-(2-클로로페닐)-(S)-1-히드록시프로필-(S)-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1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2
사이클로헥실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1g, 수율 2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6~1.40(m, 7H), 1.56~1.61(m, 2H), 1.69~1.71(m, 2H), 1.87~1.94(m, 2H), 3.19(d, J=4.32Hz, 1H), 3.45(s, 1H), 4.64(br s 1H), 5.02~5.07(m, 1H), 5.14(t, J=6.08Hz, 1H) 7.20~7.53(m, 4H)
실시예 20: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N- 벤질카바메이트(2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3
벤질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2g, 수율 1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7(d, J=10Hz, 3H), 3.12(d, J=5Hz, 1H), 4.37(d, J=6Hz, 2H), 5.12~5.19(m, 3H), 7.15~7.56(m, 9H)
실시예 21: 1 -(2- 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N- 바이사이클로[2,2,1]헵탄카바메이트(2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4
2-아미노노보난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32%)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8~1.35(m, 9H), 1.65(br s, 1H), 1.75~1.71(m, 1H), 2.14~2.24(m, 1H), 2.27~2.30(m, 1H), 3.23~3.29(m, 1H), 3.47~3.52(m, 1H), 4.67(br s, 1H), 5.01~5.09(m, 1H), 5.12~5.18(m, 1H), 7.22~7.55(m, 4H)
실시예 22: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메틸카바메이트(2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5
1-(2-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1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36g, 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0(d, J=6.8Hz, 3H), 2.80(d, J=4.8Hz, 3H), 3.20(d, J=4.4Hz, 1H), 4.75(br s, 1H), 5.03~5.09(m, 1H), 5.14~5.17(m, 1H), 7.22~7.55(m, 4H)
실시예 23: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프로필카바메이트(2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6
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1g, 수율 5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2(t, J=7.6Hz, 3H), 1.21(d, J=6.4Hz, 3H), 1.51(m, 2H), 3.09~3.14(m, 2H), 3.28(d, J=4.4Hz, 1H), 4.82(br s, 1H), 5.03~5.09(m, 1H), 5.14~5.17(m, 1H), 7.22~7.55(m. 4H)
실시예 24: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2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7
이소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6g, 수율 2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8~1.16(m, 6H), 1.19~1.26(m, 3H), 3.34(s, 1H), 3.71~3.78(m, 1H), 4.62(br s, 1H), 5.03(t, J=5.8Hz, 1H), 5.13(d, J=4.9Hz, 1H), 7.20~7.53(m, 4H)
실시예 25: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2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8
사이클로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3.7g, 수율 6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49~0.54(m, 2H), 0.74(d, J=7.2Hz, 2H), 1.22(s, 3H), 2.55~2.60(m, 1H), 3.16(s, 1H), 5.00(s, 1H), 5.04~5.11(m, 1H), 5.16(s, 1H), 7.23~7.54(m, 4H)
실시예 26: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2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49
사이클로헥실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9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5~1.38(m, 8H), 1.58~1.70(m, 3H), 1.85~1.95(m, 2H), 3.39~3.47(m, 1H), 3.56(s, 1H), 4.79(br s, 1H), 5.01~5.07(m, 1H), 5.14(t, J=5.2Hz, 1H), 7.20~7.54(m, 4H)
실시예 27: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벤질카바메이트(2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0
벤질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52g, 수율 1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5(d, J=6Hz, 3H), 1.64(s, 1H), 3.13(d, J=4.4Hz, 1H), 4.37(d, J=5.6Hz, 2H), 5.12~5.19(m, 2H), 7.23~7.55(m, 9H)
실시예 28: 1 -(2- 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N- 바이사이클로[2,2,1]헵탄카바메이트(2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1
2-아미노노보난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20~5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8~1.35(m, 9H), 1.65(br s, 1H), 1.75~1.71(m, 1H), 2.14~2.24(m, 1H), 2.27~2.30(m, 1H), 3.23~3.29(m, 1H), 3.47~3.52(m, 1H), 4.67(br s, 1H), 5.01~5.09(m, 1H), 5.12~5.18(m, 1H), 7.22~7.55(m, 4H)
실시예 29: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메틸카바메이트(2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2
1-(2-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1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45%)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1(d, J=6Hz, 3H), 2.81(d, J=5Hz, 3H), 3.14(d, J=4Hz, 1H), 4.72(br s, 1H), 5.07(dd, J=6Hz, 1H), 5.16(t, J=6Hz, 1H), 7.22~7.56(m, 4H)
실시예 30: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프로필카바메이트(3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3
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0g, 수율 1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2(t, J=7Hz, 3H), 1.21(d, J=6Hz, 3H), 1.53(dd, J=7Hz, 2H), 3.13(dd, J=7Hz, 2H), 3.28(d, 1H), 4.82(S, 1H), 5.06(dd, J=7Hz, 1H), 5.16(t, J=5Hz, 1H), 7.21~7.56(m, 4H)
실시예 31: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3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4
이소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54g, 수율 1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6(dd, J=6Hz, 6H), 1.21(d, J=6Hz, 3H), 3.23(d, J=6Hz, 1H), 3.75~3.84(m, 1H), 4.61(br s, 1H), 5.06(t, J=6Hz, 1H), 5.16(t, J=6Hz, 1H), 7.22~7.56(m, 4H)
실시예 32: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3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5
사이클로프로필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0g, 수율 17%)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50(t, J=6Hz, 2H), 0.77(t, J=3Hz, 2H), 1.12(d, J=7Hz, 3H), 2.53~2.59(m, 1H), 3.22(d, J=4Hz, 1H), 5.08(dd, J=6Hz, 1H), 5.15(S, 1H), 7.22~7.55(m, 4H)
실시예 33: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3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6
사이클로헥실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33%)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7-1.17(m, 3H), 1.21(d, J=6Hz, 3H), 1.29~1.42(m, 3H), 1.72(dd, J=6Hz, 2H), 1.92(dd, J=6Hz, 2H), 3.26(d, J=4Hz, 1H), 3.46(t, J=4Hz, 1H), 4.68(d, J=6Hz, 1H), 5.07(dd, J=6Hz, 1H), 5.16(t, J=6Hz, 1H), 7.22~7.55(m, 4H)
실시예 34: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벤질카바메이트(3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7
벤질아민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3g, 수율 1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5(d, J=6Hz, 3H), 3.16(d, J=4Hz, 1H), 4.36(d, J=6Hz, 2H), 5.14(dd, J=6Hz, 3H), 7.23~7.56(m, 9H), 수율: 19%(1.3g)
실시예 35: 1 -(2- 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N- 바이사이클로[2,2,1]헵탄카바메이트(3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8
2-아미노노보난을 메틸아민 용액(EtOH 중 CH3NH2)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20~5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8~1.35(m, 9H), 1.65(br s, 1H), 1.75~1.71(m, 1H), 2.14~2.24(m, 1H), 2.27~2.30(m, 1H), 3.23~3.29(m, 1H), 3.47~3.52(m, 1H), 4.67(br s, 1H), 5.01~5.09(m, 1H), 5.12~5.18(m, 1H), 7.22~7.55(m, 4H)
실시예 36: 1 -(2,4- 디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3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59
1-(2,4-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83)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4.16(br t, 1H) 4.96(br t, 3H), 5.07(t, J=4.8Hz, 1H), 7.23~7.52(m, 3H)
실시예 37: 1 -(2,6- 디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3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0
1-(2,6-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84)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 = 6.4Hz, 3H), 3.66(d, J = 9.2Hz, 1H), 4.73(br s, 2H), 5.43(t, J = 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38: 1 -(2,3- 디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38)의 합성
1-(2,3-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85)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39: 1 -(2,4- 디클로로페닐 )-(S)-1- 히드록시부틸 -(S)-2- 카바메이트(3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2
1-(2,4-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86)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4Hz, 3H), 1.58~1.74(m, 2H), 2.98(d, J=5.6Hz, 1H) 4.68(br s, 2H), 5.59(dt, J=5.2, 8.8Hz, 1H), 5.19(t, J=5.4Hz, 1H), 7.30~7.50(m, 3H)
실시예 40: 1 -(2,6- 디클로로페닐 )-(S)-1- 히드록시부틸 -(S)-2- 카바메이트(4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3
1-(2,6-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87)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2(t, J=7.4Hz, 3H), 1.30~1.38(m, 1H), 1.57~1.64(m, 1H), 3.74(d, J=9.2Hz, 1H), 4.80(br s, 2H), 5.40~5.50(m, 2H), 7.17~7.34(m, 3H)
실시예 41: 1 -(2,4- 디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3- 메틸 -부틸-(S)-2- 카바메이트(4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4
1-(2,4-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88)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30~7.50(m, 3H)
실시예 42: 1 -(2,6- 디클로로페닐 )-(S)-1-히드록시-3- 메틸 -부틸-(S)-2- 카바메이트(4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5
1-(2,6-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89)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16~7.33(m, 3H)
실시예 43: 1 -(2,4- 디클로로페닐 )-(S)-1- 히드록시헥실 -(S)-2- 카바메이트(4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6
1-(2,4-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90)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t, J=3.6Hz, 3H), 1.28~1.42(m, 4H), 1.52~1.59(m, 1H), 1.64~1.71(m, 1H), 2.98(d, J=5.6Hz, 1H), 4.67(br s, 2H), 4.96-5.00(m, 1H), 5.17(t, J=5.6Hz, 1H), 7.30~7.49(m 3H)
실시예 44: 1 -(2,6- 디클로로페닐 )-(S)-1- 히드록시헥실 -(S)-2- 카바메이트(4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7
1-(2,6-디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91)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4(t, J=7.0Hz, 3H), 1.20~1.35(m, 4H), 1.36~1.41(m, 1H), 1.59~1.63(m, 1H), 3.71(d, J=10.0Hz, 1H), 4.74(br s, 2H), 5.40~5.44(m, 1H), 5.52~5.57(m, 1H), 7.17~7.35(m, 3H)
실시예 45: 1 -(2,4- 디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4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8
1-(2,4-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92)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4.16(br t, 1H) 4.96(br t, 3H), 5.07(t, J=4.8Hz, 1H), 7.23~7.52(m, 3H)
실시예 46: 1 -(2,6- 디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4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69
1-(2,6-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93)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47: 1 -(2,3- 디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4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0
1-(2,3-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94)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0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48: 1 -(2,4- 디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부틸 -(R)-2- 카바메이트(4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1
1-(2,4-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95)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3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4Hz, 3H), 1.58~1.74(m, 2H), 2.98(d, J=5.6Hz, 1H) 4.68(br s, 2H), 5.59(dt, J=5.2, 8.8Hz, 1H), 5.19(t, J=5.4Hz, 1H), 7.30~7.50(m, 3H)
실시예 49: 1 -(2,6- 디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부틸 -(R)-2- 카바메이트(4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2
1-(2,6-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96)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5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2(t, J=7.4Hz, 3H), 1.30~1.38(m, 1H), i:57~1.64(m, 1H), 3.74(d, J=9.2Hz, 1H), 4.80(br s, 2H), 5.40~5.50(m, 2H), 7.17~7.34(m, 3H)
실시예 50: 1 -(2,4- 디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3- 메틸 -부틸-(R)-2- 카바메이트(5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3
1-(2,4-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97)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30~7.50(m, 3H)
실시예 51: 1 -(2,6- 디클로로페닐 )-(R)-1-히드록시-3- 메틸 -부틸-(R)-2- 카바메이트(5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4
1-(2,6-디클로로페닐)-3-메틸-(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98)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16~7.33(m, 3H)
실시예 52: 1 -(2,4- 디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헥실 -(R)-2- 카바메이트(5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5
1-(2,4-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99)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5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t, J=3.6Hz, 3H), 1.28~1.42(m, 4H), 1.52~1.59(m, 1H), 1.64~1.71(m, 1H), 2.98(d, J=5.6Hz, 1H), 4.67(br s, 2H), 4.96~5.00(m, 1H), 5.17(t, J=5.6Hz, 1H), 7.30~7.49(m, 3H)
실시예 53: 1 -(2,6- 디클로로페닐 )-(R)-1- 히드록시헥실 -(R)-2- 카바메이트(5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6
1-(2,6-디클로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100)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4(t, J=7.0Hz, 3H), 1.20~1.35(m, 4H), 1.36~1.41(m, 1H), 1.59~1.63(m, 1H), 3.71(d, J=10.0Hz, 1H), 4.74(br s, 2H), 5.40~5.44(m, 1H), 5.52~5.57(m, 1H), 7.17~7.35(m, 3H)
실시예 54: 1 -(2,4- 디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 카바메이트(5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7
1-(2,4-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01)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4Hz, 3H), 4.16(br t, 1H) 4.96(br t, 3H), 5.07(t, J=4.8Hz, 1H), 7.23~7.52(m, 3H)
실시예 55: 1 -(2,6- 디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 카바메이트(5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8
1-(2,6-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02)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56: 1 -(2,3- 디클로로페닐 )-1-히드록시프로필-2- 카바메이트(5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79
1-(2,3-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03)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57: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5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0
1-(2,4-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104)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6(t, J=7.4Hz, 3H), 1.58~1.74(m, 2H), 2.98(d, J=5.6Hz, 1H) 4.68(br s, 2H), 5.59(dt, J=5.2, 8.8Hz, 1H), 5.19(t, J=5.4Hz, 1H), 7.30~7.50(m, 3H)
실시예 58: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5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1
1-(2,6-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105)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4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2(t, J=7.4Hz, 3H), 1.30~1.38(m, 1H), 1.57~1.64(m, 1H), 3.74(d, J=9.2Hz, 1H), 4.80(br s, 2H), 5.40~5.50(m, 2H), 7.17~7.34(m, 3H)
실시예 59: 1 -(2,4- 디클로로페닐 )-1-히드록시-3- 메틸 -부틸-2- 카바메이트(5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2
1-(2,4-디클로로페닐)-3-메틸-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106)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9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30~7.50(m, 3H)
실시예 60: 1 -(2,6- 디클로로페닐 )-1-히드록시-3- 메틸 -부틸-2- 카바메이트(6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3
1-(2,6-디클로로페닐)-3-메틸-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107)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85(br s, 2H), 5.40~5.43(m, 1H), 5.49-5.54(m, 1H), 7.16~7.33(m, 3H)
실시예 61: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6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4
1-(2,4-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108)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9(t, J=3.6Hz, 3H), 1.28~1.42(m, 4H), 1.52~1.59(m, 1H), 1.64~1.71(m, 1H), 2.98(d, J=5.6Hz, 1H), 4.67(br s, 2H), 4.96~5.00(m, 1H), 5.17(t, J=5.6Hz, 1H), 7.30~7.49(m, 3H)
실시예 62: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6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5
1-(2,6-디클로로페닐)-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헥산(제조예 109)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5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4(t, J=7.0Hz, 3H), 1.20~1.35(m, 4H), 1.36~1.41(m, 1H), 1.59~1.63(m, 1H), 3.71(d, J=10.0Hz, 1H), 4.74(br s, 2H), 5.40~5.44(m, 1H), 5.52~5.57(m, 1H), 7.17~7.35(m, 3H)
실시예 63: 1 -(2- 플루오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6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6
1-(2-플루오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10)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8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9(d, J=5.2Hz, 3H), 2.93(d, J=4.4Hz, 1H), 4.71(br s, 2H), 4.99~5.06(m, H), 7.04~7.48(m, 4H)
실시예 64: 1 -(2- 플루오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6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7
1-(2-플루오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1 1)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6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9(d, J=5.2Hz, 3H), 2.93(d, J=4.4Hz, 1H), 4.71(br s, 2H), 4.99~5.06(m, H), 7.04~7.48(m, 4H)
실시예 65: 1 -(2- 요오드페닐 )-(S)-1-히드록시프로필-(S)-2- 카바메이트(6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8
1-(2-요오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12)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2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7(d, J=6.4Hz, 3H), 3.09(br s, 1H), 4.83(br s, 2H), 5.00~5.10(m, 2H), 7.00~7.76(m, 4H)
실시예 66: 1 -(2- 요오드페닐 )-(R)-1-히드록시프로필-(R)-2- 카바메이트(6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89
1-(2-요오드페닐)-(R,R)-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113)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1.7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7(d, J=6.4Hz, 3H), 2.95(d, J=3.6Hz, 1H), 4.73(br s, 2H), 5.01~5.11(m, 2H), 7.01~7.86(m, 4H)
실시예 67: 1 -(2- 요오드페닐 )-(S)-1- 히드록시부틸 -(S)-2- 카바메이트(6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0
1-(2-요오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부탄(제조예 114)을 1-(2-클로로페닐)-(S,S)-1,2-(비스-트리메틸실라닐옥시)프로판(제조예 69)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2.1g, 수율 60~9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7(d, J=6.4Hz, 3H), 3.09(br s, 1H), 4.83(br s, 2H), 5.00~5.10(m, 2H), 7.00~7.76(m, 4H)
실시예 68: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 카바메이트(6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1
제조예 14에서 수득된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2.33g, 제조예 14),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2ml), 및 카보닐디이미다졸(CDI, 3.04g)를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약 3시간 후, 암모니아 용액(NH4OH, 4ml)을 이에 첨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수득된 생성물을 1M HCl 용액 및 에틸아세테이트(EA)로 세척하였다. 분리한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MgSO4)로 탈수하고, 여과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농축된 잔여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8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8Hz, 3H), 2.13(d, J=4.4Hz, 1H), 4.12~4.16(m, lH), 4.85(br s, 2H), 5.98(d, J=5.6Hz, 1H), 7.24~7.43(m, 4H)
실시예 69: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 카바메이트(6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2
1-(2-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1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77g, 수율 16%)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Hz, 3H), 2.04(d, J=4.8Hz, 1H), 4.11~4.18(m, 1H), 4.74(br s, 2H), 6.00(d, J=5.6Hz, 1H), 7.24~7.43(m, 4H)
실시예 70: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7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3
1-(2-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1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6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4(d, J=6.4Hz, 3H), 2.04(d, J=4.8Hz, 1H), 4.11~4.18(m, 1H), 4.74(br s, 2H), 6.00(d, J=5.6Hz, 1H), 7.24~7.43(m, 4H)
실시예 71: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메틸카바메이트(7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4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1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70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1(d, J=6.4Hz, 3H), 2.80(d, J=4.8Hz, 3H), 3.12(s, 1H), 4.09~4.16(m, 1H), 4.86(br s, 1H), 5.99(d, J=6.0Hz, 1H), 7.23~7.40(m, 4H)
실시예 72: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메틸카바메이트(7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5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69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1(d, J=6.4Hz, 3H), 2.80(d, J=4.8Hz, 3H), 3.12(s, 1H), 4.09~4.16(m, 1H), 4.86(br s, 1H), 5.99(d, J=6.0Hz, 1H), 7.23~7.40(m, 4H)
실시예 73: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메틸카바메이트(7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6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73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2(d, J=6Hz, 3H), 2.15(d, J=4Hz, 1H), 2.81(d, J=5Hz, 3H), 4.12(dd, J=6Hz, 1H), 4.83(br s, 1H), 6.00(d, J=6Hz, 1H), 7.23~7.41(m, 4H)
실시예 74: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프로필카바메이트(7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7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1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1(t, J=7Hz, 3H), 1.22(d, J=6Hz, 3H), 1.52(dd, J=7Hz, 2H), 2.23(d, J=4Hz, 1H), 3.09~3.21(m, 2H), 4.09~4.17(m, 1H), 4.93(s, 1H), 5.99(d, J=6Hz, 1H), 7.23~7.47(m, 4H)
실시예 75: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프로필카바메이트(7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8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4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1(t, J=7Hz, 3H), 1.22(d, J=6Hz, 3H), 1.52(dd, J=7Hz, 2H), 2.23(d, J=4Hz, 1H), 3.09~3.21(m, 2H), 4.09~4.17(m, 1H), 4.93(s, 1H), 5.99(d, J=6Hz, 1H), 7.23~7.47(m, 4H)
실시예 76: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프로필카바메이트(7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199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30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91(t, J=7Hz, 3H), 1.22(d, J=6Hz, 3H), 1.52(dd, J=7Hz, 2H), 2.23(d, J=4Hz, 1H), 3.09~3.21(m, 2H), 4.09~4.17(m, 1H), 4.93(s, 1H), 5.99(d, J=6Hz, 1H), 7.23~7.47(m, 4H)
실시예 77: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7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0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17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42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d, J=6.0Hz, 3H), 1.15~1.19(m, 6H), 2.41(s, 1H), 3.76~4.08(m, 1H), 4.34(s, 1H), 4.83(br s 1H), 5.95(d, J=5.3Hz, 1H), 7.19~7.39(m, 4H)
실시예 78: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7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1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Hz, 3H), 1.20(dd, J=9.2Hz, 6H), 2.23(s, 1H), 3.77~3.82(m, 1H), 4.10(s, 1H), 4.76(br s, 1H), 5.98(d, J=5.6Hz, 1H), 7.23~7.41(m, 4H)
실시예 79: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7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2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3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9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4(d, J=6Hz, 3H), 1.21(dd, J=6Hz, 6H), 2.16(d, J=5Hz, 1H), 3.81(t, J=6Hz, 1H), 4.11(d, J=5Hz, 1H), 4.73(br s, 1H), 5.98(d, J=5Hz, 1H), 7.24~7.41(m, 4H)
실시예 80: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8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3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1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3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53~0.60(m, 2H), 0.74(s, 2H), 1.21(d, J=6.0Hz, 3H), 2.19(s, 1H), 2.59(s, 1H), 4.11~4.15(m, 1H), 5.13(br s, 1H), 5.99(d, J=5.20Hz, 1H), 7.23~7.40(m, 4H)
실시예 81: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8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4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8g, 수율 1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53~0.60(m, 2H), 0.74(s, 2H), 1.21(d, J=6.0Hz, 3H), 2.19(s, 1H), 2.59(s, 1H), 4.11~4.15(m, 1H), 5.13(br s, 1H), 5.99(d, J=5.20Hz, 1H), 7.23~7.40(m, 4H)
실시예 82: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8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5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32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38g, 수율 1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1(s, 2H), 1.19(d, J=6Hz, 3H), 2.45(S, 1H), 2.57(S, 1H), 4.08~4.12(m, 1H), 5.26(s, 1H), 5.97(d, J=4Hz, 1H), 7.22~7.54(m, 4H)
실시예 83: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8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6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19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4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1.39(m, 7H), 1.61(s, 3H), 1.71~1.74(m, 2H), 1.87(d, J=11.2Hz, 1H), 2.48(d, J=10.8Hz, 1H), 3.46(t, J=4Hz, 1H), 4.10~4.11(m, 1H), 4.80(br s 1H), 5.97(d, J=5.6Hz, 1H), 7.23~7.41(m, 4H)
실시예 84: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8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7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35g, 수율 1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0~1.39(m, 7H), 1.61(s, 3H), 1.71~1.74(m, 2H), 1.87(d, J=11.2Hz, 1H), 2.48(d, J=10.8Hz, 1H), 3.46(t, J=4Hz, 1H), 4.10~4.11(m, 1H), 4.80(br s 1H), 5.97(d, J=5.6Hz, 1H), 7.23~7.41(m, 4H)
실시예 85: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8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8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3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6g, 수율 1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2-1.19(m, 3H), 1.22(d, J=6Hz, 3H), 1.27~1.37(m, 1H), 1.71(t, J=6Hz, 2H), 1.86~1.88(m, 1H), 1.97~2.00(m, 1H), 2.18(d, J=4Hz, 1H), 3.47(S, 1H), 4.12(t, J=6Hz, 1H), 4.78(S, 1H), 5.97(d, J=6Hz, 1H), 7.23~7.40(m, 4H)
실시예 86: 1 -(2- 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N- 벤질카바메이트(8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09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0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9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3(d, J=6Hz, 3H), 2.16(d, J=4Hz, 1H), 4.12(t, J=6Hz, 1H), 4.31~4.44(m, 2H), 5.22(br S, 1H), 6.04(d, J=6Hz, 1H), 7.27~7.42(m, 9H)
실시예 87: 1 -(2- 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N- 벤질카바메이트(8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0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27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7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3(d, J=6Hz, 3H), 2.16(d, J=4Hz, 1H), 4.12(t, J=6Hz, 1H), 4.31~4.44(m, 2H), 5.22(br S, 1H), 6.04(d, J=6Hz, 1H), 7.27~7.42(m, 9H)
실시예 88: 1 -(2- 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N- 벤질카바메이트(8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1
모노카바메이트의 위치이성질체를 분리하고 실시예 34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으로써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1g, 수율 1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23(d, J=6Hz, 3H), 2.16(d, J=4Hz, 1H), 4.12(t, J=6Hz, 1H), 4.31~4.44(m, 2H), 5.22(br S, 1H), 6.04(d, J=6Hz, 1H), 7.27~7.42(m, 9H)
실시예 89: 1 -(2,4- 디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 카바메이트(8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2
1-(2,4-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2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30(d, J=8.4Hz, 1H), 7.39(d, J=2.0Hz, 2H), 7.50(dd, J=8.4Hz, 2.0Hz, 1H)
실시예 90: 1 -(2,6- 디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 카바메이트(9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3
1-(2,6-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3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7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25~7.40(m, 3H)
실시예 91: 1 -(2,3- 디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프로필-(S)-1- 카바메이트(9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4
1-(2,3-디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5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8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92: 1 -(2,4- 디클로로페닐 )-(S)-2- 히드록시부틸 -(S)-1- 카바메이트(9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5
1-(2,4-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2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7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30~7.50(m, 3H)
실시예 93: 1 -(2,6- 디클로로페닐 )-(S)-2- 히드록시부틸 -(S)-1- 카바메이트(9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6
1-(2,6-디클로로페닐)-(S,S)-1,2-부탄디올(제조예 4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1g, 수율 2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25~7.40(m, 3H)
실시예 94: 1 -(2,4- 디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3- 메틸 -부틸-(S)-1- 카바메이트(9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7
1-(2,4-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제조예 3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30~7.50(m, 3H)
실시예 95: 1 -(2,6- 디클로로페닐 )-(S)-2-히드록시-3- 메틸 -부틸-(S)-1- 카바메이트(9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8
1-(2,6-디클로로페닐)-3-메틸-(S,S)-1,2-부탄디올(제조예 44)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3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25~7.40(m, 3H)
실시예 96: 1 -(2,4- 디클로로페닐 )-(S)-2- 히드록시헥실 -(S)-1- 카바메이트(9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19
1-(2,4-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제조예 3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30~7.50(m, 3H)
실시예 97: 1 -(2,6- 디클로로페닐 )-(S)-2- 히드록시헥실 -(S)-1- 카바메이트(9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0
1-(2,6-디클로로페닐)-(S,S)-1,2-헥산디올(제조예 4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6g, 수율 29%)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16~7.34(m, 3H)
실시예 98: 1 -(2,4-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 카바메이트(9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1
1-(2,4-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2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4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30~7.50(m, 3H)
실시예 99: 1 -(2,6-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 카바메이트(9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2
1-(2,6-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3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9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25~7.40(m, 3H)
실시예 100: 1 -(2,3-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 카바메이트(10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3
1-(2,3-디클로로페닐)-(R,R)-1,2-프로판디올(제조예 5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101: 1 -(2,4- 디클로로페닐 )-(R)-2- 히드록시부틸 -(R)-1- 카바메이트(10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4
1-(2,4-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제조예 3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8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30~7.50(m, 3H)
실시예 102: 1 -(2,6- 디클로로페닐 )-(R)-2- 히드록시부틸 -(R)-1- 카바메이트(10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5
1-(2,6-디클로로페닐)-(R,R)-1,2-부탄디올(제조예 42)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9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25~7.40(m, 3H)
실시예 103: 1 -(2,4-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3- 메틸 -부틸-(R)-1- 카바메이트(10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6
1-(2,4-디클로로페닐)-3-메틸-(R,R)-1,2-프로판디올(제조예 33)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30~7.50(m, 3H)
실시예 104: 1 -(2,6-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3- 메틸 -부틸-(R)-1- 카바메이트(10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7
1-(2,6-디클로로페닐)-3-메틸-(R,R)-1,2-프로판디올(제조예 45)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25~7.40(m, 3H)
실시예 105: 1 -(2,4- 디클로로페닐 )-(R)-2- 히드록시헥실 -(R)-1- 카바메이트(10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8
1-(2,4-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제조예 3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30~7.50(m, 3H)
실시예 106: 1 -(2,6- 디클로로페닐 )-(R)-2- 히드록시헥실 -(R)-1- 카바메이트(106)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29
1-(2,6-디클로로페닐)-(R,R)-1,2-헥산디올(제조예 4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2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16~7.34(m, 3H)
실시예 107: 1 -(2,4- 디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 카바메이트(107)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0
1-(2,4-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28)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5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30~7.50(m, 3H)
실시예 108: 1 -(2,6- 디클로로페닐 )-2-히드록시프로필-1- 카바메이트(108)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1
1-(2,6-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40)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6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3(d, J=6.8Hz, 3H), 2.49(d, J=4.0Hz, 1H), 4.66~4.74(m, 1H), 4.76(br s, 2H), 6.20(d, J=8.8Hz, 1H), 7.25~7.40(m, 3H)
실시예 109: 1 -(2,3- 디클로로페닐 )-(R)-2-히드록시프로필-(R)-1- 카바메이트(109)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2
1-(2,3-디클로로페닐)-1,2-프로판디올(제조예 59)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2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15(d, J=6.4Hz, 3H), 3.66(d, J=9.2Hz, 1H), 4.73(br s, 2H), 5.43(t, J=9.0Hz, 1H), 5.62~5.69(m, 1H), 7.18~7.22(m, 3H)
실시예 110: 1 -(2,4- 디클로로페닐 )-2- 히드록시부틸 -1- 카바메이트(110)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3
1-(2,4-디클로로페닐)-1,2-부탄디올(제조예 31)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7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30~7.50(m, 3H)
실시예 111: 1 -(2,6- 디클로로페닐 )-2- 히드록시부틸 -1- 카바메이트(111)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4
1-(2,6-디클로로페닐)-1,2-부탄디올(제조예 43)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0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77(t, J=7.4Hz, 3H), 0.92~1.01(m, 1H), 1.18~1.28(m, 1H), 4.06~4.13(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br s, 2H), 7.25~7.40(m, 3H)
실시예 112: 1 -(2,4- 디클로로페닐 )-2-히드록시-3- 메틸 -부틸-1- 카바메이트(112)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5
1-(2,4-디클로로페닐)-3-메틸-1,2-프로판디올(제조예 34)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4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30~7.50(m, 3H)
실시예 113: 1 -(2,6- 디클로로페닐 )-2-히드록시-3- 메틸 -부틸-1- 카바메이트(113)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6
1-(2,6-디클로로페닐)-3-메틸-1,2-프로판디올(제조예 46)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0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1.00(t, J=7.2Hz, 6H), 1.73~1.79(m, 1H), 3.67~3.69(m, 1H), 4.96(d, J=6.0Hz, 1H), 5.91(d, J=8.8Hz, 1H), 6.42(br s, 2H), 7.25~7.40(m, 3H)
실시예 114: 1 -(2,4- 디클로로페닐 )-2- 히드록시헥실 -1- 카바메이트(114)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7
1-(2,4-디클로로페닐)-1,2-헥산디올(제조예 37)을 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21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30~7.50(m, 3H)
실시예 115: 1 -(2,6- 디클로로페닐 )-2- 히드록시헥실 -1- 카바메이트(115)의 합성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8
1-(2,6-디클로로페닐)-1,2-헥산디올(제조예 49)1-(2-클로로페닐)-(S,S)-1,2-프로판디올(제조예 14)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8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행하여, 표제 화합물(0.12g, 수율 10~30%)을 수득하였다.
1H NMR(400MHz, CDCl3) δ0.85(t, J=7.2Hz, 3H), 1.18~1.33(m, 4H), 1.48~1.55(m, 2H), 2.35(d, J=4.4Hz, 1H), 4.45~4.50(m, 1H), 4.76(br s, 2H), 6.21(d, J=8.4Hz, 1H), 7.16~7.34(m, 3H)
Figure 112015092891773-pct00239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0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1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2
PTZ를 사용한 항-불안 및 우울 활성도
이 실험에서, 시험 동물(마우스; ICR, 및 랫; SD)에 복막 내 투여하였고; 실험 동물인 수컷 SD 랫은 한국의 OrientBio 또는 Nara biotech사에서 구입하였고, 4~5일 동안 케이지당 4~5마리 마우스를 수용하였다. 마우스는 몸무게 범위가 19~26그램 사이인 것을 사용하고, 랫은 몸무게 범위가 100~130그램 사이인 것을 사용하였다. 투여로부터 피크타임(0.5, 1, 2 및 4시간) 후에, 97% 간헐적 경련을 유도할 수 있는 농도로 PTZ(펜틸렌테트라졸)를 피하 투여하였다(마우스 & 랫: 90~110mg/kg·bw, 마우스는 10㎕/g, 랫은 1㎕/g). 간대 발작이 PTZ 투여 동물에서 적어도 30분간 관찰되지 않으면, 시험 화합물이 비경련 발작성 활성도를 갖는다고 간주될 수 있다. 중간유효농도(ED50)는 농도(총 3가지 상이한 농도)당 6마리 동물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용량-반응 관계인 리치필드 및 윌콕슨(Litchfield and Wicoxon) 로그-프로비트 방법에 의해 산정되었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신경독성
시험 화합물의 신경독성 측정을 던함 및 미야[Dunham, N.W. and Miya, T.S. 1957. A note on a simple apparatus for detecting neurological deficit in rats and mice. J. Am. Pharm. Assoc. (Baltimore) 46: 208-209]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상기 방법에서, 시험 동물의 운동능력은 시험 동물이 로타로드로부터 떨어짐 없이 걸을 수 있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화합물의 신경독성 값을 결정할 수 있다. "TD50"은 시험 동물의 50%가 신경독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용량을 의미한다. 이들은 본 시험 전에 로타로드(로타로드; Columbus instrument, rota-max, USA) 상에서 24시간전 5분 동안 6rpm으로 선행 훈련시켰다. 0.5, 1, 2, 4시간 동안 시험 물질을 임의의 용량으로 투여하여 피크 타임을 결정하였다. 화합물의 최소 신경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마우스를 6rpm의 로타로드(원형 로드, 3Cm) 상에 놓고, 시험 동물이 1분간 1회 이상 걷기를 유지하는 것을 실패하면, 시험 동물이 신경독성을 나타낸다고 간주될 수 있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통계 분석]
얻어진 결과를 평균값±표준오차(mean±sem)로 나타낸다. 그룹간의 차이를 ANOVA로 통계적 분석하고 나서, 던네트 테스트(Dunnett's test) 또는 본페로니 테스트(Bonferroni test)에 의해 추가로 검증하였다. p가 0.05 미만이면, 그룹간의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3
각막 킨들링된 (CK) 랫 모델
몸무게가 85~100g인 수컷 스프래그-다우리 랫(한국의 Orient Bio Inc.에서 구입)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MES 시험은 Rodent Shocker에 의해 고안된 Type221(독일의 Hugo Sachs Elektronik사제)인 전기 자극 발작 기구를 사용하였다. 킨들링된 랫 모델은 라신 척도(Racine scale)(Racine, 1972)에 의해 점수화된 발작 단계 5가 재현될 때까지 21일간 1일에 2회씩 전기적으로 자극시켰다(8mA, 60Hz, 2초, 각막 전극). 킨들링된 랫은 시료의 투여 전의 적어도 1시간 동안 시험 조건에 빠르게 적용시켰다. 약물은 몸무게당 4㎕/g 용량으로 경구 투여(p.o.)되었다. 각막 킨들링된 랫 모델 시험은 전신성 결신 발작 또는 양극성 장애에 대한 모델이고, 발작 또는 양극성 장애의 확산을 방지하는 화합물을 확인한다. 자극 수준을 8mA, 60Hz로 설정하고, 지속은 2초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눈에 0.9% 식염수를 적하하도록 배치하고, 자극을 눈 위에 배치하며, 자극을 즉시 실시하였다. 시료의 약리 효과를 평가하여 시험군(n=6)과 대조군(n=6)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은 비히클만을 투여하였다. 피크 타임은 0.5, 1, 2, 4시간 동안 시료의 무작위 용량으로 투여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최대 보호되는 시간을 피크 타임으로 정의하고, ED50은 피크 타임에서 기타 용량 투여에 의해 결정되었다. 대조군의 50%에 발작에 대해 보호할 필요가 있는 화합물의 유효량(ED50)은 SPSS 소프트웨어 프로그램(SPSS Inc.)을 사용하여 로그 프로비트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참조; Ewart A. William E. Bondinell(1991). Anticonvulsant profiles of the potent and orally active GABA uptake inhibitors SK&F 89976-A and SK&F 100330-A and four prototype antiepileptic drugs in mice and rats. Epilepsia, 32: 569-577./Hinko C.N., Crider A.M., Kliem M.A., Steinmiler C.L., Seo T.H., Bin Ho., Venkatarangan P., El-Assadi A.A., Chang H., Burns CM., Tietz E.I., Andersen P.H., Klitgaard H. (1996). Anticonvulsant activity of novel derivatives of 2- and 3-pieridinecarboxylix acid in mice and rats. Neuropharmacology, 35: 1721-1735).
해마 킨들링된 ( HK ) 랫 모델
해마 킨들링 모델은 초점성 발작 또는 양극성 장애의 발현 및 수득 둘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othman과 Williamson(1994)에 의해 설명된 해마 킨들링 패러다임은 성체 수컷 스프래그-다우리 랫의 복부 해마에 양극 전극을 수술에 의해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하루 걸러서 30분마다 6시간(1일당 12 자극)으로, 총 60 자극(5일간 자극)에 의해 전달된, 50Hz의 10초 연속의 1ms의 2상 200μA펄스로 구성되는 자극을 이용함으로써, 단계 5(Racine, 1972)의 발작이 발생한다. 후보의 항경련 활성을 평가하기 전에, 초극대(supramaximal) 자극으로 구성되는, 약물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 기간을 기록하고, 단계 5의 일반화된 발작의 안정성을 검증한다. 이어서, 후보 화합물의 단일 투여량을 마지막 대조 자극 후 15분에 복강 내(i.p.) 투여한다. 약물의 항경련 활성을 시료 투여 후 15분에 개시하고, 30분 마다3~4시간 동안 평가한다. 각 자극 후에, 각각의 라신(Racine) 발작 스코어 및 후방출(after discharge) 지속 시간을 기록한다. 킨들링 획득 연구에서, 약물은 전극이 이식된 랫에서 킨들링된 상태의 전개를 억제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서 시험된다. 후보 화합물은 킨들링 과정 중에 투여된다. 이들 연구에 대해서, 약물은 전기적 자극 전의 소정의 시간에 투여된다. 투여 간격 및 약물의 투여량은 식염수-처리된 랫의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한 동물에 기초한다. 이 처리를 자극일 2일, 3일, 4일, 및 5일에 반복한다. 1주일의 무자극 간격 후에, 킨들링 획득에 의한 약물 처리의 효과는 킨들링 자극 프로토콜을 가지고 동물을 시험함으로써 평가된다. 따라서, 표준화된 킨들링 프로토콜은 3일의 재시험일 동안에 각 랫트에 대해 기록된 행동 발작 스코어 및 후방출 지속 시간을 가지고 실시된다. 식염수 처리된 랫은 1주일의 무자극 기간 후에 최초 자극으로 완전하게 킨들링된다. 활성 화합물은 식염수 대조 랫과 비교하여 행동 스코어 및 후방출 지속 시간을 보다 낮추는 것으로 예상된다. 킨들링 반응의 획득에서의 지연의 억제 또는 연장은 후보 candidate 화합물이 발작 및 양극성 장애의 전개를 억제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참조; Rotheman E.W. and Williamson J.M. (1994). Closely spaced recurrent hippocampal seizures elicit two types of heightened epileptogenesis: a rapidly developing, transient kindling and a slowly developing, enduring kindling. Brain Res. 649: 71-84./Racine RJ. (1972). Modification of seizure activity by electrical stimulation: II Motor seizure. Electroenceph. Clin. Neurophysiol. 32: 281-294).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4
명-암 선택 시험
명-암 선택 시험은 불안-유사 행동에 대한 모델이다. 이 시험은 밝게 조명된 영역에 대한 설치류의 선천적 혐오 및 가벼운 스트레스 요인, 즉 신규한 환경 및 빛에 대하여 이들의 자발적 탐험 행동에 기초한다. 늙은 ICR 수컷 마우스(30~35g)를 Samtako bio korea(한국)사에서 구입하고, 제어된 동물 설비(온도 22±2°C, 습도 55%±5%)에서 시험되기 전에 1주일간 순응하도록 하였다. 처리를 시작할 때, 동물의 몸무게는 30±3g이었다.
시험 화합물은 30% PEG400에 용해시키고, 사용 직전에 제조하고, 시험하기 60분 전에 10ml/kg의 몸무게당 용량으로 복막 내(i.p.)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상응하는 비히클을 제공하였다. 아크릴 박스(45cmx27cm, 웰이 27cm이다)는 격벽의 중앙의 바닥면에 위치한 개구(7.5x7.5cm)로 연결된 2개의 챔버(백색: 박스의 2/3, 흑색: 박스의 1/3)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마우스는 박스의 백색 부분에 배치되고, 5분간 세션동안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하였다. 세션의 끝에, 마우스는 그들의 서식 케이지로 돌아가게 하였고, 그 영역은 70% 알코올 용액으로 청결히 닦았다. 모든 실험은 비디오 녹화하였다. 시험 후에, 모든 비디오 기록을 분석하였다. 수득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참조; Bourin, M., Hascoet, M. 2003. The mouse light/dark box test.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463, 55-65. Bouwknecht, JA., Paylor, R. 2002.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ouse assays for anxiety: a survey in nine mouse strains. Behavioural Brain Research, 136, 489-501.).
통계 분석
결과를 평균값±평균값의 표준오차(SEM)로 나타낸다. 양방 독립 t-검정(two-tailed unpaired t-test)에 의해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위해 <0.05의 값을 취하였다(***p<0.001, **p=0.001-0.01, *p=0.01-0.05). 윈도우 버전4의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관리 및 통계를 수행하였다(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GraphPad Software사).
Figure 112015092891773-pct00245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기재하여, 이의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주지 내임이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분명히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이의 상당 어구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우울 장애,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 및 발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igure 112017034454912-pct00246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염소, 불소 및 요오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6은 수소이고, R7
    Figure 112017034454912-pct00251
    이거나, R6
    Figure 112017034454912-pct00252
    이고, R7은 수소이며;
    여기서 A1은 수소, C1-C5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1-C3 알킬 및 가교형 C6-C8 바이사이클로알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8은 C1-C5 알킬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은 수소, C1-C4 알킬,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헥실, 페닐 C1-C3 알킬 및 바이사이클로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1은 수소, C1-C4 알킬,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헥실, 벤질 및 바이사이클[2.2.1]헵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2)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3)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4)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5)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메틸카바메이트;
    (6)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프로필카바메이트;
    (7)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8)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9)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10)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벤질카바메이트;
    (1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바이사이클로[2,2,1]헵탄카바메이트;
    (12)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3)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4)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5)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6)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17)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18)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19)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20)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1)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메틸카바메이트;
    (22)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프로필카바메이트;
    (23)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이소프로필카바메이트;
    (24)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25)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사이클로헥실카바메이트;
    (26) 1-(2-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N-벤질카바메이트;
    (27)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8)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29)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부틸-1-카바메이트;
    (30)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부틸-1-카바메이트;
    (31)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3-메틸-부틸-1-카바메이트;
    (32)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3-메틸-부틸-1-카바메이트;
    (33) 1-(2,4-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헥실-1-카바메이트;
    (34) 1-(2,6-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헥실-1-카바메이트;
    (35) 1-(2-플루오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6)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7)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38) 1-(2,3-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및
    (39) 1-(2,3-디클로로페닐)-2-히드록시프로필-1-카바메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아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2)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4)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헥실-2-카바메이트;
    (6)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프로필카바메이트;
    (8) 1-(2-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N-사이클로프로필카바메이트;
    (12)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3)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14) 1-(2,4-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17) 1-(2,6-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3-메틸-부틸-2-카바메이트;
    (35) 1-(2-플루오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6)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37) 1-(2-요오드페닐)-1-히드록시부틸-2-카바메이트; 및
    (38) 1-(2,3-디클로로페닐)-1-히드록시프로필-2-카바메이트.
  7.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라세미체, 광학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광학이성질체의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의 형태인 조성물.
  8.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합물과 무기산, 유기산, 아미노산, 설폰산, 알칼리금속 또는 암모늄 이온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
  9. 삭제
KR1020157026372A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6926P 2013-03-12 2013-03-12
US61/776,926 2013-03-12
KR1020130065781 2013-06-10
KR20130065781 2013-06-10
PCT/KR2014/002062 WO2014142550A1 (en) 2013-03-12 2014-03-12 Phenyl carbamate compound and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psychiatric disord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61A KR20160004261A (ko) 2016-01-12
KR101739677B1 true KR101739677B1 (ko) 2017-05-24

Family

ID=5153709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10A KR102014615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0157026364A KR20160004260A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0157026374A KR101758543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가스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57026372A KR101739677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57026375A KR101717871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억 손실-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10A KR102014615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0157026364A KR20160004260A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0157026374A KR101758543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가스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375A KR101717871B1 (ko) 2013-03-12 2014-03-12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억 손실-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566261B2 (ko)
EP (4) EP2970109A4 (ko)
JP (4) JP6096329B2 (ko)
KR (5) KR102014615B1 (ko)
CN (5) CN105189451A (ko)
WO (4) WO2014142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72B1 (ko) 2013-03-12 2017-03-17 (주)바이오팜솔루션즈 소아 간질 및 간질-관련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JP6096329B2 (ja) 2013-03-12 2017-03-15 バイオ−ファー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ェニ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及び記憶損失−関連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WO2017150903A1 (en) 2016-02-29 2017-09-08 Bio-Pharm Solutions Co., Ltd. Sulfamate derivative compound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s
DE102016204651A1 (de) * 2016-03-21 2017-09-21 Wacker Chemie Ag Quetschmanschetten für die Herstellung von Polysilicium-Granulat
WO2018053397A1 (en) * 2016-09-16 2018-03-22 The Henry M. Jackso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ilitary Medicine, Inc.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rganophosphate poisoning
TWI765221B (zh) * 2020-02-06 2022-05-21 國立成功大學 光電裝置及記憶體裝置
WO2022045824A1 (en) * 2020-08-31 2022-03-03 Bio-Pharm Solutions Co., Ltd. Phenyl alkyl carbamate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CN116234798A (zh) 2020-09-10 2023-06-06 生物药品解决方案有限公司 用于治疗或缓解精神疾病的氨基磺酸酯衍生物化合物
CA3227793A1 (en) * 2021-08-05 2023-02-09 Yong Moon Choi Phenylcarbamate crystalline for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78B1 (ko) 2001-02-27 2009-03-05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신증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2096458A2 (en) * 2011-01-13 2012-07-19 Bio-Pharm Solutions Co., Ltd. Process for preparation of phenyl carbamat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3692A (en) * 1958-04-21 1967-04-11 Armour Pharma Method of inducing calming and muscle relaxation with carbamates
US3313697A (en) * 1962-06-26 1967-04-11 Armour Pharma Carbamate compositions for and methods of tre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US3313696A (en) 1962-06-26 1967-04-11 Armour Pharmacentical Company Carbamate sedativ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US3265728A (en) * 1962-07-18 1966-08-09 Armour Pharma Substituted phenethyl carbamates
US3313700A (en) * 1962-07-18 1967-04-11 Armour Pharmacentical Company Method of tre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with substituted phenethyl carbamates and compositions therefor
FR5671M (ko) * 1965-04-23 1968-01-02
JPS61271992A (ja) * 1985-05-28 1986-12-02 Central Glass Co Ltd 光学活性ジオ−ルの製造方法
US5258397A (en) 1988-11-30 1993-11-02 Novapharme 3-Isoxazoyl derivatives endowed with anticonvulsant activity, procedure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0197901B1 (ko) * 1994-02-21 1999-06-15 남창우 페닐-1,2-에탄디올 광학이성체의 단일 카바메이트
US5698588A (en) * 1996-01-16 1997-12-16 Yukong Limited Halogen substituted carbamate compounds from 2-phenyl-1,2-ethanediol
US20010034365A1 (en) 1996-01-16 2001-10-25 Choi Yong Moon Halogen substituted carbamate compounds from 2-phenyl-1,2-ethanediol
WO1998011882A1 (en) * 1996-09-18 1998-03-26 Codon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2051395A1 (en) 1998-05-28 2002-07-04 Codon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Z20032299A3 (cs) 2001-02-27 2004-08-18 Ortho@Mcneilápharmaceuticalźáinc Léčivo pro prevenci nebo léčbu motorických poruch
RU2300373C2 (ru) * 2001-02-27 2007-06-10 Орто-Макнейл Фармасьютикал, Инк. Карбамат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нарушений
KR100946944B1 (ko) * 2001-02-27 2010-03-15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양극성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카바메이트 화합물
NZ546549A (en) * 2001-02-27 2007-11-30 Ortho Mcneil Pharm Inc Carbamate compounds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anxiety disorders
US20040092427A1 (en) * 2002-09-25 2004-05-13 Anil Gulati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s of vascular origin
RS51269B (sr) * 2004-09-16 2010-12-31 Janssen Pharmaceutica N.V. Upotreba 2-fenil-1,2-etandiol-(di)karbamata za tretiranje epileptogeneze
US20070021500A1 (en) 2005-07-12 2007-01-25 Twyman Roy E Methods for neuroprotection
AR062095A1 (es) * 2006-07-28 2008-10-15 Eisai R&D Man Co Ltd Profarmaco de compuesto cinamida
US20080090902A1 (en) 2006-10-13 2008-04-17 Pandey Ramendra N Phenylalkylamino carbamate compositions
EP2089002A1 (en) 2006-10-13 2009-08-19 Janssen Pharmaceutica, N.V. Phenylalkyl carbamate compositions
CN101568362A (zh) * 2006-10-30 2009-10-28 詹森药业有限公司 治疗抑郁症的方法
EP2089011A1 (en) * 2006-10-31 2009-08-19 Janssen Pharmaceutica N.V. Treatmen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JP2010524858A (ja) * 2007-04-10 2010-07-22 エスジーエ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縮合環複素環キナーゼ調節因子
US9101616B2 (en) 2009-05-29 2015-08-11 Raqualia Pharma Inc. Aryl substituted carboxamide derivatives as calcium or sodium channel blockers
GB2494787B (en) * 2010-03-18 2018-10-17 Univ Hong Kong Sci & Tech Neuro-protective effects of adelostemma gracillimum and its isolated compounds
CA2803825C (en) 2010-07-02 2015-12-29 Bio-Pharm Solutions Co., Ltd. Phenylcarbamate compound and muscle relaxant containing the same
US9018253B2 (en) 2010-07-02 2015-04-28 Bio-Pharm Solutions Co., Ltd. Phenylcarbamate compound and muscle relaxant containing the same
JP6298766B2 (ja) 2011-12-27 2018-03-20 バイオ−ファー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てんかんの予防または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フェニ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
JP6096329B2 (ja) 2013-03-12 2017-03-15 バイオ−ファーム ソリューション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フェニ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及び記憶損失−関連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1717872B1 (ko) * 2013-03-12 2017-03-17 (주)바이오팜솔루션즈 소아 간질 및 간질-관련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78B1 (ko) 2001-02-27 2009-03-05 오르토-맥네일 파마슈티칼, 인코퍼레이티드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신증 장애 예방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2096458A2 (en) * 2011-01-13 2012-07-19 Bio-Pharm Solutions Co., Ltd. Process for preparation of phenyl carbamat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953A (ko) 2015-10-26
WO2014142550A1 (en) 2014-09-18
US20160015679A1 (en) 2016-01-21
US20160015680A1 (en) 2016-01-21
JP6096329B2 (ja) 2017-03-15
KR102014615B1 (ko) 2019-08-27
CN105164103A (zh) 2015-12-16
WO2014142549A1 (en) 2014-09-18
EP2970112A4 (en) 2017-01-04
US10525030B2 (en) 2020-01-07
KR20160004260A (ko) 2016-01-12
CN110478343A (zh) 2019-11-22
EP2970109A4 (en) 2017-01-18
EP2970112A1 (en) 2016-01-20
JP2016522790A (ja) 2016-08-04
KR20160004261A (ko) 2016-01-12
CN105189450B (zh) 2019-09-13
JP6126251B2 (ja) 2017-05-10
EP2970111A1 (en) 2016-01-20
KR20160004262A (ko) 2016-01-12
CN105189450A (zh) 2015-12-23
EP2970111A4 (en) 2017-01-18
JP6131341B2 (ja) 2017-05-17
CN105164103B (zh) 2019-12-06
KR20170058447A (ko) 2017-05-26
CN105209430B (zh) 2019-09-13
US9566261B2 (en) 2017-02-14
US9907776B2 (en) 2018-03-06
JP2016522788A (ja) 2016-08-04
WO2014142547A1 (en) 2014-09-18
CN105209430A (zh) 2015-12-30
US20160015678A1 (en) 2016-01-21
CN105189451A (zh) 2015-12-23
US9457003B2 (en) 2016-10-04
EP2970110A4 (en) 2016-12-28
JP2016522789A (ja) 2016-08-04
WO2014142548A1 (en) 2014-09-18
JP2016522791A (ja) 2016-08-04
EP2970110A1 (en) 2016-01-20
KR101717871B1 (ko) 2017-03-20
KR101758543B1 (ko) 2017-07-14
EP2970109A1 (en) 2016-01-20
JP6200527B2 (ja) 2017-09-20
US20160016896A1 (en)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677B1 (ko)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89045B2 (ja) 痛みの緩和または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フェニルカルバメート化合物
KR101717873B1 (ko) 간질 또는 간질-관련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페닐카바메이트 화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