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509B1 - 수소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509B1
KR101739509B1 KR1020150101133A KR20150101133A KR101739509B1 KR 101739509 B1 KR101739509 B1 KR 101739509B1 KR 1020150101133 A KR1020150101133 A KR 1020150101133A KR 20150101133 A KR20150101133 A KR 20150101133A KR 101739509 B1 KR101739509 B1 KR 10173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ater
case
battery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311A (ko
Inventor
방춘영
Original Assignee
방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춘영 filed Critical 방춘영
Priority to KR102015010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5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발명은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안 및 목욕 시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인해 흔히 나타나는 아토피 및 각종 피부 트러블 등을 오존과 차아염소의 살균작용에 의해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용존 수소와 활성 수소를 이용하여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때 잔류농약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내측에 물 전기분해를 제어하는 컨트롤보드가 설치된 방수 케이스의 외측에 전극을 노출형태로 설치하는 수소수 생성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물의 클러스터를 120㎐~150㎐로 전기분해하여 60㎐대 이하로 만들어 수도수에 포함된 염기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해 피부 모공 내까지 살균토록 하여 안정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무격막 전해 방식으로 메쉬 형상 또는 절개 및 타공하여 전해시 이온분리와 산소, 수소 가스를 동시에 발생시켜 물속에 용존되는 수소와 활성수소가 풍부한 전해수를 공급하여 노화방지, 피부트러블 개선, 수렴작용 효과 등이 있다.

Description

수소수 생성장치{Device for generating a hydrogen water}
발명은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안 및 목욕 시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인해 흔히 나타나는 아토피 및 각종 피부 트러블 등을 오존과 차아염소의 살균작용에 의해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용존 수소와 활성 수소를 이용하여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때 잔류농약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장치는 전해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가스와 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전기분해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해조는 공급된 전해액을 전기분해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전해조는 일반적으로 양단의 전극 사이에 다수의 얇은 전극판들이 위치하는 구조로서 양단의 전극에 전압을 걸어주면 그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전극판들에 전하가 도전되면서 전극판들의 사이에서 전해액의 전기분해가 수행된다. 전극판들의 갯수가 많아지면 가스발생의 용량이 커기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해조는 전극판이 별도로 분리된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극판의 양측에 각각 개스킷을 밀착시켜서 기밀을 유지하였는데,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개스킷을 전극판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도 부품에 의한 공차 및 개스킷의 소손에 따른 오차 때문에 전극판을 개스킷에 완전히 밀착시키기 어려웠다. 따라서 전극판과 개스킷의 사이가 들뜬 부분에서 전극판의 가장자리로 전하가 몰리는 현상과 양극에서 분리된 전하가 반대편으로 넘어오게 되어 전하가 서로 희석되는 현상이 발생해 전기분해의 효율을 저하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808호는 각각 극성이 다른 전원이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부들과, 상기 한 쌍의 전극부들의 사이에 개스킷, 격막 및 전극판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단위세트들이 다수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프레임은 링구조이며 내측 상부에 제1가스통로형성부와 제2가스통로형성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전해액통로형성부가 형성된 프레임테와 인서트(Insert)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테의 내측으로 인서트 된 금속 재질의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스통로형성부와 제2가스통로형성부와 전해액통로형성부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격막은 상기 전극판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제1가스소통구멍과 제2가스소통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해액소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은 링구조로서 내측 상부에 제1가스통로형성부와 제2가스통로형성부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전해액통로형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판프레임과 상기 격막과 상기 개스킷의 구멍들이 소통하도록 상기 전극판프레임과 상기 격막과 상기 개스킷이 적층되며, 상기 전극의 일면에서 생성된 제1가스는 상기 제1가스통로형성부들의 구멍들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전극의 반대면에서 생성된 제2가스는 상기 제2가스통로형성부들의 구멍들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에서 공급된 전해액은 상기 전해액통로형성부들의 구멍들을 통해서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전극판프레임 내부에 전극판이 인서트(Insert)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전극판의 크기에 비해 전기분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서트 금형의 경우, 인서트 표면의 청결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가공비가 비싸며 초기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인서트 성형 시 전극판을 인서트해야 하는 삽입공정이 더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형자동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에 설치되는 격막을 고정하는 부분의 거리가 많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하지 않는 부분에서 다른 부재와 이격되어 제1가스와 제2가스가 섞이는 현상에 의해 전기분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808호(2012.06.10.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물의 클러스터를 일반물 120㎐~150㎐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60㎐대 이하로 만들어 수도수에 포함된 염기를 전기분해하여 잔류 염소, 차아 염소 오존 등을 생성해 피부 모공 내까지 살균토록 하여 안정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무격막 전해 방식으로 메쉬 형상 또는 절개 및 타공하여 전해시 이온분리와 산소, 수소 가스를 동시에 발생시켜 물속에 용존되는 수소와 활성수소가 풍부한 전해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티탄 메쉬 형상에 백금과 IrO2(이리듐산화물)를 혼합하여 티탄 표면에 코팅한 전극을 이용해 야채 또는 피부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함은 물론 용존 수소와 활성수소를 이용하여 야채, 과일 또는 피부 세정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설치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와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연결하는 컨트롤보드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도록 컨트롤보드와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연결되어 케이스 외주면에 설치하는 전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기에는,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및 거치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상부에 실링을 설치한 투명커버가 결합되어 케이스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외주면에 커버를 설치하여 전극부재를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부재는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1전극과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상부에 전극상부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하부에 전극하부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극상부고정부재와 전극하부고정부재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등간격으로 상부간격유지돌기와 하부간격유지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외주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돌기와 하부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부재는 하부에 연결부재가 설치되되, 연결부재는 케이스이 형상과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연결부재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몸체 상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에는 연결부재통공을 갖는 전극부재위치홈을 형성하여 전극부재의 하부가 위되도록 하고,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전극부재를 고정하도록 케이스에 결합하며, 연결부재몸체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연결부재몸체 바닥면에는 일측을 볼록하게 형성한 탄성편을 복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하부에 스위칭돌기를 갖으며 스위칭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내측에 물 전기분해를 제어하는 컨트롤보드가 설치된 방수 케이스의 외측에 전극을 노출형태로 설치하는 수소수 생성기와;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수소수 제조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및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기는, 전원 공급 및 충전, 물 전기분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컨트롤보드, 충전단자와 핀연결단자를 가지며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측 둘레에 전극부재결합홈과 케이스통공을 형성한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에 설치하는 배터리와 컨트롤보드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실링을 가지며 케이스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투명덮개와; 전극을 고정하기 위하여 연결부재통공을 가지며 전극부재위치홈 형성하고 배터리 전원을 전극으로 인가하기 위해 스위칭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을 가지며 케이스 하부에 설치하는 연결부재와;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측둘레와 연결부재 사이에 노출형태로 설치하는 전극부재와; 배터리의 전원을 전극부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재를 가지며 연결부재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스위칭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덮개는 컨트롤보드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인하여 동작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케이스 상부에 나사결합 하며, 원통형의 외주면에 씰링이 설치되어 케이스와 덮개 사이에 방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며 덮개와 나사결합 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케이스몸체와; 배터리의 전원을 전극부재로 인가할 수 있도록 케이스 공간부에서 바닥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핀연결단자와; 배터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의 공간부에 그 하방향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하는 배터리설치홈과;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 바닥면에서 배터리설치홈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충전단자와; 전극부재가 외측 둘레에 결합하여 수소가스를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전극부재결함홈 및 케이스통공을 가지며 케이스몸체 상부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전극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부재는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1전극과 제2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상부에 결합하는 전극상부고정부재와; 제1전극과 제2전극의 하부에 결합하는 전극하부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극상부고정부재와 전극하부고정부재는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등간격으로 상부간격유지돌기와 하부간격유지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고정하도록 외주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돌기와 하부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는 케이스이 형상과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연결부재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몸체 상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돌기에는 연결부재통공을 갖는 전극부재위치홈을 형성하여 전극부재의 하부가 위되도록 하고,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전극부재를 고정하도록 케이스에 결합하며, 연결부재몸체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연결부재몸체 바닥면에는 일측을 볼록하게 형성한 탄성편을 복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전 및 거치부재는 수소수 생성기를 충전 및 거치할 수 있도록 홀더돌기를 형성한 안착홈을 갖는 받침홀더와; 받침홀더 하부에 설치하는 받침패널과; 받침홀더 하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충전부재와; 받침홀더와 받침패널 사이에 설치하는 가스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전부재는 배터리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가 형성되어 받침홀더 하부에 결합하는 충전패널과; 충전패널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전패널 일측에 설치되어 받침홀더 일측에 노출되게 위치하는 커넥터와; 커넥터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회로를 통해 인가받아 수소수 생성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패널에 설치되어 받침홀더의 홀더돌기로 돌출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의 클러스터를 120㎐~150㎐로 전기분해하여 60㎐대 이하로 만들어 수도수에 포함된 염기를 전기분해하여 잔류 염소, 차아 염소 오존 등을 생성해 피부 모공 내까지 살균토록 하여 안정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격막 전해 방식으로 메쉬 형상 또는 절개 및 타공하여 전해시 이온분리와 산소, 수소 가스를 동시에 발생시켜 물속에 용존되는 수소와 활성수소가 풍부한 전해수를 공급하여 노화방지, 피부 트러블 개선, 수렴작용, 미백 아스트렌젠 효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티탄 메쉬 형상에 백금과 IrO2(이리듐산화물)를 혼합하여 티탄 표면에 코팅한 복수의 전극을 이용해 용존 수소와 활성수소를 이용하여 야채, 과일 또는 피부 세정수로 사용하므로 미세 수소 기포가 모여 큰 기포를 만들면서 터질 때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완전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멸균된 야채나 과일의 보관기간도 배 이상으로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도 또한 장시간 동안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의 대류 현상을 최대한 활용하여 불순물 제거하기 위한 전극구조를 좌우대칭으로 구성하므로 전극 사이의 대류현상을 극화시켜 살균,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소수 생성기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케이스와 결합하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케이스와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전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전극부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1의 충전 및 거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물에 넣어 수소를 생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수소수 생성기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케이스와 결합하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케이스와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전극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전극부재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충전 및 거치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물에 넣어 수소를 생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 배터리(170)와 컨트롤보드(180)가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스(110) 외주연에 전극을 설치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소수 생성기(100)와, 배터리(170)에 전원을 충전 및 수소수 생성기(100)가 거치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및 거치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수 생성기(100)는 전원 공급 및 충전, 물 전기분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111-1)를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케이스(110)와,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투명덮개(120)와, 충전 및 거치부재(200)에 안착되어 필요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 하부에 결합하는 연결부재(130)와,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와 연결부재(130) 사이에 결합되어 케이스(110) 외주연에 노출 형태로 설치하는 전극부재(140)와, 연결부재(130)의 하부에 결합하여 전극부재(140)에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치 작용을 하는 스위칭커버(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소수 생성기(100)에는 외부커버(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커버(160)는 케이스(110) 외주연에 설치한 전극부재(14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재(140)가 케이스(110)와 외부커버(16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160)에는 표시부(161)를 구성하여 스위칭커버(150)를 회전에 의해 수소수 생성기(1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소수 생성기에는 배터리(170)와 컨트롤보드(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170) 케이스(110) 내측에 설치되어 전극부재(130)에서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도록 전원의 공급 및 전원을 충전하며, 상기 컨트롤보드(180)는 배터리(170) 전원의 제어, 작동상태 알림 제어할 수 있도록 LED(미도시)를 가지며 케이스(110) 내측에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를 개방한 상태로 내측에 공간부(111-1)와 배터리(170)가 설치되는 배터리설치홈(111-2)을 형성한 원형의 케이스몸체(111)를 구성한다. 상기 투명덮개(1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111) 상부 내측에는 나사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설치홈(111-2)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구멍을 갖는 단자고정돌기(111-3)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 바닥면에 일측이 돌출되면서 배티러설치홈(111-2)의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단자고정돌기(111-3)의 구멍에 전원단자(112)를 설치한다. 상기 전극부재(140)로 전원을 인가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공간부(111-1)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바닥면에 핀연결단자(113)를 설치한다. 상기 핀연결단자(113)가 설치된 부분의 케이스(110) 외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전극부재(140)의 제1연결편(141-1)과 제2연결편(142-1)이 위치될 수 있도록 연결홈(1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 상부 외주연에는 수소의 배출 및 전극부재(140)를 고정하기 위한 전극설치부재(115)를 형성하고, 상기 전극설치부재(115)의 하부에는 전극부재(140)의 상부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전극부재결합홈(115-1)을 형성하며, 상기 전극부재(140)에서 생성한 수소가 배출되도록 케이스통공(11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 외측 하방향으로 연결부재(1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케이스설치돌기(116)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설치돌기(116)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부재(130)의 체결돌기(133)가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공(116-1)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덮개(120)는 케이스(110) 내측 면에 형성한 나사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를 가지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동작상태를 파악한다. 또한, 나사가 형성된 부분에 씰링(121)을 설치하여 케이스(110)와 투명덮개(120) 사이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케이스(110)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케이스(110) 하부에 결합하는 연결부재몸체(131)와, 상기 전극부재(140)의 하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몸체(131) 외주연에 형성하는 전극부재결합돌기(132)와, 상기 전극부재(140) 하단이 안착 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부재통공(132-2)을 가지며 전극부재결합돌기(132)에 형성하는 전극부재위치홈(132-2)과,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한 케이스설치돌기(116)의 설치공(116-1)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130) 내측에 걸림턱(미부호)을 가지며 형성하는 체결돌기(133)와, 상기 스위칭커버(15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측을 볼록하게 구성하여 연결부재몸체(131)의 바닥면에 복수로 형성하는 탄성편(134)과, 상기 스위칭커버(150)의 결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몸체(131) 외주면에 복수로 형성하는 가이드공(135)과, 상기 충전 및 거치부재(200)가 결합하여 배터리(170)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몸체(131) 저부에 형성하는 단자연결홈(136)과, 상기 단자연결홈(136)의 일측에 스위칭커버(150)의 스위칭돌기(153)가 인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몸체(131) 바닥면에 형성하는 인입공(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부재(140)는 물을 전기분해 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 상부에 설치하는 전극상부고정부재(143)와, 상기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 하부에 설치하는 전극하부고정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141)은 메쉬 또는 전극홀을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10) 외주연에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제2전극(142)과 전기적 작용에 의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한다. 상기 제1전극(141)에는 제1연결편(141-1)을 형성하여 케이스(110)의 핀연결단자(113)와 결합하여 배터리(170)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전극(142)은 메쉬 또는 전극홀을 형성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10) 외주연에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제1전극(141)과 전기적 작용에 의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한다. 상기 제2전극(142)에는 제2연결편(142-2)을 형성하여 케이스(110)의 핀연결단자(113)와 결합하여 배터리(170)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극상부고정부재(143)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복수의 상부간격유지돌기(143-1)를 등간격으로 띠 형상 하부에 형성하고, 띠 형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돌기(143-2)를 형성한다.
상기 전극하부고정부재(144)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복수의 하부간격유지돌기(144-1)를 등간격으로 티 형상의 상부에 형성하며, 띠 형상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지지돌기(144-2)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상부는 상부간격유지돌기(143-1)와 상부지지돌기(143-2)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하부는 하부간격유지돌기(144-1)와 하부지지돌기(144-2) 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커버(150)는 배터리(170)의 전원을 전극부재(140)로 인가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13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스위칭커버(15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관통공(151-1)을 형성한 커버몸체(151)를 형성하고, 커버몸체(151)의 바닥면에는 탄성편(134)의 일측이 인입되어 스위치커버(150)의 온/오프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152)을 형성하며, 복수의 요홈(152)이 형성된 일측에는 연결부재(130)의 인입공(137)으로 인입되어 스위칭 역할을 하는 스위칭돌기(153)를 형성하고, 상기 스위칭돌기(153)에는 배터리(170)의 전원이 전극부재(140)로 인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스위칭부재(154)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커버(150) 내측 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55)를 형성하여 연결부재(130)에 형성한 가이드공(135)에 결합하고, 가이드공(135)에 결합한 걸림돌기(155)는 스위칭커버(150)가 회전할 때 가이드공(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110)이 일측에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커버(160)를 설치하여 케이스(110)와 외측커버(160) 사이에 전극부재(140)가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외측커버(160)의 일측에는 스위칭커버(150)를 회전시켰을 때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61)를 더 형성한다.
상기 충전 및 거치부재(200)는 받침홀더(210), 받침패널(220), 충전부재(230) 및 가스켓(24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홀더(210)는 수소수 생성기(100)가 착탈 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홈(211)을 가지면 원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211)에는 연결부재(130) 하부에 형성한 단자결합홈(136)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돌기(212)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돌기(212)에는 단자돌출공(213)을 복수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 하부가 평행한 상태로 안착홈(2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돌기(21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받침돌기(미부호)를 형성한다.
상기 받침패널(220)은 받침홀더(210) 하부에 볼트를 통해 결합하여 벽 또는 바닥 등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패널(220)에는 패널고정공(222)을 가지며 패널고정돌기(221)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패널(220)이 받침홀더(210) 하부에 결합할 때 볼트가 패널고정돌기(221)의 패널고정공(222)에 끼워지도록 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재(230)는 배터리(170)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를 가지며 받침홀더(210) 하부 내측에 볼트를 통해 고정하는 충전패널(231)과, 아답터(미도시)에서 인가하는 전원을 충전패널(213)로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패널(213) 일측에 설치되는 커넥터(232)와, 커넥터(232)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회로를 통해 인가받아 수소수 생성기(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패널(231)에 설치되어 홀더돌기(212)의 단자돌출공(213)으로 돌출되는 충전단자(233)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240)은 받침홀더(210)와 받침패널(220) 사이에 설치하여 수분 또는 이물질이 받침홀더(210)와 받침패널(22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스켓(240)은 받침패널에 형성한 패널고정돌기(22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스켓결합돌기(24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생성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욕조, 세면대 또는 씽크대 수조, 과일 세척바구니 등에서 세면, 목욕 또는 야채, 과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충전 및 거치부재(200)에 결합한 수소수 생성기(1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외측커버(16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스위칭커버(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위칭커버(150)를 회전시키면, 스위칭커버(150) 내측 면에 형성한 복수의 걸림돌기(155)가 가이드공(135)을 따라 회전하면서 스위칭돌기(153)에 설치한 스위칭부재(154)에 의해 배터리(170)의 전원을 전극부재(140)로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70)의 전원은 컨트롤보드(180)로 공급되고, 컨트롤보드(180)는 핀연결단자(113)를 통해 전극부재(140)로 인가되며, 상기 전극부재(140)로 인가되는 전원은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에 서로 다른 극성이 인가되도록 하면서 물을 전기분해 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로 인가되는 전원은 그 극성을 서로 교차로 인가하여 수소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전원의 극성을 교차로 인가하는 것은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관리하지 않아도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수소수 생성기(100)를 사용자는 욕조, 세면대 또는 씽크대 수조, 과일 세척바구니 등에 담긴 물속으로 넣는다.
상기 수소수 생성기(100)를 물에 넣으면,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데, 이때 초기에 유입되는 물은 케이스(110)에 형성한 케이스통공(115-2)과 연결부재(130)에 형성한 연결부재통공(132-2) 및 상부통공(143-3)과 하부통공(144-3)을 통해 동시에 유입되고,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는 상부통공(143-3)을 거쳐 케이스(110)에 형성한 케이스통공(115-2)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은 대류현상이 일어나 전극부재(140)의 하부쪽으로는 물이 유입되고, 상부쪽으로는 수소와 함께 물이 배출되는 작용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는 수소는 일반적인 물을 전기분해를 통해 60㎐대 이하로 미세하게 만들고 이때 수소는 물에 용존되는 작용이 함께 일어난다. 그리고 일반적인 물의 클러스터는 1200㎐~150㎐이다.
상기 수소를 생성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스(110)와 연결부재(130) 사이에 설치한 전극부재(140)의 전극상부고정부재(143)와 전극하부고정부재(144)에 각각 형성한 상부통공(143-3)과 하부통공(143-3)으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물은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 사이에 위치하며, 제1전극(141)와 제2전극(14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물을 전기분해한다.
전기분해 시에 (-)극에서는 (+)이온이 환원되고, (+)극에서는 (-)이온이 산화된다. (-)극세어는 산화반응으로 산소를 얻을 수 있고, (+)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 수소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수소와 산소의 부피비는 2:1로 전체 반응식은 하기와 같다.
(-)극 : 4H2O + 4e- → 2H2 + 4OH-
(+)극 : 2H2O → O2 + 4H+ + 4e-
-------------------------------------
전체반응 : 6H2O → 2H2 + O2 + 4OH- + 4H+
→ 2H2O → 2H2 + O2
상기에서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수소는 전극상부고정부재(143)의 상부통공(143-3)과 케이스(110)의 둘레 형성한 케이스통공으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통공(143-3)과 케이스통공(115-2)으로 배출되는 수소는 물에 녹아들고, 물에 용존되고 용존된 수소를 이용하여 세면, 목욕 또는 야채, 과일을 세척하면, 피부, 야채, 과일 등의 표면에 미세기포가 모여 큰 기포로 형성되면서 피부, 야채, 과일 등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부재(140)에서 전기분해가 일어나면, 케이스(110) 내측에 설치한 컨트롤보드(180)의 LED에서 빛을 발산하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량의 수소가 발생하면, 컨트롤러에서는 자동으로 오프되어 수소수의 생산을 중단하여 적정한 용존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용존 수소량은 400~650ppb이며, ORP(Oxidation Redution Potential)값은 -250 ~ -300mv이고 pH값은 7.5~7.8 미만의 중성수를 생성한다.
상기 수소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배터리(170)의 전원이 소진되면, 이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충전 및 거치부재(200)의 안착홈(211)에 수소수 생성기(100)의 저부를 인입시켜 홀더돌기(212)가 연결부재(130) 하부에 형성한 단자연결홈(136)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 및 거치부재(200)의 안착홈(211)에 수소수 생성기(100)가 안착한 상태에서 충전부재(230)의 컨넥터(232)에 아답터의 충전잭을 꼽아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23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은 충전패널(231)에 형성한 충전회로를 거쳐 안정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충전회로를 거친 전원은 충전단자(233)를 통해 케이스(110) 하부에서 연결부재(13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전원단자(112)로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단자(112)로 인가되는 전원은 전원단자(112)와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연결한 컨트롤보드(180)로 인가되고, 컨트롤보드(180)에서는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연결한 배터리(170)에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배터리(170)에 충전이 이루어지면서 만충되면, 컨트롤보드(180)에서는 배터리(170)에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170)에 충전이 완료된 상태의 수소수 생성기(100)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욕조, 세면대 또는 씽크대 수조, 과일 세척바구니 등에 담긴 물속에 넣어 수소수에 의해 세정, 세척 및 살균 작용에 의해 피부는 노화방지, 트러블개선 및 수렴작용 등이 일어나고, 야채 및 과일은 세정 및 세척이 용이하여 건강한 야채와 과일을 섭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소수 생성기 110: 케이스
111: 케이스몸체 111-1: 공간부
111-2: 배터리설치홈 111-3: 단자고정돌기
112: 전원단자 113: 핀연결단자
114:연결홈 115: 전극설치부재
115-1: 전극부재결합홈 115-2: 케이스통공
116: 케이스설치돌기 116-1: 설치공
120: 투명덮개 121: 씰링
130: 연결부재 131: 연결부재몸체
132: 연결부재결합돌기 132-1: 전극부재위치홈
132-2: 연결부재통공 133: 체결돌기
134: 탄성편 135: 가이드공
136: 단자연결홈 136-1: 단자인입공
137: 인입공 140: 전극부재
141: 제1전극 141-1: 제1연결편
142: 제2전극 142-1: 제연결편
143: 전극상부고정부재 143-1: 상부간격유지돌기
143-2: 상부지지돌기 143-3: 상부통공
144: 전극하부고정부재 144-1: 하부간격유지돌기
144-2: 하부지지돌기 144-3: 하부통공
150: 스위칭커버 151: 커버몸체
151-1: 관통공 152: 요홈
153: 스위칭돌기 154: 전극부재
160: 외부커버 161: 표시부
170: 배터리 180: 컨트롤보드
200: 충전 및 거치부재 210: 받침홀더
211: 안착홈 212: 홀더돌기
213: 단자돌출공 220: 받침패널
230: 충전부재 231: 충전패널
232: 커넥터 233: 충전단자
240: 가스켓 241: 가스켓결합돌기

Claims (16)

  1. 수소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 및 충전, 물 전기분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배터리(170)와 컨트롤보드(180), 전원단자(112)와 핀연결단자(113)를 가지며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주연에 전극부재결합홈(115-1)과 케이스통공(115-2)을 형성한 케이스(110)와;
    배터리(170)와 컨트롤보드(180)를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실링(121)을 가지며 케이스(110) 상부에 나사 결합하는 투명덮개(120)와;
    연결부재통공(132-2)을 갖는 전극부재위치홈(132-1) 및 스위칭할 수 있도록 가이드공(135)을 가지며 케이스(110) 하부에 설치하는 연결부재(130)와;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컨트롤보드(180)와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게 연결되어 케이스(110)와 연결부재(130) 사이에 노출형태로 설치하는 전극부재(140)와;
    배터리(170)의 전원을 전극부재(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칭돌기(153)를 가지며 연결부재(130)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스위칭커버(150)와;
    상기 케이스(110) 외측에 설치하는 외측커버(160)와;
    케이스(110) 내측에 설치되는 배터리(170)와;
    배터리(170)와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도록 연결하여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보드(180);
    를 포함하는 수소수 생성기(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기(100)에는,
    배터리(170)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 및 거치부재(200);
    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에 투명커버(120)를 설치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투명커버(120)에는 실링(121)을 설치하여 케이스(1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는
    외주면에 외부커버(160)를 설치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극부재(140)를 케이스(110)와 외부커버(16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140)는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메쉬 형태 또는 구멍을 형성한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으로 이루어지고,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상부에 전극상부고정부재(143)를 설치하여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며,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하부에 전극하부고정부재(144)를 결합하여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상부고정부재(143)와 전극하부고정부재(144)는
    띠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상부간격유지돌기(143)와 하부간격유지돌기(144)를 띠 형상으로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하고,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돌기(143)와 하부지지돌기(144)를 띠 형상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140)는 하부에 연결부재(130)를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재(130)는,
    케이스(110)이 형상과 동일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연결부재몸체(131)를 구성하고,
    연결부재몸체(131) 상단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전극부재결합돌기(132)를 형성하며,
    전극부재결합돌기(132)에는 연결부재통공(132-2)을 갖는 전극부재위치홈(132-1)을 형성하여 전극부재(130)의 하부가 위되도록 하고,
    연결부재몸체(131)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돌기(133)를 형성하여 전극부재(140)를 고정하도록 케이스(110)에 결합하며,
    연결부재몸체(131)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공(135)을 형성하여 스위칭부재(15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연결부재몸체(131) 바닥면에는 일측을 볼록하게 형성한 탄성편(143-3)을 복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0)는
    하부에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스위칭커버(150)를 설치하되,
    상기 스위칭커버(15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하는 관통공(151-1)을 형성한 커버몸체(151)를 형성하고,
    커버몸체(151)의 바닥면에는 탄성편(134)의 일측이 인입되어 스위치커버(150)의 온/오프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홈(152)을 형성하며,
    복수의 요홈(152)이 형성된 일측에는 연결부재(130)의 인입공(137)으로 인입되어 스위칭 역할을 하는 스위칭돌기(153)를 형성하고,
    스위칭돌기(153)에는 배터리(170)의 전원이 전극부재(140)로 인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의 스위칭부재(154)를 설치하며,
    연결부재(130)에 형성한 가이드공(135)에 결합 및 회전할 수 있을 수 있도록 커버몸체(151) 내측 면에 복수의 걸림돌기(15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 3, 4,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111-1)를 가지며 투명덮개(120)와 나사결합 하여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케이스몸체(111)와;
    배터리(17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케이스몸체(111)의 공간부(111-1)에 그 하방향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하는 배터리설치홈(111-2)과;
    배터리(17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배터리설치홈에서 돌출되게 설치하는 전원단자(112)와;
    배터리(170)의 전원을 전극부재(140)로 인가할 수 있도록 공간부(111-1)에서 케이스몸체(111)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핀연결단자(113)와;
    전극부재(140)가 외측 둘레에 결합하여 수소를 케이스몸체(111)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전극부재결함홈(115-1) 및 케이스통공(115-2)을 가지며 케이스몸체(111) 상부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전극설치부재(1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및 거치부재(200)는
    수소수 생성기(100)를 충전 및 거치할 수 있도록 홀더돌기(212)를 형성한 안착홈(211)을 갖는 받침홀더(210)와;
    받침홀더(210) 하부에 설치하는 받침패널(220)과;
    수소수 생성기에서 배티러(170)에 충전할 수 있도록 받침홀더(210) 하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하는 충전부재(230)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받침홀더(210)와 받침패널(220) 사이에 설치하는 가스켓(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재(230)는
    배터리(170)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가 형성되어 받침홀더(210) 하부에 결합하는 충전패널(231)과;
    충전패널(231)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전패널(231) 일측에 설치되어 받침홀더(210) 일측에 노출되게 위치하는 커넥터(232)와;
    커넥터(232)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회로를 통해 인가받아 수소수 생성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패널(231)을 설치하는 받침홀더(210)의 홀더돌기(212)로 돌출되는 충전단자(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KR1020150101133A 2015-07-16 2015-07-16 수소수 생성장치 KR10173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33A KR101739509B1 (ko) 2015-07-16 2015-07-16 수소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33A KR101739509B1 (ko) 2015-07-16 2015-07-16 수소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11A KR20170009311A (ko) 2017-01-25
KR101739509B1 true KR101739509B1 (ko) 2017-06-08

Family

ID=5799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33A KR101739509B1 (ko) 2015-07-16 2015-07-16 수소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5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5A (ko) 2017-11-06 2019-05-15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1015A2 (ko) 2016-12-14 2018-06-21 탁승호 수소수를 이용한 살균 시스템
TWM562680U (zh) * 2018-02-02 2018-07-01 王美雲 改良型泡腳機
KR101975225B1 (ko) * 2018-02-13 2019-05-07 김진규 수소수 생성장치
JP7465054B2 (ja) * 2018-03-26 2024-04-10 マクセル株式会社 水素水生成装置
CN109629174A (zh) * 2019-01-01 2019-04-16 佛山市顺德区硕美工业设计有限公司 内生无磷分解洗衣机
CN110980887B (zh) * 2019-10-31 2022-05-17 广东活法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解水消毒装置
CN111472142A (zh) * 2020-06-02 2020-07-31 慈溪市天泉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混气式消毒洗衣机机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106B1 (ko) * 2003-10-09 2005-12-26 바이오닉스(주) 환원수 생성기
KR200450279Y1 (ko) * 2008-12-11 2010-09-16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036381B1 (ko) * 2011-02-23 2011-05-23 주식회사 이온팜스 알칼리 이온수기
KR101280595B1 (ko) * 2011-09-08 2013-07-02 허경란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08B1 (ko) 2011-09-06 2012-06-01 (주)오선텍 전기분해 성능을 향상시킨 전해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106B1 (ko) * 2003-10-09 2005-12-26 바이오닉스(주) 환원수 생성기
KR200450279Y1 (ko) * 2008-12-11 2010-09-16 김윤오 배터리 급속 충전장치
KR101036381B1 (ko) * 2011-02-23 2011-05-23 주식회사 이온팜스 알칼리 이온수기
KR101280595B1 (ko) * 2011-09-08 2013-07-02 허경란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5A (ko) 2017-11-06 2019-05-15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11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09B1 (ko) 수소수 생성장치
US20030024828A1 (en) Sterilizing method and electrolyzed water producing apparatus
JP2003266073A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60017186A (ko)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CN111657822A (zh)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20080101623A (ko) 전기분해조의 자동 세척장치
KR101986910B1 (ko) 수소수 세안기
KR20130027817A (ko)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20180065618A (ko) 수소수 제너레이터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1815271B1 (ko) 휴대용 라디칼 이온수 발생장치
KR20150092822A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수소 발생 유니트
KR101649650B1 (ko) 정수기
CN211432584U (zh) 一种清洗净化机
CN210471991U (zh) 一种杀菌足浴盆
CN218128234U (zh) 一种便携式果蔬净化器
KR100697546B1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CN215381276U (zh) 一种净化装置、净化水杯及水槽
CN219835153U (zh) 一种果蔬消毒清洗器
KR101032324B1 (ko)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KR20170029053A (ko) 간이형 수소수 제공장치
CN213061043U (zh) 一种次氯酸钠发生器
KR20160122289A (ko)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KR200395336Y1 (ko) 물품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