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225B1 - 수소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225B1
KR101975225B1 KR1020180026740A KR20180026740A KR101975225B1 KR 101975225 B1 KR101975225 B1 KR 101975225B1 KR 1020180026740 A KR1020180026740 A KR 1020180026740A KR 20180026740 A KR20180026740 A KR 20180026740A KR 101975225 B1 KR101975225 B1 KR 10197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bar
water
washing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5780A (ko
Inventor
김진규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진규
Publication of KR20180095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 식품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및 제2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로 이루어져, 농수산물 및 육가공품 식품세척에 쓰이는 세척수(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이온(OH 라디칼)으로 인해 살균과 세척이 동시에 가능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수 생성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농수산물 식품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및 제2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로 이루어져, 농수산물 및 육가공품 식품세척에 쓰이는 세척수(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산이온(OH 라디칼)으로 인해 살균과 세척이 동시에 가능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수는 자화 처리, 초음파 처리, 광석 처리, 미네랄 처리, 또는 전기 분해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들 방법 중 전기 분해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전기 분해에 의해 제조된 수소수를 전해 수소수라 한다.
이러한 수소수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8-0007932호 『수소수 제조 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물이 채워지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채워진 물과 접하고, 상하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된 제 1 전극; 상기 용기부에 채워진 물과 접하고, 상기 제 1 전극의 아래에서 상기 제 1 전극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하로 개방된 관통홀이 형성된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막 부재를 포함하고, 전기 분해 과정에서 상기 제 1 전극의 극성은 마이너스이고 상기 제 2 전극의 극성은 플러스이며, 상기 제 1 전극에서 수소가 발생하고 상기 제 2 전극에서 산소가 발생하는, 수소수 제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7-0132980호 『수소수 생성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전자기파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자계)를 수도관 측으로 인가하여 이온전극에 의하여 발생한 물속의 이온 공유결합을 진동(회전)시키되, 전자기파 발생 방향을 변경시켜 수소와 산소의 이온 공유결합을 변경시키도록 하므로서 물 분자의 나노화를 촉진 시켜 수소와 산소를 분리시켜 물 속에 수소 함유량이 용존할 수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86915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추출하고자 하는 재료를 넣는 내부 공간이 존재하고, 상부에 구멍들(31)을 가진 카트리지(30); 하부에 상기 카트리지(30)가 끼워지는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20)를 밀폐하게 되는 커버(50); 상기 용기(20)와 밀착되게 결합되는 하부 본체(1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상부에 수소 발생을 위한 전극(11, 12)이 존재하고; 측면에는 전원스위치(40)와 USB포트형 충전단자(80)가 존재하며; 내부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83), 배터리(83)의 잔량을 감지하는 배터리 잔량 센서(82),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제1 램프(85), 수소 발생 세기를 표시하는 제2 램프(86), 전극(11, 12)에 수소 발생 세기에 대응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수소 발생기(84), 전원스위치(4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신호에 따라 수소 발생기(84)를 제어하고 제1, 2 램프(85, 86)의 점등을 제어하며 배터리 잔량 센서(82)에서 배터리 잔량을 수신하는 제어부(81)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448577호 『수소수 제조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 및 보조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전극모듈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챔버로 구분된 전기분해장치;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챔버의 음극전극에서 생성된 수소분자가 포함된 수소수가 배출하는 수소수 배출포트; 상기 제 1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음극전극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포트; 상기 제 2 챔버의 양극전극에서 형성된 오존이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오존수 배출포트; 상기 수소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로와 상기 제 1 유로와 연결되는 제 2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챔버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받고, 상기 오존수 배출포트와 연결되는 제 4 유로를 통해 상기 제 2 챔버에서 생성된 오존수를 공급 받아, 상기 수소수와 오존수를 내부 공간에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출력단은 상기 분사포트와 연결되는 제 3 유로와 연결되고, 입력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제 5 유로와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수소수를 제조함으로서, 수소의 용존량을 증가시켜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용수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살균 및 세척의 용도로 사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한 쌍의 극판으로 이루어져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소수생성부로 이루어지되, 기존의 세척기 또는 세척조에 설치되어 중금속, 식중동발생 원인균의 제거 및 신선도를 유지하여 식품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소수생성부는 본체 내에 유입되는 물과 접촉되도록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극판과 외부에 위치하는 물에 접촉되도록 본체 외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극판이 구비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 손쉽게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에는 필터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세척액에 있는 침전물을 제거하여 배출할 수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소수 생성장치는
세척기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조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통과하는 세척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세척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제1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조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로 바꿔 피세척물을 살균 및 세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세척액을 수소수로 전기분해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로 이루어져, 세척기에 결합하여 세척조로 유입되는 세척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거나, 세척조에 투입되어 수소수를 생성함에 따라, 수소수에 의한 살균 및 세척 효과를 극대화하여 피세척물을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식품을 세척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신선 농산물 뿐만 아니라 냉동축산물과 냉동 어패류까지 세척, 해동 및 살균 처리를 한꺼번에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잔유물 없이 물로 환원되어 세척 완료된 수소수의 처리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의 제1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의 제2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D)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세척액을 전기분해하는 각각 한 쌍의 제1 및 제2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본체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수소수생성부에 따라 실시예를 나눌 수 있다.
상기 수소수생성부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실시예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는 세척기(M)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세척조(C)로 공급되는 세척수(물)가 통과 할 수 있도록 세척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본체는 세척기(M)에 결합되어 세척수가 통과하는 것으로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 내부에는 수소수생성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소수생성부는 상기 세척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C1)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제1 극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 극판은 전기분해를 위해 서로 다른 전극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본체를 통과함에 따라 생성된 수소수(C1)는 배출부를 통하여 세척조(C)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세척액 내에는 침전물이 있을 수 있으며, 침전물이 있는 경우, 전기분해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음에 따라, 이 침전물을 거를 수 있는 필터부재가 상기 세척부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필터부재는 기존에 구비되는 망, 종이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수소수생성부는 상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극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를 세척기(M)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세척조(C)에 직접 투입하여 세척조(C) 내의 세척액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극판 또한 제1 극판과 같이 한 쌍의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은 이산화티타늄 금속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살균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수소수(C1)발생부에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면, 수중 방전에 의하여 물분자는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으로 분해되며, 다시 산소이온은 서로 결합하여 산소분자를 형성하게 된다.
나아가 수중 방전에 의하여 저온 플라스마가 되어 이온 클러스터 버블이 형성되고, 수소이온은 전자를 잃어 수소 양이온이 되고, 산소분자는 수소이온에서 잃어버린 전자를 받아 산소 음이온이 된다.
이러한 수소 양이온과 산소 음이온이 물과 결합하게 되면, 수산기(OH-)를 생성하고, 이 때 과산화수소(H2O2)와 차아염소산(HOCl) 등의 음이온계가 함께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염소는 일반적으로 세척액은 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공급되는 물은 순수한 증류수가 아닌 소독 된 물로서, 이 소독액에 의해 물 속에 염소이온이 함유되기 때문에 존재한다.
이렇게 생성된 수산기(OH-)는 세균의 세포막 구송요소인 수소양이온과 결합하여 물로 환원됨에 따라 세포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균을 사멸시킴으로서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본체를 손쉽게 세척기(M) 또는 세척조(C)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세척기(M) 또는 세척조(C)에는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부재(D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D1)와 본체는 잠금유닛에 의하여 보다 손쉽게 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유닛(K)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잠금유닛(L)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잠금유닛(L)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용어는, 앞서 언급한 용어와 동일할 수 있으나,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함으로서,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시 상기 잠금유닛(L)은 제1 잠금부재(L10)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안착되는 제2 잠금부재(L20),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L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 잠금부재(L10)는 받침부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몸체(L13)와 상기 몸체(L13)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L13)보다 작게 구성된 헤드돌기(L11), 상기 몸체(L13) 하부에 구비되어 몸체(L13)보다 크게 구성된 외플랜지(L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돌기(L11)는 후술하는 제2 잠금부재(L20)의 인입홈(L2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인입바(L311)가 내삽되기 위하여 관통공(L113)이 형성된 지지격벽(L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잠금부재(L20)는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L13)가 안착되는 끼움홈(L21)과, 상기 끼움홈(L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돌기(L11)가 안착되는 인입홈(L23), 상기 끼움홈(L21)의 외벽을 형성하여 그 단부가 상기 외플랜지(L14)와 밀착되는 대응플랜지(L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는 상기 제2 잠금부재(L20)가 안착되어 결합되게 되며,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에 의하여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L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록킹수단(L30)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동작하는 가압부재(L31)와, 상기 가압부재(L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부재(L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압부재(L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L31)는 인입바(L311),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푸쉬바(L315)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인입바(L311)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헤드돌기(L11), 보다 정확하게는 헤드돌기(L11)에 형성되는 관통공(L113)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록킹부재(L35)의 동작에 의해 관통공(L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및 푸쉬바(L315)는 모두 제2 잠금부재(L2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바(L312)는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인입홈(L2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가 서로 결합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인입바(L311)의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바(L311)의 중앙에는 상기 인입홈(L23)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내부로 관통될 수 있는 고정바(L3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바(L311)와 고정바(L313)의 연결형태는 그 단면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L313)의 단부, 즉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L313)의 단부에는 시소바(L31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시소바(L314)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바(L313)와 평행하도록 푸쉬바(L315)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는 상기 고정바(L313)를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하 후술하는 록킹수단(L30) 및 안전수단(L40), 걸림부재(L33)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한 방향의 구성을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제1 회전축(L3131)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회전축(L3131)에 의해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서로 그 연결부위가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시소바(L314)의 나머지 단부에는 푸쉬바(L315)가 제2 회전축(L3151)을 통하여 결합되어,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 또한 제2 회전축(L3151)에 의하여 서로 힌지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소바(L314)의 중앙에는 고정축(L31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시소바(L314)의 일단이 상승하면 상기 고정축(L3141)에 의해 타단이 하강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가압바(L312)가 상승하면, 제1 회전축(L3131)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시소바(L314)의 시소운동에 의해 제2 회전축(L3151)이 하강하며,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제2 잠금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를 동작하여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가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없어 결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L13)가 상기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된 이후에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푸쉬바(L315)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록킹부재(L35)를 더 구비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다.
우선, 상기 가압바(L312)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로부터 제2 잠금부재(L20)를 분리하는 경우, 다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탄성체(L3121)를 더 구비하여 가압바(L312)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입바(L311)에는 록킹부재(L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부재(L35)는 상기 인입바(L311)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입바(L311)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L35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L35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홀(L3531)을 통하여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푸쉬돌기(L353)가 결합된다.
즉, 상기 푸쉬돌기(L353)를 하강시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지지격벽(L111)으로 형성된 관통공(L113) 내에서 함께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돌기(L353)에는 제1 탄성체(L355)가 구비되어 상기 인입바(L311)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푸쉬돌기(L353)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안내홀(L3531)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몸체(L13)가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는 인입바(L311)가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는 제1 탄성체(L355)의 탄성력을 제2 탄성체(L3121)의 탄성력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제2 잠금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인입바(L311)와 가압바(L312)는 밀착되고, 탄성력이 낮은 인입바(L311)가 관통공(L113)내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가 제2 잠금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L353)를 강제로 상승시켜 가압바(L312)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푸쉬바(L315)를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푸쉬돌기(L353)는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상기 제1 잠금부재(L10)로부터 제2 잠금부재(L20)가 분리되지 않는데, 이는 안전수단(L40)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수단(L40)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우선 상기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 즉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1 잠금부재(L10)의 몸체(L13)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과, 상기 제2 잠금부재(L20)의 대응플랜지(L25),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푸쉬바(L315)의 단부 아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L331)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걸림돌기(L331)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 걸림바(L3311)와 제2 걸림바(L3313)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고, 이 직교하는 부분이 상기 대응플랜지(L25)에 제3 회전축(L33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대응플랜지(L25)에는 별도의 개방공(L3317)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면 제2 걸림바(L331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바(L315)의 동작과 걸림부재(L3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걸림바(L3311)(푸쉬바(L315)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칭한다.)를 밀게 되고,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3 회전축(L3315)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상기 끼움홀로 침범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결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상호간에 결합하면, 상기 푸쉬돌기(L353)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결합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밀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며, 이로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돌기(L3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끼워짐에 따라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력이 유지되게 되고, 상기 푸쉬바(L315)가 다시 상승하지 않는 한, 상기 걸림돌기(L331)는 회전이 불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L333)은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인입되는 곳으로서,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곡선부(L3333)와 직선부(L3331)가 형성된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는 푸쉬돌기(L353)가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홀(L3531)에 이동방지부재(L59)(후술하는 안전수단(L40)의 구성이다.)를 구비함으로서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방지부재(L59)는 상기 안내홀(L3531)의 주변에 구비되는 안전가이드(L593)와, 이 안전가이드(L593)를 관통시켜 상승된 푸쉬돌기(L353)의 아래를 지지하는 안전핀(L59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돌기(L353)를 상승시킨 후, 안전핀(L591)을 결합시키면, 안전핀(L591)에 의해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동작하는 경우, 각각의 구멍과 돌기들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수단(L40)을 더 구비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 보다 정확하게는 걸림홈(L333)의 직선부(L33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홈(L333)의 상부에는 이동홀(L45)이 형성되고, 이 이동홀(L45)에는 제1 마그넷(L41)이 이동홀(L4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바(L3313)에는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제2 마그넷(L43), 또는 금속재질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L333)에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내삽되면,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직선부(L3331)에 밀착되어 결합 후, 유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전수단(L40)(안전핀(L591) 및 마그넷들의 인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안전핀(L591)은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면 되지만, 상기 제1 마그넷(L41)의 인력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홀(L45)의 일측에는 라인홀(L56)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별도의 당김라인(L57)이 구비되어, 이 당김라인(L57)이 라인홀(L56)을 통과하여 상기 푸쉬돌기(L353)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사용자가 하강시키면, 상기 당김라인(L57)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넷(L41)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이 서로 멀어져 서로간의 인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상기 푸쉬돌기(L353)가 하강함에 따라 인입바(L311)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가압바(L312)가 하강하여 푸쉬바(L315)가 상승함으로서, 걸림돌기(L331)의 회전(원위치)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수소수 생성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수소수 생성장치 M : 세척기
C : 세척조 C1 : 수소수
D1 : 받침부재
L : 잠금유닛 L10 : 제1 잠금부재
L11 : 헤드돌기 L11 : 지지격벽
L113 : 관통공 L13 : 몸체
L14 : 외플랜지 L20 : 제2 잠금부재
L21 : 끼움홈 L23 : 인입홈
L25 : 대응플랜지 L30 : 록킹수단
L31 : 가압부재 L311 : 인입바
L312 : 가압바 L3121 : 제2 탄성체
L313 : 고정바 L3131 : 제1 회전축
L314 : 시소바 L3141 : 고정축
L315 : 푸쉬바 L3151 : 제2 회전축
L33 : 걸림부재 L331 : 걸림돌기
L3311 : 제1 걸림바 L3313 : 제2 걸림바
L3315 : 제3 회전축 L3317 : 개방공
L333 : 걸림홈 L3331 : 직선부
L3333 : 곡선부 L35 : 록킹부재
L351 : 연결바 L353 : 푸쉬돌기
L3531 : 안내홀 L355 : 제1 탄성체
L40 : 안전수단 L41 : 제1 마그넷
L43 : 제2 마그넷 L45 : 이동홀
L46 : 라인홀 L57 : 당김라인
L59 : 이동방지부재 L591 : 안전핀
L593 : 안전가이드

Claims (4)

  1. 세척기(M)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조(C)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통과하는 세척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세척부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제1 극판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수생성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조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로 바꿔 피세척물을 살균 및 세척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 하부에는
    세척기 또는 세척조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탈착 결합되는 받침부재(D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D1)에 구비되는 제1 잠금부재(L10)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2 잠금부재(L20) 및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에 구비되어 이들을 서로 결합 및 고정하는 록킹수단(L30)을 포함하는 잠금유닛(L);이 더 구비되되,

    상기 제1 잠금부재(L10)는
    몸체(L13)와, 상기 몸체(L13)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돌기(L11), 상기 몸체(L13) 하부에 구비되는 외플랜지(L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잠금부재(L20)는
    상기 몸체(L13)가 안착되는 끼움홈(L21)과, 상기 끼움홈(L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돌기(L11)가 안착되는 인입홈(L23), 상기 끼움홈(L21)의 외벽을 형성하여 상기 외플랜지(L14)와 밀착되는 대응플랜지(L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수단(L30)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구비되는 인입바(L311)와, 상기 제2 잠금부재(L20)에 구비되며 서로 연동되는 가압바(L312), 시소바(L314) 및 푸쉬바(L315)를 포함하는 가압부재(L31)와,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과, 상기 제2 잠금부재(L20)에 구비되는 걸림돌기(L331)를 이루어진 걸림부재(L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잠금부재(L10)에 제2 잠금부재(L20)가 안착되고, 상기 인입바(L311)가 상승하면, 상기 인입바(L311)와 밀착된 가압바(L312)가 상기 제2 잠금부재(L20) 내에서 상승하고, 상기 가압바(L312)가 상승하면 시소바(L314)의 연동운동에 의해 상기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걸림돌기(L331)를 회전시켜 걸림홈(L333)에 안착시킴으로서, 상기 제1 잠금부재(L10)와 제2 잠금부재(L20)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 내부에 유입되는 세척액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생성부는
    상기 본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극판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본체가 세척액에 투입되는 경우, 상기 제2 극판에 의해 세척액을 수소수로 바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판과 제2 극판은 이산화티타늄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KR1020180026740A 2018-02-13 2018-03-07 수소수 생성장치 KR101975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7823 2018-02-13
KR1020180017823 2018-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80A KR20180095780A (ko) 2018-08-28
KR101975225B1 true KR101975225B1 (ko) 2019-05-07

Family

ID=6345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740A KR101975225B1 (ko) 2018-02-13 2018-03-07 수소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2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77B1 (ko) * 2014-09-25 2016-08-01 주식회사 그렌텍 수소수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652976B1 (ko) * 2015-01-19 2016-09-09 은남표 용수의 정화 및 살균처리 장치
KR101739509B1 (ko) * 2015-07-16 2017-06-08 방춘영 수소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80A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2116B2 (ja) 水素水冷温水機
JP4392354B2 (ja) 高電界電解セル
CA246885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egative and positive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orp) water
KR101999179B1 (ko) 냉장고
KR102111199B1 (ko) 전해수를 활용한 나노버블 세탁방법 및 그 장치
KR101975225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20100056858A (ko) 의료용 살균 세척장치
US20200024759A1 (en) High efficiency electrolytic ozone production system
KR101091338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CN1803199A (zh) 一种小型消毒水生成器及其使用方法
CN113979513A (zh) 清洁设备及消毒组件
KR20140042144A (ko) 자가발전 유닛을 가지는 기능수 생성장치
JP6672248B2 (ja) 飲料水生成装置
KR20130077099A (ko) 저수탱크 살균 기능을 갖는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KR20150000021A (ko) 살균수와 알칼리수의 동시공급이 가능한 이온수기
JPWO2003089150A1 (ja) 電解水噴霧装置
JP6448043B1 (ja) 電解イオン水生成方法及び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3034889A (ja) 強電解水生成装置の電解方法
KR101815271B1 (ko) 휴대용 라디칼 이온수 발생장치
KR101010330B1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CN107428570B (zh) 水处理设备
KR102062810B1 (ko) 냉각식 통형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CN219713740U (zh) 冰箱
JP4572902B2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CN215381276U (zh) 一种净化装置、净化水杯及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