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324B1 -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 Google Patents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324B1
KR101032324B1 KR1020100043395A KR20100043395A KR101032324B1 KR 101032324 B1 KR101032324 B1 KR 101032324B1 KR 1020100043395 A KR1020100043395 A KR 1020100043395A KR 20100043395 A KR20100043395 A KR 20100043395A KR 101032324 B1 KR101032324 B1 KR 10103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late
electrode
passage
relay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고라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고라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고라디칼
Priority to KR102010004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3Holders for electrodes; Positioning of the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한 조로 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를 구비하되, 그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 중 최초 공급수가 유입되는 초입 쪽에 공급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에 연결되는 다른 전기분해조는 순차적으로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살균능력이 향상된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에 관한 것으로, 슬롯(112)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113)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113)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111)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111) 사이에 이격용 와셔(114)가 연결된 극판군(110,120);이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130,140);이 구비되며, 하측에 유입통로(2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유출통로(2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통로(211)와 상기 유출통로(2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213,214)이 적어도 2개가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고정공간(213,214)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전해용 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용 몸체(2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덮개(22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Electrolytic bath for occurrence of sterilization water}
본 발명은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한 조로 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를 구비하되, 그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 중 최초 공급수가 유입되는 초입 쪽에 공급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에 연결되는 다른 전기분해조는 순차적으로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살균능력이 향상된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분해방식에 의한 오존발생장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중심으로 그 양측면에 전극을 대향설치하고, 이 대향전극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수중에서 효과적인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수중에서 고농도의 오존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오존수 제조방식 중 공기를 원료로 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오존을 발생시키고 이 오존함유 공기를 수중에 혼입시켜 오존이 수중에 용존하게 하는 방식이 있으나 원료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송풍기, 수중에 오존화된 공기를 용해시킬 수 있는 미세 기포발생기가 부설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가격상승은 물론 이들에 의한 효율감소, 소음 그리고 코로나 방전시 공기 중의 질소성분이 산화되어 질소산화물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를 해소하고자 수중에서 직접 분자크기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코로나 방전식에 의한 오존제조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고, 수중에 대향전극을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고체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는 격막방식과 고체고분자 전해질이 없는 무격막방식이 있다.
이중, 격막방식은 물 분자를 전기분해하여 전극 사이의 격막을 중심으로 (+)전극쪽으로는 OH-, (-) 전극쪽으로는 H+ 이온이 이동함으로써 (+)극쪽의 물은 산성수, (-)극쪽의 물은 알카리수로 생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격막방식에 적용되는 전해조의 전극 구조로는 물 분자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물 분자를 분해하기보다는 극히 일부의 물분자를 분해하고 대부분은 원래의 물속에 용존하는 OH-, H+ 이온을 (+)전극 및 (-)전극으로 각각 이동시키는데 불과하여 전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해 효율이 높은 무격막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서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10)의 내부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단자부(21)를 갖는 양극전극(20) 및 일측에 단자부(31)를 갖는 음극전극(30)과, 양극전극(20) 및 음극전극(30) 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40)와, 상기 양극전극(20) 및 음극전극(30)의 각 단자부(21,31)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구성되는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전원공급부를 통해 직류전원이 인가되면 양극전극(20)에는 (+)전류가, 음극전극(30)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양극에서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음이온(O-, O3 -, OH-, HOCl, H2O2)을 이용하여 물속의 각종 세균,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에 설치되는 양극전극(20) 및 음극전극(30)은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음이온 발생효율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살균기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한 조로 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를 구비하되, 그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 중 최초 공급수가 유입되는 초입 쪽에 공급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에 연결되는 다른 전기분해조는 순차적으로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살균능력이 향상된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슬롯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 사이에 이격용 와셔가 연결된 극판군;이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이 구비되며, 하측에 유입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통로와 상기 유출통로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이 적어도 2개가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고정공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전해용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용 몸체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덮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상기 두 쌍의 전극봉을 통해 각각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두 쌍의 전극봉 중 상기 유입통로 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출통로 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극판군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에 각각 끼워진 각 전극봉과 상기 엇갈리게 중첩배치된 각 극판 사이에 접촉되어, 원활하게 전압이 흐르도록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주는 접촉면적 증대용 전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용 몸체의 각 극판고정공간을 이루는 양측에는 극판 고정용 돌출턱들이 대응 돌출되고, 그 대응 돌출된 상기 양측의 고정용 돌출턱 사이에는 상기 극판고정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공급수가 전체 공간에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균등유동용 격막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해용 몸체의 각 극판고정공간에 안치된 상기 극판군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전해용 몸체의 각 극판고정공간의 양측에는 파지홈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슬롯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 사이에 이격용 와셔가 연결된 극판군;이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이 구비되며, 하측에 초기유입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초기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초기유입통로와 상기 초기유출통로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초기 유입측 덮개와; 하측에 중계유입통로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계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중계유입통로와 상기 중계유출통로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 중 어느 다른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중계 유입측 덮개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의 초기유출통로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의 중계유입통로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중계유수관;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상기 두 쌍의 전극봉을 통해 각각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에 안치된 어느 하나의 극판군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에 안치된 어느 다른 하나의 극판군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을 한 조로 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를 구비하되, 그 구비되는 2개 이상의 전기분해조 중 최초 공급수가 유입되는 초입 쪽에 공급되는 전압을 고전압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그 이후에 연결되는 다른 전기분해조는 순차적으로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음이온 발생효율의 극대화를 통해 살균기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에 구비되는 극판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에 구비되는 극판군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가 설치된 살균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가 설치된 살균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 하되, 각 실시예에 따라 다른 도면 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 제 1실시예 -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크게, 극판군(110,120), 전극봉(130,140), 전해용 몸체(210) 및 덮개(220)로 이루어진다.
먼저, 극판군(110,120)은 슬롯(112)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113)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접촉구멍(113)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111)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111) 사이에 이격용 와셔(114)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극판군(110,120)은 음이온 발생효율이 향상되도록 2개 이상이 적층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극판군(110,120)의 개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의 크기에 따라 가감조절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극판군(110,120)의 고정은 네 모서리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고정공에 관통되는 고정대와 나사로 이루어진 고정부(116)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각 극판군(110,120)이 엇갈리게 중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극판군(110,120)에 형성된 슬롯(112)들 중 중앙을 중심으로 일부의 사선 부분의 슬롯(112)은 제거하여 중첩유지대(117)를 구비하고, 그 구비된 중첩유지대(117)의 중앙부에 중첩공(118)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중첩공(118)에 관통되는 중앙고정대(151) 및 그 중앙고정대(151)에 중앙나사(152)를 나선결합하여 제공한다.
상기 전극봉(130,140)은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됨으로써 일측 쪽으로 배치된 극판(111)은 (+)극이 되고, 타측 쪽으로 배치된 극판(121)은 (-)전극이 되어 수중방전이 발생되도록 제공한다.
이를 위해, 두 쌍의 전극봉(130,14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0)가 연결된다.
이때, 전원공급부(610)는 두 쌍의 전극봉(130,140)에 전원을 공급하되, 그 공급되는 전원 즉, 전압크기를 달리하여 공급한다.
즉, 전원공급부(610)는 두 쌍의 전극봉(130,140) 중 유입통로(211) 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130)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유출통로(212)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140)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음이온 발생효율의 극대화를 통해 향상된 살균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고전압의 범위는 30V~40V이고, 저전압의 범위는 25V~35V이며 이때, 고전압과 저전압의 범위는 같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설정되어진다. 즉, 저전압이 25V 정도로 설정된 경우 고전압은 30V로 설정될 수 있고, 저전압이 35V 정도로 설정된 경우 고전압은 40V로 설정될 수 있어, 저전압의 설정에 따라 고전압이 그 설정된 저전압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화 함으로써 두 쌍의 전극봉(130,140)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제어된다.
또한,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진 각 전극봉(130,140)과 엇갈리게 중첩배치된 각 극판(111) 사이에 접촉면적 증대용 전도체(115)를 접촉연결시켜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원활하게 전압이 흐르도록 유도한다.
상기 전해용 몸체(210)는 하측에 유입통로(2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유출통로(212)가 형성되며, 유입통로(211)와 유출통로(2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213,214)이 적어도 2개가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그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고정공간(213,214)에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전해용 몸체(210)의 각 극판고정공간(213,214)을 이루는 양측에는 극판 고정용 돌출턱(215)들이 대응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대응 돌출된 양측의 고정용 돌출턱(215) 사이에는 극판고정공간(213,214)을 통해 유동되는 공급수가 전체 공간에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균등유동용 격막(216)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해용 몸체(210)의 각 극판고정공간(213,214)에 안치된 극판군(110,12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전해용 몸체(210)의 각 극판고정공간(213,214)의 양측에는 파지홈(217)을 각각 형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덮개(220)는 전해용 몸체(210)의 개방형성된 일면을 밀폐고정시켜 주는 부재로서 이를 위해, 전해용 몸체(210)의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밀폐링(218)을 구비하여 밀폐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가 적용된 살균수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가 적용된 살균수 발생장치의 구조는 공급수를 공급하는 공급밸브(601)와, 일단이 공급밸브(601)와 연통되는 제 1유수관(602)과, 제 1유수관(602)에 연결되는 것으로 공급밸브(601)로부터 공급수가 유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공급수 유입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유속감지센서(603)와, 제 2유수관(604)과, 일측이 제 1유수관(602)의 타단과 연통되고, 타측이 제 2유수관(604)의 일단과 연통되는 것으로, 제 1유수관(602)으로부터 입수되는 공급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제 2유수관(604)으로 출수하는 필터(605)와, 일측이 제 2유수관(604)의 타단과 연통되어 제 2유수관(60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급수를 일정하게 유출시키는 레귤레이터(606)와, 유입통로(211)가 레귤레이터(606)의 타측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공급수를 그 유입통로(211) 근방에 위치하는 극판군(110)에서 1차 고전압의 인가를 통해 수중방전을 발생하고 이후, 1차 변환된 살균수를 유출통로(212) 근방에 위치하는 극판군(120)에서 2차 저전압의 인가를 통해 재차 수중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 발생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전해용 몸체(210)와, 일단이 전해용 몸체(210)의 유출통로(212)와 연통되는 제 3유수관(607)과, 제 3유수관(607)으로부터 유동되는 살균수가 출수되는 출수밸브(609)와, 제 3유수관(607)에 연결되는 것으로 출수밸브(609)로 출수되는 살균수의 출수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08)와, 물의 공급 및 살균수 생성을 위해 전원인 전압 크기를 차등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0)와, 물의 공급 및 살균수 생성을 요청하는 조작부(611)와, 물의 공급 및 살균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수산기(OH-)를 포함하는 음이온 발생효율을 극대화하여, 살균기능이 향상된 살균수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즉, 수중방전을 통해 물분자가 수소이온(H+)과 산소이온(O-)으로 분해되고, 음이온인 산소이온은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물분자들과 반응을 계속적으로 하면서 수산기(OH-)를 형성한다. 이때의 수산기(OH-)는 강한 살균력과 산화력을 갖게 되며 이것이 물속에 존재하는 세균류나 잔존 불순물, 또는 세탁물에 잔존하는 세제찌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함께 생성되는 산소계(O-) 음이온과 HOCL, H2O2 등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된 음이온은 환원작용으로 인하여 물로 환원되므로 다른 화학 첨가물과 같은 오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살균력을 가진 살균수가 계속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 제 2실시예 -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의 구성 및 작동관계을 설명하기에 앞서 앞에서 언급한 제 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는 슬롯(112)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113)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113)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111)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111) 사이에 이격용 와셔(114)가 연결된 극판군(110,120);이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130,140);이 구비되며, 하측에 초기유입통로(3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초기유출통로(312)가 형성되며, 상기 초기유입통로(311)와 상기 초기유출통로(3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313)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313)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2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초기 유입측 덮개(320)와; 하측에 중계유입통로(4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계유출통로(41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계유입통로(411)와 상기 중계유출통로(4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413)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413)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 중 어느 다른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중계 유입측 덮개(420)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의 초기유출통로(312)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의 중계유입통로(411)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중계유수관(500);이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에는 두 쌍의 전극봉(130,140)을 통해 각각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610)는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에 안치된 어느 하나의 극판군(110)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130)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에 안치된 어느 다른 하나의 극판군(120)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140)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와 제 1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수중방전을 발생시키는 극판군(110,120)이 1개의 조에 내재되지 않고 2개의 조인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와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이 그 차이점으로 이와 같은 차이점으로 인해,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와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 사이를 연통시키는 중계유수관(500)을 구비함으로써 살균수를 발생할 수 있게 제공한다.
110,120 : 극판군 111 : 극판
112 : 슬롯 113 : 접촉구멍
114 : 이격용 와셔 115 : 접촉면적 증대용 전도체
116 : 고정부 117 : 중첩유지대
118 : 중첩공 130,140 : 전극봉
151 : 중앙고정대 152 : 중앙나사
210 : 전해용 몸체 211 : 유입통로
212 : 유출통로 213,214,313,413 : 극판고정공간
215 : 극판 고정용 돌출턱 216 : 균등유동용 격막
217 : 파지홈 218 : 밀폐링
220 : 덮개 310 :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
311 : 초기유입통로 312 : 초기유출통로
320 : 초기 유입측 덮개 411 : 중계유입통로
412 : 중계유출통로 410 :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
420 : 중계 유입측 덮개 500 : 중계유수관
601 : 공급밸브 602 :제 1유수관
603 : 유속감지센서 604 : 제 2유수관
605 : 필터 606 : 레귤레이터
607 : 제 3유수관 608 : 솔레노이드밸브
609 : 출수밸브 610 : 전원공급부
611 : 조작부

Claims (7)

  1. 슬롯(112)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113)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113)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111)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111) 사이에 이격용 와셔(114)가 연결된 극판군(110,120);이 적어도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130,140);이 구비되며,
    하측에 유입통로(2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유출통로(2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통로(211)와 상기 유출통로(2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213,214)이 적어도 2개가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고정공간(213,214)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전해용 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용 몸체(2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덮개(220);가 구비되며,
    상기 두 쌍의 전극봉(130,140)을 통해 각각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610)는 상기 두 쌍의 전극봉(130,140) 중 상기 유입통로(211) 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130)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출통로(212) 근방에 위치하는 쪽의 한 쌍의 전극봉(140)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진 각 전극봉(130,140)과 상기 엇갈리게 중첩배치된 각 극판(111) 사이에 접촉되어, 원활하게 전압이 흐르도록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주는 접촉면적 증대용 전도체(115)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용 몸체(210)의 각 극판고정공간(213,214)을 이루는 양측에는 극판 고정용 돌출턱(215)들이 대응 돌출되고, 그 대응 돌출된 상기 양측의 고정용 돌출턱(215) 사이에는 상기 극판고정공간(213,214)을 통해 유동되는 공급수가 전체 공간에 균등하게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균등유동용 격막(216)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슬롯(112)들이 사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한쪽 가장자리 부근에 접촉구멍(113)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상기 접촉구멍(113)이 배치되게 고정되되, 그 배치되는 각 극판(111) 사이가 떨어지게 각 극판(111) 사이에 이격용 와셔(114)가 연결된 극판군(110,120);이 2개가 구비되고,
    상기 극판군(110,120)을 이루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111)이 엇갈리게 중첩되어 양측에 각각 위치된 상기 접촉구멍(113)에 각각 끼워져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는 적어도 두 쌍의 전극봉(130,140);이 구비되며,
    하측에 초기유입통로(3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초기유출통로(312)가 형성되며, 상기 초기유입통로(311)와 상기 초기유출통로(3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313)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313)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2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초기 유입측 덮개(320)와;
    하측에 중계유입통로(411)가 형성되고, 상측에 중계유출통로(41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계유입통로(411)와 상기 중계유출통로(412) 사이에 연통형성되는 극판고정공간(413)이 일면에 개방형성되어, 상기 형성된 극판고정공간(413)에 상기 적어도 2개의 극판군(110,120) 중 어느 다른 하나가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의 개방형성된 일면에 밀폐고정되는 중계 유입측 덮개(420)와;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의 초기유출통로(312)와;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의 중계유입통로(411)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중계유수관(500)과;,
    상기 두 쌍의 전극봉(130,140)을 통해 각각 별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610)는 상기 중계 유입측 전해용 몸체(410)에 안치된 어느 하나의 극판군(110)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130)에는 고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초기 유입측 전해용 몸체(310)에 안치된 어느 다른 하나의 극판군(120)에 구비된 한 쌍의 전극봉(140)에는 저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7. 삭제
KR1020100043395A 2010-05-10 2010-05-10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KR10103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95A KR101032324B1 (ko) 2010-05-10 2010-05-10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395A KR101032324B1 (ko) 2010-05-10 2010-05-10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324B1 true KR101032324B1 (ko) 2011-05-06

Family

ID=4436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395A KR101032324B1 (ko) 2010-05-10 2010-05-10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9755A (ja) * 2016-04-15 2017-10-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及び処理液供給装置
KR102352780B1 (ko) * 2021-04-30 2022-01-18 김을환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537A (ko) * 2004-07-26 2006-02-01 (주) 테크윈 세라믹 촉매 코팅 전극판을 갖는 전해 이온수 제조용무격막 전해조
US7374655B2 (en) * 2004-01-12 2008-05-20 Novastron Electrochemical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4655B2 (en) * 2004-01-12 2008-05-20 Novastron Electrochemical water purifier
KR20060009537A (ko) * 2004-07-26 2006-02-01 (주) 테크윈 세라믹 촉매 코팅 전극판을 갖는 전해 이온수 제조용무격막 전해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9755A (ja) * 2016-04-15 2017-10-1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及び処理液供給装置
KR102352780B1 (ko) * 2021-04-30 2022-01-18 김을환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차아염소산 및 그 이온을 포함하는 잔류염소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7801A1 (en) High electric field electrolysis cell
JP3567138B2 (ja) 脱臭及び洗浄処理用途の水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978380B1 (ko) 전기분해용 전극셀 및 기능수 생성모듈
KR19990023400A (ko) 물의 전기분해 방법
KR101191480B1 (ko)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무격막 전해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수 시스템
KR101895525B1 (ko) 역전기투석 장치를 이용한 저 에너지 소비형 수산화나트륨 생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JP5282201B2 (ja) 電気分解水生成器
KR101032324B1 (ko) 다단으로 구비되는 살균수 발생용 전해조
KR101749909B1 (ko) 용존수소량의 증가구조를 갖는 전해조
WO2006112065A1 (ja) アルカリ性還元水を生成する電解槽
KR20060007369A (ko) 고전기장 전해 전지
JPH1099861A (ja) 水電解方法
KR101919571B1 (ko) 담수 또는 수돗물의 수소 농도를 강화하기 위한 전극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수소수 제조 장치
WO2016114364A1 (ja) 電解水生成装置
JP2015196871A (ja) ラジカル酸素水製造装置およびラジカル酸素水製造方法
KR200365102Y1 (ko) 이온수 유로 모듈전극판 구조
EP3816114A1 (en) 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ion method, and 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ing apparatus
KR20100073230A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JPH06277667A (ja) 整水機
KR102508310B1 (ko) 순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3실형 전해조
JPH07284772A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180032346A (ko) 기능수 생성모듈
KR20130062647A (ko)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JPH1142481A (ja) 基板洗浄用水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それらにより製造された基板洗浄用水、並びに該基板洗浄用水を用いた基板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