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125A - 수소수 세안기 - Google Patents

수소수 세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125A
KR20190051125A KR1020170146442A KR20170146442A KR20190051125A KR 20190051125 A KR20190051125 A KR 20190051125A KR 1020170146442 A KR1020170146442 A KR 1020170146442A KR 20170146442 A KR20170146442 A KR 20170146442A KR 20190051125 A KR20190051125 A KR 2019005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unit
electrode
hyd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910B1 (ko
Inventor
임채호
성낙웅
Original Assignee
임채호
성낙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호, 성낙웅 filed Critical 임채호
Priority to KR102017014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은, 전해부를 이루는 케이스들의 간결한 조립 구조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전해부를 통한 물의 순환을 전해부의 상,하부를 통해 활발하게 순환되게 하고, 또한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수소수가 버블 형태로 확산되게 배출하여 물 속에 수소수의 용존률을 높게 하며, 전해부에 설치된 전극부재들의 간격을 최소화 상태로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전해조로부터 상시 버블 및 농도가 극대화되는 수소수 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전해부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충전 배터리부와 콘트롤보드의 주위를 수밀(水密)구조를 이루게 하여 방수 특성을 발휘하게 한 수소수 세안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소수 세안기{Hydrogen Water Face Cleanser}
본 발명은 얼굴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수소수 세안기(洗眼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부를 개선하여 간략한 공정수로 구성할 수 있게하고, 또한 전해부를 통과하는 물의 순환 또한 활발히 순환하게 구성하여 물 속의 수소수의 용존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한 수소수 세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수란 수소가 높은 용존량으로 용해된 물을 가리키는 것인데, 이러한 수소수는 용존된 수소가 활성산소인 하이드록실 래디칼(hydroxyl radical)을 제거하는 항산화작용을 함으로써 노화 방지는 물론 면역력 강화로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줌은 물론 피부미용 등에도 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위와 같은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기의 종래 기술들이 하기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전해부를 포함한 수소수 제조 장치'라고 하여,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1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1전해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2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2전해부, 상기 제1전해부 및 상기 제2전해부는 제1절단면과 제2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해부 및 상기 제2전해부의 제1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2전해부를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2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전해부 및 상기 제2전해부를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해부 및 상기 제2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2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도록 구성하여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유속을 발생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해부에 발생한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한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2는 세안 및 목욕 시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인해 흔히 나타나는 아토피 및 각종 피부 트러블 등을 오존과 차아염소의 살균작용에 의해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용존 수소와 활성 수소를 이용하여 야채 및 과일을 세척할 때 잔류농약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여,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내측에 물 전기분해를 제어하는 컨트롤보드가 설치된 방수 케이스의 외측에 전극을 노출형태로 설치하는 수소수 생성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물의 클러스터를 120㎐~150㎐로 전기분해하여 60㎐대 이하로 만들어 수도수에 포함된 염기를 전기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해 피부 모공 내까지 살균토록 하여 안정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무격막 전해 방식으로 메쉬 형상 또는 절개 및 타공하여 전해시 이온분리와 산소, 수소 가스를 동시에 발생시켜 물속에 용존되는 수소와 활성수소가 풍부한 전해수를 공급하여 노화방지, 피부트러블 개선, 수렴작용 효과 등이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중 특허문헌1은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를 형성하는 케이스들이 다수개의 조립물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구성이어서, 조립시 많은 조립물에 따른 조립 작업공정(工程)수를 증가하여 조립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제공하는 폐단이 있으며,
특허문헌2는 특허문헌1에 비하여 조립 공정수가 다소 생략되는 장점은 있으나, 그래도 전해조를 형성하는 케이스들이 여러개 구성물로 이루어져 조립되는 문제는 여전히 내포하고 있고, 특히 전해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통로는 어느 일측만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구성을 하고 있어, 물 속에 용존되는 수소수의 용존률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해조를 이루는 조립물들의 구성 부품수를 줄여서 조립 공정수를 간소화고 전해조를 통한 물의 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물 속에 용존되는 수소수의 용존률을 높게 하는 수소수 세안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127612호 KR 특허등록 번호 제10-17395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전해부를 이루는 조립 케이스를 간결하게 구성하며, 전해부를 통한 물의 순환을 전해부의 상,하부를 통해 활발하게 순환되게 함과 아울러 전해부에서 생성되는 수소수가 버블 형태로 확산되게 배출하여 물 속에 수소수의 용존률을 높게 한 수소수 세안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해부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는 충전 배터리부와 콘트롤보드의 주위를 수밀(水密)구조를 이루게 하여 방수 특성을 발휘하게 한 수소수 세안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전해부에 설치된 전극부재들의 간격을 최소화 상태로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전해조로부터 상시 버블 및 농도가 극대화되는 수소수 를 생성할 수 있게 한 수소수 세안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충전단자의 주위로는 물 배출공을 설치하여, 수중으로부터 꺼낸 전해부를 재치시 전해부로부터 흘러내려서 충전단자의 주위로 고이게 되는 물이 충전 단자 및/혹은 콘트롤보드(PCB)에 악 영향을 주는 일이 없도록 물 배출공을 통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게 한 수소수 세안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수소수 세안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수소수 세안기는, 충전단자와 전원잭 삽입단자가 설치된 소정 넓이의 충전용 재치부를 제공하는 세안기 충전부; 내부에는 수중에 위치되는 경우 유입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극부재들이 설치되는 전해조와 이 전해조에 의하여 포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극 부재들과 전기회로를 이루며 접속되는 충전 배터리와 콘트롤보드를 수밀적으로 수용하는 충전 배터리실을 구비하여, 상기 세안기 충전부의 재치부에 탈착되게 재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조의 상,하부측에 외부와 연락되는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상기 전극부재들이 설치된 상기 전해조를 향하여 전기 분해용 물의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순환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한 순환홀들; 상기 순환홀들이 설치된 상기 전해조의 상,하부로부터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극부재들의 상,하부 사이로 각각 위치되는 상태로 대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재들의 간격을 최소화 상태로 유지하게 고정 지지하는 돌출판으로 이루어진 전극부 간격 유지부; 상기 전해부의 넓이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어 상기 전해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탈착되게 결합하되, 상기 순환홀로부터 상기 전극부재들에 의해 생성되어 배출되는 수소수가 지속적으로 부딪치게 하여 버블 형태로 배출되게 하는 판 형태의 수소수 확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해부는, 서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되어 상,하부 외측으로 상기 순환홀들을 각각 형성하며, 또한 내부로는 상기 순환홀들과 상호 연락되게 한 상기 전해조와 아울러 상기 전해조의 안쪽으로는 상기 배터리 충전실을 형성하는 전해부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해부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확산부의 후크들이 탈착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들이 일정 간격을두고 설치되고, 상기 전해부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실을 수밀적으로 보호하는 수밀(水密)용 덮개판을 구비하여 이 수밀용 덮개판과 상기 전해부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나사공들을 통하여 분리되게 나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해부 상하부 케이스의 각각의 대향위치에는, 동심원(同心圓)을 이루며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전극 부재들의 상하부들이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는 상,하부 환형벽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환형벽부들의 내부에 상기 전극부 간격유지부가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해부 하부 케이스의 각 나사공들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공들의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이 각각 내장 설치된후, 이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에 상기 나사가 수밀적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해부의 전원 버튼부에는 방수용 수밀부재가 설치되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충전 단자의 둘레부에는 수중으로부터 꺼낸 상기 전해부를 재치시 상기 전해부 상,하부케이스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배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도홈과 이 유도홈으로부터 유도되는 잔류 물을 상기 세안기 충전부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결화된 조립 케이스의 조립으로 전해조를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전해조의 상,하부를 통한 물의 활발한 순환 및 버블 형태의 확산 구성은 물 속에 수소수의 용존률을 높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 본 발명의 충전 배터리부와 콘트롤보드 및 전원 버튼노브 주위의 수밀(水密)구조는 상기 전원 버튼노브와 콘트롤보드 측으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부재들의 간격을 최소화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구성은 전해조로부터 항시 버블 및 농도가 극대화되는 수소수를 생성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 본 발명은 충전단자의 둘레에는 물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하는 배출공의 설치로 인해, 물기가 있는 전해부를 그대로 충전부에 재치하는 경우 전해부에 묻어있던 물이 충전부로 흘러 내려서 충전단자의 주위로 고이게 됨으로 인하여 충전단자 및/혹은 콘트롤보드(PCB)에 악 영향을 주는 일이 없게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산부(150)와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해부(130)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상부 케이스(131)의 내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4의 전해부의 하부 케이스(132)만을 분리하여 그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하부 케이스(132)의 배터리 충전실(136)내부에 충전용 배터리와 콘트롤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c는 도 8b의 충전용 배터리와 콘트롤보드가 설치된 배터리 충전실(136)내부에 충전 배터리 보호용 수밀판과 충전용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극부재들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d는 도8b의 IV-IV선 방향에 따른 수밀용 덮개판(137)과의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a의 V-V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a의 저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2의 세안기 충전부(110)만을 분리하여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11의 충전단자 부분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 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 할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고,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산부(150)와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전해부(130)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100)는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세안기 충전부(110), 전해부(130),그리고 수소 확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세안기 충전부(110)는, 상기 전해부(130)에 내장되는 충전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도1, 2의 표시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원판형 케이스(112)로 이루어져, 상부로는 상기 전해부(130)를 안정적으로 올려 놓고 충전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요입되는 충전용 재치부(116)가 제공됨과 아울러 이 충전용 재치부(116)에는 전해부(130)의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한쌍의 충전단자(115a)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는 전원 공급용 전원잭을 삽입하기 위한 전원잭 삽입단자(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해부(130)는 상기 세안기 충전부(110)의 전원잭 삽입단자(1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수소 생성을 위한 물을 전기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해부(130)는 도 3 및 도4의 표시와 같이,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을 통하여 활발하게 유입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극부재(134)가 설치되는 전해조(133)와 이 전해조(133)에 의하여 포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극부재(134)와 전기회로를 이루며 접속되는 충전 배터리(136-1)와 콘트롤보드(136-2)를 수밀적으로 수용하는 충전 배터리실(136)을 구비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136-1)는 상기 전원잭 삽입단자(1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전해부(130)는 도4의 표시와 같이, 상기 세안기 충전부(110)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의 상,하부 케이스들(131,132)로 이루어져 서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되는데, 이렇게 분리되게 결합되는 상기 상,하부 케이스들(131,132)의 각각에는 상호 대향 위치에 외방으로 개방된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케이스(132)의 내부로는 상기 상,하부 순환홀들 (135a,135b)과 상호 연락되게 한 상기 전해조(133)가 구획형성되고, 이 전해조(133)의 안쪽으로 상기 배터리 충전실(136)이 형성되어, 이 배터리 충전실(136)에 수용되는 충전 배터리(136-1)와 콘트롤보드(136-2)(도2참조)를 상기 배터리 충전실(136)의 상부만을 수밀(水密)용 덮개판(137)으로 수밀(水密)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실(136)내로는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 수밀(水密)용 덮개판(137)의 수밀 구성과 상기 수밀(水密)용 덮개판(137)의 수밀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은 추후 도면8a와 8c를 참조하여 상세 하게 설명한다.
도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31)에는 상기 전해조(133)로부터 상부 순환홀(135a)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소를 물속으로 확산하여 잘 용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상기 수소 확산부(150)를 형성하였다.
상기 수소 확산부(150)는 상기 전해부(130)의 넓이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는 환형판체(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해부(130)의 상부 케이스(131)를 덮는 덮개 형태로 상부 케이스(131)에 밀착되는 상태로 탈착되게 결합하여, 환형판체(152)의 경사 주연부(154)가 상기 상부 케이스(131)의 상부 순환홀(135a)로부터 간격(d)을 두고 상기 상부 순환홀(135a)을 가리는 상태로 위치되게 하였다.
상기 상부 케이스(131)에 상기 수소 확산부(150)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도 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수소 확산부(150)의 환형판체(152)의 저부에 탄력을 갖게 돌출 설치된 후크들(155)이 상부 케이스(131)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결합공들(131-5)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수소 확산부(150)의 상부 케이스(131)에 대한 탈착 결합은 내부 소제 및 정비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수소 확산부(150)의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전해조(133)로부터 상기 전극부재(134)에의해 생성된 수소가 상부 순환홀(135a)로 배출되는 경우 수소는 경사 주연부(154)에 지속적으로 부딪치면서 버블 형태로 배출되어 물속에 잘 용해되게 함으로써 수소 농도를 극대화 시키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도 5는 도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며,도 6은 도 4의 상부 케이스(131)의 내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도 7은 도 1의 III-I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해부(130)의 상,하부 케이스(131,132)에 설치된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은 상기 전해부(130)의 전해조(133)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전해조(133)의 상,하부 케이스(131,132)에 모두 설치된 구성을 하고 있어서, 도 1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전해부(130)를 세면기(1)의 물속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해조(133)의 상,하부에 설치된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을 통하여 전해조(133)의 상,하부로 물의 순환이 활발히 실행되게 하여 상기 전해조(133)의 내부에서 전극 부재(134)와 수소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작용이 보다 활발히 실행되게 하여, 결과적으로는 물 속에 수소의 용존율을 극대화 시키는 유리한 이익을 부여한다.
도 8a는 도 4의 전해부의 하부 케이스(132)만을 분리하여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하부 케이스(132)의 배터리 충전실(136)내부에 충전용 배터리와 콘트롤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c는 도 8b의 충전용 배터리와 콘트롤보드가 설치된 배터리 충전실(136)내에 충전 배터리 보호용 수밀판과 충전용 배터리에 접속되는 전극부재들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과 같이 상기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전해부(130)의 전극 간격 유지부(138)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전해조(133)를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들(131,132)의 각각의 대향위치에는,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도6 및 도8a,도8b참조)이 동심원(同心圓)을 이루며 설치되어,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의 내부로 링형상의 전극부재(134)를 견실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의 사이에는 이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전극부재(134)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극 간격 유지부(1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극 간격 유지부(138)는, 도5, 도8a,도8b 및 도8c의 표시와 같이, 전해조(133)내에 설치되는 전극부재(134)의+,-의 제1전극(134-1)과 제2전극(134-2)의 전극간격(d1)을 항시 최소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하부 순환홀들(135a,135b)이 설치된 상,하부 케이스(131,132)의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부 환형벽부들(139-1,139-2)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전극(134-1)과 제2전극(134-2)의 사이로 각각 위치되게 리브(Rib)형태로 돌출된 간격유지용 돌출편들(138-1,138-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간격유지용 돌출편들(138-1,138-2)은 제1전극(134-1)과 제2전극(134-2)의 전극간격(d1)(도8B 참조)을, 장기 사용에도 변형됨 없이 항시 1mm 간격(d1)을 유지하게 하여, 물속에서 수소 생성을 위한 전극부재(134)에 의한 전기 분해시 물에 용존되는 수소농도를 극대화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전극부재(134)의 재료로는 페라이트(FERRITE), 백금(Pt), 로듐, 이리듐 등 백금 족 귀금속류, 황금(Au), 스텐레스304(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전극부재(134)에 의한 통상적인 수소 생성을 설명하면, 상기 전극부재(134)에 의해 물을 전기분해시 -극에서는 +이온이 환원되고, +극에서는 -이온이 산화되게 극성을 서로 교차로 인가하여 수소를 생성할수 있게 한다. -극에서는 산화반응으로 산소를 얻을 수 있고, +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 수소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인데, 이러한 것은 일반적인 것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d는 도8b의 IV-IV선 방향에 따른 수밀용 덮개판(137)과의 결합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a의 V-V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들과 같이 다시 도 8a, 도8b 및 도8c를 참조하여 전해부(130)의 배터리 충전실(136)의 방수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전해부(130)가 물 속에 넣어지게 될시 전해부(130)에 전원 공급작용을 하는 배터리 충전실(136)내부로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수밀용의 방수구조를 이루게 하고자, 충전 배터리(136-1)와 콘트롤보드(136-2)가 수용되는 배터리 충전실(136)을 수밀적으로 폐쇄하는 수밀용 덮개판(137)의 체결부위를 수밀구조를 이루게 하였다.
즉, 배터리 충전실(136)을 제공하는 상기 하부 케이스(132)에 설치되어 상기 수밀용 덮개판(137)을 수밀성 있게 체결하는데 제공되는 각 나사공(132-3)들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공(132-3)의 내부로 칩입되는 물을 밀폐하기 위하여 각 나사공(132-3)의 내부로는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142)을 내장되게 설치하였다. 이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142)은 수밀 유지에 좋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32)의 충전 배터리(136-1)와 콘트롤보드(136-2)가 수용되는 배터리 충전실(136)의 하부 케이스(132)의 바닥벽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콘트롤보드(136-2)를 콘트롤 하면서 충전 배터리(136-1)의 전원을 온 혹은 오프되게 제어하는 전원 버튼부(160)의 틈새를 통하여 배터리 충전실(136)측으로 물의 침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이루게 하고자, 하부 케이스(132)에 설치된 전원 버튼부(160)(도 2참조)의 주위로 수밀용홈(162)을 설치하여 수밀부재(164)를 설치후 그위로 전원 버튼부(160)의 상면을 밀폐하는 형태의 넓은 면적을 제공하는 브라켓(166)을 설치하여 전원 버튼부(160)의 주위를 이중의 밀폐구조를 이루게 하여, 물이 전원 버튼부(160)를 통하여 배터리 충전실(136)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10은 도 8a의 저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2의 세안기 충전부(110)만을 분리하여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11의 충전단자(115a)부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세안기 충전부(110)는 전해부(130)에 수용되는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밝힌바와 같이, 원판형 케이스(112)에는 한쌍의 충전단자(115a가 설치된 충전용 재치부(116)가 형성되며, 또한 이 충전용 재치부(116)의 일측에는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잭 삽입단자(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단자(115a)에는 물 속으로부터 꺼낸 상기 전해부(130)의 충전단자(115b)가 서로 맞닿게 재치시 상기 전해부(130)의 상,하부케이스(131,132)(도1,도2참조)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상기 세안기 충전부(110)의 충전단자(115a)의 주위로 고이게 되는 일이 없이 하부케이스(132)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게 하기 위한 목적에서, 상기 세안기 충전부(110)의 충전단자(115a)의 일측에는 물 배출공(172)을 설치하고, 이 물 배출공(172)에는 물 유도홈(174)을 설치하여 하부케이스(132)로 고이게 되는 물 유도홈(174)을 따라 유도된후 물 배출공(172)을 통하여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게 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충전단자들(115a,115b)의 접촉불량이나 혹은 콘트롤보드(136-2)(도 8d 참조)에 수분에 의한 트러블이 없도록 항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점을 부여한다.
또, 도면 표시는 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전원부의 안전을 위하여 충전과정에서 충전단자(Pog Pin)에 동전 또는 철등의 금속물체가 접촉되어 쇼트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하고, 이어서 전원 차단 트러블 요인을 제거한후 전원 잭을 다시 뺏다 꽂으면 전원이 입력되어 정상적인 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적용하여,쇼트에 의한 발열로 발화가 되는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세안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충전이 완료된 상태의 수소수 세안기(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준비된 물이 채원진 세면대(1)에 넣고 전원 버튼부(160)를 온 상태로 하면 전해부(130)에서의 전기 분해에 의한 수소가 생성되어 물에 용해됨으로써 피부 노화방지, 및 트러블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야채, 과일 등의 세정 및 세척에 사용할 수 도 있다.
100 : 수소수 세안기
110 : 세안기 충전부
114 : 전원잭 삽입단자
115a,115b : 충전단자
116 : 충전용 재치부
130 : 전해부
133 : 전해조
131,132 : 상,하부 케이스
134 : 전극부재
135a,135b : 상,하부 순환홀들
136 : 배터리 충전실
137 : 수밀(水密)용 덮개판
138 : 전극 간격 유지부
142 : 수밀 유지용 인서트
150 : 수소 확산부
152 : 환형판체
154 : 경사 주연부
160 : 전원 버튼부
162 : 수밀용홈
164 : 수밀부재
166 : 브라켓
172 : 물 배출공
174 : 물 유도홈

Claims (6)

  1. 충전단자와 전원잭 삽입단자가 설치된 소정 넓이의 충전용 재치부를 제공하는 세안기 충전부;
    내부에는 수중에 위치되는 경우 유입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극부재들이 설치되는 전해조와 이 전해조에 의하여 포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전극 부재들과 전기회로를 이루며 접속되는 충전 배터리와 콘트롤보드를 수밀적으로 수용하는 충전 배터리실을 구비하여, 상기 세안기 충전부의 재치부에 탈착되게 재치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조의 상,하부측에 외부와 연락되는 상태로 개방되게 형성되어,상기 전극부재들이 설치된 상기 전해조를 향하여 전기 분해용 물의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순환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한 상,하부순환홀들;
    상기 상,하부순환홀들이 설치된 상기 전해조의 상,하부로부터 상기 전해조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극부재들의 상,하부 사이로 각각 위치되는 상태로 대향 돌출되어 상기 전극부재들의 간격을 최소화 상태로 유지하게 고정 지지하는 전극 간격 유지용 돌출편들으로 이루어진 전극 간격 유지부; 및
    상기 전해부의 넓이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어 상기 전해부의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탈착되게 결합하되, 상기 상,하부순환홀로부터 상기 전극부재들에 의해 생성되어 배출되는 수소가 지속적으로 부딪치게 하여 버블 형태로 배출되게 하는 판형상의 수소 확산부를 포함하는 수소수 세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서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상태로 조립되어 상,하부 외측으로 상기 순환홀들을 각각 형성하며, 또한 내부로는 상기 상,하부순환홀들과 상호 연락되게 한 상기 전해조와 아울러 상기 전해조의 안쪽으로는 상기 배터리 충전실을 형성하는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수소 확산부의 후크들이 탈착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전해부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실을 수밀적으로 보호하는 수밀(水密)용 덮개판을 구비하여 이 수밀용 덮개판과 상기 전해부 하부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나사공들을 통하여 분리되게 나사 체결됨을 특징으로하는 수소수 세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 상하부 케이스의 각각의 대향위치에는, 동심원(同心圓)을 이루며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전극 부재들의 상하부들이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하는 상,하부 환형벽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환형벽부들의 내부에 상기 전극부 간격유지부가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수소수 세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 하부 케이스의 각 나사공들의 내부에는 상기 나사공들의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이 각각 내장 설치된후, 이 수밀 유지용 인서트들에 상기 나사가 수밀적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하는 수소수 세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의 전원 버튼부의 주위로 수밀용 홈을 설치하여 방수용 수밀부재를 설치하고 그위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여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세안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의 둘레부에는 수중으로부터 꺼낸 상기 전해부를 재치시 상기 전해부 상,하부케이스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배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물 유도홈과 이 물 유도홈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을 상기 세안기 충전부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공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세안기.
KR1020170146442A 2017-11-06 2017-11-06 수소수 세안기 KR10198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42A KR101986910B1 (ko) 2017-11-06 2017-11-06 수소수 세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42A KR101986910B1 (ko) 2017-11-06 2017-11-06 수소수 세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25A true KR20190051125A (ko) 2019-05-15
KR101986910B1 KR101986910B1 (ko) 2019-06-07

Family

ID=6657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42A KR101986910B1 (ko) 2017-11-06 2017-11-06 수소수 세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6996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커버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647B1 (ko) 2019-11-13 2021-09-03 지니스(주) 농축수소가 함유된 나노버블 융합형 초음파 미용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612A (ko) 2015-04-27 2016-11-04 (주)지오투유니츠 전해부를 포함한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695673B1 (ko) * 2014-09-24 2017-01-18 주식회사 파이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1739509B1 (ko) 2015-07-16 2017-06-08 방춘영 수소수 생성장치
KR20170114775A (ko) * 2016-04-06 2017-10-16 김기용 침지식 수소 발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73B1 (ko) * 2014-09-24 2017-01-18 주식회사 파이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160127612A (ko) 2015-04-27 2016-11-04 (주)지오투유니츠 전해부를 포함한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739509B1 (ko) 2015-07-16 2017-06-08 방춘영 수소수 생성장치
KR20170114775A (ko) * 2016-04-06 2017-10-16 김기용 침지식 수소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6996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커버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910B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09B1 (ko) 수소수 생성장치
US5795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KR20150101696A (ko) 수소수 생성장치
KR101986910B1 (ko) 수소수 세안기
EP1319384B1 (en) Foot spa
KR20170011173A (ko) 수소 발생 장치
JP2008168237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US2006019676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 water
KR101280595B1 (ko)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JPH11151256A (ja) 義歯洗浄装置
JP2006122750A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水素水製造方法
CN210471991U (zh) 一种杀菌足浴盆
JP7054521B2 (ja) ポータブル型電解水生成装置
KR20130031504A (ko) 수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수공급기
TWI818177B (zh) 沉水式產製次氯酸水裝置
JP4185829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1533023B1 (ko) 세면 시스템, 음료수 제조 시스템, 족욕 시스템 및 기포욕 시스템
US11407661B2 (en) Chlorine generator system
KR101950368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CN212050661U (zh) 一种可漂浮在水面的杀菌抑菌液生成仪
JP2006150189A (ja) 水素水製造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電解液加温方法
CN111893504A (zh) 沉水式产制次氯酸水装置
KR101744425B1 (ko) 수소수 생성장치
JPH07241563A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KR100858172B1 (ko) 티타늄 폼을 이용한 산소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산소수정수기 및 산소수 욕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