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368B1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0368B1 KR101950368B1 KR1020180056205A KR20180056205A KR101950368B1 KR 101950368 B1 KR101950368 B1 KR 101950368B1 KR 1020180056205 A KR1020180056205 A KR 1020180056205A KR 20180056205 A KR20180056205 A KR 20180056205A KR 101950368 B1 KR101950368 B1 KR 101950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y
- frame
- water
- exhaust
-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캐비티를 상부 캐비티와 하부 캐비티로 구획하는 이온교환막; 상기 상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1 전극과, 상기 하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및 상기 배기통로에 결합되고, 물 유입은 억제하되 가스 출입은 허용하는 방수막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하부 캐비티의 가스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몸 상태는 사람이 마시는 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사람의 몸은 금속 이온의 균형을 통해 세포 내 삼투압 작용을 조절하는데, 이를 위해 사람의 몸에 필요한 각종 미네랄 성분, 예를 들어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은 사람이 마시는 물을 통해 상당량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람의 몸은 대부분 산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를 중화하기 위하여 약 알칼리성 물을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알칼리성 물은 중화 효능 이외에도 암을 억제하고 항산화 물질과 체내 효소의 활동에 도움을 주며 음식물 분해와 소화 흡수능력을 향상시켜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소함유수는 상술한 효능들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에 방사능 유출로 인한 방사능의 체내 오염 문제가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을 때에는 수소함유수가 방사능 해독 효능도 가지고 있음이 밝혀짐으로써 수소함유수에 대한 국제사회의 수요 증가가 급격하게 가속화되고 있다.
수소함유수는 체내 활성산소를 물로 변환하여 체내로 흡수되거나 체외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소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안에 있는 유해한 활성산소와 결합할 수 있고, 수소와 결합된 활성산소는 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함유수는 과도한 체내 활성산소를 원인으로 하는 암, 당뇨, 뇌경색 등의 각종 질병에도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져 더욱 각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크기의 용기에 채워진 물을 수소함유수로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용기에 채워진 물을 수소함유수로 제조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캐비티를 상부 캐비티와 하부 캐비티로 구획하는 이온교환막; 상기 상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하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몸체에 탑재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상기 배기통로에 결합되고, 물 유입은 억제하되 가스 출입은 허용하는 방수막; 상기 상부 캐비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캐비티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수 공을 포함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물에 완전히 잠기게 하고, 상기 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춰 직립 자세로의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면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함께 구면 형상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를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배기 공, 및 상기 제1 배기 공에서 상향 연장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배기 공, 및 상기 제2 배기 공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2 배기 공, 상기 소켓,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제1 배기 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캐비티의 가스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캐비티는 상기 이온교환막과 상기 방수막에 의해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물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의 포집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캐비티에서 발생한 부생가스를 오존 여과 후 상기 방수막으로 배출하는 오존여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주면은 구면 형상(spherical shape)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캐비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캐비티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수 공을 포함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배기통로의 직경은 상기 하부 캐비티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몸체의 외벽과 상기 배기통로의 외벽 사이에 탑재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부는,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부는,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무선 충전기의 제1 유도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유도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물에 완전히 잠기게 하고, 상기 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춰 직립 자세로의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중량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는 내부공간에 물을 주입할 필요가 없어, 용기에 채워진 물에 투입하여 용기에 채워진 물을 수소함유수로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캐비티는 이온교환막과 방수막에 의해 몸체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존 등 부생가스의 포집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무선 충전기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무선 충전기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 또는 연결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무선 충전기를 추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몸체(100), 보호커버(200), 이온교환막(300), 전기분해부(400), 오존여과필터(500), 방수막 모듈(600) 및 중량추(7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용기에 채워진 물에 잠길 수 있다.
몸체(100)는 하부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및 내측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은 몸체(100)의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상면이 개방된 반구 형상(hemispherical shape)일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배기 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0)은 제1 배기 공(111)에서 상향 연장되는 배기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하면이 개방된 반구(hemisphere)를 하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일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상단에 형성되는 내향 플랜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하부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고, 그 결과 몸체(100)의 외주면은 구면 형상(spherical shape)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10)는 용기 내에서 자유롭게 굴러다닐 수 있다.
내측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면이 개방된 캐비티(101)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130)은 상부 캐비티(103)를 형성하는 제1 서브 프레임(131)과, 하부 캐비티(105)를 형성하는 제2 서브 프레임(133) 및 제3 서브 프레임(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131)은 하단에 제1 플랜지(132)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131)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상부 프레임(120)의 내향 플랜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133)은 상단에 제2 플랜지(134)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2 서브 프레임(133)은 제1 플랜지(132)와 제2 플랜지(134)가 밀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 서브 프레임(131)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서브 프레임(131)과 제2 서브 프레임(133) 사이에는 이온교환막(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135)은 상면이 개방된 반면 하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135)은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제2 서브 프레임(133)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135)은 하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소켓(136)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136)에는 하부 프레임(110)의 배기관(113)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서브 프레임(135)은 하부 캐비티(105)와 배기통로(107)를 연결하는 제2 배기 공(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상부 캐비티(103)에 결합되어 상부 캐비티(103)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상부 프레임(120)의 내향 플랜지(121)에 안착되는 테두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상부 캐비티(103)와 몸체(100)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수 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200)는 사람의 손가락이나 날카로운 이물질이 상부 캐비티(103)에 침투하여 이온교환막(30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통수 공(220)을 통해 물 또는 수소함유수가 상부 캐비티(103)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보호커버(200)의 상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그 결과, 장치(10)가 뒤집어져 보호커버(200)가 용기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장치(10)가 직립 자세로 원활하게 복원되게 도와줄 수 있고, 용기의 바닥면에 의해 통수 공(22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300)은 캐비티(101)를 상부 캐비티(103)와 하부 캐비티(105)로 구획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300)은 제1 서브 프레임(131)과 제2 서브 프레임(13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300)은 물을 통과시키진 않지만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전기분해부(400)는 제1 전극(410), 제2 전극(420), 배터리(430), 회로기판(440) 및 제2 유도코일(4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상부 캐비티(103)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극(420)은 하부 캐비티(105)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제1 서브 프레임(131)과 제2 서브 프레임(13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전극(410)은 음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420)은 양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410)에서는 물이 전기 분해되어 수소 가스가 발생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산소 이온(O2-) 또는 수산화 이온(OH-)은 이온교환막(300)을 통과하여 양 전극(4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300)은 음이온 교환막일 수 있다.
제1 전극(410)에서 발생한 수소 가스는 상부 캐비티(103)에 채워진 물에 녹아 수소함유수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전극(410)에서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제1 전극: 2H2O + 2e- → H2 + 2OH-
제1 전극(410)에서 발생한 산소 이온(O2-) 또는 수산화 이온(OH-)은 이온교환막(300)을 통해 제2 전극(420)으로 이동하여 산소 가스 또는 오존 가스로 변환될 수 있다.
제2 전극(420)이 배치된 하부 캐비티(105)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 중 오존 가스는 극히 미량으로도 특유의 냄새로 인해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 방안이 요구된다.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은 이온교환막(3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금 또는 인쇄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온교환막(300)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지 않고 단지 접촉하게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캐비티(103)에 채워진 물이 이온교환막(300)에 접촉하고 산소 이온(O2-) 또는 수산화 이온(OH-)의 이동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1 전극(410)에는 제1 관통 홀(4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420)에는 제2 관통 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430), 회로기판(440) 및 제2 유도코일(450)은 몸체(100)의 탑재공간(109)에 배치될 수 있다.
탑재공간(109)은 몸체(100)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수밀성이 보장된 밀폐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탑재공간(109)의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의 결합 부분에는 실링부재, 예를 들어 오링(S)이 개재될 수 있다.
탑재공간(109)은 몸체(100)의 외벽과 배기통로(107)의 외벽, 즉 배기관(1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에 충분한 크기의 탑재공간(109)이 제공될 수 있도록, 배기통로(107)의 직경은 하부 캐비티(10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430)는 제1 전극(410)과 제2 전극(42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회로기판(440)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배터리(430)에 의한 전기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로기판(44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10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440)은 배기통로(107)가 중심에 배치되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그 결과, 장치(10)의 무게중심은 몸체(100)의 상하 방향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어 장치(10)의 직립 자세로의 복원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배터리(430)가 전선(미도시)을 통해 상호간에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배기통로(107)를 기준으로 상호간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로 볼 수 있다.
제2 유도코일(450)에는 유도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유도코일(450)에서 발생한 유도전류에 의해 배터리(430)가 충전될 수 있다.
제2 유도코일(450)의 유도전류는 무선 충전기(2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무선 충전기(20)는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되는 전선(21)과, 전선(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유도코일(23)과, 제1 유도코일(23)에 흐르는 전류를 변화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존여과필터(500)은 배기관(113)에 삽입되어 배기통로(107)에 배치될 수 있다.
오존여과필터(500)는 하부 캐비티(105)에서 발생한 부생가스 중 오존 가스를 여과할 수 있다.
방수막 모듈(600)은 배기관(113)에 삽입되어 배기통로(107)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관(113)의 하단 내주면에는 방수막 모듈(600)을 지지하는 스토퍼(115)가 돌출될 수 있다.
방수막 모듈(600)은 제3 서브 프레임(610), 제4 서브 프레임(620) 및 방수막(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610) 및 제4 서브 프레임(620)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서브 프레임(61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4 서브 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수막(630)은 제3 서브 프레임(610)과 제4 서브 프레임(62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방수막(630)은 물 유입은 억제하되 가스 출입은 허용하는 방수 재질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막(630)은 일 예시로서 고어텍스(Gore-tex)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막(630)은 오존여과필터(500)를 거친 부생가스를 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반면, 몸체(100)의 외부공간의 물이 배기통로(107)를 통해 하부 캐비티(105)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하부 캐비티(105)는 이온교환막(300)과 방수막(630)에 의해 몸체(100)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물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의 포집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배기통로(107)는 하부 캐비티(105)에 포집된 부생가스가 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중량추(700)는 몸체(100), 구체적으로 탑재공간(109)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중량추(700)는 장치(10)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켜 장치(10)가 물에 완전히 잠길 수 있게 할 수 있고, 장치(10)의 무게중심을 낮춰 장치(10)의 직립 자세로의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용기(30)에 채워진 물에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를 용기(30)에 투입하기 전 또는 후에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여 전기분해부(400)를 구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소함유수 제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용기(30)에 복수의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를 투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음용수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목욕물 또는 세척액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20: 무선 충전기
21: 전선 23: 제1 유도코일
30: 용기 100: 몸체
101: 캐비티 103: 상부 캐비티
105: 하부 캐비티 107: 배기통로
109: 탑재공간 110: 하부 프레임
111: 제1 배기 공 113: 배기관
115: 스토퍼 120: 상부 프레임
121: 내향 플랜지 130: 내측 프레임
131: 제1 서브 프레임 132: 제1 플랜지
133: 제2 서브 프레임 134: 제2 플랜지
135: 제3 서브 프레임 136: 소켓
137: 제2 배기 공 200: 보호커버
210: 테두리부 220: 통수 공
300: 이온교환막 400: 전기분해부
410: 제1 전극 411: 제1 관통 홀
420: 제2 전극 421: 제2 관통 홀
430: 배터리 440: 회로기판
450: 제2 유도코일 500: 오존여과필터
600: 방수막 모듈 610: 제3 서브 프레임
620: 제4 서브 프레임 630: 방수막
700: 중량추
21: 전선 23: 제1 유도코일
30: 용기 100: 몸체
101: 캐비티 103: 상부 캐비티
105: 하부 캐비티 107: 배기통로
109: 탑재공간 110: 하부 프레임
111: 제1 배기 공 113: 배기관
115: 스토퍼 120: 상부 프레임
121: 내향 플랜지 130: 내측 프레임
131: 제1 서브 프레임 132: 제1 플랜지
133: 제2 서브 프레임 134: 제2 플랜지
135: 제3 서브 프레임 136: 소켓
137: 제2 배기 공 200: 보호커버
210: 테두리부 220: 통수 공
300: 이온교환막 400: 전기분해부
410: 제1 전극 411: 제1 관통 홀
420: 제2 전극 421: 제2 관통 홀
430: 배터리 440: 회로기판
450: 제2 유도코일 500: 오존여과필터
600: 방수막 모듈 610: 제3 서브 프레임
620: 제4 서브 프레임 630: 방수막
700: 중량추
Claims (10)
-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용기에 채워진 물을 수소함유수로 제조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배기통로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캐비티를 상부 캐비티와 하부 캐비티로 구획하는 이온교환막;
상기 상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하부 캐비티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몸체에 탑재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분해부;
상기 배기통로에 결합되고, 물 유입은 억제하되 가스 출입은 허용하는 방수막;
상기 상부 캐비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캐비티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통수 공을 포함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물에 완전히 잠기게 하고, 상기 장치의 무게중심을 낮춰 직립 자세로의 복원성을 향상시키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면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과 함께 구면 형상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티를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개방된 상단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배기 공, 및 상기 제1 배기 공에서 상향 연장되는 배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내측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배기 공, 및 상기 제2 배기 공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배기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2 배기 공, 상기 소켓,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제1 배기 공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하부 캐비티의 가스가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비티는 상기 이온교환막과 상기 방수막에 의해 상기 몸체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물의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의 포집공간을 제공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캐비티에서 발생한 부생가스를 오존 여과 후 상기 방수막으로 배출하는 오존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의 직경은 상기 하부 캐비티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몸체의 외벽과 상기 배기통로의 외벽 사이에 탑재공간이 제공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부는,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기 공급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부는,
상기 몸체에 탑재되고, 무선 충전기의 제1 유도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유도코일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205A KR101950368B1 (ko) | 2018-05-16 | 2018-05-16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205A KR101950368B1 (ko) | 2018-05-16 | 2018-05-16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0368B1 true KR101950368B1 (ko) | 2019-02-20 |
Family
ID=6556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205A KR101950368B1 (ko) | 2018-05-16 | 2018-05-16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036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69246A (ja) | 2009-05-21 | 2010-12-02 | Shefco Co Ltd | 飲料用水素含有水を製造する方法 |
KR20110042149A (ko) * | 2010-09-28 | 2011-04-25 | 주식회사 에코프롬 | 입수식 살균수 발생 장치 |
KR20160035835A (ko) * | 2014-09-24 | 2016-04-01 | 주식회사 파이노 |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
KR101845303B1 (ko) * | 2016-04-06 | 2018-04-04 | 김기용 | 침지식 수소 발생기 |
KR101856627B1 (ko) * | 2017-11-30 | 2018-05-11 | 임관덕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
2018
- 2018-05-16 KR KR1020180056205A patent/KR101950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69246A (ja) | 2009-05-21 | 2010-12-02 | Shefco Co Ltd | 飲料用水素含有水を製造する方法 |
KR20110042149A (ko) * | 2010-09-28 | 2011-04-25 | 주식회사 에코프롬 | 입수식 살균수 발생 장치 |
KR20160035835A (ko) * | 2014-09-24 | 2016-04-01 | 주식회사 파이노 |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
KR101845303B1 (ko) * | 2016-04-06 | 2018-04-04 | 김기용 | 침지식 수소 발생기 |
KR101856627B1 (ko) * | 2017-11-30 | 2018-05-11 | 임관덕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6037B2 (ja) | ポータブル水素豊富水製造装置 | |
JP3175997U (ja) | ポータブル型飲料用水素水の生成器 | |
KR101724631B1 (ko) | 수소 발생 장치 | |
KR101442565B1 (ko) |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 |
CN105749414B (zh) | 一种便携式富氢水喷雾美容器及方法 | |
EP3459911B1 (en) | Hydrogen-containing water producing device | |
US20170050867A1 (en) | Hydrogen water generator | |
KR101748791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 |
CN107319877B (zh) | 具有气水分离结构的水素水杯底座 | |
KR101648121B1 (ko) | 수소수 제조장치 | |
KR101645307B1 (ko) | 수소수 제조장치 | |
KR101748789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
CN205556176U (zh) | 生成含有溶解氢的液体的生成器 | |
CN205697006U (zh) | 富氢杯 | |
KR101856627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
KR101280595B1 (ko) |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 |
KR101950368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
KR101446193B1 (ko) | 전극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 장치 | |
KR101771166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
CN207979456U (zh) | 具有气水分离结构的水素水杯底座 | |
KR101929496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 |
JP3198341U (ja) | 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 |
CN107981666B (zh) | 一种新型富氢水杯 | |
CN107815700A (zh) | 一种自动清洁的氢气发生器和富氢水杯 | |
KR101748788B1 (ko)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