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788B1 -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788B1
KR101748788B1 KR1020150037236A KR20150037236A KR101748788B1 KR 101748788 B1 KR101748788 B1 KR 101748788B1 KR 1020150037236 A KR1020150037236 A KR 1020150037236A KR 20150037236 A KR20150037236 A KR 20150037236A KR 101748788 B1 KR101748788 B1 KR 101748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negative
ion exchange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120A (ko
Inventor
박승열
이남석
김필종
Original Assignee
박승열
이남석
김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열, 이남석, 김필종 filed Critical 박승열
Priority to KR102015003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88B1/ko
Priority to PCT/KR2016/001907 priority patent/WO2016148413A1/ko
Publication of KR2016011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수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 를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CONTAINING WATER}
본 발명은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몸은 사람이 마시는 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몸은 금속이온의 균형을 통해 세포 내 삼투압작용을 조절하기 때문에 칼슘,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 성분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는 물을 통해 몸에 필요한 미네랄 성분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사람의 몸은 대부분 산성이기 때문에 이를 중화하기 위해 약알칼리성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암을 억제하고 항산화물질과 체내 효소의 활동을 도우며, 음식물 분해와 소화 흡수능력을 끌어올리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수소수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로 대다수의 국민들이 방사능의 체내 오염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수소수의 방사능 해독 효능이 밝혀져 그 수요가 가속화되고 있다.
수소수는 체내활성산소와 결합하여 물로 변환하여 체내로 흡수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어 세포 안에 있는 나쁜 활성산소를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수소수는 암, 당뇨, 뇌경색 등 체내과잉활성산소를 원인으로 하는 각종 질병에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져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69246호(2010.12.02, 음료용 수소함유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온 교환을 통한 수소함유수 제조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따른 생성물에 의하여 저장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수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 를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통로; 및 상기 저장부에 탑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상기 배출통로로 전달하는 보조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발생되는 상기 오존이 상기 이온교환부에서 상기 흡착제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흡착제 사이에 해면체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양전극; 상기 음수부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는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음전극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음수부에 설치되는 이온교환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음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음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수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에 제1 전원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 상기 음수부,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를 수용하는 포트 프레임;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접촉 시,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 프레임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온 교환을 통한 수소함유수 제조에 있어서, 이온 교환에 따른 생성물에 의하여 저장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이 증대되고 수소함유수의 제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포트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이온교환부의 일어나는 이온 교환 및 양전극과 음전극에 발생되는 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온교환부, 제1 실링부 및 제2 실링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5는 도 4의 점선 표시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포함하고,
저장부(100)는 저장수(W1)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저장부(100)에는 저장수(W1)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는 저장수(W1)의 수위 측정값을 감지하여 후술하게 될 제어부에 측정값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저장부(100)를 개폐하는 개폐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10)는 저장부(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0)가 탈착되는 저장부(100)의 개방된 부분으로 저장수(W1)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개폐부(100)는 예를 들어 저장부(100)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개폐부(110)는 후술하게 될 흡착제(430)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프레임(111)은 개폐부(110)에 탈착될 수 있다. 수용프레임(111)이 개폐부(110)에 탈착됨으로써 흡착제(430)가 수용프레임(111)으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음수부(200)는 음수(W2)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음수부(200)는 저장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음수부(200)는 저장부(100)에 탈착될 수 있다.
음수부(200)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음수부(200)는 사용자가 직접 저장부로부터 분리하여 물을 마실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음수부는 예를 들어 약 2L의 음수(W2)를 수용할 수 있다.
음수부(200)에 수용되는 음수(W2) 및 저장부(100)에 수용되는 저장수(W1)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칭을 달리하고 있을 뿐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물질은 아니며, 음수(W2) 및 저장수(W1)는 음용 가능한 물일 수 있다.
이온교환부(300)는 저장부(100)와 음수부(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온교환부(300)는 저장수(W1)와 음수(W2)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저장부(100)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음수부(200)에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는 이온교환부(300)의 일어나는 이온 교환 및 양전극과 음전극에 발생되는 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온교환부(300)는 양전극(310), 음전극(330) 및 이온교환막(350)을 포함할 수 있다.
양전극(310)은 저장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양전극(310)에는 오존이 발생될 수 있다.
음전극(330)은 음수부(200)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음전극(330)에는 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350)은 양전극(310)과 음전극(330) 사이에 개재되도록 음수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350)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온교환막(350)은 음수(W2)를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수소이온 및 산소이온은 설명 상 편의를 위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지 반드시 단일이온인 상태로 이온교환막(350)을 투과하는 것은 아니며 수산화이온(OH-)의 상태로 투과될 수도 있다. 또한,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생성물을 오존과 수소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마시는 물에 함유되는 금속성 이온과의 반응에 의한 생성물이 존재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 사이에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하여 산화, 환원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소이온은 음전극(330)으로, 산소이온은 양전극(3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음전극(330)에서 수소가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으므로 음수(W2)에 용해될 수 있다.
한편, 양전극(310)에서는 양전극(310)에 발생된 산소가 저장부(100) 내의 저장수(W1)와 반응하여 아래의 화학식 1과 같이 오존(O3)이 발생될 수 있다.
[화학식 1]
O2 + H2O → O3 + 2e- + 2H+
오존은 극히 미량으로도 특유의 냄새로 불쾌감을 유발하고, 인체에 유해하므로 가능한 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은 산소와 비교하여 불안정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어 분해되거나 자발적으로 환원되어 산소가 될 수 있다.
산소는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므로, 이온 교환이 거듭됨에 따라 저장부(100) 내에 기체 상태의 산소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저장부(100) 내 압력은 상승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은 저장수(W1)의 범람을 야기시키고, 저장부(100) 또는 이온교환부(300)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을 방지하여야 한다.
압력상승방지부(400)는 저장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압력상승방지부(400)는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저장부(100)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저장수(W1)의 양은 이온 교환이 거듭될수록 점점 줄어들 수 있다.
압력상승방지부(400)는 배출통로(410) 및 흡착제(430)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저장소(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통로(410)는 저장부(100)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배출통로(410)는 저장부(100) 내의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00) 내 산소가 배출됨에 따라 저장부(100) 내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배출통로(41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은 산소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포함한 물질일 수도 있다.
배출통로(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일측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배출통로(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일측을 배출구, 배출통로(410)의 저장부(100)와 연결되는 타측을 유입구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출구는 음수부(200)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가 음수부(200)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됨으로써 배출된 산소가 음수(W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통로(410)의 유입구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는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밸브는 예를 들어 유량 조절 밸브일 수 있다.
배출통로(410)는 이온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저장부(100)에 저장수(W1)를 공급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개폐부(110)를 개폐하기 어려운 경우나 개폐부(110)에 결함이 생긴 경우에 저장부(100)에 저장수(W1)를 공급하는 대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와 배출통로(4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보조적으로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 내에 발생하는 산소가 다량인 경우, 배출통로(410) 내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배출통로(410) 손상이 방지되도록 산소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 또는 저장수(W1)의 공급량 조절 실패로 저장수(W1)가 저장수의 외부로 범람될 우려가 있는 경우, 보조저장소(450)는 저장부(100)에 수용되는 저장수(W1)의 일부를 수용하는 용기가 될 수도 있다.
보조저장소(450)가 더 포함되는 경우, 밸브는 저장부(100)와 보조저장소(45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에 설치될 수 있고, 배출통로(410)의 유입구는 보조저장소(450)에 연결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저장부(100)에 탑재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저장부(100)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할 수 있다.
흡착제(430)와 이온교환부(300) 사이에는 해면체(130)가 개재될 수 있다. 해면체(130)가 개재됨에 따라 저장부(100)에 발생되는 오존이 저장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잔류시키지 않고 하부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면체(130)는 이온교환부(300)의 양전극(310)과 흡착제(430) 사이의 매개물일 수 있고, 양 단부가 양전극(310) 및 흡착제(430)에 각각 접촉되어 양전극(430)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여 흡착제(430)에 흡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해면체(130)는 이온교환부(300)의 양전극(310)과 흡착제(430)에 접촉되는 한에서, 저장부(100) 내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용존 오존을 흡착하여 냄새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방지하고 오존이 산소로 분해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00) 내 압력 상승을 지연시킬 수 있다.
흡착제(430)는 개폐부(110)의 수용프레임(111)에 수용될 수 있다. 흡착제(430)는 수용프레임(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폐부(110)가 저장부(100)를 폐쇄하면서 저장부(100) 내에 탑재될 수 있다.
흡착제(430)수용프레임(111)이 개폐부(110)에 탈착 가능함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수용프레임(111)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해면체(130)가 흡착제(430)에 접촉되게 할 수 있다.
흡착제(430)는 탄소를 포함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제(43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이온교환부(300),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점선 표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양전극(310)과 이온교환막(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저장부(100)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음수부(200) 외부로 음수(W2)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링부(500)는 절연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링부(500)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음전극(330)과 이온교환막(3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음수부(200)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저장부(100) 외부로 저장수(W1)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링부(600)는 절연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링부(600)은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수(W2) 및 저장수(W1)는 일반적인 물의 성질을 가지는데,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모세관현상으로 저장수(W1)가 저장부(100)의 내주면을 따라 올라오거나 음수(W2)가 음수부(200)의 내주면을 따라 내려갈 수 있다. 이 경우, 저장수(W1) 및 음수(W1)가 이온교환막(350) 주변에서 서로 뒤섞이거나 이온교환막(350)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제1 실링부(500) 및 제2 실링부(600)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2는 포트 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포트 프레임(800) 및 본체 프레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은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수용하는 틀일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은 보조저장소(450)를 수용할 수도 있다.
포트 프레임(800)은 상기 구성들을 일체로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포트 프레임(800)을 들어올려 음수(W2)를 직접 마시거나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의 하부에는 제1 전원 단자(8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810)는 후술하게 될 본체 프레임(700)의 제2 전원 단자(710)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포트 프레임(800)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에는 지속적인 전원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장소에 제약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 및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별도로 설치된 뚜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포트 프레임(800)이 있는 경우, 저장부(100)와 맞닿는 포트 프레임(800)의 하부가 개방되어, 저장수(W1)를 공급받을 수 있다. 개폐부(110)는 포트 프레임(80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할 수도 있다.
포트 프레임(800)은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를 수용할 수도 있고, 포트 프레임(800) 자체 내에서 구획되어 구획된 부분 각각이 저장부(100), 음수부(200), 이온교환부(300) 및 압력상승방지부(4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본체 프레임(700)은 포트 프레임(800)이 탈착 가능한 거치대일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에는 제2 전원 단자(7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의 제2 전원 단자(710)는 포트 프레임(800)의 제1 전원 단자(810)와 접촉되어 본체 프레임(700)에서 포트 프레임(800)으로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은 제1 전원 단자(810)와 제2 전원 단자(710)가 접촉 시, 이온교환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온 교환을 일으킬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은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700)의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및 측부는 포트 프레임(800)의 탈착 및 거치가 용이하도록 포트 프레임(800)이 접촉되는 내주면이 포트 프레임(8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10)는 알람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는 저장부에 설치된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부는 예를 들어 LED 조명, 사이렌 등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시로 알람부는 수위 측정값을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알람부는 본체 프레임(7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위센서로부터 수위 측정값을 전송받을 수 있다.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제어부는 알람부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값이란, 저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높이에서 저장수(W1)의 수위가 약 10분의 1만큼의 높이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기설정값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본체 프레임(700) 또는 포트 프레임(8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는 제1 전원 단자(810)와 제2 전원 단자(710)가 접촉 시, 이온교환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머에 의하여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하여 음수(W2)에 수소가 발생되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수소량은 증가될 수 있지만 수소는 밀도가 낮은 물질이므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쉽게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타이머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부는 본체 프레임(700)에 설치되는 버튼부(730)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부(7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어부는 버튼부(730)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전원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량을 높게 하는 경우, 양전극(310) 및 음전극(330)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전극(330)에서 발생되는 수소량이 증가될 수 있다.
버튼부(730)가 조작됨에 따라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이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730)을 한 번 누르면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이온교환부(300)에서 이온 교환이 일어나게 하여 음수(W2)에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버튼부(730)을 한 번 더 누르면 전원공급모듈(710)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버튼부(730)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구체적인 예시로 들면, 버튼부(730)가 하나인 경우 사용자가 버튼부(730)를 약 3초 간 길게 누르면 제어부는 그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을 포트 프레임(800)에 인가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부(730)를 1회 누를 때마다 전원공급 시간이 1분 단위로 길어지거나 전원공급량이 약 10% 증가될 수 있다. 이는 버튼부(730)의 조작으로 가능한 동작을 예시로 든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1: 저장수
W2: 음수
10: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00: 저장부
110: 개폐부
111: 수용프레임
130: 해면체
200: 음수부
300: 이온교환부
310: 양전극
330: 음전극
350: 이온교환막
400: 압력상승방지부
410: 배출통로
430: 흡착제
450: 보조저장소
500: 제1 실링부
600: 제2 실링부
700: 본체 프레임
710: 제2 전원 단자
730: 버튼부
800: 포트 프레임
810: 제1 전원 단자

Claims (14)

  1. 저장수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수를 수용하는 음수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음수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수와 상기 음수 사이의 이온 교환을 통하여 상기 저장부에 오존을 발생시키고, 상기 음수부에 수소를 발생시키는 이온교환부; 및
    상기 저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오존의 환원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한 상기 저장부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상승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통로; 및
    상기 저장부에 탑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의 용존 오존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저장부에 발생되는 상기 오존이 상기 이온교환부에서 상기 흡착제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흡착제 사이에 해면체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배출통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유입된 산소를 상기 배출통로로 전달하는 보조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흡착제를 수용하는 수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부는,
    상기 저장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양전극;
    상기 음수부의 개방된 하부에 설치되는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음전극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음수부에 설치되는 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양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저장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음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음전극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음수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2 실링부;
    를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제1 전원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 상기 음수부, 상기 이온교환부 및 상기 압력상승방지부를 수용하는 포트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이 기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 알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단자가 접촉 시, 상기 이온교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버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프레임에는 전원이 충전 가능한 내장배터리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20150037236A 2015-03-18 2015-03-18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748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ko) 2015-03-18 2015-03-18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PCT/KR2016/001907 WO2016148413A1 (ko) 2015-03-18 2016-02-26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ko) 2015-03-18 2015-03-18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20A KR20160112120A (ko) 2016-09-28
KR101748788B1 true KR101748788B1 (ko) 2017-06-19

Family

ID=5692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236A KR101748788B1 (ko) 2015-03-18 2015-03-18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8788B1 (ko)
WO (1) WO20161484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046B1 (ko) * 2017-07-12 2019-02-08 최환선 전해 수소수 생성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65B1 (ko) * 2018-03-23 2018-10-18 임관덕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2315928B1 (ko) * 2019-09-03 2021-10-22 주식회사 웰텍코리아 수소함유수 및 오존수의 제조 기능이 구비된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106B1 (ko) * 2003-10-09 2005-12-26 바이오닉스(주) 환원수 생성기
KR101100535B1 (ko) * 2009-07-24 2011-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폭 방향 온도를 이용한 코일의 권취 형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041514B1 (ko) * 2010-04-27 2011-06-16 (주)엘켐텍 정수용 산소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고농도 산소수 정수장치
KR101036381B1 (ko) * 2011-02-23 2011-05-23 주식회사 이온팜스 알칼리 이온수기
KR101278455B1 (ko) * 2011-05-23 2013-07-01 문상봉 휴대용 수소가스 용존 또는 산소가스 용존 음용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65B1 (ko) *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046B1 (ko) * 2017-07-12 2019-02-08 최환선 전해 수소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120A (ko) 2016-09-28
WO2016148413A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7451B2 (ja) イオン水器
KR10168310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748788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604804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101575164B1 (ko) 기능수 생성장치
CN101687158A (zh) 气体发生装置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WO2019061710A1 (zh) 氢氧分离的电解装置的座体结构及带该座体的电解装置
KR101748791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101280595B1 (ko)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101036381B1 (ko) 알칼리 이온수기
KR101695673B1 (ko)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WO2018233185A1 (zh) 一种水素矿物质水生成器及生产方法
KR10177116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92949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20060045714A (ko) 물을 이용한 산소 제조장치
JP2018030095A (ja) 水素水生成器および水素水生成器用の吸着カートリッジ
CN111527240B (zh) 便携式气体供给装置
KR102315928B1 (ko) 수소함유수 및 오존수의 제조 기능이 구비된 정수기
KR101950368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JP6824509B2 (ja) 水素発生装置および発電装置
JP6583672B2 (ja) 水素水生成器および水素水生成器を含む水素水生成装置
CN111902369B (zh) 含氢水制造装置
KR101826318B1 (ko) 수소 수 급수기
JP4031984B2 (ja) 電解生成水の貯留方法および貯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