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73B1 -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673B1
KR101695673B1 KR1020140127647A KR20140127647A KR101695673B1 KR 101695673 B1 KR101695673 B1 KR 101695673B1 KR 1020140127647 A KR1020140127647 A KR 1020140127647A KR 20140127647 A KR20140127647 A KR 20140127647A KR 101695673 B1 KR101695673 B1 KR 101695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atter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835A (ko
Inventor
김성태
이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노, 김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노
Priority to KR102014012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6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는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무게추가 설치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 하측과 제 1 케이스 상측 사이에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안착부에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받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면에 노출 배치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를 가압하는 누름유닛;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극과 음극이 일정 면적 이상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소수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SPA Hydrogen water}
본 실시예는 원수를 전기분해 하여, 수소분자의 함유량을 늘린 물을 생성하는 수소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수돗물을 직접 마시기 보다는 생수를 구매하여 마시거나, 원수를 필터링 하여 음용수를 생성하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지금까지 정수기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물로 정수하는 장치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단순히 오염물질을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온수나 알칼리수 등과 같은 기능성 용수를 생성할 수 있는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소분자를 음용수에 포함시킬 경우, 이 수소분자가 활성산소와 체내에서 결합하여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질환의 발생 비율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들이 제기된 바, 물에 수소분자를 포함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음용수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수소수를 사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는데, 수소수를 스파용수로 사용하는 수소스파는 몸안에 축적된 활성산소가 활성수소와 반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된 산소와 수소는 물이 되어 체외로 배출되며, 이를 통해 해로운 활성산소를 제거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는 별도의 시설에서 수소수를 생성하여 욕조 등에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수소수 공급을 위한 배관을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수소수 제조장치를 별도 시설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로 물이 수소수인지의 여부를 알 수 없으며, 수소수의 수소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631호(2011.10.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1302호(2012.07.31. 등록)
본 실시예는 다양한 정수장치에 결합되어 물에 포함된 수소분자의 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유로 구조를 개선한 수소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는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무게추가 설치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미들 케이스 하측과 제 1 케이스 상측 사이에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안착부에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받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면에 노출 배치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를 가압하는 누름유닛;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극과 음극이 일정 면적 이상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소수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의 바닥면은 평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통로; 상기 미들 케이스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통로;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4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케이스의 제 1 통로 및 중앙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2 및 제 3 통로를 통해 제 4 통로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를 실링하는 제 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는 바닥면에 바깥쪽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 안착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안착부를 폐쇄하는 배터리 커버부재; 및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배터리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부를 수밀 구조로 형성하는 제 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 내부의 공기는 투과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 상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차단하는 압력제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유닛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마련되는 디스크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바닥면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 부재의 가압 동작 시, 인쇄회로기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보스는 실리콘 재질의 전원 가스켓의 개재 하에 전원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소자; 및 상기 누름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유닛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평평한 측벽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전극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 2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2 단자; 상기 미들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연성 재질인 클립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보스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욕조 등에 담가둔 상태로 스파용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배관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스파용 수소수 생성이 완료되면 다른 욕조로 옮겨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LED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효과를 줄 수 있어, 어두운 공간에서 무드 램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의 내부에 무게추 및 배터리의 무게를 이용하여 욕조 바닥에 침잠 시킬 수 있어, 전극유닛이 지속적으로 욕조 안의 물과 접촉하면서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미들 케이스 상측에 설치된 전극유닛을 노출시킨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미들 케이스 상측에 설치된 전극유닛을 노출시킨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미들 케이스(130), 인쇄회로기판(200), 누름유닛(300) 및 전극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부에 인쇄회로기판(200)이 수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은 이중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오목홈부(112)가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개구부는 제 1 실링부재(114)에 의해 실링 되면서 미들 케이스(130)와의 결합을 통해 수밀 가능한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중벽으로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의 반대편 공간에는 바닥면 측으로 오픈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배터리 안착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안착부(113)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 곳에 배터리(113a)가 실장될 수 있다. 이 배터리(113a)는 인쇄회로기판(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충전된 전원이 소진되었을 경우 교체를 위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식 배터리로 마련하여, 고정된 상태로 외부 충전기기에 의해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무선 충전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자기유도 등과 같은 공지된 무선충전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극 연결 없이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110)의 바닥면은 평평하게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욕조 등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침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배터리 안착부(113)의 바닥면에 형성된 개구부는 제 2 실링부재(116)의 개재 하에 배터리 커버(115)로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커버(115)는 복수 개의 고정 보스(115a)에 의해 제 1 케이스(110)에 나사(115b) 등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보스(115a)는 상기 제 1 오목홈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1 오목홈부(11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의 측벽과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의 내부 공간부에는 무게추(117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무게추(117a)들은 복수 개가 중앙에 통공을 가지는 원추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통공을 관통하는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보스들이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의 바닥면에 상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의 상측 오픈된 부분을 폐쇄하는 것으로, 제 1 케이스(11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케이스(120)의 둘레면에는 슬릿 형상의 복수 개의 제 1 통로(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통로(121)를 통해 주변의 물이 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후술할 전극유닛(4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20)의 중앙에는 원형상의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누름버튼(300)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구부(122)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는데, 이 개구부(122)은 누름버튼(300)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컨대, 누름버튼(300)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경우, 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미들 케이스(1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110)(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측으로는 전극유닛(400)이 설치되어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고, 하측으로는 제 1 실링부재(114)와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를 수밀 가능한 공간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미들 케이스(130)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원 스위치(220)를 누를 수 있는 연결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연결구조물은 후술할 가압보스(320)의 누름 동작에 연동하여 전원 스위치(220)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미들 케이스(130)의 둘레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 통로(131)(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통로(131)(132)는 제 1 통로(121)와 같이 복수 개의 슬릿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2개 내지 3개 정도의 슬릿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하나의 그룹의 슬릿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 2 케이스(120)의 제 1 통로(121) 및 중앙의 개구부(122)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2 및 제 3 통로(131)(132)를 통해 제 4 통로(119)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 4 통로(119)는 제 1 케이스(110)의 측벽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의 격벽 바깥쪽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제 4 통로(119)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통로(121)(131)(132)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케이스(130)에는 상기한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와 연통되는 통공이 마련되고 이 통공에 압력제거필터(134)가 결합될 수 있다. 압력제거필터(134)는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 내부의 공기는 투과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130) 상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차단할 수 있는 통기성 방수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소자(210)와 전원 스위치(220) 및 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소자(210)는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둘레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소자(210)들의 빛 색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백색, 적색, 청색, 녹색 등으로 색상 변경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광원소자(210)는 전원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작동 시간 또는 배터리 전원 레벨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22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접점 방식의 누름 스위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대략 중앙 부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누름유닛(300)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전극 접점부재(230)들이 결합될 수 있다. 전극 접점부재(230)들은 전극유닛(400)에 배터리(113a)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통전 가능한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전극 접점부재(230)들은 미들 케이스(130) 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들 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끝단이 노출되거나, 별도의 나사 등을 이용한 체결을 통해 전극유닛(40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솔더링이나 도전성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누름유닛(300)은 제 2 케이스(120)에 형성된 개구면(122)에 노출 배치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220)를 가압할 수 있다. 누름유닛(300)은 디스크 부재(310)와 가압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부재(31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전원마크가 관통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디스크 부재(310)의 용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보스(320)는 상기 전원마크가 형성된 디스크 부재(310)의 바닥면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압보스(320)의 상측에는 상기한 전원마크와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마크 형상의 통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에는 상하 간격이 있어, 가압보스(320)가 누름동작에 의해 연동하여 움직일 경우, 아래 위로 형성된 유격만큼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크 부재(310)를 가압하면, 가압보스(320)가 상기 유격만큼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인쇄회로기판(20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220)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가압보스(320)는 미들 케이스(130)에 설치되는 실리콘 재질의 전원 가스켓(322)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의 전원 가스켓(322)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이므로, 상기 가압보스(3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눌릴 경우, 그 하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전원 스위치(220)를 가압할 수 있다. 전원 가스켓(3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00) 측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실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가스켓(322)은 전원 가스켓 가이드(321)에 의해 보호되는데, 상기 전원 가스켓 가이드(321)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미들 케이스(130)에 상부면에 전원 가스켓(322)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전극유닛(400)은 복수 개가 상기 미들 케이스(130)의 상부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배치 되며, 양극과 음극이 일정 면적 이상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유닛(4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평평한 측벽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전극(410)(420)과, 제 1 전극(4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1 단자(411)와, 제 2 전극(4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 2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2 단자(421)와,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의 서로 마주보는 이격 거리(t)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연성 재질인 클립 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단자(411)(4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대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클립 프레임(430)은 미들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판 상의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을 평평한 면이 측벽이 되도록 세운 상태로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의 위치를 지지하면서 이들이 미들 프레임(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바닥면이 고정된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은 양 측단부가 클립 프레임(430)에 형성된 슬롯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은 바닥면은 미들 케이스(130)에 접촉 지지될 수 있고, 양 측벽은 이격 거리(t)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클립 프레임(430)에 의해 지지되어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의 바닥면은 미들 케이스(130)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될 수도 있다. 이는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발생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발생장치는 욕조 등과 같은 목욕물의 수중에 침잠시켜 사용하는 장치이다.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누름유닛(300)을 손가락 등으로 가압하면, 디스크부재(310)는 하측으로 하강하고, 이에 연동하여 가압보스(320)는 아래로 움직인다. 그러면, 미들 케이스(130)에 설치된 실리콘 재질의 전원 가스켓(322)을 가압보스(320)가 가압하고, 전원 가스켓(322)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부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전원 스위치(220)를 가압하여 전원을 온(ON)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배터리(113a)의 전원이 소정의 배선을 따라 전극유닛(400)에 공급되는데, 전극유닛(400)은 한 쌍으로 마련된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제 1 및 제 2 전극(410)(420)에서는 전기분해가 시작되면서, 수소분자가 생성되어 목욕물 속에 섞이기 시작한다.
이때, 회로기판 안착부(1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에는 복수 개의 광원소자(210)들이 설치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220)의 작동 시 특정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전원이 양호할 경우 녹색 또는 청색의 빛을 조사하고, 배터리 전원이 떨어짐에 따라 주황색, 적색 등의 빛을 발광하여 사용자가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할 경우 청색 또는 백색 등과 같은 단일 색상으로 빛을 발광하여 장치의 작동 여부만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목욕물 속에 침잠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파용 수소수 발생장치는 도 3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상측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및 제 2 실링부재(114)(116)에 의해 인쇄회로기판 수용부(111)와 배터리 수용부(113)의 내부 공간은 수밀 공간을 형성하므로,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는 않는다. 다만, 배터리(113a) 작동과 광원소자(21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제 1 케이스(110) 또는 미들 케이스(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제거필터(134) 미들 케이스(1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 내부의 열이 포함된 공기는 수중으로 방출하되, 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111)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게 수소수를 목욕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소수 공급을 위한 별도의 배관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목욕 중에도 지속적으로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어, 수소수의 농도를 목욕이 끝나는 시점까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욕조 등에 담가둔 상태로 스파용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용 수소수 생성이 완료되면 다른 욕조로 옮겨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00)에 설치된 LED와 같은 광원소자(210)를 이용하여 조명 효과를 줄 수 있어, 어두운 공간에서 무드 램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110)의 내부에 무게추(117a) 및 배터리(113a)의 무게를 이용하여 욕조 바닥에 침잠 시킬 수 있어, 전극유닛(400)이 지속적으로 욕조 안의 물과 접촉하면서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110; 제 1 케이스
111; 인쇄회로기판 안착부 112; 제 1 오목홈부
113; 배터리 안착부 114; 제 1 실링부재
115; 배터리 커버 115a; 고정 보스
116; 제 2 실링부재 117a; 무게추
120; 제 2 케이스 121; 제 1 통로
122; 전원 노출공 130; 미들 케이스
131; 제 2 통로 132; 제 3 통로
200; 회로기판 202; 제 2 오목홈부
210; 광원소자 220; 전원 스위치
300; 누름유닛 310; 디스크부재
320; 가압보스 321; 전원 가스켓 가이드
322; 전원 가스켓 400; 전극유닛
410; 제 1 전극 411; 제 1 단자
420; 제 2 전극 421; 제 2 단자
430; 클립 프레임

Claims (12)

  1.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와 무게추가 설치되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상측에 결합되며, 중앙에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케이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미들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안착부에 수밀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받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면에 노출 배치되며, 누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된 전원 스위치를 가압하는 누름유닛; 및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극과 음극이 일정 면적 이상 마주보게 배치되어 수소수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통로;
    상기 미들 케이스의 둘레면에 배치되는 제 2 및 제 3 통로;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측벽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4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케이스의 제 1 통로 및 중앙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 2 및 제 3 통로를 통해 제 4 통로로 배출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바닥면은 평평한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미들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제1 케이스의 상측의 개구부를 실링하는 제 1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바닥면에 바깥쪽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에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 안착부;
    상기 배터리 안착부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안착부를 폐쇄하는 배터리 커버부재; 및
    상기 배터리 안착부 및 배터리 커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터리 안착부를 수밀 구조로 형성하는 제 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마련된 미들 케이스의 상기 통공과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 내부의 공기는 투과하고 상기 미들 케이스 상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차단하는 압력제거필터;를 포함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유닛은,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마련되는 디스크 부재; 및
    일단은 상기 디스크 부재의 바닥면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미들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 부재의 가압 동작 시, 인쇄회로기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보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보스는 실리콘 재질의 전원 가스켓의 개재 하에 전원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소자; 및
    상기 누름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유닛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평평한 측벽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 1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1 단자;
    상기 제 2 전극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 2 극성의 전원을 인가 받는 제 2 단자; 및
    상기 미들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의 서로 마주보는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절연성 재질인 클립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제 1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보스에 끼워 맞춤 결합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안착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20140127647A 2014-09-24 2014-09-24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95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47A KR101695673B1 (ko) 2014-09-24 2014-09-24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647A KR101695673B1 (ko) 2014-09-24 2014-09-24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35A KR20160035835A (ko) 2016-04-01
KR101695673B1 true KR101695673B1 (ko) 2017-01-18

Family

ID=5579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647A KR101695673B1 (ko) 2014-09-24 2014-09-24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5A (ko) * 2017-11-06 2019-05-15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KR102284804B1 (ko) * 2020-03-19 2021-08-02 (주)오름 이온생성부를 구비한 휴대용 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627B1 (ko) * 2017-11-30 2018-05-11 임관덕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950368B1 (ko) * 2018-05-16 2019-02-20 임관덕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05B2 (ja) * 1991-10-31 2000-10-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KR200238438Y1 (ko) * 2001-04-04 200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스위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605A (ja) * 1989-09-12 1991-04-24 Hitachi Kiden Kogyo Ltd 曝気機のごみ除去装置
KR20110104829A (ko) *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휴대용 무선살균기 및 그 조립체
KR20110042149A (ko) * 2010-09-28 2011-04-25 주식회사 에코프롬 입수식 살균수 발생 장치
KR101076631B1 (ko) 2011-02-25 2011-10-27 주식회사 선도 수소수 제조장치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8-06 구본민 수소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05B2 (ja) * 1991-10-31 2000-10-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KR200238438Y1 (ko) * 2001-04-04 200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스위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25A (ko) * 2017-11-06 2019-05-15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KR101986910B1 (ko) * 2017-11-06 2019-06-07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KR102284804B1 (ko) * 2020-03-19 2021-08-02 (주)오름 이온생성부를 구비한 휴대용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835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673B1 (ko)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JP5944538B2 (ja) 携帯型水素水製造装置
KR101724631B1 (ko) 수소 발생 장치
JP3175997U (ja) ポータブル型飲料用水素水の生成器
KR101575164B1 (ko) 기능수 생성장치
KR101875023B1 (ko) 휴대용 수소수 분무기
JP3976721B2 (ja) 容器分離型還元水素水生成装置
TW200307648A (en) Electrolyzed water spraying device
CN108298636B (zh) 可携式净化装置
KR10168310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20170009311A (ko) 수소수 생성장치
JP6440387B2 (ja) ガス溶存水生成装置
KR101280595B1 (ko) 산성이온수 제조장치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JP6646828B2 (ja) 蓋付きマグ
JP2017088220A (ja) 蓋付きマグ
KR20150085152A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20140087350A (ko) 물통 캡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986910B1 (ko) 수소수 세안기
KR20160112120A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20150145351A (ko) 물병형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200006785A (ko) 수소수미스트분사장치
KR101606805B1 (ko)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JP2012052183A (ja) 電気分解装置
KR20180103429A (ko)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