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302B1 - 수소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302B1
KR101171302B1 KR1020120020965A KR20120020965A KR101171302B1 KR 101171302 B1 KR101171302 B1 KR 101171302B1 KR 1020120020965 A KR1020120020965 A KR 1020120020965A KR 20120020965 A KR20120020965 A KR 20120020965A KR 101171302 B1 KR101171302 B1 KR 10117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water
water
hydrogen
outl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민
Original Assignee
구본민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민,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민
Priority to KR102012002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를 제공하기 위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부는 제1 배출구와 제1 유입구가 한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태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배출구와 내부의 수소수 생성수단을 형성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배출구 중 제1 하우징의 제1 배출구와 결합하는 측의 제2 배출구의 일부 구간은 제2 배출구의 다른 구간의 직경보다 작은 미세홀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수소수 생성부에 미세홀을 형성해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수소가 다량 함유된 용적률이 높은 양질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수소수 생성부에 일체 또는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압력밸브를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수 생성장치{Generation device of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를 제공하기 위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소수 생성부에 미세홀을 형성해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수소가 다량 함유된 용적률이 높은 양질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수소수 생성부에 일체 또는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압력밸브를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물을 정수하여 원수를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적합한 형태로 여과하여 이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이온수나 알칼리수, 연수와 같은 기능성 용수를 제조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용수를 제조하기 위한 정수기를 살펴보면, 기존의 필터부, 저수조의 구성에 수소발생기 또는 산소발생기를 더 부착하고 이를 저수조에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사용자가 수소가 포함된 수소정수 또는 산소가 포함된 산소정수를 음용하거나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용수를 위한 정수기는 저수조에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에 포함된 수소 또는 산소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저수조에 저장된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를 반복적으로 수소발생기 또는 수소발생기로 순환시킴으로써 소음 및 전력소비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저수조는 공기와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균번식이 번식하여 오히려 몸에 해로운 물을 공급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부는 제1 배출구와 제1 유입구가 한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태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배출구와 내부의 수소수 생성수단을 형성한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배출구 중 제1 하우징의 제1 배출구와 결합하는 측의 제2 배출구의 일부 구간은 제2 배출구의 다른 구간의 직경보다 작은 미세홀을 형성하도록 구성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부는 일측으로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유입구를 형성하며 내측 공간부에 수소수 생성수단을 형성하되, 내측 공간부 중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다수의 미세홀을 형성한 압력밸브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소수 생성부의 수소수 생성수단은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또는 이온 필터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필터부의 정수된 물 및 수소수 생성부의 수소수를 공급받는 저수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소수 생성부 또는 저수조에는 수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수 공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소수 생성부 또는 저수조에는 온수탱크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저수조에는 냉각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소수 생성부와 저수조 사이에는 수소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수소수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한 믹서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소수 생성부에 미세홀을 형성해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에 수소가 다량 함유된 용적률이 높은 양질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수소수 생성부에 일체 또는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압력밸브를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자형 믹서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자형 믹서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필터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관(도면에 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부(10)는 다수의 필터, 예컨대, 1, 2, 3차 또는 1, 2, 3, 4차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사항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수소수 생성부(40, 50)는 상기 필터부(10)에서 생성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소수 생성부(40, 50)는 배출구 및 유입구의 위치에 따라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우선, 도 2에서와 같이 U자형을 이용할 경우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쪽 방향으로 필터부(30)로 부터 정수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제1 유입구(41b)와 상기 제1 유입구(41b)를 통해 공급받은 물을배출할 수 있는 제1 배출구(41a)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하우징(41)이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41) 내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42)은 내부에 수소수 생성수단(F)을 형성하고 제1 하우징(41)의 제1 배출구(41a)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의 제2 배출구(4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하우징(41, 42)은 용착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별개의 구성으로 제작한 후, 상기 제1 배출구(41a) 결합하는 제2 배출구(42a)의 표면에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링(O)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 배출구(42a) 중 제1 배출구(41a)와 결합하는 측에는 제2 배출구(42a) 일부에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세홀(h)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미세홀(h)의 크기는 Φ0.1 ~ 2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I자형을 이용할 경우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필터부(10)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 유입구(5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유입구(52)의 타측 방향에는 배출구(5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의 공간부(53)에는 수소수 생성수단(F)이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부(53) 중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는 미세홀(h)을 포함하고 있는 압력밸브(54)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미세홀(h)의 크기는 Φ0.1 ~ 2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의 수소수 생성수단(F)은 전기분해를 이용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또는 이온 세라믹과 같이 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이온 필터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 외측에 수소수 공급부(C)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된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에는 온수탱크(HK)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부(H)도 더 구비되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2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수소수 생성부(40, 50)에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받아 수소수도 함께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저수조(20)를 형성할 경우 수소수 생성부(40, 50)에 형성되어 있던 수소수 공급부(C) 및 온수 공급부(H)가 저수조(20)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정수된 수소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수조(20)의 외측에 냉각부(21)를 더 구성하여 수소수를 냉각시킴으로써 수소수 공급부(C)를 통해 냉각된 수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소수 생성부(40, 50)와 저수조(20) 사이에 믹서기(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믹서기(3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필터를 형성해 수소수가 오랫동안 머무름과 동시에 압력을 높게 형성하여 용적률이 높은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소수 생성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수도와 같은 원수로부터 물이 필터부(10)로 이동되어 다수의 필터링을 거쳐 정화가 이루어진 정수된 물은 수소수 생성부(40, 50)로 이동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는 유입 및 출수 방향에 따라 U자형 및 I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소수 생성부(40, 50) 중 U자형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U자형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의 작용을 살펴보면,
필터부(10)를 통과한 정수된 물은 제1 하우징(41)의 제1 유입구(41b)를 통해 제1 하우징(41) 내부로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한 정수된 물은 다시 제2 하우징(42) 내부의 수소수 생성수단(F)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이동되어 수소수가 생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소수 생성수단(F)을 통해 수소수로 전환된 수소수는 일정량이 채워지게 되면 제2 하우징(42)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배출구(42a) 및 제2 배출구(42a)와 결합되어 있는 제1 하우징(41)의 제1 배출구(41a)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2 배출구(42a) 중 제1 하우징(41)의 제1 배출구(41a)와 인접한 위치의 제2 배출구(42a)에는 미세홀(h)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2 하우징(42)의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42) 내부에 머무르고 있던 수소수는 압력에 의해 수소수의 용적률이 높아진 상태로 변환되어 수소수 공급수단(C)을 통해 양질의 수소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온수 공급부(H)의 온수 탱크(HK)를 통해 데워진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소수 생성수단(F)을 통과하여 수소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수소수에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미세홀(h)은 이러한 이물질을 필터할 수 있는 기능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소수 생성부를 I자형으로 형성할 경우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필터부(10)에 의해 정수된 물은 수소수 생성부(50)의 유입구(52)를 통해 내부의 공간부(53)에 머무르게 된다.
이때에, 상기 공간부(53)에는 수소수 생성수단(F) 형성되어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도록 작용하여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전환된 수소수는 수소수 생성수단(F)을 통과한 후 배출구(51)를 통해 수소수 공급부(C) 및 온수 공급부(H)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50)의 공간부(53) 중 배출구(51)가 형성된 위치에는 다수의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는 압력밸브(54)가 결합되어 있어 수소수가 미세홀(h)을 통과한 후 배출구(51)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수소수만이 통과하도록 작용한다.
특히, 수소수가 상기 미세홀(h)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적률이 높은 상태의 수소수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질의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소수 생성수단(F)을 통과하여 수소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수소수에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미세홀(h)은 이러한 이물질을 필터할 수 있는 기능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20) 및 믹서기(3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의 일부와 수소수 생성부(40, 50)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저수조(20)가 더 구비되어 다량의 수소수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믹서기(30)를 통과한 수소수는 더욱 용적률이 높아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어 양질의 수소수를 많은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조(20)의 외측에 냉각부(21)를 더 구비하여 수소수 공급부(C)를 통해 냉각된 수소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작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다.
F : 수소수 생성수단 h : 미세홀
C : 수소수 공급부 H : 온수 공급부 HK : 온수탱크
10 : 필터부
20 : 저수조
40 : 수소수 생성부
41 : 제1 하우징 41a : 제1 배출구 41b : 제1 유입구
42 : 제2 하우징 42a : 제2 배출구
50 : 수소수 생성부
51 : 배출구 52 : 유입구 53 : 공간부 F : 필터
54 : 압력밸브 h : 미세홀
100 : 수소수 생성장치

Claims (8)

  1.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10);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부(40)는 제1 배출구(41a)와 제1 유입구(41b)가 한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태의 제1 하우징(41)과 상기 제1 하우징(41) 내측에 배치되며 제2 배출구(42a)와 내부의 수소수 생성수단(F)을 형성한 제2 하우징(4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 하우징(42)의 제2 배출구(42a) 중 제1 하우징(41)의 제1 배출구(41a)와 결합하는 측의 제2 배출구(42a)의 일부 구간은 제2 배출구(42a)의 다른 구간의 직경보다 작은 미세홀(h)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2.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10);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생성부(40, 50);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부(50)는 일측으로는 배출구(51)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유입구(52)를 형성하며 내측 공간부(53)에 수소수 생성수단(F)을 형성하되, 내측 공간부(53) 중 배출구(51)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다수의 미세홀(h)을 형성한 압력밸브(54)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의 수소수 생성수단(F)은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또는 이온 필터형태인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0)의 정수된 물 및 수소수 생성부(40, 50)의 수소수를 공급받는 저수조(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 또는 저수조(20)에는 수소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수 공급부(C)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 또는 저수조(20)에는 온수탱크(HK)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부(H)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에는 냉각부(2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 생성부(40, 50)와 저수조(20) 사이에는 수소수 생성부(40, 50)에서 생성된 수소수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한 믹서기(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 생성장치.
KR1020120020965A 2012-02-29 2012-02-29 수소수 생성장치 KR10117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65A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2-29 수소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65A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2-29 수소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302B1 true KR101171302B1 (ko) 2012-08-06

Family

ID=4688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65A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2-29 수소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67A (ko)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KR20160035835A (ko)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파이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180077750A (ko) 2016-12-29 2018-07-09 방정호 수소수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42B1 (ko) 2003-12-26 2011-09-19 타카오카 케미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해식 수소수 생성장치
KR200458720Y1 (ko) 2011-09-27 2012-03-07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42B1 (ko) 2003-12-26 2011-09-19 타카오카 케미컬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전해식 수소수 생성장치
KR200459326Y1 (ko)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KR200458720Y1 (ko) 2011-09-27 2012-03-07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67A (ko)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수소수 제조장치
KR20160035835A (ko)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파이노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KR20180077750A (ko) 2016-12-29 2018-07-09 방정호 수소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0389U (ja) 機能水生成装置
KR101222455B1 (ko) 수소환원수 제조장치
KR101171302B1 (ko) 수소수 생성장치
CN105316698B (zh) 用于生产富氢水的氢气生成单元
CN103266328B (zh) 一种利用电解臭氧发生器可随时制造臭氧水和氢水的装置
KR20150101696A (ko) 수소수 생성장치
KR20140060738A (ko) 수소수 제조장치
JP2010088973A (ja) 水素含有電解水生成装置及び給湯設備
KR101711609B1 (ko) 수소수 제조 모듈
CN101428199A (zh) 整体式纳米气泡发生装置
KR200459326Y1 (ko) 수소수정수기
CN105525658A (zh) 一种水离子集成水槽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190779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200458720Y1 (ko)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JP2010253405A (ja) 飲料用電解微小気泡水発生装置および飲料用電解微小気泡水発生方法
KR20100003641U (ko) 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KR101929496B1 (ko)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101910632B1 (ko) 수소수 제조장치
CN205550627U (zh) 淋浴莲蓬头
JP2018176155A (ja) 水素発生シャワー
KR101467918B1 (ko) 기능성 정수기
KR101467925B1 (ko) 기능성 정수기
JP3128612U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541105B2 (ja) 液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