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20Y1 -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20Y1
KR200458720Y1 KR2020110008674U KR20110008674U KR200458720Y1 KR 200458720 Y1 KR200458720 Y1 KR 200458720Y1 KR 2020110008674 U KR2020110008674 U KR 2020110008674U KR 20110008674 U KR20110008674 U KR 20110008674U KR 200458720 Y1 KR200458720 Y1 KR 200458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gen
unit
cool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명
Original Assignee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의 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별도의 압력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2 차에 걸쳐 냉각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수소수가 일정한 공간에 머무르지 않으면서 공기와 접촉 차단 및 생성된 수소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스케일 제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Hydrogen water conversion device of spring water or purifying water}
본 고안은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의 물을 순환시키도록 하여 별도의 압력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2 차에 걸쳐 냉각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수소수가 일정한 공간에 머무르지 않으면서 공기와 접촉 차단 및 생성된 수소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스케일 제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하는 정수기는 정수된 물이 담겨져 있는 물통을 통해 냉각 및 가열시켜 냉수 혹은 온수로 활용하거나, 수돗물을 필터로 여과시켜 정수로 제공하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돗물을 단순히 여과시켜 마실 수 있도록 정수하는 것 외에 이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다.
즉, 최근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현대 성인병의 중요원인 중의 하나가 고기류, 생선류 등 산성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한 체질의 산성화이며, 이러한 산성체질을 약알칼리 체질로 개선하기 위해 이온수를 가정에서 손쉽게 생성시켜 마실 수 있는 정수기의 일종인 이온 냉/온수 공급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실용 20-0409429호로서 환원 자화수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환원 자화수 정수기(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원수 공급관(201)이 구성되고, 상기 원수 공급관(201) 내에는 다수의 세드멘트필터(203), 프리카본필터(204), UF세라믹필터(205), POST카본필터(206)로 구성된 정수부(202)가 구성되어 원수의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수부(20)를 통과한 물은 원수 공급관(201)을 통해 내부에 세라믹볼(209)이 수납된 세라믹볼 담채(208)가 배치되어 있는 주 저장탱크(207)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 저장탱크(207)의 일측에는 환원촉매제(221), 환원필터(222) 및 워터펌프(223), 자화기(224)가 설치되어 주 저장탱크(207)의 물을 순환관(220)을 통해 순환시켜 자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 저장탱크(207)의 하측에는 냉수탱크(211) 및 온수탱크(212)가 설치되어 주 저장탱크(207)로 부터 자화된 물을 공급받아 소비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환원 자화수 정수기(200)는 원수 공급관(201)과 주 저장탱크(207) 및 냉/온수 탱크(211, 212)가 직렬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높은 압력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압력밸브를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수탱크(211)에서 냉각된 물의 양이 적어 사용자가 여러 번에 걸쳐 냉각된 물을 음용한 후에는 미지근한 물을 마실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화된 물을 주 저장탱크(207)에 다시 순환시켜 수납할 경우 주 저장탱크(207) 내부에서 물의 환원작용에 의해 스케일이 다량 발생하게 되어 주 저장탱크(207)의 세척을 자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는 원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상기 물 공급부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납할 수 있는 물 수납부와 상기 물 수납부의 외측으로 물 수납부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물 냉각부와; 상기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 바닥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제1 연결라인에 포함되는 펌프로 구성된 물 순환부와; 상기 물 순환부의 제1 연결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소가스를 생성하는 수소필터장치; 및 일측은 상기 수소필터장치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소필터장치에서 생성된 수소가스가 용전된 수소수를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의 내부에서 여러번 순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 형태의 회전관을 형성한 순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물 공급부는 수도관과 상기 수도관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 또는, 원수가 수납되어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생수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수소필터장치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또는 또는 전기석과 물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수소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 바닥면과 물 순환부의 제1 연결라인 사이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물 순환부의 제1 연결라인과 수소필터장치 사이에는 주기적으로 수소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소가스 배출구가 물 냉각부의 물 수납부 내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 냉각부에 형성된 물 수납부의 물을 순환시켜 냉수 공급부를 통해 공급하기 때문에 별도의 압력밸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수압이 조절되어 제작비용 절감 및 정수된 물 공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소필터장치가 냉각된 물이 순환하는 중간에 배치되어 수소필터장치를 통과한 수소수가 특정 위치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소수에 의해 발생하는 스케일이 형성되지 않아 양질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물 냉각부에서 1차로 냉각된 물을 순환관을 통해 2차로 냉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물의 냉각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용량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를 통해 수소수가 물 냉각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스케일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수소가스 배출구를 통해 수소가스에 의해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자연적으로 수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물 공급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부(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 공급부(10)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수도관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다수의 필터를 통해 정화하여 원수를 공급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원수가 수납된 생수통 형태로 구성하여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물 냉각부(20)는 상기 물 공급부(10)에서 공급받은 원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물 수납부(2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물 수납부(21)의 외측으로는 물 수납부(21)에 수납되어 있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22)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22)는 통상적으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통해 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냉각시킬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든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 순환부(30)는 상기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에 수납된 냉각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물 냉각부(20)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라인(3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라인(31) 내에는 냉각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 펌프(32)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와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 사이에는 체크밸브(cv)를 더 형성하여 제1 연결라인(31)으로 이동하는 냉각된 물이 물 수납부(21)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수소필터장치(40)는 수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각된 물에 수소가스를 공급해 냉각된 물에 수소가스가 용전된 수소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소필터장치(40)는 수소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해조 또는 전기석과 물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수소필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소필터장치(40)를 전해조로 이용할 경우에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가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수소필터로 이용할 경우 전기석을 통한 수소가스 생성뿐만 아니라, 다수의 필터를 통해 물을 다시 한번 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과 수소필터장치(40) 사이에는 수소필터장치(40)에서 발생하는 수소가스를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로 순환시킬 수 있는 수소가스 배출구(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소가스 배출구(B)는 수소필터장치(40)에서 생성된 수소가스에 의해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수소가스가 자연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수소가스 배출구(B)를 통해 이동하는 수소가스는 극히 미량이기 때문에 물 수납부(21)로 유도되더라도 냉각된 물과 용전되지 않고, 물 수납부(21)의 상측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으로, 순환관(50)은 일측은 수소필터장치(40)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 공급부(1)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순환관(50)은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 내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하되, 물 수납부(21)를 통과하는 구간은 스프링 형태로 회전관(51)을 형성하여, 수소필터장치(40)를 통과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제차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100)는 원전에서 원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10)를 통과한 후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물 냉각부(20)를 통과하여 냉각된 물을 생성하고, 다시 물 순환부(30) 및 수소필터장치(40)를 통과하여 수소필터장치(40)에서 생성된 수소가스가 냉각된 물에 용전되어 수소수가 생성되며, 다시, 수소수를 물 냉각부(20)로 순환시킨 후 냉수 공급부(1)로 공급하여 소비자가 냉각된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본 고안은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물 냉각부(20)에 수납하여 냉각시키면서 압력을 조절하고, 그 후 상기 냉각된 물을 순환시켜 냉수 공급부(1)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압력밸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압력 조절이 가능하게 작용된다.
또한, 물 공급부(10)로 부터 공급받은 물을 물 순환부(30)의 물 냉각부(21)를 이용하여 1차로 냉각하고, 물 냉각부(20)에 형성된 물 수납부(2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 회전관(52)을 포함하는 순환관(50)을 구성하여 2차로 냉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물의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순환관(50)의 회전관(52)은 오랫동안 물 수납부(21) 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하여 냉각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1, 2차에 걸쳐서 물을 냉각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냉각된 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소형으로 제작하더라도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공공기관 등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수소가스를 생성 및 공급하는 수소필터장치(40)를 통과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일정한 공간에 수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소수에 의한 스케일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온수의 경우 강한 환원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현상은 이온수가 공기와 접촉할 때에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수소수의 정체 현상을 방지하면서 공기와의 접촉을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스케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물 냉각부(20)와 물 순환부(30) 사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 수납부(21)와 제1 연결라인(31) 사이에 체크밸브(cv)를 형성하여 냉각된 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cv)의 작용은 수소필터장치(40)를 통과한 냉각된 물이 수소가스가 용전되어 생성된 수소수의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에서 스케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1 : 냉수 공급부
10 : 물 공급부
20 : 물 냉각부
21 : 물 수납부 22 : 냉각부
30 : 물 순환부
31 : 제1 연결라인 32 : 펌프
40 : 수소필터장치
50 : 순환관
51 : 회전관
60 : 온수 공급부
100 :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Claims (5)

  1. 원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부(10);
    상기 물 공급부(10)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납할 수 있는 물 수납부(21)와 상기 물 수납부(21)의 외측으로 물 수납부(21)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22)를 포함하는 물 냉각부(20);
    상기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 바닥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제1 연결라인(31)에 포함되는 펌프(32)로 구성된 물 순환부(30);
    상기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수소가스를 생성하는 수소필터장치(40); 및
    일측은 상기 수소필터장치(40)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수 공급부(1)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소필터장치(40)에서 생성된 수소가스가 용전된 수소수를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의 내부에서 여러번 순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 형태의 회전관(51)을 형성한 순환관(5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10)는 수도관과 상기 수도관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 또는, 원수가 수납되어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생수통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필터장치(40)는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또는 전기석과 물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수소필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수소수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 바닥면과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 사이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cv)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부(30)의 제1 연결라인(31)과 수소필터장치(40) 사이에는 주기적으로 수소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소가스 배출구(B)가 물 냉각부(20)의 물 수납부(21) 내부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KR2020110008674U 2011-09-27 2011-09-27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KR200458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74U KR200458720Y1 (ko) 2011-09-27 2011-09-27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74U KR200458720Y1 (ko) 2011-09-27 2011-09-27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720Y1 true KR200458720Y1 (ko) 2012-03-07

Family

ID=5367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674U KR200458720Y1 (ko) 2011-09-27 2011-09-27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2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8-06 구본민 수소수 생성장치
KR101190779B1 (ko) 2012-02-29 2012-10-12 구본민 수소수 생성장치
WO2014025079A1 (ko) * 2012-08-10 2014-02-13 Jang Hyun Duk 용존 수소수 제조 및 멸균장치
KR20160054094A (ko) * 2014-11-05 2016-05-16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기
KR20240019428A (ko) 2022-08-04 2024-02-14 방보혁 수소수 생성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18Y1 (ko) 2005-07-12 2005-10-04 김영귀 알카리환원수를 제공하는 수소환원수기 필터구조
KR200413957Y1 (ko) 2006-02-03 2006-04-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성수 유출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18Y1 (ko) 2005-07-12 2005-10-04 김영귀 알카리환원수를 제공하는 수소환원수기 필터구조
KR200413957Y1 (ko) 2006-02-03 2006-04-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성수 유출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이온정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02B1 (ko) 2012-02-29 2012-08-06 구본민 수소수 생성장치
KR101190779B1 (ko) 2012-02-29 2012-10-12 구본민 수소수 생성장치
WO2013129798A1 (ko) * 2012-02-29 2013-09-06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수소수 생성장치
WO2014025079A1 (ko) * 2012-08-10 2014-02-13 Jang Hyun Duk 용존 수소수 제조 및 멸균장치
KR20160054094A (ko) * 2014-11-05 2016-05-16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기
KR102370092B1 (ko) * 2014-11-05 2022-03-07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기
KR20240019428A (ko) 2022-08-04 2024-02-14 방보혁 수소수 생성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720Y1 (ko) 생수 또는 정수된 물을 수소수로 전환하는 장치
CN105858826A (zh) 供水装置杀菌方法
CN105399234A (zh) 一种多功能家用净水机
CN102701503B (zh) 全自动直饮冷热纯净水机
CN105858945A (zh) 杀菌系统
KR101299995B1 (ko) 세정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정수 및 이온수 제공 장치
CN104556511B (zh) 一种模块化式工艺可变型直饮水系统
KR101902450B1 (ko) 정수기
KR101744021B1 (ko) 수소수 정수기
CN204251425U (zh) 全自动多功能自来水机
KR20140139182A (ko) 수소수 온도 조절이 가능한 수소수 공급 장치
CN209668969U (zh) 一种部分循环式家用净水装置以及家用纯水机
CN105948298A (zh) 净水机系统
KR101299687B1 (ko) 이온수 생성시스템
CN204675903U (zh) 净水机及饮水设备
KR102299619B1 (ko) 직수형 정수기
CN215049402U (zh) 一种便捷式水处理装置
CN204434410U (zh) 一种模块化式工艺可变型直饮水系统
CN211813764U (zh) 一种结构紧凑的净水热水两用机
CN215559649U (zh) 自净式净饮机
CN212457386U (zh) 一种步进式开饮机
KR20140027619A (ko) 이온수 생성시스템
CN214128152U (zh) 多功能气泡水机
KR102040685B1 (ko) 수처리장치
KR100644947B1 (ko) 이온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