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925B1 - 기능성 정수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925B1
KR101467925B1 KR1020120052673A KR20120052673A KR101467925B1 KR 101467925 B1 KR101467925 B1 KR 101467925B1 KR 1020120052673 A KR1020120052673 A KR 1020120052673A KR 20120052673 A KR20120052673 A KR 20120052673A KR 101467925 B1 KR101467925 B1 KR 101467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line
storage tank
functional
function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726A (ko
Inventor
구본민
Original Assignee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구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구본민 filed Critical 현대아쿠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9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수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성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으며 냉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조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2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능수를 생성한 후 제3 공급라인을 통해 저수조로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생성부와; 상기 기능수 생성부 후단에 형성되어 기능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능수의 기능성 가스 용적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 2 연결관에는 제3 공급라인의 직경보다 작은 홀을 형성한 압력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저수조에서 냉각된 기능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공급부;로 이루어져 있어, 압력부에 압력밸브를 형성해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압력부를 제1, 2 연결관으로 분기시켜 압력밸브에 의해 공급량이 적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정수기{Function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기능수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성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력부에 압력밸브를 형성해 수소가스, 산소가스 등이 포함되어 있는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압력부를 제1, 2 연결관으로 분기시켜 압력밸브에 의해 공급량이 적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부를 통해 물을 정수하여 원수를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적합한 형태로 여과하여 이용한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이온수나 알칼리수, 연수와 같은 기능성 용수를 제조하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능성 용수를 제조하기 위한 정수기를 살펴보면, 기존의 필터부, 저수조의 구성에 수소발생기 또는 산소발생기를 더 부착하고 이를 저수조에 반복적으로 순환시켜 사용자가 수소가 포함된 수소정수 또는 산소가 포함된 산소정수를 음용하거나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용수를 위한 정수기는 저수조에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에 포함된 수소 또는 산소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저수조에 저장된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를 반복적으로 수소발생기 또는 수소발생기로 순환시킴으로써 소음 및 전력소비량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저수조는 공기와 수소정수 또는 산소정수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균번식이 번식하여 오히려 몸에 해로운 물을 공급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으며 냉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조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2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능수를 생성한 후 제3 공급라인을 통해 저수조로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생성부와; 상기 기능수 생성부와 저수조 사이의 제3 공급라인에 형성되되, 제3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수가 분기될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2 연결관에는 제3 공급라인의 직경보다 작은 홀을 형성한 압력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저수조에서 냉각된 기능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으며 냉각부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조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2 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능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부와; 상기 기능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기능수를 제3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기능수가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한 후 제5 공급라인을 통해 기능수 저수조로 이동시키는 믹서기와; 상기 기능수 생성부와 믹서기 사이의 제3 공급라인 또는 믹서기와 저수조 사이의 제5 공급라인에 형성되되 제3 공급라인 또는 제5 공급라인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수가 분기될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2 연결관에는 제3 공급라인 또는 제5 공급라인의 직경보다 작은 홀을 형성한 압력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저수조에서 냉각된 기능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압력부는 양 측면으로 Y자형 분기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Y자형 분기관 사이에는 피팅에 의해 결합하는 압력밸브를 포함하는 제1, 2 연결관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저수조에는 온수공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저수조에는 기능수 생성부와 믹서기를 연결하는 제2 공급라인으로 정수된 물 및 기능수를 순환할 수 있는 제6 공급라인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력부에 압력밸브를 형성해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압력부를 제1, 2 연결관으로 분기시켜 압력밸브에 의해 공급량이 적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변형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우선, 필터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관(도면에 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부(10)는 다수의 필터, 예컨대, 1, 2, 3차 또는 1, 2, 3, 4차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사항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저수조(20)는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L1)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형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저수조(20)의 외측에는 냉각부(C1)가 구비되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능수 생성부(30)는 상기 필터부(10)에서 정화된 물을 제2 공급라인(L2)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용전되어 있는 기능수를 생성한 후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저수조(20)로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수 생성부(30)는 전기분해를 위한 구성 또는 전기석과 물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가스필터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부(40)는 상기 기능수 생성부(30)와 저수조(20) 사이의 제3 공급라인(L3)에 배치되어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부(40)는 도 4에서와 같이 제3 공급라인(L3) 사이에 Y자형 분기관(B)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Y자형 분기관(B) 사이에는 각각 제1, 2 연결관(41, 42)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연결관(41, 42) 에는 압력밸브(43)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밸브(43)는 제1, 2 연결관(41, 42)에 삽입된 후 피팅(P)에 의해 결합하며, 이때에, 압력밸브(43)는 도 5에서와 같이 내부에 직경이 0.5 ∼ 2.0mm 사이인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서는 홀(h)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수의 홀(h)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수조(20)에는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공급부(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20)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부(H)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온수공급부(H)를 형성할 경우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온수탱크(HK)를 더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수도와 같은 원수로부터 물이 필터부(10)로 이동되어 다수의 필터링을 거쳐 정화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정화된 물의 일부는 제1 공급라인(L1)을 통해 저수조(20)로 이동되어 저장되고, 일부의 정화된 물은 제2 공급라인(L2)을 거쳐 기능수 생성부(30)로 이동되어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수가 생성된다.
한편, 상기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기능수는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다시 저수조(20)로 이동되어 저수조(20)에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 공급라인(L3)에 압력부(40)가 설치되어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수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기능수의 기능성 가스용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기능수는 단순히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물에 용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물에 잘 용전될 수 있도록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는 압력밸브(43)를 이용하여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생성된 기능수가 미세홀(h)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기능성 가스가 오랫동안 물에 녹아있을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압력밸브(43)를 사용하게 되면 기능수 생성부(30)에서 저수조(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압력부(40)를 제1, 2 연결관(41, 42)으로 분기시킨 후 각각의 제1, 2 연결관(41, 42)에 압력밸브(43)를 피팅(P)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용적률이 높은 다량의 기능수를 저수조(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Y자형 분기관(B)을 이용하여 2개소로 분기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 이상으로 확장하여 분기함으로써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우선, 필터부(10a)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수도관(도면에 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부(10a)는 다수의 필터, 예컨대, 1, 2, 3차 또는 1, 2, 3, 4차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사항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저수조(20a)는 상기 필터부(10a)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L1)으로부터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형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저수조(20a)의 외측에는 냉각부(C1)가 구비되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기능수 생성부(30a)는 상기 필터부(10a)에서 정화된 물을 제2 공급라인(L2)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용전되어 있는 기능수를 생성한 후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믹서기(50a)로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수 생성부(30a)는 전기분해를 위한 구성 또는 전기석과 물의 필터링을 위한 필터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가스필터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믹서기(50a)는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기능수를 공급받아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인 후 제5 공급라인(L5)을 통해 기능수를 저수조(20a)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믹서기(50a)는 내부에 다수의 종이를 구겨넣은 형태의 필터 또는 실로 이루어진 필터형태 등 물이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수조(20a)로 이동한 정수된 물 및 기능수를 제3 공급라인(L3)으로 순환시켜 저수조(20a)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기능성 가스용적률을 높이기 위해 제6공급라인(L6)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압력부(40a)는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압력부(40a)는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한 기능수의 용적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기능수 생성부(30a) 이후에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기능수 생성부(30a)와 믹서기(50a)를 연결하는 제3 공급라인(L3)에 형성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믹서기(50a)와 저수조(20a)를 연결하는 제5 공급라인(L5)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부(40a)는 도 5에서와 같이 Y자형 분기관(B)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Y자형 분기관(B) 사이에는 각각 제1, 2 연결관(41a, 42a)을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연결관(41a, 42a) 에는 압력밸브(4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밸브(43a)는 제1, 2 연결관(41a, 42a)에 삽입한 후 피팅(P)에 의해 결합하며, 이때에, 압력밸브(43a)는 도 6에서와 같이 내부에 직경이 0.5 ∼ 2.0mm 사이인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서는 홀(h)이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수의 홀(h)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수조(20a)에는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공급부(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20a)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부(H)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온수공급부(H)를 형성할 경우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온수탱크(HK)를 더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수도와 같은 원수로부터 물이 필터부(10a)로 이동되어 다수의 필터링을 거쳐 정화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정화된 물의 일부는 제1 공급라인(L1)을 통해 저수조(20a)로 이동되어 저장되고, 일부의 정화된 물은 제2 공급라인(L2)을 거쳐 기능수 생성부(30a)로 이동되어 수소 또는 산소가 포함되어 있는 기능수가 생성된다.
한편,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기능수는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다시 저수조(20a)로 이동되어 저수조(20a)에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 공급라인(L3) 또는 제5 공급라인(L5)에 압력부(40a)가 설치되어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수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기능수의 기능성 가스용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기능수는 단순히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물에 용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물에 잘 용전될 수 있도록 미세홀(h)이 형성되어 있는 압력밸브(43a)를 이용하여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기능수가 미세홀(h)을 통과하면서 다수의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가 오랫동안 물에 녹아있을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압력밸브(43a)를 사용하게 되면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저수조(20a)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작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압력부(40a)를 제1, 2 연결관(41a, 42a)으로 분기시킨 후 각각의 제1, 2 연결관(41a, 42a)에 압력밸브(43a)를 피팅(P)에 의해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용적률이 높은 다량의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용적률이 높은 기능수는 믹서기(50a)로 이동되어 다시 한번 용적률이 높아진 상태에서 저수조(20a)로 공급되어 사용자가 양질의 기능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Y자형 분기관(B)을 이용하여 2개소로 분기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소 이상으로 확장하여 분기함으로써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다.
L1 : 제1 공급라인 L2 : 제2 공급라인 L3 : 제3 공급라인
L4 : 제4 공급라인 L5 : 제5 공급라인 L6 : 제6 공급라인
10, 10a : 필터부
20, 20a : 저수조
30, 30a : 기능수 생성부
40, 40a : 압력밸브
41, 41a : 제1 연결관 42, 42a : 제2 연결관 43, 43a : 압력밸브
B : Y자형 분기관 P : 피팅
50a : 믹서기
100, 100a : 기능성 정수기

Claims (5)

  1.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10);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L1)으로부터 공급받으며 냉각부(C1)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조(20);
    상기 필터부(10)에서 정수된 물을 제2 공급라인(L2)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능수를 생성한 후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저수조(20)로 기능수를 공급하는 기능수 생성부(30);
    상기 기능수 생성부(30)와 저수조(20) 사이의 제3 공급라인(L3)에 형성되되,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수가 분기될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41, 42)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2 연결관(41, 42)에는 제3 공급라인(L3)의 직경보다 작은 홀(h)을 형성한 압력밸브(43)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40);
    상기 저수조(20)에 연결되어 저수조(20)에서 냉각된 기능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공급부(C);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정수기.
  2.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필터부(10a);
    상기 필터부(10a)에서 정수된 물을 제1 공급라인(L1)으로부터 공급받으며 냉각부(C1)를 포함하고 있는 저수조(20a);
    상기 필터부(10a)에서 정수된 물을 제2 공급라인(L2)으로부터 공급받아 수소가스 또는 산소가스를 포함하는 기능수를 생성하는 기능수 생성부(30a);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에서 생성된 기능수를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공급받아 기능수가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한 후 제5 공급라인(L5)을 통해 기능수 저수조(20a)로 이동시키는 믹서기(50a);
    상기 기능수 생성부(30a)와 믹서기(50a) 사이의 제3 공급라인(L3) 또는 믹서기(50a)와 저수조(20a) 사이의 제5 공급라인(L5)에 형성되되 제3 공급라인(L3) 또는 제5 공급라인(L5)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수가 분기될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41a, 42a)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 2 연결관(41a, 42a)에는 제3 공급라인(L3) 또는 제5 공급라인(L5)의 직경보다 작은 홀(h)을 형성한 압력밸브(43a)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40);
    상기 기능수 생성부(30)와 저수조(20) 사이의 제3 공급라인(L3)에 형성되되, 제3 공급라인(L3)을 통해 이동하는 기능수가 분기되어 저수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2 연결관(41, 42)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1, 2 연결관(41, 42)에는 제3 공급라인(L3)의 직경보다 작은 홀(h)을 형성한 압력밸브(43)를 포함하고 있는 압력부(40);
    상기 저수조(20a)에 연결되어 저수조(20a)에서 냉각된 기능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 공급부(C);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정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40, 40a)는 양 측면으로 Y자형 분기관(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Y자형 분기관(B) 사이에는 피팅(P)에 의해 결합하는 압력밸브(43, 43a)를 포함하는 제1, 2 연결관(41, 42, 41a 42a)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정수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 20a)에는 온수공급부(H)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정수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a)에는 기능수 생성부(30a)와 믹서기(50a)를 연결하는 제3 공급라인(L3)으로 정수된 물 및 기능수를 순환할 수 있는 제6 공급라인(L6)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기능성 정수기.
KR1020120052673A 2012-05-17 2012-05-17 기능성 정수기 KR101467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73A KR101467925B1 (ko) 2012-05-17 2012-05-17 기능성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673A KR101467925B1 (ko) 2012-05-17 2012-05-17 기능성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26A KR20130128726A (ko) 2013-11-27
KR101467925B1 true KR101467925B1 (ko) 2014-12-02

Family

ID=4985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673A KR101467925B1 (ko) 2012-05-17 2012-05-17 기능성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9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291U (ja) * 1991-11-22 1993-06-15 祥司 豊田 オゾン混合装置
JP2008105026A (ja) * 2006-09-29 2008-05-08 Minami Kyushu Noki Hanbai Kk 農業用溶存酸素水製造装置
KR20110004001A (ko) * 2009-07-07 2011-01-13 오승환 나노버블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순환식 위생안전 정수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59326Y1 (ko) *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291U (ja) * 1991-11-22 1993-06-15 祥司 豊田 オゾン混合装置
JP2008105026A (ja) * 2006-09-29 2008-05-08 Minami Kyushu Noki Hanbai Kk 農業用溶存酸素水製造装置
KR20110004001A (ko) * 2009-07-07 2011-01-13 오승환 나노버블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 순환식 위생안전 정수제조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59326Y1 (ko) * 2010-11-24 2012-03-22 구자명 수소수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726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897B2 (ja) 水素水製造装置
ITCO20100003A1 (it) "sistema generatore di idrogeno per un combustore catalitico ad idrogeno"
KR101467925B1 (ko) 기능성 정수기
CN204298171U (zh) 一种家用净水装置
CN204529505U (zh) 一种净水热水器
CN103822014B (zh) 多功能滤水龙头
KR101190779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101171302B1 (ko) 수소수 생성장치
CN104161456A (zh) 直饮水机
KR101467918B1 (ko) 기능성 정수기
CN108771987B (zh) 一种高浓度臭氧水的制造设备
CN205275386U (zh) 野外救灾、消防净水系统
CN104355428A (zh) 一种活性健康水二次供水系统
JP2008157346A (ja) 車両用水素供給システム
CN201296653Y (zh) 卧式臭氧发生器
KR101316012B1 (ko) 살균포트 내장형 정수기
CN201250131Y (zh) 一种快速拆装的净化水用紫外灯筒
CN102616975A (zh) 一种适用于多种水质的能量水机
CN206739594U (zh) 一种超滤净水热水器
CN202835768U (zh) 一种电热开水器
CN101723330A (zh) 卧式臭氧发生器
JP2010042331A (ja) 圧力スイング吸着法によるオゾン製造装置を搭載し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
CN104176710A (zh) 水冷式臭氧发生器
CN203797140U (zh) 多功能滤水龙头
CN213216520U (zh) 一种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