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482B1 -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 Google Patents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482B1
KR101739482B1 KR1020150082659A KR20150082659A KR101739482B1 KR 101739482 B1 KR101739482 B1 KR 101739482B1 KR 1020150082659 A KR1020150082659 A KR 1020150082659A KR 20150082659 A KR20150082659 A KR 20150082659A KR 101739482 B1 KR101739482 B1 KR 10173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uangchil
dendropanax
weigh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068A (ko
Inventor
조웅현
Original Assignee
조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웅현 filed Critical 조웅현
Priority to KR102015008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48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의 유효 성분이 용출된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 황칠과 초석잠을 세절(細切) 및 혼합하고, 가수(加水) 및 가열하여, 황칠과 초석잠 유효 성분의 동반 용출을 유도한 후, 고형물을 여과함으로써, 음용이 용이하고 약리 효과가 보강된 황칠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황칠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용출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황칠 자체의 건강 증진 효과 뿐 아니라, 복합된 초석잠의 효능 보강을 통하여, 진통 및 혈압 강하 등 특화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STACHYS SIEBOLDII COMPOUNDED DENDROPANAX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AND DENDROPANAX EXTRACT MANUFACTURED B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칠의 유효 성분이 용출된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 황칠과 초석잠을 세절(細切) 및 혼합하고, 가수(加水) 및 가열하여, 황칠과 초석잠 유효 성분의 동반 용출을 유도한 후, 고형물을 여과함으로써, 음용이 용이하고 약리 효과가 보강된 황칠 추출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는 한반도 남부 해안 및 도서 지역에서 자생하는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활엽교목으로서, 약재로는 황칠(黃漆)로도 불리며, 잎은 물론 줄기 및 뿌리도 약용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황칠은 혈행(血行) 개선과 두통 완화 등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 등을 채취하여 건조한 후, 탕약(湯藥) 형태로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14-28422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4-28422호를 비롯한 종래의 황칠 약용법은 통상의 한약재와 같이, 일단 황칠을 건조하여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약재를 형성한 후, 이를 물과 혼합하여 가열함으로써 탕약으로 가공하는 것인 바, 복잡한 공정이 소요될 뿐 아니라, 황칠의 유효 성분에 대한 충분한 용출이 유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황칠나무와 같이 식물의 전체 부위가 약재로 활용될 수 있는 교목 식물의 특성을 무시한 채 전통적인 한약재의 약용법 즉, 건물(乾物) 약재를 기초로 하는 탕약 제조법을 답습함에서 기인한 것으로, 황칠의 우수한 약리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는 한계를 야기한다.
또한, 황칠 자체에는 혈행 개선 등 건강 전반의 개선효과는 충분하나, 종래기술에서는 황칠 단일 재료를 단순 가공하여 약용하는 바, 특정 질환 또는 병증에 특화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을 수세한 후 황칠 입상체로 절단하는 황칠 세절단계(S11)와, 초석잠을 초석잠 입상체로 절단하는 초석잠 세절단계(S12)와, 물 70중량%와 상기 황칠 입상체 20중량%와 상기 초석잠 입상체 1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S20)와, 상기 혼합물을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60시간 내지 70시간 동안 비등 상태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30)와,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추출액을 형성하는 여과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황칠 추출액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황칠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용출된 황칠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황칠 자체의 건강 증진 효과 뿐 아니라, 복합된 초석잠의 효능 보강을 통하여, 진통 및 혈압 강하 등 특화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습윤 상태의 원재료를 고온 고압으로 가열하여 고농도 추출액을 형성함으로써, 추출액의 효능은 물론 보존성 역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소량 복용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유통 및 보관상 편의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재료인 황칠을 수세한 후 황칠 입상체(粒狀體)로 절단하는 황칠 세절단계(S11)로 개시된다.
황칠 세절단계(S11)에서는 채취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수세(水洗)함과 동시에 불순물 및 협잡물을 제거하고, 후술할 가열단계(S30)에서 약리 성분의 충분한 용출이 가능하도록 황칠 입상체(粒狀體)로 세절(細切)한다.
이러한, 황칠 세절단계(S11)는 황칠의 습윤상태 즉, 비건조 생초(生草)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세절 가공을 통하여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구성하는 조직을 파단함으로써 일층 용이한 약리 성분의 용출이 가능하게 된다.
황칠 세절단계(S11)의 수행과 동시에, 본 발명의 복합 재료인 초석잠(草石蠶)을 수세하고 불순물 및 협잡물을 제거한 후 초석잠 입상체로 절단하는 초석잠 세절단계(S12)가 수행된다.
석잠풀로도 불리는 초석잠은 통화식물목 광대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꽃,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한 전초(全草)가 약재로서 사용된다.
초석잠은 진통 및 혈압 강하 효과가 우수한 약재로서, 본 발명의 주 재료인 황칠의 기초 건강 증진 효과와 결합되면서, 그 효과가 극대화되어, 각종 급, 만성 질환에 특화된 약리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황칠 세절단계(S11)와 초석잠 세절단계(S12)가 완료되면, 물 70중량%와, 상기 황칠 입상체 20중량%와, 상기 초석잠 입상체 1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S20)가 수행된다.
이후, 배합단계(S20)에서 형성된 혼합물을 압력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60시간 내지 70시간 동안 비등(沸騰) 상태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30)가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혼합물은 반액반고상(半液半固狀)의 유동체로 변화한다.
즉, 세절되어 섬유질 조직이 파단 및 와해된 원재료를 고온, 고압으로 가열함으로써, 조직내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용출된 유동체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어서,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추출액을 형성하는 여과단계(S40)가 수행됨으로써, 황칠 및 초석잠의 유효 성분이 고농도로 용출된 복합 황칠 추출액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듯, 형성된 본 발명의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은 여타의 황칠 탕약에 비하여 고농도의 성상을 가지므로, 소량 복용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존성 또한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S11 : 황칠 세절단계
S12 : 초석잠 세절단계
S20 : 배합단계
S30 : 가열단계
S40 : 여과단계

Claims (2)

  1.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황칠을 수세한 후 황칠 입상체로 절단하는 황칠 세절단계(S11)와;
    초석잠을 초석잠 입상체로 절단하는 초석잠 세절단계(S12)와;
    물 70중량%와 상기 황칠 입상체 20중량%와 상기 초석잠 입상체 1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배합단계(S20)와;
    상기 혼합물을 밀폐용기에 투입하여 60시간 내지 70시간 동안 비등 상태로 가열하는 가열단계(S30)와;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추출액을 형성하는 여과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KR1020150082659A 2015-06-11 2015-06-11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KR10173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59A KR101739482B1 (ko) 2015-06-11 2015-06-11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59A KR101739482B1 (ko) 2015-06-11 2015-06-11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68A KR20160146068A (ko) 2016-12-21
KR101739482B1 true KR101739482B1 (ko) 2017-05-24

Family

ID=5773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659A KR101739482B1 (ko) 2015-06-11 2015-06-11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4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68A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831B1 (ko) 공융용매를 포함하는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체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N103623031B (zh) 一种金花葵酒的生产方法
CN102304501A (zh) 一种复合酶制剂及其用于提取植物多糖的应用和方法
CN104258193A (zh) 一种治疗神经衰弱和预防老年痴呆症的药物组合物
CN102835508B (zh) 一种枸杞绿茶饮料
CN102715313A (zh) 一种蒲公英虫草茶
CN105660888B (zh) 一种山茶油复方制品及其制备方法
KR20180119772A (ko) 니파 야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니파 야자 추출물
CN102994309B (zh) 银杏高粱酒及银杏高粱健身酒
CN102217691A (zh) 桑叶姜枣茶
CN103636821B (zh) 一种具有平肝清火调节内分泌功效的米糠油
KR101739482B1 (ko)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초석잠 복합 황칠 추출액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KR101623540B1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액상차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002825B (zh) 富含α-亚麻酸、杜仲有效成分的杜仲软胶囊的制备方法
CN103222469B (zh) 一种使用酶解法生产苦参碱水剂的方法
CN105147899A (zh) 一种保胃护肝解酒制剂及其应用
CN103960424A (zh) 一种凉茶及其制备工艺
KR101739483B1 (ko) 한련초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련초 복합 황칠 추출액
KR101739478B1 (ko) 여주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주 복합 황칠 추출액
CN103494966A (zh) 一种清肝明目的夏枯草及其制备方法
CN103719434B (zh) 一种块菌茶及其制备方法
CN106479842A (zh) 一种海参酒制作方法
KR20160146065A (ko) 그라비올라 복합 황칠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황칠 추출액
KR20150108653A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용 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