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107B1 -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107B1
KR101739107B1 KR1020150119067A KR20150119067A KR101739107B1 KR 101739107 B1 KR101739107 B1 KR 101739107B1 KR 1020150119067 A KR1020150119067 A KR 1020150119067A KR 20150119067 A KR20150119067 A KR 20150119067A KR 101739107 B1 KR101739107 B1 KR 10173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frame
coupl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644A (ko
Inventor
남순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2015011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1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를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안치대의 도어 개방시 도어가 상부로 들리면서 개방되게 되어 상,하부에 위치하여 조립된 안치단 및 다른 도어에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회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Door hinges and Enshrinement case with hinged door ensconced}
본 발명은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를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안치대의 도어 개방시 도어가 상부로 들리면서 개방되게 되어 상,하부에 위치하여 조립된 안치단 및 다른 도어에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시신을 화장한 후 남은 유골을 분말 형태로 분쇄한 다음 그 분쇄된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함체나 용기 형태의 봉안함에 넣고, 그 봉안함과 위패를 다시 옥외 또는 옥내로 설치되는 봉안단 안치대나 납골묘에 안치하여 참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봉안단이나 납골묘가 시대적인 추세이다.
그에 따라 분말 형태의 유골을 넣도록 하는 여러 형태의 봉안함과, 그 봉안함이 안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봉안단 안치단 및 납골묘 등이 안출되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봉안단으로 모셔진 분말 형태의 유골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 및 변질되면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대기오염은 물론 그와 관련된 시설 등이 훼손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419313호 "봉안함 안치단"이 제안된바 있다.
즉, 특허등록 제10-419313호는 일면이 개방된 다수의 수용공간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봉안함 및 각종 유품이 안치되도록 하고, 개방부에는 기밀을 위한 패킹 및 투명창을 결합하여 외측에서 봉안함 및 유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며, 수용공간부의 일측부에는 가스가 주입되는 가스주입부 및 양방향 밸브를 형성하여 수용공간부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수용공간부에 안치된 봉안함이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 별도의 석재나 인조석 또는 금속재의 마감도어를 장착할 경우에는 봉안단 안치단 및 투명창을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봉안함 안치단은 참배용 소품이나 제사용품 등을 올려놓기 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소품들을 납골당의 바닥에 늘어놓거나 별도의 탁자 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1136호 "봉안함 안치단의 전면마감 도어장치"가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651136호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면 개방되는 도어의 하단에 위치한 도어의 상부가 개방된 도어의 하단 내측을 침범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단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하단의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의 도어를 닫은 후 개방시켜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부에 위치한 도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힌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봉안단이 수납되는 안치대의 결합공간 하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안치대의 결합공간에 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결속시 봉안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에 도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급격하게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도어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회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본체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부로 돌출되게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안착 고정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정부재에 고정 형성되되, 상부에는 곡선면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이 힌지축이 형성된 하단에는 지지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연결부의 힌지축이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지지축보다 직경이 큰 결속공이 형성된 회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결속되어 연결부의 연결부재 상부에 형성된 곡선면을 따라 동작하는 가이드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면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봉안단이 결속되고,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가 설치된 본체프레임부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힌지수단과, 상기 도어를 결속 및 해지시키는 잠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사각 형상이 되도록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 후면 상부와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 후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전, 후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힌지수단은 본체프레임부의 수직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도어가 설치되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수직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부로 돌출되게 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는 고정부의 고정부재에 고정 형성되되, 상부에는 곡선면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이 힌지축이 형성된 하단에는 지지축이 형성된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연결부의 힌지축이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연결부의 지지축보다 직경이 큰 결속공이 형성된 회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결속되어 연결부의 연결부재 상부에 형성된 곡선면을 따라 동작하는 가이드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면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본체프레임부의 수직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잠금몸체에 결속 및 해지되는 걸림구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수평프레임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도어의 내측 하단에 위치되게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판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결속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어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열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부에 위치한 도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힌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봉안단이 수납되는 안치대의 결합공간 하단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안치대의 결합공간에 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결속시 봉안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에 도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급격하게 개방되면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도어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요부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결합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보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요부확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결합 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힌지수단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100)는 봉안함이 수용되는 봉안단(102)이 안치되고, 정면은 도어(104)에 의해 커버되는 본체프레임부(110)와,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와 도어(104)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104)를 개폐시키는 도어힌지수단(210)과,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에 설치되어 도어(104)를 잠금/해지시키는 잠금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부(110)는 수직 및 수평으로 조립하여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봉안단(102)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이 격자 모양으로 서로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형상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을 격자 모양으로 서로 조립함으로써, 봉안단(102)이 수납될 수 있도록 다층으로 복수의 수납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112)의 전, 후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114), 즉 전, 후부에 구비된 각각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이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양측 끝단부가 외측부로 절곡되고, 이 절곡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수직프레임(112)에 결합 고정되는 연결프레임(11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이 서로 격자 모양으로 결합 고정되어 전, 후부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가 연결프레임(116)에 의해 안전하게 간격이 유지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116)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되, 연결프레임(116)의 상부에 위치되게 수평프레임(114)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8)는 탄성력을 갖도록 중앙이 상부를 향하도록 돌출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봉안단(102)을 수납시키게 되면 지지부재(118)의 가이드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때 지지부재(118)의 상부를 가압하면서 수납되게 되어 봉안단(102)은 지지부재(118)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수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봉안단(10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제작되어 일측이 개방되고, 이 개방부에 플랜지가 설치되며, 이 플랜지에는 투명유리로 이루어진 덮개가 구비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봉안단(102)은 통상적인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힌지수단(210)은 본체프레임부(110)의 수직프레임(112)에 설치되는 고정부(212)와, 상기 고정부(212)에 설치되는 연결부(220)와, 상기 연결부(220)에 일측이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도어(104)가 결합 고정되는 회동부(2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힌지수단(210)의 연결부(220)는 고정부(212)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고정부(212)와 연결부(220)를 각각 분리하여 별도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고정부(212)와 연결부(220)가 분리된 상태를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12)는 본체프레임부(110)의 정면에 구비된 수직프레임(112)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214)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214)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고정부재(2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220)는 일측에 고정부(212)의 고정부재(216)가 안착되어 볼트나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단턱(222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면(222b)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양단 외측으로 돌출되게 힌지축(224)이 구비되고, 이 힌지축(224)이 형성된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지지축(226)이 형성된 연결부재(22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230)는 측면부에 힌지축(224)이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홀(232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232a)의 하단부에는 지지축(22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결속공(232b)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연결부재(222)의 곡선면(222b)에 안착되어 곡선면(232b)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234)이 형성된 회동부재(2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32)에 형성된 가이드홀(232a)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회동부재(232)의 일측단부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면이 형성되며, 이 절곡면에는 보조판(236)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이 보조판(236)에는 도어(104)가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4)를 개방시키게 되면 회동부재(232)에 구비된 가이드축(234)이 연결부재(222)의 곡선면(222b)을 따라 회동하고, 가이드축(234)이 곡선면(222b)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부재(232)에 형성된 가이드홀(232a)은 힌지축(224)의 가이드에 의해 이동하게 되어 회동부재(232)는 상부로 상승하면서 회전하여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22)의 양측부 중 일측부에는 도어(104)가 결합 고정된 회동부재(232)의 가이드홀(232a)과 결속공(232b)에 각각 힌지축(224)과 지지축(226)이 결속되게 결합 고정되고, 연결부재(222)의 타측면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이웃하는 도어(104)가 결속되는 회동부재(232)가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프레임부(110)에 격자 모양으로 형성된 수납공간 각각에 도어(104)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판(236)에는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의 결속돌기(236a)가 형성되되, 이 결속돌기(236a)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도어(104)에는 보조판(236)에 형성된 결속돌기(236a)가 결속되는 결속홈(104a)이 형성되며, 이 결속홈(104a)이 결속돌기(236a)에 결속되도록 하여 보조판(236)에 도어(104)를 결속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판(236)는 결속돌기(236a) 없이 평면으로 형성하여 도어(104)에 나사 결합, 접착 등의 결합 방법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4)의 열고 닫는 도어(104)의 반복적인 동작과 충격 등에 의해 도어(104)가 보조판(236)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310)는 본체프레임부(110)의 수직프레임(112) 상부에 설치되되,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부(212) 중 어느 하나의 고정부(212) 상단부에 위치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잠금몸체(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잠금몸체(312)가 설치된 방향의 도어(104)에는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부에 잠금몸체(312)에 결속/해지되는 걸림구(316)가 형성된 플레이트(3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잠금몸체(312)는 원터치 방식으로 플레이트(314)에 형성된 걸림구(316)가 고정 또는 해지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잠금몸체(312)는 통상적인 기술로, 이에 대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4)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4)를 누르게 되면 잠금몸체(312)에 결속된 걸림구(316)가 해지되게 되고, 한번 더 누르게 되면 걸림구(316)는 잠금몸체(312)에 결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의 수평프레임(114)에 설치되되, 도어(104)의 하단에 위치되게 탄성부재(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10)는 일측부가 절곡 형성되고, 이 절곡부는 수평프레임(114)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며, 타측부는 도어(104)의 내측부에 탄성력을 갖도록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114)에 결합 고정된 타측 끝단부는 도어힌지수단(210)의 지지축(226)을 기준으로 하부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04)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탄성부재(410)의 끝단부가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도어(104)의 하단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어(104)의 개방시에는 도어(104)가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도어(104)의 하단부가 상부로 회전할 때 탄성부재가(410)가 상부로 회전하는 도어(104)의 하단 상부를 탄성지지 하여 도어(104)가 서서히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4)를 개방시킬 때 도어(104)가 급격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104)의 개방시 급격한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도어(104)가 파손되거나 파손된 도어(104)에 의해 사람의 신체에 상해를 입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100)는 먼저, 수직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4) 및 연결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진 본체프레임부(110)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격자 모양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본체프레임부(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봉안함이 안착되는 봉안단(102)을 본체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수납시킬 때 지지부재(118)가 가이드하여 용이하게 봉안단(102)이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의 수납공간에 봉안단(102)을 수납시킨 상태에서는 지지부재(118)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의 수납공간에 수납 고정된 봉안단(102)의 내측에 봉안함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104)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어(104)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4)의 상단부를 누르게 되면 잠금몸체(312)에 결속된 걸림구(316)가 해지되게 되어 도어(104)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104)의 상부를 파지 후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104)에 결합 고정된 회동부재(232)가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32)가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동부재(232)에 구비된 가이드축(234)은 연결부재(222) 상부에 형성된 곡선면(222b)의 안내에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가이드홀(232a)에 결속된 힌지축(224)의 안내에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232)가 회동할 때 안내하는 곡선면(222b)과 가이드홀(232a)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회동부재(232)가 회전할 때 상부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지지축(226)이 결속되는 결속공(232b)은 지지축(226)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속공(232b)에서 지지축(226)이 유동 가능하게 되어 회동부재(232)가 상부로 상승할 때 지지축(226)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4)가 결합 고정된 회동부재(232)가 연결부재(222)에 형성된 곡선면(222b)의 안내 및 힌지축(224)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하단에 위치한 도어(104)에 걸림 없이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104)가 개방될 때 탄성부재(410)에 의해 급격하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104)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 8c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104)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면 도어(104)가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지축(226)을 중심으로 도어(104)의 하단 내측면을 지지하는 탄성부재(410)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04)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104)의 개방시 발생하는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104)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222)에 형성된 힌지축(224)에 결속된 가이드홀(232a)의 안내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 회동부재(232)가 어느 정도 회전하게 되면 회동부재(232)에 구비된 가이드축(234)이 연결부재(222)의 곡선면(222b)에 진입함과 동시애 이 곡선면(222b)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동부재(232)가 상부로 하부로 하강하면서 도어(104)가 닫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04)의 상부에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면 잠금몸체(312)에 걸림구(316)가 결속되면서 도어(10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104)를 열고 닫는 동작을 수행할 때 도어힌지수단(210)의 회동부(230)가 연결부(220)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함으로써, 하단에 위치한 또 다른 도어(104)에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도어(104)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와 같이 상기 도어(104)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개인단 또는 부부단, 가족단 등에 맞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수납공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납공간의 한 칸에 맞도록 도어(104)를 사용하고, 두 개의 수납공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수납공간에 맞도록 도어(104)를 사용하여 두개의 수납공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프레임부(110)의 수납공간을 각각 사용하여 개인단으로 사용하다가 부부단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납공간의 두 칸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두 칸의 수납공간에 맞도록 도어(104)를 제작 설치하여 부부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방치되는 공간이 없이 안치대(100) 전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치대(100)를 가족단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수납공간의 칸 수에 맞도록 도어(104)를 제작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봉안단 안치대 102 : 봉안단
104 : 도어 110 : 본체프레임부
112 : 수직프레임 114 : 수평프레임
116 : 연결프레임 118 ; 지지부재
210 : 도어힌지수단 212 : 고정부
214 : 고정판 216 : 고정부재
220 : 연결부 222 : 연결부재
222a : 단턱 222b : 곡선면
224 : 힌지축 226 : 지지축
230 : 회동부 232 : 회동부재
232a : 가이드홀 232b : 결속공
234 : 가이드축 236 : 보조판
236a : 결속돌기 310 : 잠금부
312 : 잠금몸체 314 : 플레이트
316 : 걸림구 410 : 탄성부재

Claims (17)

  1. 본체프레임부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되, 상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원호 형상의 곡선면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이 힌지축이 형성된 하단에는 지지축이 형성된 연결부재; 및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힌지축이 결합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축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공이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면을 따라 동작하는 가이드축이 구비되고, 일측에 도어가 설치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면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
  7. 봉안단이 결속되고, 정면을 커버하는 도어가 설치된 본체프레임부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힌지수단과,
    상기 도어를 결속 및 해지시키는 잠금부로 구성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수단은 본체프레임부의 수직프레임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구비되되, 상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는 원호 형상의 곡선면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이 힌지축이 형성된 하단에는 지지축이 형성된 연결부재;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힌지축이 결합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지지축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속공이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곡선면을 따라 동작하는 가이드축이 구비되고, 상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곡면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에 결합 고정되는 보조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판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쌍의 결속돌기가 형성되어 도어에 형성된 결속홈에 결속되어 도어가 설치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사각 형상이 되도록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 후면 상부와 하부에 결합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 후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전, 후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본체프레임부의 수직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잠금몸체에 결속 및 해지되는 걸림구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부의 수평프레임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도어의 내측 하단에 위치되게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힌지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17. 삭제
KR1020150119067A 2015-08-24 2015-08-24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KR10173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67A KR101739107B1 (ko) 2015-08-24 2015-08-24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67A KR101739107B1 (ko) 2015-08-24 2015-08-24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44A KR20170023644A (ko) 2017-03-06
KR101739107B1 true KR101739107B1 (ko) 2017-05-25

Family

ID=5839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67A KR101739107B1 (ko) 2015-08-24 2015-08-24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29B1 (ko) * 2020-06-26 2021-04-15 (주)성지공간 납골 안치단의 전면도어
KR102240231B1 (ko) * 2020-06-26 2021-04-15 (주)성지공간 납골 안치단의 전면도어 조립구조
KR102342360B1 (ko) * 2021-08-30 2021-12-22 채상원 밀폐보관형 납골함을 갖춘 납골안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46B1 (ko) * 2005-10-17 2006-05-23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KR101001367B1 (ko) * 2010-01-14 2010-12-14 주식회사 명우산업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
KR101443265B1 (ko) * 2013-08-09 2014-09-22 (주)아름다운동산 납골함 보관장치용 전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846B1 (ko) * 2005-10-17 2006-05-23 주식회사 석정산업 조립식 납골함단
KR101001367B1 (ko) * 2010-01-14 2010-12-14 주식회사 명우산업 납골함 안치단용 여닫이문 구조
KR101443265B1 (ko) * 2013-08-09 2014-09-22 (주)아름다운동산 납골함 보관장치용 전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44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107B1 (ko) 도어 힌지 및 이를 이용한 봉안단 안치대
US9873549B2 (en) Container for mailing a package or a small parcel to be sent or to be received
US10662665B2 (en) Lift assembly for a spa cover
US9102427B2 (en) Multi-position hinge
JP2011057008A (ja) パーセルシェルフ構造
CN207626854U (zh) 一种气瓶柜
JP2015532849A (ja) マットレスカバー組立体及び方法
US20020163284A1 (en) Container with combination slide and pivot door
EP0229556A1 (fr) Ensemble d'éléments coordonnés permettant la transformation d'un véhicule de type mini-fourgon en auto-caravane
JP2017001462A (ja) ホーム安全柵組み込み式監視台装置
JP3211602U (ja) 施錠式宅配受け箱
JP3203484U (ja) 物品保管庫
PL1548215T3 (pl) Urządzenie sterowane dźwignią do mocowania drzwi w nadwoziach ciężarówek, przyczep i tym podobnych
CN213252719U (zh) 一种便于更换的灭火器箱体
JP2001349130A (ja) 保管庫
KR100648003B1 (ko) 음식물용기 보관대
JP7393129B2 (ja) 収容装置
JP2007076616A (ja) 車両の荷室構造
JP5511518B2 (ja) 収納装置
JP2002234537A (ja) 物品収納具
JP6754189B2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US7870984B2 (en) Housing with lid and kinematic frame
KR102168276B1 (ko) 안전 도어장치를 갖는 위험물 보관함
KR20150041833A (ko) 컨텐츠 공유장치
JP2019043300A (ja) 車両の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