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268B1 - 낙수 소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낙수 소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268B1
KR101737268B1 KR1020160029079A KR20160029079A KR101737268B1 KR 101737268 B1 KR101737268 B1 KR 101737268B1 KR 1020160029079 A KR1020160029079 A KR 1020160029079A KR 20160029079 A KR20160029079 A KR 20160029079A KR 101737268 B1 KR101737268 B1 KR 101737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buffer
water
pipe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형
Original Assignee
박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형 filed Critical 박순형
Priority to KR102016002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관리가 편리하고, 낙수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는 물론 부유물 및 애벌레의 수거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낙수 소음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낙수 소음 방지장치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에 결합되어 우수를 이동시키는 경사 배수관 및 수직 배수관과, 낙하하는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 그리고 이 집수정 내부에 장착되는 소음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 방지수단은,
집수정으로 수집할 때 발생하는 낙수의 1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고정타입의 제1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로부터 떨어지는 낙수의 2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승강타입의 제2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 및 제2 완충부에 배치되어 수분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부재 및 제2 완충부재; 상기 집수정에 수용되는 우수의 증감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2 완충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공기튜브;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승강을 돕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수 소음 방지장치{Noise prevention device of water drops}
본 발명은 우수(雨水)의 재활용을 통해 물부족 국가에서 벗어나고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면서, 집수정으로 우수를 수집할 때 낙수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낙수 소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수의 고갈 등 물부족현상이 곳곳에서 발생하게 되어 심각한 자연환경 파괴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당장 지하수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하는 형편이다. 특히, 최근 물부족국가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훌륭한 담수의 하나인 우수를 적절히 활용치 못한다는 것은 수자원의 낭비라할 수 있다.
이에, 이에, 기존 주택, 아파트, 빌딩, 전철 승강장 하부 등에 우수를 저장하는 시설인 우수 집수정을 만들고 우수를 배수관을 통해 수집한 후 재활용하게 된다.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떨어지는 오수는 대부분 수직상태로 직하하므로 집수정에 있는 수집된 오수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예컨대 아래의 특허문헌들은 오수 또는 우수들을 이동 및 수집할 때 발생하는 낙수소음을 방지하는 기술들로서, 이들은 아파트의 베란다에 사용되는 구조들로서 낙차가 없는 낙수의 소음을 방지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낙차가 큰 부분에서의 소음 방지에는 부적합한 것들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20-1996-0005414호 배수관용 낙수소음 방지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187호 소음방지를 위한 우수관용 삽입.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9782호 우수관용 소음방지구.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관리가 편리하고, 낙수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방지는 물론 부유물 및 애벌레의 수거를 통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낙수 소음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낙수 소음 방지장치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에 결합되어 우수를 이동시키는 경사 배수관 및 수직 배수관과, 낙하하는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 그리고 이 집수정 내부에 장착되는 소음 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소음 방지수단은,
집수정으로 수집할 때 발생하는 낙수의 1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고정타입의 제1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로부터 떨어지는 낙수의 2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승강타입의 제2 완충부; 상기 제1 완충부 및 제2 완충부에 배치되어 수분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부재 및 제2 완충부재; 상기 집수정에 수용되는 우수의 증감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2 완충부의 저면에 고정되는 공기튜브; 및 상기 제2 완충부의 승강을 돕는 기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수정 내부에 수집된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및 애벌레 등을 제2 완충부재에 수거하는 정화수단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낙수 소음 방지장치는 낙차가 크게 직하하는 우수의 충돌 소음을 방지하는 매우 간단 구조로서 경제성을 지니고 1차 완충부 및 2차 완충부를 통해 소음이 없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스펀지 소재의 제2 완충부는 필터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화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수거, 장구벌레의 박멸로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수 소음 방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 소음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의 직하 충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붕 또는 베란다 등으로부터 우수를 수집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ㄱ'자, 'Y'자, 'ㅏ'자 형상의 연결구(1)와, 이 연결구(1)에 결합되는 경사 배수관(21) 및 수직 배수관(22)과, 낙하하는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3) 그리고 이 집수정(3) 내부에 장착되는 소음 방지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소음 방지수단(4)은 집수정(3)으로 수집할 때 발생하는 낙수의 1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고정타입의 제1 완충부(41)와, 상기 제1 완충부(41)로부터 떨어지는 낙수의 2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승강타입의 제2 완충부(42)와, 상기 제1 완충부(41) 및 제2 완충부(42)에 배치되어 수분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부재(43) 및 제2 완충부재(43')와, 상기 집수정(3)에 수용되는 우수의 증감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2 완충부(43)의 저면에 고정되는 공기튜브(44) 및 상기 제2 완충부(42)의 승강을 돕는 기둥부(45)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 방지수단(4)의 기본 구성을 기초로 하는 일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둥부(45)는 받침대(451)의 중앙에 고정되는 하나의 제1 지지관(4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451)는 중량체로서 집수정(3)의 바닥에 놓이거나 통상적인 앙커볼트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완충부(41)는 상기 기둥부(45)의 제1 지지관(452)의 상부에 저면이 끼워져 결합되면서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용 관통공(411)이 천공되고 제1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1 받침용기(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받침용기(412)에 수용되는 스펀지 소재의 제1 완충부재(43)는 낙하하는 오수를 흡수한 후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오수를 이동시킨 후 제1 받침용기(412)의 관통공(411)으로 오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낙하하는 오수가 제1 완충부재(43)의 상부에 접촉될 때 모든 오수가 제1 완충부재(43)에 바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분산하므로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제1 받침용기(412)의 외벽은 제1 완충부재(43)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완충부(42)는 중앙에 상기 기둥부(45)의 제1 지지관(452)으로 끼워지는 중심구멍(421)이 천공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배수용 관통공(422)이 천공되며 제2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제2 받침용기(42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제1 완충부재(43) 및 제2 완충부재(43')의 교체가 집수정(3)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제2 완충부(42)가 저면에 부착된 공기튜브(44) 및 중앙에 있는 하나의 제1 지지관(452)의 도움으로 승강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소음 방지수단(4)의 기본 구성을 기초로 하는 다른 실시 예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둥부(45)는 받침대(451)의 사방에 고정되는 제2 지지관(4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451)는 중량체로서 집수정(3)의 바닥에 놓이거나 통상적인 앙커볼트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완충부(41)는 집수정(3)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하부가 관통되며 상광하협한 깔때기 형상이고 제1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제1 받침용기(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받침용기(412') 역시 오수가 제1 완충부재(43)에 바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는 분산하므로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제1 받침용기(412')의 외벽은 제1 완충부재(43)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완충부(42)는 사방에 기둥부(45)의 제2 지지관(452')으로 끼워지는 가이드구멍(424)이 천공되고 제2 완충부재(43')를 얹을 수 있는 판 형상의 받침판(42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425)에 얹히는 제2 완충부재(43')는 사방에 고정된 제2 지지관(452')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이탈이 방지되고, 제2 완충부재(43')에 흡수된 후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우수는 제2 받침판(425)의 사방으로 자연 낙하하여 집수정(3)에 수집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제1 완충부재(43)는 수직 배수관(22)을 상승시킨 후 제1 완충부재(43)를 교체하고, 제2 완충부재(43')는 집수정(3)의 내부에서 교체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제2 완충부(42)가 저면에 부착된 공기튜브(44) 및 사방에 있는 제2 지지관(452')의 도움으로 승강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낙하하는 오수의 충돌 소음의 장지는 물론 이물질, 부유물 및 장구벌레(애벌레)를 수거하여 더욱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정화수단(5)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정화수단(5)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집수정(3) 내부에 배치되는 수중펌프(51)와, 이 수중펌프(51)의 유수관(52) 입구는 부구(6)와 연결되어 상하이동하면서 수면의 오수를 유입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중펌프(51)의 출수관(53)은 상부로 연장되어 제2 완충부(42)의 상부로 오수를 배출하도록 하여 오수에 섞여있는 이물질 및 애벌레 등을 제2 완충부재(43')에서 수거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ㅏ'자 또는 'ㄱ'자 형상의 연결구(1)에 접속된 경사 배수관(21)으로 우수가 유입된 후 상기 연결구(1)에 접속된 수직 배수관(22)으로 우수가 낙하하면 집수정(3) 내부에 장착된 소음 방지수단(4)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 배수관(22)으로부터 낙하하는 오수는 소음 방지수단(4)의 제1 완충부(41)로 떨어져 제1 완충부(41)의 제1 받침용기(412, 412')에 수용된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부재(43)에 충돌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43)로 낙하된 오수는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충격에 의해 분산되면서 충돌 소음을 1차 감소시키게 되고, 제1 완충부재(43)에 흡수되는 오수는 자중에 의해 곧 하측으로 이동한 후 제2 용기(423)의 관통공(422) 또는 제2 받침판(425)의 테두리부분으로 낙하하여 하측에 위치한 제2 완충부(42)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2 완충부(42)는 제2 완충부재(43')의 도움으로 낙하한 오수의 2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오수를 흡수하고 오수는 역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 후 집수정(3)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소음 발생의 최소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오수가 집수정(3)가 연이어 수집되면 제2 완충부(42)는 공기튜브(44) 부력의 도움으로 상승하고 반대 집수정(3)에 수집된 오수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배수하면 수위가 하강하므로 다시 제2 완충부(42)는 공기튜브(44) 부력의 도움으로 하강하면서 항상 오수의 수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리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오수를 1차 통과시키는 제1 완충부(41)에서 이물질 등을 수거하게 되므로 상태를 확인하여 수시로 세척 또는 교체하면 된다.
그리고 집수정(3)에 모인 오수에 부유물 또는 장구벌레(에벌레) 등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정화수단(5)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정화수단(5)은 미도시된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수중모터(51)가 작동하면 부구(6)의 도움으로 오수의 수면과 일치하도록 승강하는 유수관(52)으로 오수와 함께 부유물 및 장구벌레 등이 유입되고 출수관(53)으로 배출되고, 상기 출수관(53)으로 배출된 부유물 및 장구벌레는 제2 완충부(42)의 제2 완충부재(43')에 걸러지므로 오수에 포함된 부유물 수거 및 장구벌레의 박멸이 가능하여 바이러스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 연결구 21: 경사 배수관
22: 수직 배수관 3: 집수정
4 : 소음 방지수단 5: 정화수단
6: 부구 41: 제1 완충부
42: 제2 완충부 43: 제1 완충부재
43': 제2 완충부재 44: 공기튜브
45: 기둥부 411: 관통공
412, 412': 제1 받침용기 421: 중심공
422: 관통공 423: 제2 받침용기
424: 가이드구멍 425: 받침판
451: 받침대 452: 제1 지지관
452': 제2 지지관 51: 수중모터
52: 유수관 53: 출수관

Claims (4)

  1. 연결구(1)와, 이 연결구(1)에 결합되어 우수를 이동시키는 경사 배수관(21) 및 수직 배수관(22)과, 낙하하는 우수를 수집하는 집수정(3) 그리고 이 집수정(3) 내부에 장착되는 소음 방지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소음 방지수단(4)은,
    집수정(3)으로 수집할 때 발생하는 낙수의 1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고정타입의 제1 완충부(41);
    상기 제1 완충부(41)로부터 떨어지는 낙수의 2차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승강타입의 제2 완충부(42);
    상기 제1 완충부(41) 및 제2 완충부(42)에 배치되어 수분을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부재(43) 및 제2 완충부재(43');
    상기 집수정(3)에 수용되는 우수의 증감에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제2 완충부(43)의 저면에 고정되는 공기튜브(44);
    상기 제2 완충부(42)의 승강을 돕는 기둥부(45); 및
    상기 집수정(3) 내부에 배치되되, 유수관(52) 입구는 부구(6)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면서 수면의 오수를 유입하도록 이루어지며, 출수관(53)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완충부(42)의 상부로 오수를 배출하여 오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 및 애벌레 등을 제2 완충부재(43')로 수거하는 정화수단(5)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수중펌프(5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 소음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45)는 받침대(451)의 중앙에 고정되는 제1 지지관(4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부(41)는 기둥부(45)의 제1 지지관(452)의 상부에 결합되고 바닥에 다수의 관통공(411)을 천공되며 제1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제1 받침용기(4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완충부(42)는 중앙에 기둥부(45)의 제1 지지관(452)으로 끼워지는 중심구멍(421)이 천공되고 바닥에 다수의 관통공(422)이 천공되며 제2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제2 받침용기(4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 소음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45)는 받침대(451)의 사방에 고정되는 제2 지지관(4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부(41)는 집수정(3)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상광하협한 깔때기 형상이고 제1 완충부재(43)를 수용하는 제1 받침용기(4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완충부(42)는 사방에 기둥부(45)의 제2 지지관(452')으로 끼워지는 가이드구멍(424)이 천공되고 제2 완충부재(43')를 얹을 수 있는 판 형상의 받침판(4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 소음 방지장치.
  4. 삭제
KR1020160029079A 2016-03-10 2016-03-10 낙수 소음 방지장치 KR101737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79A KR101737268B1 (ko) 2016-03-10 2016-03-10 낙수 소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79A KR101737268B1 (ko) 2016-03-10 2016-03-10 낙수 소음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268B1 true KR101737268B1 (ko) 2017-05-17

Family

ID=5904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79A KR101737268B1 (ko) 2016-03-10 2016-03-10 낙수 소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2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74A (ko) * 2017-07-12 2019-01-22 박순형 결빙 방지형 배수관 연결구
CN109403429A (zh) * 2018-11-30 2019-03-01 苏州新区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防噪音供水水箱及屋面结构
KR102076940B1 (ko) * 2019-08-23 2020-02-12 (주)보선워터텍 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15487986A (zh) * 2021-06-17 2022-12-20 刘芳芳 一种用于园林水景噪音控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68A (ja) * 2006-06-30 2008-01-17 Tsuneo Kondo 雨水収集装置
KR100935102B1 (ko) * 2009-09-21 2010-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1122764B1 (ko) * 2010-03-18 2012-03-07 주식회사 솔라비 부유 오염물질 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068A (ja) * 2006-06-30 2008-01-17 Tsuneo Kondo 雨水収集装置
KR100935102B1 (ko) * 2009-09-21 2010-01-06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1122764B1 (ko) * 2010-03-18 2012-03-07 주식회사 솔라비 부유 오염물질 수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74A (ko) * 2017-07-12 2019-01-22 박순형 결빙 방지형 배수관 연결구
KR102037574B1 (ko) * 2017-07-12 2019-10-28 박순형 결빙 방지형 배수관 연결구
CN109403429A (zh) * 2018-11-30 2019-03-01 苏州新区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防噪音供水水箱及屋面结构
KR102076940B1 (ko) * 2019-08-23 2020-02-12 (주)보선워터텍 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15487986A (zh) * 2021-06-17 2022-12-20 刘芳芳 一种用于园林水景噪音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268B1 (ko) 낙수 소음 방지장치
US8034236B1 (en) Storm water filter system having a floating skimmer apparatus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EP3551805B1 (en) Waste collection device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JP2013504418A (ja) 雨水濾過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HU223433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víztömeg által vitt úszó szennyezők elválasztására
KR101608197B1 (ko)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1611507B1 (ko) 해상 처분장에 설치되는 집수관 및 집수관 설치방법
KR101580996B1 (ko) 수면 부상식 편의시설물
CN210917658U (zh) 一种垂直式深层雨水调蓄收集结构
JP2016044390A (ja) 浸透システム
CN108286259A (zh) 一种软土地基基坑降水装置
KR101773801B1 (ko) 우수받이 오물유입 방지장치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CN111622331B (zh) 一种渗透式自动复位雨水弃流井
CN109305731A (zh) 一种多级水面浮油吸收分离装置
CN207313272U (zh) 一种多级水面浮油吸收分离装置
FI56716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uppsugning av regnvatten i jordmaonen
CN107143022B (zh) 雨水多功能接收井
KR101672313B1 (ko)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87178B1 (ko) 우수처리장치
KR100617844B1 (ko) 우수용 집수장치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KR102554951B1 (ko) 초기빗물 배제 및 여과처리가 가능한 빗물이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