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58B1 -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 Google Patents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58B1
KR101735658B1 KR1020170024497A KR20170024497A KR101735658B1 KR 101735658 B1 KR101735658 B1 KR 101735658B1 KR 1020170024497 A KR1020170024497 A KR 1020170024497A KR 20170024497 A KR20170024497 A KR 20170024497A KR 101735658 B1 KR101735658 B1 KR 10173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coupled
rear wheel
rotary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란
Original Assignee
(주)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성 filed Critical (주)호성
Priority to KR102017002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바퀴 및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바를 포함하는 핸들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구동부가 구비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바디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1후방바퀴가 구비되는 좌패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2후방바퀴가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A NON-POWERED TREE CIRCLE KICKBOARD}
본 발명은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행되도록 할 수 있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바퀴가 구비되는 발판에 한 발을 얹고 다른 발로 땅을 구르며 대략 1m 높이의 손잡이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신종 레포츠 기구이고, 이는 킥보드, 푸시스쿠터, 롤러보드, 롤러스쿠터, 킥스쿠터보드라고도 하는데, 국내에서는 이 기구를 처음 개발한 K2의 모델 이름인 킥보드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여 고유 명사가 된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제동에 있어서 바퀴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므로, 두 발을 딛고 서있는 상태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것인데, 빠른 속도로 진행할 때에는 균형을 잡으면서 동시에 풋 브레이크를 밟아야 하는 것이므로 운동신경이 다소 부족한 탑승자에게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리서클 킥보드가 개발되었고, 상기 트리서클 킥보드는 바퀴 3개가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바퀴가 2개인 종래의 킥보드와 비교하여 더욱 안정된 자세로 주행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정지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23337 호에는 트리서클 킥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설명하자면, 트리서클 킥보드의 발판부분의 구조를 개선하여 트리서클 킥보드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높낮이 조절 가능한 핸들(1); 앞바퀴(2)를 지지하고 상기 바퀴 외측으로 돌출된 캐리어손잡이를 구비한 바퀴지지부재; 상기 핸들(1)과 상기 바퀴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핸들(1)과 상기 바퀴지지부재를 고정 및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1 접이부재(3); 상기 제1 접이부재(3)에 연결된 제2 접이부재(4); 'ㄷ'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2 접이부재(4)와 연결되는 'ㄷ'자 링크(5); 일측이 상기 'ㄷ'자 링크(5)의 일 끝단과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일측이 상기 'ㄷ'자 링크(5)의 다른 끝단과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일측이 상기 제1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어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 링크; 일측이 상기 제2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어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2 링크; 상기 제1-2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며 뒷바퀴와 연결되는 제1-3 링크; 상기 제2-2 링크의 타측과 연결되며 뒷바퀴와 연결되는 제2-3 링크; 상기 제1-3 링크의 상부에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발판; 및 상기 제2-3 링크의 상부에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트리서클 킥보드를 휴대 및 보관하기 용이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점만을 개시하고 있으며, 킥보드의 주행에 도움이 되거나 브레이크 등을 변형하여 주행이나 정지 상태에 도움이 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 10-1603435 호에는 킥보드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킥보드를 설명하자면, 킥보드를 구성하는 핸들 및 바퀴축 사이에 장착된 완충기구를 이용하여 주행시 노면의 굴곡을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양 핸들에 좌, 우 유동성을 부여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킥보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탑승자의 손동작에 의해 방향 전환 및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들과, 이 핸들을 유지하기 위한 접속 프레임과, 탑승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 프레임과, 주행을 위한 2개의 앞바퀴 및 1개의 뒷바퀴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접속 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회동축(6) 및 상기 회동축(6)의 외주 둘레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케이싱(7)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6)의 하단부 양측에는 양 끝단부에 각각 앞바퀴(8a)가 장착된 바퀴축(8)이 끼워져 설치되는 브라켓(9)이 연이어져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부 내측에는 스프링이 조립된 작동봉(9a)을 바퀴축(8)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퀴축(8)에 결속되어 있는 브라켓(9)의 양측에는 와셔 및 고정링이 장착되어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브라켓(9)의 양 끝단부 사이에는 간격유지봉(9b)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회동축의 하단부 내측에 스프링이 조립된 작동봉을 구비하여 완충 기능을 갖도록 하는 점만이 개시되어 있으며, 킥보드의 주행에 도움이 되거나 브레이크 등을 변형하여 주행이나 정지 상태에 도움이 되는 구성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23337 호(2016.03.03.) 등록특허공보 제 10-1603435 호(2016.03.08.) 등록특허공보 제 10-1374020 호(2014.03.06.) 등록특허공보 제 10-1321957 호(2013.10.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킥보드가 전진되도록 할 수 있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바퀴 및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바를 포함하는 핸들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디, 상기 연결바디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구동부가 구비되는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바디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구동부가 구비되는 하부바디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1후방바퀴가 구비되는 좌패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2후방바퀴가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상부바디 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상부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 일단은 상기 제1랙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피니언기어; 및 일단은 상기 제2랙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타단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패달부는, 일단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3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 및 일단에는 상기 제3베벨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4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후방바퀴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3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타단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우패달부는, 일단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5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회전축; 일단에는 상기 제5베벨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6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7베벨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5회전축; 및 일단에는 상기 제7베벨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8베벨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후방바퀴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6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상기 하부바디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 및 제2스프라켓;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과 제2스프라켓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는 체인; 일단이 상기 체인의 좌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3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핀; 및 일단이 상기 체인의 우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결합핀과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4관통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핀의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핀의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디와 상부바디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연결바디의 상면으로부터 195 ~ 235° 각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상부바디의 상면으로부터 135 ~ 165°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는 상기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클러치베어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의 측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수단; 상기 브레이크수단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수단을 상기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와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과 접촉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패달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좌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브레이크수단과 상기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2브레이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브레이크수단 및 제2브레이크수단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의하면,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가 서로 교차로 움직이도록 연동됨으로써, 좌패달부를 굴러주는 힘에 의해 우패달부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우패달부를 굴러주는 힘에 의해 좌패달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주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하부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브레이크부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행되도록 할 수 있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는, 핸들축(11), 상기 핸들축(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바퀴(12) 및 상기 핸들축(11)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바(13)를 포함하는 핸들부(10), 상기 핸들축(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디(21), 상기 연결바디(21)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구동부(23)가 구비되는 상부바디(22), 상기 상부바디(22)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바디(21)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구동부(25)가 구비되는 하부바디(24)를 포함하는 몸체부(20), 상기 몸체부(20)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23) 및 제2구동부(25)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1후방바퀴(31)가 구비되는 좌패달부(30) 및 상기 몸체부(20)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23) 및 제2구동부(25)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2후방바퀴(41)가 구비되는 우패달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는 상기 제1구동부(23) 및 제2구동부(25)에 상호 연동되어 결합됨으로써, 서로 교차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좌패달부(30)를 굴러 상기 좌패달부(3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우패달부(4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우패달부(40)를 굴러 상기 우패달부(4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좌패달부(30)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디(21)가 결합되는 핸들축(11)은 상기 연결바디(21)와 직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연결바디(21) 방향으로 5 ~ 15°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21)가 결합되는 핸들축(11)이 15° 각도 이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핸들바(13)의 회전에 따른 트리서클 킥보드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핸들축(11)의 경사각은 최대 15°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연결바디(21)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핸들축(11)의 상부에 구비되는 핸들바(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바디(21)와 상부바디(22)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연결바디(21)의 상면으로부터 195 ~ 235° 각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바디(22)와 하부바디(24)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상면으로부터 135 ~ 165°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디(21) 및 하부바디(24)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바디(22)는 지면으로부터 135 ~ 165° 각도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2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20)를 연결바디(21), 상부바디(22) 및 하부바디(24)로 나누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연결바디(21), 상부바디(22) 및 하부바디(24)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몸체부(20)의 제작 방법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상부바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몸체부의 하부바디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7c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몸체부의 상부바디에 구비되는 제1구동부(23)는, 상기 상부바디(22) 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상부바디(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제1랙기어(23b) 및 제2랙기어(23c), 일단은 상기 제1랙기어(2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23f)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피니언기어(23d) 및 일단은 상기 제2랙기어(23c)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23g)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피니언기어(23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피니언기어(23d)의 타단 및 제2피니언기어(23e)의 타단에는 각각 제1삽입홈(23da) 및 제2삽입홈(23e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좌패달부(30)는, 일단은 상기 제1삽입홈(23da)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32a)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32),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32a)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3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3베벨기어(33b)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33) 및 일단에는 상기 제3베벨기어(33b)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4베벨기어(34a)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후방바퀴(31)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3회전축(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패달부(40)는, 일단은 상기 제2삽입홈(23ea)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5베벨기어(42a)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회전축(42), 일단에는 상기 제5베벨기어(42a)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6베벨기어(4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7베벨기어(43b)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5회전축(43) 및 일단에는 상기 제7베벨기어(43b)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8베벨기어(44a)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후방바퀴(41)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6회전축(4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좌패달부(30)의 제1후방바퀴(31) 및 상기 우패달부(40)의 제2후방바퀴(41)는 각각 상기 제3회전축(34) 및 제6회전축(4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본 발명의 트리서클 킥보드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3회전축(34) 및 제6회전축(44)은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20)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30)와 상기 몸체부(20)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40)를 각각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는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에 클러치베어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는, 상기 제3회전축(34) 및 제6회전축(44)이 본 발명의 트리서클 킥보드가 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만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회전축(34) 및 제6회전축(44)이 본 발명의 트리서클 킥보드가 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부의 하부바디에 구비되는 제2구동부(25)는, 상기 제2구동부(2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상기 하부바디(24)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25b) 및 제2스프라켓(25c), 상기 제1스프라켓(25b)과 제2스프라켓(25c)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25b)과 제2스프라켓(25c)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는 체인(25d), 일단이 상기 체인(25d)의 좌측에 대칭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24)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3관통홈(25g)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핀(25e) 및 일단이 상기 체인(25d)의 우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핀(25e)과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24)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4관통홈(25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핀(25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핀(25e)의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3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핀(25f)의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4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구동부(25)는, 상기 제1결합핀(25e)과 제2결합핀(25f)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좌패달부(30)를 굴러주는 경우 상기 제1결합핀(25e)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결합핀(25f)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우패달부(4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우패달부(40)를 굴러주는 경우 상기 제2결합핀(25f)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결합핀(25e)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좌패달부(3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좌패달부(30)와 우패달부(40)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의 브레이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에는 상기 트리서클 킥보드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부(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부(50)는,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의 측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수단(51), 상기 브레이크수단(51)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수단(51)을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와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 및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51)과 접촉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패달(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수단(51)은 상기 좌패달부(30)에 구비되는 제1브레이크수단(51)과 상기 우패달부(40)에 구비되는 제2브레이크수단(51)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브레이크수단(51) 및 제2브레이크수단(51)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레이크패달(53)이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에 패달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에 의해 동작됨으로써,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의 회전을 정지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패달(53)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10)의 핸들바(13)에 구비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브레이크패달(53)의 형상은 일반적인 자전거에 구비되는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패달부와 몸체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우패달부를 교차로 굴러줌으로써, 좌패달부 및 우패달부에 구비되는 제1후방바퀴 및 제2후방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주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핸들부 11 : 핸들축
12 : 전방바퀴 13 : 핸들바
20 : 몸체부 21 : 연결바디
22 : 상부바디 23 : 제1구동부
23b : 제1랙기어 23c : 제2랙기어
23d : 제1피니언기어 23da : 제1삽입홈
23e : 제2피니언기어 23ea : 제2삽입홈
23f : 제1관통홈 23g : 제2관통홈
24 : 하부바디 25a : 제2구동부
25b : 제1스프라켓 25c : 제2스프라켓
25d : 체인 25e : 제1결합핀
25f : 제2결합핀 25g : 제3관통홈
25h : 제4관통홈
30 : 좌패달부 31 : 제1후방바퀴
32 : 제1회전축 32a : 제1베벨기어
33 : 제2회전축 33a : 제2베벨기어
33b : 제3베벨기어
34 : 제3회전축 34a : 제4베벨기어
40 : 우패달부 41 : 제2후방바퀴
42 : 제4회전축 42a : 제5베벨기어
43 : 제5회전축 43a : 제6베벨기어
43b : 제7베벨기어
44 : 제6회전축 44a : 제8베벨기어
50 : 브레이크부 51 : 브레이크수단
52 : 탄성부재 53 : 브레이크패달

Claims (10)

  1. 핸들축(11), 상기 핸들축(11)의 하단에 결합되는 전방바퀴(12) 및 상기 핸들축(11)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바(13)를 포함하는 핸들부(10);
    상기 핸들축(11)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바디(21), 상기 연결바디(21)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구동부(23)가 구비되는 상부바디(22) 및 상기 상부바디(22)의 일단에서 상기 연결바디(21)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구동부(25)가 구비되는 하부바디(24)를 포함하는 몸체부(20);
    상기 몸체부(20)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23) 및 제2구동부(25)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1후방바퀴(31)가 구비되는 좌패달부(30); 및
    상기 몸체부(20)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부(23) 및 제2구동부(25)와 연결되며 후방에 제2후방바퀴(41)가 구비되는 우패달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23)는,
    상기 상부바디(22) 내부의 좌측 및 우측에 상기 상부바디(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구비되는 제1랙기어(23b) 및 제2랙기어(23c);
    일단은 상기 제1랙기어(23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23f)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피니언기어(23d); 및
    일단은 상기 제2랙기어(23c)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23g)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피니언기어(23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피니언기어(23d)의 타단에는,
    제1삽입홈(23da)이 형성되고,
    상기 좌패달부(30)는,
    일단은 상기 제1삽입홈(23da)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1베벨기어(32a)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회전축(32);
    일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32a)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베벨기어(3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3베벨기어(33b)가 형성되며,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회전축(33); 및
    일단에는 상기 제3베벨기어(33b)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4베벨기어(34a)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후방바퀴(31)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3회전축(3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피니언기어(23e)의 타단에는,
    제2삽입홈(23ea)이 형성되고,
    상기 우패달부(40)는,
    일단은 상기 제2삽입홈(23ea)에 삽입되고, 타단에는 제5베벨기어(42a)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4회전축(42);
    일단에는 상기 제5베벨기어(42a)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6베벨기어(4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7베벨기어(43b)가 형성되며,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5회전축(43); 및
    일단에는 상기 제7베벨기어(43b)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8베벨기어(44a)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후방바퀴(41)의 중앙에 삽입되는 제6회전축(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25)는,
    상기 제2구동부(2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상기 하부바디(24)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25b) 및 제2스프라켓(25c);
    상기 제1스프라켓(25b)과 제2스프라켓(25c)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스프라켓(25b)과 제2스프라켓(25c)을 경유하도록 구비되는 체인(25d);
    일단이 상기 체인(25d)의 좌측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24)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3관통홈(25g)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핀(25e); 및
    일단이 상기 체인(25d)의 우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1결합핀(25e)과 대칭되는 위치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바디(24)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4관통홈(25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핀(25f);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핀(25e)의 타단은,
    상기 좌패달부(3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핀(25f)의 타단은,
    상기 우패달부(4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21)와 상부바디(22)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연결바디(21)의 상면으로부터 195 ~ 235° 각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바디(22)와 하부바디(24)가 갖는 경사각은,
    상기 상부바디(22)의 상면으로부터 135 ~ 165°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는,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에 클러치베어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의 측면과 접촉되는 브레이크수단(51);
    상기 브레이크수단(51)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브레이크수단(51)을 상기 제1후방바퀴(31) 및 제2후방바퀴(41)와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2); 및
    상기 좌패달부(30) 및 우패달부(40)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수단(51)과 접촉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브레이크패달(53);
    을 포함하는 브레이크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51)은,
    상기 좌패달부(30)에 구비되는 제1브레이크수단(51)과 상기 우패달부(40)에 구비되는 제2브레이크수단(5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브레이크수단(51) 및 제2브레이크수단(51)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KR1020170024497A 2017-02-24 2017-02-24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KR10173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97A KR101735658B1 (ko) 2017-02-24 2017-02-24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97A KR101735658B1 (ko) 2017-02-24 2017-02-24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658B1 true KR101735658B1 (ko) 2017-05-15

Family

ID=5873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97A KR101735658B1 (ko) 2017-02-24 2017-02-24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18307Y (zh) 2005-09-15 2006-09-20 徐裕贵 踏板往复式步行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18307Y (zh) 2005-09-15 2006-09-20 徐裕贵 踏板往复式步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KR101594767B1 (ko) 3­바퀴형 후방­조향 스쿠터
US9139252B2 (en) Dual drive sprocket pedal bike
US10315725B2 (en) Bicycle with rear drive assembly for elliptical movement
US20150054252A1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JP2002325878A (ja) 三輪スケータ
US20100295262A1 (en) Folding Steering Column for Elliptical Bike and Method of Use
US8540265B2 (en) Manually propelled scooter
KR101735658B1 (ko) 무동력 트리서클 킥보드
KR101010117B1 (ko) 후륜 조향식 자전거
CN111361674A (zh) 四轮转向机构
KR102298225B1 (ko) 핸들부에 동력구동장치가 설치된 자전거
CN213057358U (zh) 四轮转向机构
KR102353740B1 (ko) 리컴번트 자전거의 조향장치
JP2005193740A (ja) 多用途の三輪車
KR20120025098A (ko) 후륜 조향식 자전거
FI12184U1 (fi) Ajoneuvo
FI12179U1 (fi) Ajoneuvo
CN207617907U (zh) 一种多功能自行车
JP3239652U (ja) スクータ
KR101305315B1 (ko) 차량의 틸팅 및 조향장치
JPS6020552Y2 (ja) 乗用玩具
KR101281346B1 (ko) 자전거
KR101092248B1 (ko) 접이식 탈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