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090B1 -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090B1
KR101735090B1 KR1020150089954A KR20150089954A KR101735090B1 KR 101735090 B1 KR101735090 B1 KR 101735090B1 KR 1020150089954 A KR1020150089954 A KR 1020150089954A KR 20150089954 A KR20150089954 A KR 20150089954A KR 101735090 B1 KR101735090 B1 KR 10173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member
wall
rough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691A (ko
Inventor
유은종
이상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손상 없이 간단한 상세로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는 보 하부에 구비되는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하기 것으로, 상기 조적채움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적채움벽 상단에 밀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 일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1앵글부재; 상기 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 하단에 밀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의 상부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2앵글부재; 및 상기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과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1덧댐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masonry-infilled wall from falling sideward by out-of-plane force on wall using angles}
본 발명은 구조물의 손상 없이 간단한 상세로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라멘조 프레임에서는 상하 바닥층 사이에 비교적 시공이 간편한 비내력 조적채움벽을 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구조체와 조적채움벽의 연결부는 정밀한 시공이 어려워 면외 방향 하중에 취약하다. 따라서 지진하중 등에 의하여 면외 방향 하중이 상하 바닥층 사이에 수직으로 서 있는 조적채움벽에 작용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채움벽(2)이 면외 방향 거동에 의하여 갑작스러운 취성 파괴와 동시에 전도 붕괴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면외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부 보(1)와 조적채움벽(2) 사이에 도 2의 (a)에서와 같이 앵글을 설치하거나 도 2의 (b)에서와 같이 다월바를 설치하여, 상부 구조체와 조적채움벽(2)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면외 방향의 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기존 구조물에 앵커링 또는 천공 등에 의해 앵글이나 다월바를 정착시켜야 하므로 기존 구조물의 손상이 불가피하다.
아울러 기존 조적벽을 철거하고 철재 브레이싱을 설치하여 조적벽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공사 기간이 길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조적벽을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구속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보강철근 효과 및 구속 효과로 내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에 대한 기술이 있다(특허 제10-1027393호).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시공이 복잡하고 벽체 전 높이에 걸쳐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에 의하여 내부 공간 활용 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슬래브 상면에 관통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구조물을 철거하거나 구조물에 앵커링 또는 천공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구조물의 손상 없이 간단한 상세로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벽체 중앙에서 벽체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어 내부 공간 활용 면에서 효율적인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보 하부에 구비되는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하기 것으로, 상기 조적채움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적채움벽 상단에 밀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 일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1앵글부재; 상기 보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 하단에 밀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의 상부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제2앵글부재; 및 상기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과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1덧댐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적채움벽의 상단과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 또는 상기 보의 하단과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제2덧댐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덧댐판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제1덧댐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 타단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볼트공이 형성된 걸림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앵글부재의 지지판에는 상기 걸림판의 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볼트가 상기 제2앵글부재 외측에서 체결공을 관통하여 걸림판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체결공은 상하로 긴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일단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보의 하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판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앵글부재와 제2앵글부재가 각각 조적채움벽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1, 2앵글부재가 제1덧댐판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지지되므로, 구조물의 손상 없이 조적채움벽의 면외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구조물에 앵커링 또는 천공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조적채움벽의 내력 증가를 통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시공 상세가 간단하므로 시공성 향상이 가능하고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벽체 중앙에서 벽체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어 내부 공간 활용 면에서 효율적이다.
다섯째, 조적채움벽 상단과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 또는 보 하단과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제2덧댐판을 위치시키는 경우, 조적채움벽 상단과 제1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 또는 보 하단과 제2앵글부재의 안착판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섯째, 제1앵글부재 또는 제2앵글부재에 걸림판이 구비되어 제2앵글부재가 제1앵글부재 또는 보에 고정되는 경우, 제1덧댐판 삽입시 마찰에 의해 제2앵글부재가 밀려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면외 하중에 의하여 전도 가능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면외 하중에 의한 조적채움벽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덧댐판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조적채움벽의 정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덧댐판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는 보(1) 하부에 구비되는 조적채움벽(2)의 면외 전도를 방지하기 것으로, 상기 조적채움벽(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적채움벽(2) 상단에 밀착되는 안착판(31) 및 상기 안착판(31) 일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2)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32)으로 구성되는 제1앵글부재(3); 상기 보(1)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1) 하단에 밀착되는 안착판(41) 및 상기 안착판(41)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2)의 상부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2)으로 구성되는 제2앵글부재(4); 및 상기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에 개재되는 제1덧댐판(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적채움벽(2)은 상부슬래브 하부에 위치되는 보(1)와 하부슬래브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RC 골조 건축물 등에서 칸막이나 외벽의 치장 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앵글부재(3)와 제2앵글부재(4)는 안착판(31, 41)이 보(1)와 조적채움벽(2) 상부 사이에 위치되고, 지지판(32, 42)이 각각 조적채움벽(2)의 상부 양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1앵글부재(3)와 제2앵글부재(4)는 보(1)나 조적채움벽(2)에 별도로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1)나 조적채움벽(2)에 앵커링 또는 천공을 할 필요가 없어, 구조물의 손상 없이 조적채움벽(2)의 면외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할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는 조적채움벽(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배치할 수 있으며, 조적채움벽(2)의 전 길이에 걸쳐 하나의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배치할 경우, 하자 발생시 해당 제1, 2앵글부재(3, 4)와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1덧댐판(5)만 교체하면 되므로 관리 면에서 편리하다.
상기 제1덧댐판(5)은 상하로 위치되는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위치되어, 제1, 2앵글부재(3, 4)를 마찰력에 의하여 지지한다.
상기 제1덧댐판(5)은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 가능하며, 탄성 변형에 의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상면 또는 하면이나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상면 또는 하면에는 널링 처리 등으로 표면을 거칠게 하여, 보(1)나 조적채움벽(2)과의 접착면에서 슬라이딩이 일어나거나 제1덧댐판(5) 삽입시 앵글부재가 밀려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덧댐판(5)의 상면 또는 하면도 널링 처리 등으로 표면을 거칠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앵글부재, 즉 제1앵글부재(3)와 제2앵글부재(4)가 각각 조적채움벽(2)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1, 2앵글부재(3, 4)가 제1덧댐판(5)의 마찰력에 의해 서로 지지되므로, 구조물의 손상 없이 조적채움벽(2)의 내력 증가를 통하여 조적채움벽(2)의 면외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조적채움벽(2)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2앵글부재(3, 4) 및 제1덧댐판(5) 이외에 벽체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적채움벽(2)의 상단과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사이 또는 상기 보(1)의 하단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제2덧댐판(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앵글부재(3) 또는 제2앵글부재(4)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조적채움벽(2)과 제1앵글부재(3) 사이 또는 보(1)와 제2앵글부재(4)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면외 방향 거동에 대하여 제대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적채움벽(2)과 제1앵글부재(3) 사이 및/또는 보(1)와 제2앵글부재(4) 사이에 제2덧댐판(6)을 삽입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덧댐판(5)과 제2덧댐판(6)은 상호 동일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덧댐판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4의 (a)에서는 제1, 2앵글부재(3, 4) 사이에 제1덧댐판(5)이 구비되고, 도 4의 (b)에서는 제1덧댐판(5)에 더하여 보(1)의 하단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에 제2덧댐판(6)이 추가로 배치된다.
아울러 도 4의 (c)에서는 제1덧댐판(5)과 함께 조적채움벽(2)의 상단과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사이에 제2덧댐판(6)이 배치되고, 도 4의 (d)에서는 제1덧댐판(5)과 함께 보(1)의 하단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 및 조적채움벽(2)의 상단과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사이에 각각 제2덧댐판(6)이 배치된다.
도 3,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덧댐판(5)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한 층으로 제1덧댐판(5)을 위치시킬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제1덧댐판(5)을 상하로 적층시켜 보(1) 및 조적채움벽(2)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최후로 삽입되는 제1덧댐판(5)은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표면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복수 개 구비된 조적채움벽의 정면도이다.
상기 제1덧댐판(5)이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제1덧댐판(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금속판(5a)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여러 판의 제1덧댐판(5)을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에 삽입하는 경우, 처음에는 고무판(5b)을 비롯하여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제1덧댐판(5)을 삽입하고, 삽입 공간이 좁아지면 두께가 얇은 금속판(5a)을 삽입하여 복수의 제1덧댐판(5)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도 5의 (a) 내지 (d)를 참고하여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시공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제2덧댐판(6)이 구비되는 경우, 조적채움벽(2) 상단에 제2덧댐판(6)을 위치시키고(도 5의 (a)),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및 지지판(32)이 각각 제2덧댐판(6) 상부 및 조적채움벽(2)의 상부 일측면에 위치되도록 밀착시킨다(도 5의 (b)). 물론, 제2덧댐판(6)이 없는 경우에는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및 지지판(32)이 각각 조적채움벽(2) 상단 및 조적채움벽(2)의 상부 일측면에 위치되도록 밀착한다.
다음으로, 보(1) 하부에 제2덧댐판(6)을 위치시키는 한편,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및 지지판(42)이 각각 제2덧댐판(6) 하부 및 조적채움벽(2)의 상부 타측면에 위치되도록 밀착시킨다(도 5의 (c)). 이 경우에도 제2덧댐판(6)이 없는 경우에는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및 지지판(42)이 각각 보(1) 하부 및 조적채움벽(2)의 상부 일측면에 위치되도록 밀착시키면 된다.
마지막으로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제1덧댐판(5)을 위치시킨다(도 5의 (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는 조적채움벽(2)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소정 길이로 짧게 형성하여 여러 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타단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볼트공(331)이 형성된 걸림판(3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지지판(42)에는 상기 걸림판(33)의 볼트공(3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21)이 형성되어, 볼트(7)가 상기 제2앵글부재(4) 외측에서 체결공(421)을 관통하여 걸림판(33)의 볼트공(3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덧댐판(5)을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 마찰에 의해 제2앵글부재(4)가 뒤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제1앵글부재(3)에 걸림판(33)을 형성하고 제2앵글부재(4)를 제1앵글부재(3)에 볼트(7)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제2앵글부재(4)가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1)와 조적채움벽(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1앵글부재(3)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판(33)의 높이는 보(1)와 조적채움벽(2) 사이 공간보다 낮게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판(33)의 볼트공(331) 내주면에는 볼트(7)의 몸통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체결시킨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볼트(7)의 헤드가 제2앵글부재(4)의 지지판(42) 외측에 위치하고, 볼트(7)의 몸통이 체결공(421)을 관통하여 볼트공(331)의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제2앵글부재(4)가 제1앵글부재(3)에 고정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지지판(42)에 형성된 체결공(421)은 상하로 긴 장공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앵글부재(3)와 제2앵글부재(4)는 시공 오차 등의 원인으로 볼트공(331)과 체결공(421)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체결공(421)을 장공으로 구성하여 볼트(7) 결합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조적채움벽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일단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보(1)의 하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판(4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앵글부재(4)의 걸림판(43)을 보(1) 측면에 고정하여, 상기 제1, 2앵글부재(3, 4)의 안착판(31, 41) 사이에 제1덧댐판(5)을 삽입할 때 마찰에 의해 제2앵글부재(4)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1)와 제2앵글부재(4)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덧댐판(6)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면외 전도 방지 장치를 설치한 후에 면외 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1차적으로는 제2앵글부재(4)와 제1덧댐판(5)의 마찰에 의해, 2차적으로는 걸림판(43)이 보(1) 일측면에 지지되어 면외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1: 보 2: 조적채움벽
3: 제1앵글부재 31: 안착판
32: 지지판 33: 걸림판
331: 볼트공 4: 제2앵글부재
41: 안착판 42: 지지판
421: 체결공 43: 걸림판
5: 제1덧댐판 5a: 금속판
5b: 고무판 6: 제2덧댐판
7: 볼트 C: 기둥

Claims (7)

  1. 보(1) 하부에 구비되는 조적채움벽(2)의 면외 전도를 방지하기 것으로,
    상기 조적채움벽(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조적채움벽(2) 상단에 밀착되는 안착판(31) 및 상기 안착판(31) 일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2)의 상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32)으로 구성되는 제1앵글부재(3);
    상기 보(1)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보(1) 하단에 밀착되는 안착판(41) 및 상기 안착판(41) 타단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조적채움벽(2)의 상부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2)으로 구성되는 제2앵글부재(4); 및
    상기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에 개재되는 제1덧댐판(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조적채움벽(2)의 상단과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사이 또는 상기 보(1)의 하단과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제2덧댐판(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덧댐판(5)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4. 제3항에서,
    복수의 제1덧댐판(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금속판(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앵글부재(3)의 안착판(31) 타단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것으로 볼트공(331)이 형성된 걸림판(3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지지판(42)에는 상기 걸림판(33)의 볼트공(3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421)이 형성되어, 볼트(7)가 상기 제2앵글부재(4) 외측에서 체결공(421)을 관통하여 걸림판(33)의 볼트공(33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체결공(421)은 상하로 긴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앵글부재(4)의 안착판(41) 일단에는 상부로 수직 절곡되어 보(1)의 하부 일측면을 지지하는 걸림판(43)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KR1020150089954A 2015-06-24 2015-06-24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KR101735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954A KR101735090B1 (ko) 2015-06-24 2015-06-24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954A KR101735090B1 (ko) 2015-06-24 2015-06-24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91A KR20170000691A (ko) 2017-01-03
KR101735090B1 true KR101735090B1 (ko) 2017-05-12

Family

ID=5779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954A KR101735090B1 (ko) 2015-06-24 2015-06-24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799A (ko) * 2022-02-18 2023-08-28 주식회사 도화기술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20230124800A (ko) * 2022-02-18 2023-08-28 주식회사 도화기술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101B1 (ko) * 2020-10-21 2022-06-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칸막이벽체의 면외방향 전도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14B1 (ko) 2011-05-16 2011-12-07 비코비엔주식회사 절곡패널을 이용하여 보강된 조적조 및 절곡패널을 이용한 조적조 보강방법
KR101383814B1 (ko) 2012-11-05 2014-04-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314B1 (ko) 2011-05-16 2011-12-07 비코비엔주식회사 절곡패널을 이용하여 보강된 조적조 및 절곡패널을 이용한 조적조 보강방법
KR101383814B1 (ko) 2012-11-05 2014-04-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799A (ko) * 2022-02-18 2023-08-28 주식회사 도화기술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20230124800A (ko) * 2022-02-18 2023-08-28 주식회사 도화기술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102582701B1 (ko) * 2022-02-18 2023-09-26 주식회사 도화기술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102590550B1 (ko) * 2022-02-18 2023-10-18 주식회사 도화기술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91A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090B1 (ko) 앵글부재를 이용한 마찰형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KR101681079B1 (ko)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장치
KR101329420B1 (ko) 벽체 수직 분절형 에너지 소산 시스템
KR101681084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시스템
JP2009174236A (ja) 免制震補助具、その使用方法及び連結構造
JP6445925B2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6804714B2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KR102028889B1 (ko) 슬라이딩 레일 끼움 방식의 데크 조립 시스템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JP6329803B2 (ja) 床の防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床構造
JP6420954B2 (ja) 二重床用の支持脚及び二重床設備
JP6026794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20180052205A (ko) 내진 천장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SI23676A (sl) Sistem pritrditve masivnih ploĺ äś za protipotresno utrjevanje zgradb
KR102147710B1 (ko) 단독주택의 내진설계 보강용 구조물
JP4289271B2 (ja) 既存建物の制震改修方法
KR101921864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조립체
JP5953175B2 (ja) 振動抑制吊構造
JP6960601B2 (ja) 柱脚金物及びこの柱脚金物の施工方法
JP5042067B2 (ja) 防振床構造
JP2021028453A (ja) 制振装置及び制振耐力壁
JPH09125657A (ja) 床材支持具
KR101022713B1 (ko) 전장폼의 전도 방지장치
JP6998653B2 (ja) 段床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段床構造の施工方法
KR101486935B1 (ko) 금속제 장선을 이용한 마루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