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193B1 -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 Google Patents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193B1
KR101734193B1 KR1020100093439A KR20100093439A KR101734193B1 KR 101734193 B1 KR101734193 B1 KR 101734193B1 KR 1020100093439 A KR1020100093439 A KR 1020100093439A KR 20100093439 A KR20100093439 A KR 20100093439A KR 101734193 B1 KR101734193 B1 KR 10173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impeller
bobbin
magnet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824A (ko
Inventor
서인석
김기철
손정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193B1/ko
Priority to US13/640,449 priority patent/US9353724B2/en
Priority to PCT/KR2010/006666 priority patent/WO2011129499A1/en
Priority to CN201080067210.2A priority patent/CN102933775B/zh
Priority to EP10849903.9A priority patent/EP2558655B1/en
Priority to MYPI2012004577A priority patent/MY181151A/en
Priority to EP18154245.7A priority patent/EP3336266B1/en
Publication of KR2012003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에 사용되어 많은 발전량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바깥쪽에 위치는 보빈을 포함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 사이의 중간면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어링과,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연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발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전기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압을 이용하여 임펠러를 회전시켜 발전하는 소형 발전기로서 와류손에 대한 손실이 적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비데에 공급되는 전원을 도기 탱크로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발전하여 공급하기 위한 자가 발전식 비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데는 도기 탱크로 유입되는 물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거기서 나오는 전력을 비데에 사용하는 것이어서 발전량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비데에서 사용되는 발전기는 화장실의 배관으로 공급되는 수압으로 발전기를 돌리는 것인데, 이렇게 수압을 이용한 발전기의 구성으로는 도 1 과 같은 발전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발전기(10)는 입수구(12)및 출수구(13)를 포함하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20), 임펠러(20)에 연결되어 있는 축(30), 상기 축(30)에 밀착하여, 임펠러(20)가 있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물이 마그네틱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시일하는 시일부(17), 상기 축(30)을 통하여 임펠러(20)과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40, 회전자), 마그네틱을 둘러싸게 배치되어 있는 보빈(51, 고정자)을 포함한다.
이러한 발전기(10)는 입수구(12)를 통하여 물 공급원(15)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임펠러(20)가 회전하게 되며, 임펠러(20)가 회전됨으로써, 임펠러(20)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40)이 회전되어, 고정자인 코일 보빈(51)에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기(10)에서는 시일부(17)가 있어서, 임펠러(20)를 회전시키는 물이 마그네틱(40)쪽으로 유입되지 않으나, 회전되는 축(30)과 시일부(17)간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축의 회전에 간섭되는 요인이 발생하여,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전기가 발생하는 보빈(51)이 아닌 마그네틱(40)의 경우, 물에 닿더라도 발전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하우징(11)에서 축(30)이 관통하는 부분의 시일부(17)를 제거하고 보빈(51)으로의 물의 유입을 막는 하우징(16)을 형성하는 발전기가 개발되었다(도 2 참고). 그러나, 이렇게 하우징(11)을 구성하는 경우에, 마그네틱(40)과 보빈(51)사이에 하우징이 위치하게 되며, 또한, 하우징에는 내압(수압)이 걸리게 된다. 하우징의 내압을 견디기 위하여, 하우징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보빈(51)과 마그네틱(4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어서, 내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보빈(51)과 마그네틱(40)의 간격을 좁게 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형성된 하우징에 배치되게 되었다.
하지만, 하우징을 금속으로 만들게 되면, 얇은 두께로 내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는 하지만, 금속으로 인한 와류손의 손실로 인하여 발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와류손으로 인한 발전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데에 사용되어 많은 발전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바깥쪽에 위치는 보빈을 포함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 사이의 중간면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어링과,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연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발전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면에는 복수 개의 연통 구멍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연통 구멍은 1~1.5㎜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사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보빈과 사출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의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보빈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빈과 사출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보빈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 부분의 두께는 0.5 ~ 1㎜ 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의 바닥부의 두께는 2㎜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 상기 출수구는 발전기를 통과한 물이 2 이상으로 나눠져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출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출수구로부터의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분사 노즐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부에 설치된 비데 본체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바깥쪽에 위치는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 사이의 중간면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어링과,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연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비데를 제공한다.
또, 상기 분사 노즐은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와 상기 비데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 사이에 상기 비데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 노즐과 함께 상기 유로 전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수구는 화장실 배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수구는 도기 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제 1 출수로와 상기 분사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출수로로 분기될 수 있다.
또, 도기 탱크로의 제 1 출수로의 내경은 상기 분사 노즐로의 제 2 출수로의 내경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출수구에서 도기 탱크로의 유로 내경과 상기 분사 노즐로의 유로 내경의 비는 1: 1.2 ~ 5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전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내압에 대하여 안정성 있는 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에 사용되는 물 용량의 증대가 가능하여, 발전량이 증대된 비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수압을 이용한 발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의 발전기로부터 개량된 발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발전기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발전기가 사용된 비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 발전기로 물이 유입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발전기는 물(액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액체 혹은 기체)라면 본 발명의 발전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선,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발전기(100)의 사시도로서, 발전기(100)에서 덮개(110), 상부 하우징(111), 및 하부 하우징(150)은 서로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며, 상부 하우징 (111)은 입수구(112) 및 출수구(113)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11)의 출수구(113)는 제1출수로(114)와 제2출수로(115)로 분기되어 있으며, 발전기(100)를 통과한 물의 일부는 제1출수로(114)를 통하여 도기 탱크로 유출되며, 나머지는 제2출수로(115)를 통하여 비데 본체 내부로 흘러간다. 제 1 출수로 및 제 2 출수로에 대하여는 도 5 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에는 상기 도 3 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로서의 발전기(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덮개(110)와 상부 하우징(111)은 나사로 결합되며, 덮개(110)와 상부 하우징(111) 사이에는 시일(118)이 위치하여, 덮개(110)와 상부 하우징(111)사이의 틈새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고 있다. 상부 하우징(111)은 입수구(112)와 출수구(113, 도 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3 참고) 를 포함하며, 임펠러(120)가 장착된 회전축(130)이 관통하는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임펠러(120)가 위치하고 있으며, 임펠러(120)는 입수구(112)로부터의 수압을 받아서 회전할 수 있다. 입수구(112)로부터 유입된 물은 임펠러(120)를 회전시킨 후 출수구(113)로 유출된다.
상부 하우징(111)에서 회전축(130)이 관통하는 관통공(117)은 회전축(13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17)의 직경이 회전축(13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관통공(117)은 회전축(13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관통공(117)의 직경이 회전축(13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관통공(117)과 회전축(130) 사이의 틈으로, 임펠러(120)가 위치한 공간부(121)로부터의 물이 마그네틱(140)이 위치하는 하부 하우징(150)의 공간부(141)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임펠러(120)는 회전축(1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 방식으로 결합하고 있는데, 회전축(1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면,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 하우징(111)의 하방에는 하부 하우징(150)이 위치하고 있으며, 도 3 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50)은 나사로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50) 사이에는 시일(118)을 두어서,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50)사이의 틈새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고 있다.
하부 하우징(150)의 공간부(141)에는 회전축(130)에 연결된 마그네틱(140)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공간부(141)는,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1)의 공간부(118)와 연통하고 있어서, 발전기(1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이 공간부(141)도 물이 차게 된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150)의 공간부(141)에도 유입된 물로 인한 내압이 걸리게 된다.
마그네틱(140)은 회전축(1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120)의 회전으로 인하여, 임펠러(120)와 마그네틱(140)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 마그네틱(140)은 하부 하우징(150) 내부의 보빈(15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전축(130)과 결합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150)의 내부에는 코일이 감긴 보빈(151) 및 이 보빈에 연결된 PCB(152, Printed Circuit Board)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빈(151) 및 PCB(152)는 하부 하우징(150)에 인서트 사출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150)은 인서트 사출되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150)에서 상기 보빈(151)과 상기 마그네틱(140) 사이 부분(154)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금속제 하우징과는 달리 와류손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50)의 상기 보빈(151)과 상기 마그네틱(140) 사이 부분(154)의 두께(t1)는 1t(=1mm)보다 작아야, 발전 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며, 적어도 0.5t는 되어야 내압에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전기(100)의 밑면에 해당하는 하부 하우징(150)의 하부(155)는 상기 보빈(151)과 상기 마그네틱(140) 사이 부분(154)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50)의 하부(155)의 두께(t2)는 2t 이상이 되어야, 내압에 대한 강도보강이 가능하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발전기(200)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제 2 실시예의 발전기(200)는 상부 하우징(211)과 하부 하우징(250)의 사이의 소통관계를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발전기(100)와 동일하다. 제 2 실시예에서 덮개(210)와 상부 하우징(211)은 시일(218)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며, 입수구(212)와 출수구(도시되지 않음) 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211)에는 임펠러(220)가 장착된 회전축(230)이 관통하는 관통공(2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임펠러(220)는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임펠러(220)가 위치하고 있으며, 임펠러(220)는 입수구(212)로부터의 수압을 받아서 회전할 수 있다. 입수구(212)로부터 유입된 물은 임펠러(220)를 회전시킨 후 출수구(도시되지 않음)로 유출된다.
상부 하우징(211)의 관통공(217)에는 회전축(230)이 지나가는 베어링(260)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회전축(230)과 관통공(217)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로 인한 발전 손실의 우려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260)과 회전축(230) 사이에도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임펠러(220)가 위치한 공간부(221)로부터의 물이 마그네틱(240)이 위치하는 하부 하우징(250)의 공간부(241)로 유입된다. 다만, 베어링(260)과 회전축(230)의 틈이 작아, 틈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양에 제한되어서, 발전기(200)의 초기 구동시에는 상부 하우징의 공간부(221)와 하부 하우징(250)의 공간부(241)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임펠러(220)가 상부 하우징(211)의 중간면(216)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래서, 임펠러(220)의 하부면과 상부 하우징(211)의 중간면(216)의 마찰이 발생하며, 이는 수압에 의하여 회전하려는 임펠러(220)를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 초기의 문제발생 가능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 5 에서 보이듯이, 상부 하우징(211)의 중간면(216)에는 관통공(217)을 중심으로 2개의 연통구멍(270)이 배치된다.
이러한 연통구멍(270)은 상부 하우징의 공간부(221)와 하부 하우징(250)의 공간부(241)의 물이 연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발전 초기의 임펠러(220)의 쏠림으로 인한 불량을 막아준다.
연통구멍(270)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초기의 압력차를 제거하는 데 효과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연통구멍을 대칭되게 배치하는 것이다. 연통구멍이 많아지는 경우에, 지나친 유량 손실 및 내부로의 유량 증가가 발생하여 유로 저항이 커져서 부하로 작용한다.
또한, 연통구멍(270)은 대략 1~1.5㎜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미만인 경우에 연통구멍(270)을 통하여 물이 소통하기 어려우며, 1.5㎜가 넘는 경우 물이 하부 하우징(250)의 공간부(241)로의 유량이 증가하면서, 유로 저항이 커져서 발전을 하는데 부하로서 작용한다.
한편, 도 5 의 제 2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211)의 하방에는 시일(218)을 사이에 두고, 하부 하우징(250)이 위치하고 있다. 하부 하우징(250)의 공간부(241)에는 회전축(230)에 연결된 마그네틱(240)이 위치하고 있다.
마그네틱(240)은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임펠러(220)의 회전으로 인하여, 임펠러(220)와 마그네틱(240)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 마그네틱(240)은 하부 하우징(250) 내부의 보빈(25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회전축(230)과 결합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발전기(100)가 장착된 자가 발전 비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발전기(100)는 비데 본체(500) 내부에 위치하며, 발전기(100)의 입수구(112)는 화장실의 벽 안의 배관(300)과 연통한다. 또, 도 3 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전기(100)의 출수구(113)는 제 1 및 제 2 출수로(114, 115)로 분기된다.
제 1 출수로(114)는 도기 탱크(310)와 연통하여, 사용자가 대/소변을 보고난 후 물을 내릴 때, 배관(300)으로부터의 물이 발전기 (100, 200)을 통과한 후에 도기 탱크(310)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제 2 출수로(115)는 비데 본체(500) 내부에서 세정 노즐(330) 혹은 비데 노즐(340)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로 전환 장치(320)와 연통하고 있다. 유로 전환 장치(320)와 관련하여는 다양한 방식의 유로 전환 장치(320)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구성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발전기(100)는 제 2 출수로가 세정 노즐(330) 혹은 비데 노즐(340)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유로 전환 장치(320)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 혹은 비데를 사용하는 경우에 노즐로 분사되는 물이 발전기(100)를 거쳐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데, 세정으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변기의 물을 내릴 때에도 발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비데 본체(500)는 내부에 발전기(100)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410) 및 충전부(410)로부터 전력을 받아 유로 전환 장치(320) 와 분사 노즐인 세정 및 비데 노즐(330, 340)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400)는 발전기(100)로부터 충전된 전력으로 유로 전환 장치(320), 세정 노즐(330), 비데 노즐(340)을 제어하게 된다.
도 6 에는 제어부(400)와 충전부(410)는 별도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하나의 기판에 통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기 탱크(310)로 연통하는 제 1 출수로(114)는 비데 본체(500)의 유로 전환 장치(320)로 연통하는 제 2 출수로(115)에 비하여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기 탱크(310)는 비데 본체(500)의 유로 전환 장치(320)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야 하며, 비데 본체(500) 내부의 부품은 도기 탱크에 비하여 고수압에 약하므로, 도기 탱크(310)로 연통하는 제 1 출수로(114)의 내경을 비데 본체(500)의 유로 전환 장치(320)로 연통하는 제 2 출수로(115)의 내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제 2 출수로로 공급되는 수압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출수로(115)의 내경과 상기 제 1 출수로(114)의 내경의 비는 1 : 1.2 ~ 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 1 출수로(114)의 내경이 제 2 출수로(115)의 내경의 1.2배보다 작다면 제 2 출수로(115)에 유입되는 원수압이 높으므로 노즐 유로에 설치된 부품의 손상이나 수명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출수로(114)의 내경이 제 2 출수로(115)의 내경의 5배를 넘어서면 제 2 출수로(115)의 내경에 비해 제 1 출수로(114)의 내경이 너무 작게 되어 비데 사용과정에서 세정 노즐 혹은 비데 노즐(330, 340)에서 분사가 제대로 구현될 수 없으며, 세정 노즐 혹은 비데 노즐(330, 340)을 통한 발전과정에서 배출되는 원수의 유량이 적으므로 충분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도 6 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발전기(100)가 비데 본체(500)에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실시예의 발전기(200)가 비데 본체(5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100, 200: 발전기 110, 210: 덮개
111, 211: 상부 하우징 112, 212: 유입구
113: 출수구 114: 제 1 출수로
115: 제 2 출수로 270: 연통구멍
117, 217; 관통공 118, 218: 시일
120, 220: 임펠러 121, 221: 공간부
130, 230: 회전축 140, 240: 마그네틱
141, 241: 공간부 150, 250: 하부 하우징
151, 251: 보빈 152: PCB
300: 배관 310: 도기 탱크
320: 유로 전환 장치 330: 세정 노즐
340: 비데 노즐 400: 제어부
410: 충전부 500: 비데 본체

Claims (13)

  1.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바깥쪽에 위치는 보빈을 포함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 사이의 중간면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어링과,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연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면에는 복수 개의 연통 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은 1~1.5㎜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하부 하우징에 사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사출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의 바닥부의 두께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보빈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사출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에서 상기 보빈과 상기 마그네틱 사이 부분의 두께는 0.5 ~ 1㎜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의 바닥부의 두께는 2㎜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는 발전기를 통과한 물이 2 이상으로 나눠져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9.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출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출수구로부터의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분사 노즐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부에 설치된 비데 본체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된 입수구 및 출수구;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임펠러;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바깥쪽에 위치는 보빈을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 사이의 중간면에는 회전축이 관통하는 베어링과,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공간부와 마그네틱을 수용하는 공간부를 연통하게 하는 연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와 상기 비데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 사이에 상기 비데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의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 전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 노즐과 함께 상기 유로 전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화장실 배관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출수구는 도기 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제 1 출수로와 상기 분사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제 2 출수로로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도기 탱크로의 제 1 출수로의 내경은 상기 분사 노즐로의 제 2 출수로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에서 도기 탱크로의 유로 내경과 상기 분사 노즐로의 유로 내경의 비는 1: 1.2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100093439A 2010-04-15 2010-09-27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73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39A KR101734193B1 (ko) 2010-09-27 2010-09-27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US13/640,449 US9353724B2 (en) 2010-04-15 2010-09-30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PCT/KR2010/006666 WO2011129499A1 (en) 2010-04-15 2010-09-30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CN201080067210.2A CN102933775B (zh) 2010-04-15 2010-09-30 发电机和包括该发电机的净身器
EP10849903.9A EP2558655B1 (en) 2010-04-15 2010-09-30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MYPI2012004577A MY181151A (en) 2010-04-15 2010-09-30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EP18154245.7A EP3336266B1 (en) 2010-04-15 2010-09-30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39A KR101734193B1 (ko) 2010-09-27 2010-09-27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824A KR20120031824A (ko) 2012-04-04
KR101734193B1 true KR101734193B1 (ko) 2017-05-12

Family

ID=4613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439A KR101734193B1 (ko) 2010-04-15 2010-09-27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965A (ja) 2001-07-26 2003-02-07 Toto Ltd 発電用給水路および発電装置
JP2004257142A (ja) 2003-02-26 2004-09-16 Inax Corp 発電機能付きの弁装置
JP2015161127A (ja) 2014-02-28 2015-09-07 Toto株式会社 発電機付きタン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965A (ja) 2001-07-26 2003-02-07 Toto Ltd 発電用給水路および発電装置
JP2004257142A (ja) 2003-02-26 2004-09-16 Inax Corp 発電機能付きの弁装置
JP2015161127A (ja) 2014-02-28 2015-09-07 Toto株式会社 発電機付きタン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824A (ko)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6542B2 (ja) 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
US7956480B2 (en) Faucet generator
US8461705B2 (en) Faucet hydroelectric generator
MX2009009214A (es) Enfriamiento de una maquina electrica.
KR101440540B1 (ko) 포켓식 수차
KR101734193B1 (ko) 발전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JP2020133635A (ja) 水力発電機及び吐水装置、水力発電機の製造方法
JP2012136974A5 (ko)
KR200472318Y1 (ko) 보빈이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발전기
KR20200096211A (ko) 액체 전도성 가전 제품용 액체 누출에 대한 안전 장치
US9353724B2 (en) Generator and bidet comprising the same
JP5572734B1 (ja) 電解槽及びこれ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
JP5646276B2 (ja) 回転電機の密封油供給装置
KR101235900B1 (ko) 수력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CN111689532A (zh) 净饮机
CN211009994U (zh) 一种显温水龙头
CN211056735U (zh) 净水系统
CN211035266U (zh) 净水系统
JP2012225341A (ja) 水力発電機
JP2015161126A (ja) 発電機付きタンク装置
CN201844046U (zh) 饮水机减压阀门的陶瓷阀芯
CN111689533A (zh) 净饮机的排气结构和净饮机
CN210117246U (zh) 净饮机的排气结构和净饮机
WO2013088960A1 (ja) オゾン水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器具用洗浄装置
JP2004340111A (ja) 水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