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40B1 - 포켓식 수차 - Google Patents

포켓식 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40B1
KR101440540B1 KR1020140030522A KR20140030522A KR101440540B1 KR 101440540 B1 KR101440540 B1 KR 101440540B1 KR 1020140030522 A KR1020140030522 A KR 1020140030522A KR 20140030522 A KR20140030522 A KR 20140030522A KR 101440540 B1 KR101440540 B1 KR 10144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berration
fixed
stator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구슬
박노현
이병협
윤이중
김택수
최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3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1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03B11/04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for diminishing cavitation or vibration, e.g. 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05B2220/7068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equipped with permanent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구조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유지보수가 탁월하며, 수문에서 방류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에 취수구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에는 중앙에 수차 고정축이 고정된 취수구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취수고 홀더의 출구 쪽에는 고정자 코일이 권회된 고정자를 설치하며, 상기 취수구의 수차 고정축에 결합되어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수차를 설치하고, 상기 수차는 외측으로 영구자석이 환형으로 배치되는 회전자를 설치하되 회전자와 고정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켓식 수차{Pocket type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문 구조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유지보수가 탁월하며, 수문에서 방류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수력 발전을 하기 위한 장치로는 국내 특허등록 10-1271143호(2013. 05. 29 등록)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담수 등의 목적을 위하여 설치되는 수문에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한 후 상기 수문의 배출구에 수차를 설치함으로써 수문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수차가 회전되면서 수차와 함께 설치되는 발전기에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수차의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외부로 인출한 후 외부에 설치된 발전기에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수문에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수위 조절을 위하여 방류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물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은 있으나, 완전 조립이 이루어진 발전용 수차를 수문에 별도로 설치하여 부착하는 경우 부피가 커지는 한편 장소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기존 수문에 그대로 발전용 수차를 부착하는 것이어서, 수문의 구조적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많고, 고장이 발생할 경우 유지 보수가 대단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수문에 수차를 설치하는 경우, 수차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발전장치가 필수적인 것으로, 발전장치는 수차와 같이 수문에 설치하는 경우 수차의 회전 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기가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물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발전기를 설치하기는 대단히 어렵고, 또한 수차의 회전동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경우는 수차의 회전동력을 외부로 인출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특허 등록 10-1271143호(2013. 05. 29 등록) 미국 특허등록 4261171호(1981.04.14 등록) 특허 공개 10-2012-0130720호(2012.12.03 공개) 특허 공개 10-2006-0069385호(2006.06.21 공개) 특허 등록 10-1290920호(2013. 07. 23 등록)
본 발명은 수문에 발전용 수차를 설치할 때 수차와 발전기를 일체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쉽지 않으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고, 수차는 수문에 설치한 후 수차의 회전력을 외부로 인출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경우는 회전동력 인출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수문에 조립된 수차를 별도로 설치하는데 따른 수문의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 및 수차와 발전장치 등의 분해 조립이 쉽지 않아 유지 보수가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에 취수구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에는 중앙에 수차 고정축이 고정된 취수구를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취수고 홀더의 출구 쪽에는 고정자 코일이 권회된 고정자를 설치하며, 상기 취수구의 수차 고정축에 결합되어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수차를 설치하고, 상기 수차는 외측으로 영구자석이 환형으로 배치되는 회전자를 설치하되 회전자와 고정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취수구를 통과하는 수압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면 환형으로 영구자석이 배치된 회전자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자는 고정자 코일이 권회된 고정자의 내측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발전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취수구의 배출구 쪽에는 배수 안내커버를 설치하는 한편 그 후방으로 배출구멍이 형성된 수위 조절망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문에 취수구 홀더를 설치하여 취수구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기 취수구에 고정된 수차 고정축을 이용하여 수차가 결합되어 수압으로 회전되게 하되 상기 수차의 외측은 환형으로 영구자석이 배치된 회전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자와 대응되는 위치의 취수구 배면에 고정되게 고정자를 설치함으로써 수차가 회전될 때 발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수문에서 물을 방류할 때 그대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물 관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수문에 취수구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와 수문에 수차와 발전기의 조립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수문의 구조적 취약점이 발생할 수 없는 한편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수차의 외측에 영구자석이 환형으로 배치된 회전자가 수압에 의해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자의 외측으로 고정자 권선이 권회된 고정자를 취수구의 배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이 배치된 회전자가 수차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 고정자 권선이 권회된 고정자에서 자속의 쇄교가 이루어지면서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차와 별도로 발전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수차에 구조적으로 발전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되 간단히 분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전장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자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단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전장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설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위 조절망 조절상태도
본 발명은 수문에 발전용 수차를 설치하여 방류되는 물에 의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발전용 수차를 수문에 간단히 조립하여 설치되게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적은 공간을 활용하면서도 수문이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에 정면이 넓고 배면이 좁은 형태로 취수구 홀더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에 취수구를 끼워서 고정시키되 상기 취수구는 내부에 수차 고정축이 설치되며, 상기 취수구의 배면으로 고정자 권선이 권회된 고정자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자는 케이싱을 씌워 고정하고, 상기 고정자의 내측으로 수차를 설치하되 상기 수차는 수차 고정축에 결합되어 수압으로 회전되게 하며, 상기 수차는 블레이드에 의해 수압을 받는 한편 외측으로는 환형으로 영구자석이 배치되는 회전자를 고정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해 회전자가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발전이 된다.
본 발명은 취수구에서 수차 고정축을 고정시키게 되고, 수차가 상기 수차 고정축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차의 블레이드를 치면서 물이 방류되는 것이어서, 수차는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영구자석이 환형으로 배치된 회전자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자에 권회된 고정자 코일에서 자속을 쇄교하면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취수구의 배면에 고정자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장자의 배면으로 입구가 좁고 출구가 넓은 배수 안내튜브를 결합시키고, 배수 안내튜브의 배면으로 수위 조절망을 설치하되 상기 수위 조절망은 취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채워져 넘치도록 하되 배출되는 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양정을 낮추는 한편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문의 측면으로 웨지캠을 설치하여 수문이 닫혔을 때 웨지캠에 의해 수문이 수문레일과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차의 회전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수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이같이 수문을 웨지캠으로 고정시켜 진동을 방지하는 기술은 공지된 사실이며, 또한, 본 발명의 취구수 전면에는 유압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취수구 입구를 막아주거나 열어주는 게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수차의 수위가 낮거나 홍수가 지는 경우 또는 수리를 할 때 물흐름을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게이트의 구조도 당 업계에서는 공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차 회전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는 터빈의 구성을 유체가 흐르는 배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배관의 일부를 절단한 후 수차의 회전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는 터빈을 절단된 곳에 설치함으로써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문(10)을 이용하여 발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하 이동되며 유량을 조절하는 수문(10)에 설치가 가능하고, 수문(10)에 취수구 홀더(20)를 설치하여 취수구(30)가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고정자 권선(51)이 권회된 고정자(50)는 취수구(30)의 배면에 별도로 조립 고정되게 하는 한편 상기 고정자(50)의 내부에서 영구자석(71)을 환형으로 배치한 회전자(70)가 외측을 구성하는 수차(6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을 줄이면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특히 취수구(30)와 고정자(50) 및 수차(60) 등은 간단히 분해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취수구 홀더(20)는 수문(10)의 정면으로는 넓고 배면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20)는 수문(10)을 제작할 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문(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문(10)의 수리시 물이 수문(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톱러그(stoplog)에 취수구 홀더(20)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수문(10) 또는 스톱러그에 취수구 홀더(20)를 형성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취수구(30)를 통하여 방류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고깔 형상의 취수구 홀더(20)에는 동일 형상을 갖는 취수구(30)를 끼워준 후 수문(10)의 전방에서 취수구(30)가 수문(10)에 간단히 고정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취수구(30)를 간편하게 수문(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어서, 취수구(30)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취수구(30)에는 내측 중앙으로 수차 고정축(31)을 설치하되 상기 수차 고정축(31)은 유선형의 고정바디(32)에 내삽되어 설치되는 한편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하도록 하며, 상기 취수구(30)는 취수구 홀더(20)로부터 간편한 분리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취수구(30)는 내부 중앙에 수차 고정축(31)을 설치하되 상기 수차 고정축(31)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베어링 등으로 지지되게 하면서 유선형 고정바디(32)로 씌워지게 되고, 상기 고정바디(32)는 고정날개(33)에 의해 취수구(3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날개(33)는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관계로 고정날개(33) 사이로 물 흐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유선형 고정바디(32)의 형상에 따라 수압을 적게 받도록 한다.
취수구(30)에 설치되는 고정바디(32)는 고정날개(33)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수차 고정축(31)이 베어링 등으로 지지되면서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하게 되고, 상기 수차 고정축(31)의 배면에는 수차(60)의 수차축(61)이 끼워져 고정되게 되며, 상기 수차(60)는 수차 고정축(31)에 끼워져 고정된 수차축(61)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차 고정축(31)에 수차축(61)이 끼워져 고정되는 수차(60)는 수차 고정축(31)과 외측을 구성하는 환형의 회전자(70) 사이에는 블레이드(62)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차(60)는 수압이 블레이드(62)에 가해지는 경우 회전자(7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자(70)는 링 형상의 규소강판을 여러 번 적층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회전자(70)를 구성하는 규소강판에 영구자석이 끼워지는 홈을 V자 형태로 형성한 후 영구자석(71)이 끼워져 환형으로 배치되게 하며, 상기 회전자(70)의 내측은 블레이드(62)로 수차축(61)과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회전자(70)는 링 형상의 규소강판을 적층하여 구성하지 않고, 환형을 이루도록 여러 조각의 규소강판을 고정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나, 전체적으로 회전자(70)는 링 형상을 갖되 영구자석(71)이 환형을 이루게 배치하며, 상기 영구자석(71)은 교호로 극성이 변환되는 형태로 배치하는 것으로, 회전자(70)를 구성하는 규소강판에 영구자석(71)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한 후 홈에 영구자석(71)을 끼워 고정한다,
본 발명의 수차(60)는 수문(10)의 배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취수구(30)에 결합되게 되고, 취수구(30)를 통하여 흐르는 수압이 블레이드(62)에 힘을 가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수문(10)에 형성된 취수구 홀더(20)의 배면에서 외부 로터식 발전기를 구성하는 고정자(5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자(50)의 내부에서 수차(60)의 회전자(70)가 근접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고정자(50)는 케이싱(52)을 이용하여 수문(10)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유지 보수 작업시 케이싱(52)을 풀어 간단히 외부 로터식 발전기를 구성하는 고정자(5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자 권선(51)이 권회된 고정자(50)와 수차(60)의 회전자(70)는 근접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자(50)는 취수구(30)에 고정되고 수차(60)는 수압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고정자 권선(51)에서 전기를 생산하게 되며, 상기 고정자(50)는 취수구(30)의 배면에서 케이싱(52)을 씌워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자(50)의 내측에서 회전자(7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수차(60)의 회전자(70)와 고정자(50)는 수문(10)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간단하게 수차(60)와 고정자(50)를 수문(10)으로부터 분리하여 수리를 한 후 다시 조립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간편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문(10)의 배면으로 돌출된 케이싱(52)에 배수 안내튜브(8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취수구(30)로 유입된 후 수차(60)를 회전시킨 물은 배수 안내튜브(80)에 의해 수문(10)의 배면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배수 안내튜브(80)는 입구보다 출구가 넓은 나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배출 압력을 줄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배수 안내튜브(80)를 빠져나온 배출수는 그대로 방류되지 않고 수위 조절망(90)을 통한 후 배출이 이루어지거나 월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수위 조절망(90)은 취수구(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채울 수 있게 되고, 상기 수위 조절망(90)을 채운 후에는 상부로 월류하여 흐르게 된다.
상기 수위 조절망(90)은 사방으로 배출구멍(91)이 뚫리게 되고, 상기 수위 조절망(90)은 이중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수위조절 볼트(92)에 의해 하나의 수위 조절망(90)에 대한 높낮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두 개의 수위 조절망(90)에 형성된 배출구멍(91)이 서로 일치되게 하거나 서로 어긋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두 개의 수위 조절망(90)에 형성된 배출구멍(91)이 일치함에 따라 물이 배출구멍(91)을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구멍(91)이 서로 어긋나게 되면 배출되는 물의 량도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수위 조절망(90)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취수구(30)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도록 하고, 취수구(30)에 배출되는 물은 수위 조절망(90)에 채워진 후 월류되는 한편 배출구멍(91)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양정을 줄이는 한편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위 조절망(90)을 이중으로 만들어 서로 배출구멍(91)이 일치되거나 어긋나게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조절볼트(92)를 이용하거나, 물의 부력을 이용하는 부레를 이용하거나, 유압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경우나 수위 조절망(90)에 물이 차올라 월류가 될 때부터 배출구멍(91)을 일치시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는 한편 양정을 줄여 발전효율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위 조절망(90)은 이중으로 설치하되 하나의 수위 조절망을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배출구멍(91)이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이동시키는 것은 부레나 조절볼트(92)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되 수위를 센서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동되게 하거나 수동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10)에 조립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수문(10)의 구조적 변화 없이 간편한 설치와 유지 보수가 가능하고, 수차를 이용하여 영구자석의 회전자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물의 방류시 효율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에너지의 효과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의 일부를 절단한 후 취수구(30)와 케이싱(52) 및 배수 안내튜브(80)가 구비되고 내부에 수차(60)로 회전되는 회전자(70)와 케이싱(52)게 고정되는 고정자(50)의 구성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지는 터빈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배관을 흐르는 유체로 수차(60)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정자석(71)기 환형으로 배치된 회전자(70)를 고정자 코일(51)이 권회된 고정자(50)의 내부에서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수차(60)를 회전시켜 발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10 : 수문 20 : 취수구 홀더
30 : 취수구 50 : 고정자
51 : 고정자 권선 60 : 수차
70 : 회전자 71 : 영구자석
80 : 배수안내 튜브 90 : 수위 조절망
91 : 배출구멍

Claims (9)

  1. 삭제
  2. 수문(10)에 취수구 홀더(20)를 설치하고,
    상기 취수구 홀더(20)에 취수구(30)를 끼워서 고정하되 상기 취수구(30)의 내부에는 수차 고정축(31)을 설치하며,
    상기 수차 고정축(31)에 결합되어 수압으로 자유 회전되는 수차(60)를 설치하되 상기 수차(60)는 취수구(30)에 배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게 하고,
    상기 수차(60)의 외측은 영구자석(71)이 환형을 이루게 배치된 링 형상의 회전자(70)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자(70)는 블레이드(62)로 고정되게 하며,
    상기 회전자(7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자(50)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자(50)는 고정자 권선(51)이 권회되어 케이싱(52)으로 취수구(30)의 배면에 고정되게 하고,
    상기 케이싱(52)의 배면으로 배수 안내튜브(80)를 설치하며,
    상기 배수 안내튜브(80)로 배출되는 물이 채워져 월류하거나 배출구멍(91)으로 배출되게 하는 수위 조절망(9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3. 제2항에 있어서, 수문(10)에 설치되는 취구수 홀더(20)는 전면이 넓고 배면이 좁은 고깔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수구 홀더(20)에 끼워져 수문(10)에 고정되는 취수구(30)는 내측으로 고정날개(33)를 이용하여 유선형의 고정바디(32)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바디(32)의 내측으로 회전자재의 수차 고정축(31)을 고정하되 상기 수차 고정축(31)은 배면 방향에 설치되는 수차(60)의 수차축(61)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4. 제2항에 있어서, 수차(60)는 취수구(30)에 설치된 수차 고정축(31)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차축(61)이 내부 중앙에 고정되고, 외측으로는 수차축(61)과 블레이드(62)로 결합되는 회전자(70)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자(70)는 영구자석(71)이 환형으로 배치되는 한편 상기 영구자석(71)은 극성이 교호로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5. 제2항에 있어서, 고정자(50)는 고정자 권선(51)이 권회되어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취수구(30)에 배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자(50)의 내측에서 수차(60)의 회전자(70)가 근접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자(50)는 케이싱(52)에 의해 취수구(3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6. 제2항에 있어서, 고정자(50)는 취수구(30)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고 수차(60)도 취수구(30)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고정자(50)는 수차(60)의 회전자(7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7. 제2항에 있어서, 취수구(30)에 고정된 케이싱(52)의 배면에서 배수 안내튜브(80)를 고정시키되 상기 배수 안내튜브(80)는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는 곳의 직경보다 배출되는 곳의 직경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8. 제2항에 있어서, 배수 안내튜브(8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수위 조절망(90)에 채워진 후 월류되거나 수위 조절망(90)에 형성된 배출구멍(91)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위 조절망(90)은 이중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수위 조절망(90)에 형성된 배출구멍(91)이 서로 어긋남에 따라 물의 배출량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9. 제2항에 있어서, 수위 조절망(90)은 취수구(30)의 높이와 같도록 하고, 이중으로 이루어진 수위 조절망(90) 중 하나의 수위 조절망(90)은 조절나사(92)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위치가 변하면서 배출구멍(91)의 어긋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식 수차.
KR1020140030522A 2014-03-14 2014-03-14 포켓식 수차 KR10144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22A KR101440540B1 (ko) 2014-03-14 2014-03-14 포켓식 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522A KR101440540B1 (ko) 2014-03-14 2014-03-14 포켓식 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540B1 true KR101440540B1 (ko) 2014-09-15

Family

ID=5176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522A KR101440540B1 (ko) 2014-03-14 2014-03-14 포켓식 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09B1 (ko) 2014-10-20 2016-03-2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수문 매입형 흡출관 탈부착식 발전장치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101695431B1 (ko) * 2015-09-16 2017-01-1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영구자석형 가변 블레이드 발전기 수차
KR101794904B1 (ko) * 2016-12-23 2017-11-09 주식회사 리스펙트 파이프형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형 발전기
KR101844363B1 (ko) * 2017-04-05 2018-05-14 (주)헤세테크 수직감속기관류형 터빈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KR101892852B1 (ko) * 2017-04-03 2018-08-28 성지현 전후진이 가능하게 위치변동이 가능한 발전기
KR20190048696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카트리지형 발전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000737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양방향 발전장치
CN117231408A (zh) * 2023-11-16 2023-12-15 安徽丰洲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利水轮机组发电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KR20110006357A (ko) * 2009-07-14 2011-01-20 이승수 이물질 유입이 가능한 잠수형 수차 발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014A (ja) * 2005-01-07 2006-07-20 Kawasaki Heavy Ind Ltd 水力発電装置
KR20110006357A (ko) * 2009-07-14 2011-01-20 이승수 이물질 유입이 가능한 잠수형 수차 발전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09B1 (ko) 2014-10-20 2016-03-28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수문 매입형 흡출관 탈부착식 발전장치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101695431B1 (ko) * 2015-09-16 2017-01-12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영구자석형 가변 블레이드 발전기 수차
KR101794904B1 (ko) * 2016-12-23 2017-11-09 주식회사 리스펙트 파이프형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형 발전기
KR101892852B1 (ko) * 2017-04-03 2018-08-28 성지현 전후진이 가능하게 위치변동이 가능한 발전기
KR101844363B1 (ko) * 2017-04-05 2018-05-14 (주)헤세테크 수직감속기관류형 터빈 및 이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KR20190048696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카트리지형 발전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992425B1 (ko) * 2017-10-31 2019-06-25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카트리지형 발전수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200000737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양방향 발전장치
CN117231408A (zh) * 2023-11-16 2023-12-15 安徽丰洲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利水轮机组发电设备
CN117231408B (zh) * 2023-11-16 2024-01-26 安徽丰洲建设科技有限公司 一种水利水轮机组发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540B1 (ko) 포켓식 수차
US9752550B2 (en) In-pipe turbine and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separable housing and detachable vane arrangements
EP1952014A1 (en) Turbine generator
WO2015021732A1 (zh) 标准型浮管式水力发电机
JP5809126B2 (ja) マイクロ水力発電機
CN104204509A (zh) 水力涡轮机
KR101368346B1 (ko) 수력 발전장치
KR101597538B1 (ko) 발전기용 터빈 장치
JP5606699B2 (ja) 水中発電装置
KR101885293B1 (ko) 덕트형 수중터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 풍력발전기
JP2001298902A (ja) タービン一体型発電機
JP4758797B2 (ja) 水力発電用フランシス水車
JP2001153021A (ja) 低落差用水力発電装置
KR102025224B1 (ko) 볼 밸브
JP2009019532A (ja) 相反転クロスフロー型超小形発電装置
KR101584273B1 (ko) 마그네틱 커플러를 이용한 스트럿 수밀구조의 조류발전기
JP2014139445A (ja) 水中発電装置
WO2014012150A1 (en) An electricity generating device, a fluid pressure reducing device, and a fluid pump
WO2018027897A1 (zh) 透平膨胀发电机
KR20200000737A (ko) 양방향 발전장치
KR101264872B1 (ko) 수력 발전용 발전기
JP2007255316A (ja) 水力発電用フランシス水車
US11131288B2 (en) Horizontal axis pi-pitch water turbine with reduced drag
RU148244U1 (ru) Автономная энергогенер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KR20120097129A (ko) 에이에프피엠 발전기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