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032B1 - 열분해 가스화로 - Google Patents

열분해 가스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032B1
KR101734032B1 KR1020160103779A KR20160103779A KR101734032B1 KR 101734032 B1 KR101734032 B1 KR 101734032B1 KR 1020160103779 A KR1020160103779 A KR 1020160103779A KR 20160103779 A KR20160103779 A KR 20160103779A KR 101734032 B1 KR101734032 B1 KR 10173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uct
gas discharge
gas
plate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덕준
Original Assignee
임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준 filed Critical 임덕준
Priority to KR102016010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032B1/ko
Priority to PCT/KR2017/007545 priority patent/WO20180344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1/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1/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 F23L11/005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for closing the flue during interruption of burner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Abstract

본 발명은 열분해 가스화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상기 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바닥 도어부; 상기 통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 덕트; 상기 가스 배출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를 통해 전달된 가연성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 내의 가스 유동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경로상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를 절단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스 유동 통로가 연통하도록 중앙부에 통로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분해 가스화로{PYROLYSIS GASIFIER}
본 발명은 열분해 가스화로에 관한 것이다.
생활 폐기물, 산업 폐기물 등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들의 처리가 문제된다. 폐기물의 처리 방법 중 하나는, 유기물을 포함하여 바이오매스 연료로서 활용 가능한 폐기물,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 폐기물을 분류하여 이를 열분해하고, 열분해를 통해 발생된 가연성 가스를 활용하여 터빈을 구동하거나 스팀을 생성하는 등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가연성 폐기물들을 가스화로에서 열분해하여 발생된 가스를 활용한다면 탄산가스의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난화의 문제를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일 예가 특허문헌 1에 의해 제시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에 관하여 서술하겠다. 도 9는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는 폐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가연성 폐기물을 수용하는 통부(530),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가연성 폐기물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535, 536), 공기분사부(535, 536)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551), 가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연료 투입구(537), 연료 투입구(537)를 밀폐시키는 뚜껑(560), 통부(530)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통부(530)의 측부에서 회수하는 가스 배출 덕트(570), 및 가연성 폐기물이 열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해 가연성 폐기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된 냉각수단(51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에 따르면, 연료 투입구(537)를 통해 투입되는 가연성 폐기물을 점화시켜서 열분해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가연성 폐기물이 열분해되면서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가스 배출 덕트(5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가스 연소부 등의 설비에서 2차 연소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단에 의해 열분해시 요구되는 적정 온도가 유지됨으로써 적정 수준의 가연성 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연성 가스는 가스 배출 덕트를 통해 2차 연소를 위한 가스 연소부로 공급되어 2차 연소가 이루어지는데, 열분해 가스화로의 가동시에는 가스 배출 덕트를 개방하고, 가동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이를 폐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가스 배출 덕트의 도중에는 개폐 가능한 댐퍼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가스 배출 덕트의 개폐를 위한 댐퍼로서, 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덕트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판을 밀고 당겨서 가스 배출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가연성 가스의 특성상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타르 등의 이물질이 슬라이딩판이 진퇴되는 틈에 부착되어 틈을 좁히거나 심한 경우 틈을 막게 되어, 슬라이딩판의 진퇴 이동이 방해를 받아 제대로된 댐퍼의 역할을 못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장치가 파손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열분해 가스화로는 2개 이상의 개체가 하나의 가스 연소부에 연결되어 교호운전을 하게 되는데, 하나의 가스화로에서 열분해가 종료되면 다른 가스화로에서 열분해가 개시되면서 종료된 가스화로는 바닥 도어부를 열어서 열분해 후 남은 재를 청소하게 된다. 이때,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슬라이딩판의 이동 가이드 및 진퇴되는 틈에 부착됨으로써, 가스 배출 덕트를 슬라이딩판으로 폐쇄하더라도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판과 가스 배출 덕트의 내벽면 사이에 발생된 갭을 통해 재 청소 과정에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열분해 중인 가스화로의 통부 내에 유입되어 열분해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8361호(2012. 12. 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통해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타르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댐핑 작용이 잘 수행될 수 있는 가스 배출 덕트의 댐퍼가 제공된 열분해 가스화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상기 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바닥 도어부; 상기 통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 덕트; 상기 가스 배출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를 통해 전달된 가연성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 내의 가스 유동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경로상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를 절단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스 유동 통로가 연통하도록 중앙부에 통로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댐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 중앙에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이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측에 연결된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의 타단에 피스톤 헤드가 연결된 댐핑 실린더; 및 상기 연결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통부 또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 실린더는 상기 고정 러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상기 연결 샤프트가 통과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 샤프트가 원호 형상을 따라 회전 이동되는 경로를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가이드 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의 원호 중심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패킹 하우징; 상기 패킹 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 하우징의 단부를 폐쇄하는 패킹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패킹 하우징 사이의 틈을 기밀하고, 상기 패킹 하우징의 내부 중공의 용적보다 큰 체적을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 덕트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가스 배출 덕트 피스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패킹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반원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 하우징은 상기 두 개의 상기 가스 배출 덕트 피스의 상기 체결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용접 연결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 덕트는, 내화캐스타블층; 상기 내화캐스타블층의 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캐스타블층; 및 상기 단열캐스타블층의 표면을 감싸는 스틸층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내화캐스타블층의 내표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틸층의 외표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열분해 가스화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타르 등의 이물질이 가스 배출 덕트의 댐핑 공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부의 횡단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가스 배출 덕트에 설치된 댐핑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댐핑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댐핑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댐핑 유닛이 가스 배출 덕트를 폐쇄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댐핑 유닛이 가스 배출 덕트를 개방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부의 횡단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1)는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10), 통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통부(1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바닥 도어부(20), 통부(10)에서 가연성 폐기물이 열분해되면서 발생된 가스가 투입되어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30), 및 통부(10) 및 바닥 도어부(20)를 지지하는 지지부(40)를 포함한다.
열분해되는 폐기물의 예로는 에스알에프(SRF) 성형 연료, 에스알에프비성형 고형연료, 바이오 에스알에프 고형연료, 폐타이어, 폐타이어를 칩 상태로 만든 티디에프(TDF), 기타 생활 폐기물 또는 산업 폐기물을 기계적 파쇄, 분쇄, 선별하여 재활용하도록 생산한 가연성 혼합폐기물 등을 들 수 있다.
통부(10)는 폐기물이 열분해되는 열분해 공간(108)을 갖는 폐기물 연소실(100)과,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면을 개폐하는 뚜껑(110)과, 폐기물 연소실(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열분해 공간(108)과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홀(124)을 개폐하는 점검도어(120)와, 측부 냉각 쟈켓(102)과 연결되면서 열분해 공간(108)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연성 가스가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부로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가스 유도 냉매관(130)과, 통부(10)의 하부에 제공되어 폐기물에 착화시키기 위한 착화 유닛(140)과, 열분해 공간(108)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노즐(150)과, 통부(10)의 상부에 제공되어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 덕트(160)와, 폐기물 연소실(100) 하면에 부착된 하부 플랜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연소실(100)은 상면과 하면이 뚫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열분해 공간(108)의 상부는 뚜껑(110)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는 후술되는 바닥 도어부(20)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뚜껑(110) 및 바닥 도어부(20)에 의해 폐기물 연소실(10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외부에 대하여 밀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폐기물이 열분해되는 동안에는 폐기물 연소실(100) 내의 연소 불꽃,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폐기물 연소실(10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측부내화벽(104)-측부 냉각 쟈켓(102)-외벽(106)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측부 냉각 쟈켓(102)은 외부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서 냉매가 내부에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열분해 공간(108)과 열교환하면서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렇게 냉매에 축적된 열에너지는 외부로 배출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측부 냉각 쟈켓(102)과 열분해 공간(108)의 사이에는 측부내화벽(104)이 배치되며, 측부내화벽(104)은 단열 성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측부 냉각 쟈켓(102)과 열분해 공간(108) 사이의 열교환을 일부 방해함으로써 측부 냉각 쟈켓(102) 내부의 냉매가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높아지거나, 열분해 공간(108) 내부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부내화벽(104)의 두께(t)는 50~60 mm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 범위 내에서 측부내화벽(104)의 두께(t)가 결정됨에 따라 내화재로서의 기능을 상실할 위험도 없고, 열분해 온도가 너무 과하게 상승하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뚜껑(110)은 폐기물 연소실(100) 내측 방향으로 상부 내화벽(112)이 형성되어, 뚜껑(110)이 닫힌 상태에서는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열기가 상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뚜껑(110)은 폐기물 연소실(100)에 대하여 일단이 피봇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110)의 일단에는 폐기물 연소실(100)과 회전 가능하도록 뚜껑(110)을 폐기물 연소실(100)에 연결시키는 힌지(116)가 제공되고, 뚜껑(110)이 닫혔을 때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부와 접촉하는 뚜껑(110)의 하면에는 폐기물 연소실(100)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링 부재(11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114)에 의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점검도어(120)는 폐기물 연소실(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열분해 공간(108)과 외부를 연통하는 점검홀(124)을 개폐하도록 제공되고, 점검홀(124)은 작업자가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측부 냉각 쟈켓(102)의 점검홀(124)을 둘러싸는 부분에는 도어 측 내화벽(122)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부 냉각 쟈켓(102)의 냉기에 의해 점검홀(124) 내의 가연성 가스가 국부적으로 액화되어 점검홀(124) 내에서 크랭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측 내화벽(122)은 200~300 mm 두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측부내화벽(104)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점검홀(124)은 가연성 폐기물이 쌓여서 열분해되는 열분해 공간(108)에 비하여 매우 좁은 공간이며, 그 내부에서는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할 위험보다는 냉각에 의한 크랭크 현상의 발생 위험이 더 높으므로, 열분해 공간(108)보다 점검홀(124) 내부 공간의 냉각 방지 효과를 더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가스 유도 냉매관(130)은 측부 냉각 쟈켓(102)의 상부와 하부에 양 단이 각각 연결되고, 열분해 공간(108)의 내부에 배치되어 열분해 공간(108)에 투입된 가연성 폐기물 및 열분해를 통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가스 유도 냉매관(130)으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열분해 중인 폐기물 및 이로 인해 발생된 가스와 직접적으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열분해 공간(108) 내부의 온도가 더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 않은 밸브가 가스 유도 냉매관(130)에 제공되어 관 내에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 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유도 냉매관(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연소실(100)의 원주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두 개가 한 쌍씩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쌍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스 유도 냉매관(130)은 상부와 하부에 한 개씩 벤딩된 부분을 가지고, 상부와 하부의 벤딩된 부분을 연결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 방향은 지면과 수직인 방향일 수도 있고,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스 유도 냉매관(1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측부내화벽(10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가스 상승 공간(132)을 형성시킬 수 있다.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에 가연성 폐기물이 투입되면, 폐기물 연소실(100)의 하부에서부터 열분해가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적체된 가연성 폐기물의 하부에서부터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이때, 열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스는 폐기물 연소실(100)의 상부로 상승하여 가스 배출 덕트(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지만,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에 쌓인 폐기물들로 인해 상승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지 않아서 원활한 가스 배출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유도 냉매관(130)에 의해 가스 상승 공간(132)으로 가연성 폐기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 연소실(100)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들이 원활히 상부로 상승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서, 원활한 가스 배출이 가능해진다.
착화 유닛(140)은 통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의 가연성 폐기물에 착화를 하여 화염을 발생시키고, 열분해가 시작될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화 유닛(140)은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로 불꽃이 투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점화관(142)과, 점화관(142)의 내부로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 플러그(144)와, 점화관(142)의 단부에 제공되는 댐퍼(146)와, 댐퍼(146)를 슬라이딩시켜서 점화관(142)의 단부를 개폐시키는 실린더(148)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48)는 공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 스크류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화 플러그(144)로부터 불꽃이 발생되면 점화관(142)을 통해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로 불꽃이 전달되어 착화가 이루어지며, 소정의 시간 동안 착화가 실시된 후에 가연성 폐기물에 연소가 시작되면 댐퍼(146)가 슬라이딩되어 점화관(142)의 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착화에 필요한 시간 동안만 불꽃이 전달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착화를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안전하게 폐기물에 대한 착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화 유닛(140)은 폐기물 연소실(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일정 간격을 두고 4 개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착화 유닛(140)이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공기 공급 노즐(150)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ure)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폐기물 연소실(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공급 노즐(150)은 통부(1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에 쌓인 가연성 폐기물의 하부에서부터 상방으로 점차 열분해가 이루어지므로, 하부에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 공급 노즐(150)은 통부의 중앙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스 배출 덕트(160)는 통부(10)의 상부에 제공되어 폐기물 연소실(100) 내부에서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가스 배출 덕트(160)는 가스 연소부(30)와 연결되고, 가스 배출 덕트(160)를 통해 가연성 가스가 가스 연소부(30)로 전달되어 2차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가스 연소부(30)는 가스 연소 공간(312)을 갖는 가스 연소실(310)과, 가스 연소 공간(312)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 덕트(160)에는 가연성 가스의 유동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댐핑 유닛(200)이 제공된다. 이러한 댐핑 유닛(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겠다.
하부 플랜지(170)는 사각형 형상으로서 내부에 열분해 공간(108)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랜지(170)는 폐기물 연소실(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부재이고, 바닥 도어부(20)의 밀봉링에 의해 압착되면 폐기물 연소실(100)와 바닥 도어부(20) 사이의 갭이 밀봉되는 패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는 밀봉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 도어부(20)에 대향하여 제공되며, 하부 플랜지(170)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바닥 도어부(20)는 통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통부(1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도록 제공되며, 지지부(40)의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양 방향으로 진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바닥 도어부(20)는 통부(10)의 하측으로 진입하였을 때 통부(10)의 하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 배출 덕트(160)를 개폐함으로써 가연성 가스의 유동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댐핑 유닛(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의 열분해 가스화로의 가스 배출 덕트에 설치된 댐핑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댐핑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댐핑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댐핑 유닛(200)은 고정 러그(210), 댐핑 실린더(220), 가이드 플레이트(230), 연결 샤프트(240), 회전 플레이트(250), 고정 플레이트(270) 및 댐핑 플레이트(2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러그(210)는 통부(10) 또는 가스 배출 덕트(160)에 고정 설치되고, 댐핑 실린더(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댐핑 실린더(220)가 통부(10) 또는 가스 배출 덕트(160)에 연결되어 피스톤(222)의 왕복 운동시에도 설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댐핑 실린더(220)는 끝단이 고정 러그(21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댐핑 실린더(220)의 끝단과 고정 러그(210)는 피봇의 중심이 되는 실린더 연결핀(2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댐핑 실린더(220)는 일 예로 공압 실린더일 수 있으나, 댐핑 실린더(22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스톤(222)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실린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변형 실시 가능하다.
또한, 댐핑 실린더(22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피스톤(222)의 왕복 운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상사점과 하사점을 가질 수 있다. 피스톤(222)의 끝단에는 피스톤 헤드(224)가 연결되며, 피스톤 헤드(224)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에 연결 샤프트(240)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연결 샤프트(240)에 의해 피스톤 헤드(224)와 회전 플레이트(25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댐핑 실린더(220)의 피스톤(222)의 왕복 운동에 의한 연결 샤프트(2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를 위해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232) 및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가이드 홀(232)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댐핑 실린더(220)와 회전 플레이트(250)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 샤프트(240)가 가이드 홀(232)을 통과하여 피스톤 헤드(224)와 회전 플레이트(250)를 연결하므로, 가이드 홀(232)의 형상에 의해 연결 샤프트(240)가 원호 형상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경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샤프트(240)가 회전 이동 경로를 갖게 되므로, 댐핑 실린더(220)가 고정 러그(210)에 대해 피봇할 때의 회전 평면이 가이드 플레이트(230)에 평행하도록 댐핑 실린더(220)와 고정 러그(210)가 연결된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230)와 피스톤 헤드(224) 및/또는 회전 플레이트(250)는 서로 접촉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만약, 서로 접촉되게 배치될 경우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4)에 의해 피스톤 헤드(224) 및/또는 회전 플레이트(250)와 가이드 플레이트(230) 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가스 배출 덕트(16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236)를 통해 가스 배출 덕트(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샤프트(240)는 일단이 회전 플레이트(250)에 연결되고, 타단이 댐핑 실린더(220)의 피스톤 헤드(224)와 일단이 연결되며, 중앙 부분이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가이드 홀(232)에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핑 실린더(220)의 피스톤(222)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가이드 홀(232)을 따라 회전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회전 플레이트(2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 샤프트(240)에 의해 댐핑 실린더(220)의 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250)로 전달됨과 동시에, 회전 플레이트(250)의 회전 범위가 연결 샤프트(240)의 가이드 홀(232) 내 이동 경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50)는 두 개의 평행한 장변과 두 개의 평행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앙에 회전 샤프트(260)의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26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회전 샤프트(260)의 일단측에 형성된 삽입홀(252)에 연결 샤프트(240)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이로써 연결 샤프트(240)를 통해 전달되는 댐핑 실린더(220)의 구동력이 회전 플레이트(250)에 토크로서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260)를 중심으로 회전 플레이트(25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회전 샤프트(260)는 고정 플레이트(270)를 통과하여 댐핑 플레이트(280)에 고정되며, 댐핑 플레이트(280)에 연결된 측의 반대쪽 단부는 회전 플레이트(250)의 중앙에 연결된다. 이때, 회전 샤프트(260)는 회전 플레이트(250)에 상대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 연결되어 회전 플레이트(25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이를 위해, 회전 샤프트(260)는 볼트 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250)와 고정될 수도 있고, 회전 플레이트(25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2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분절되어 일측은 회전 플레이트(250)에 연결되고, 타측은 단순히 고정 플레이트(270)와 댐핑 플레이트(280)를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회전 샤프트(260)가 하나의 축으로서 회전 플레이트(250)로부터 댐핑 플레이트(280)의 지름 전체를 통과하여 고정 플레이트(270)의 반대쪽까지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60)의 연장선상에 가이드 홀(232)의 원호 중심이 배치된다. 이로써, 가이드 홀(232)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250)의 회전이 간섭 없이 가이드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70)는 가스 배출 덕트(160)의 경로상에 제공되고, 가스 배출 덕트(160)의 가스 유동 통로가 연통하도록 중앙부에 통로가 형성된 디스크 형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270)는 가스 배출 덕트(160)를 절단하여 설치되며, 이로 인해 가스 배출 덕트(16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가스 배출 덕트(160) 피스는 고정 플레이트(270)의 양면에 각각 접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접 연결될 수 있다.
가스 배출 덕트(160)는 내화캐스타블층(162), 내화캐스타블층(162)의 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캐스타블층(164) 및 단열캐스타블층(164)의 표면을 감싸는 스틸층(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270)는 가스 배출 덕트(160)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제공되고, 내화캐스타블층(162)의 내표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스틸층(166)의 외표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 플레이트(270)는 가스 배출 덕트(160)의 내측과 외측에 대하여 모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스 배출 덕트(160)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 대하여 가스 배출 덕트(160)의 표면과 고정 플레이트(270)의 접촉 부위에 90도로 꺾인 스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로 인해, 가스 배출 덕트(160)의 외측으로는 가스 배출 덕트(160)와 고정 플레이트(270)의 연결을 위한 용접 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으로는 열분해 공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이물질들이 스텝부에 쌓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물질이 고정 플레이트(270)의 내측 테두리에 쌓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고정 플레이트(270)는 가스 배출 덕트(160)에 고정되고, 회전 샤프트(260)가 관통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패킹 하우징(272), 패킹 하우징(272)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는 패킹부재(276) 및 패킹 하우징(272)의 단부를 폐쇄하는 패킹 커버(274)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 하우징(272), 패킹부재(276) 및 패킹 커버(274)는 회전 샤프트(260)를 따라 고정 플레이트(270)의 지름 방향 양 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패킹 하우징(272)은 고정 플레이트(2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샤프트(26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패킹 하우징(272)은 회전 샤프트(26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평판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270)의 양면에 대하여 각각 일부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260)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수용홈이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홈으로서 패킹부재(276)가 수용되는 내부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 하우징(272) 내부의 회전 샤프트(260)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제공되어 회전 샤프트(26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베어링의 일 예로는 오일리스 부쉬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패킹부재(276)는 회전 샤프트(260)와 패킹 하우징(272) 사이의 틈을 기밀하고, 패킹 하우징(272)의 내부 중공의 용적보다 큰 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276)는 일 예로, 그랜드패킹일 수 있으며, 표면이 카본으로 도포되어 회전 샤프트(260)가 회전할 때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킹 커버(274)는 패킹 하우징(272) 내부의 중공(수용홈)을 폐쇄하도록 제공되며,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패킹 하우징(272)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패킹부재(276)가 패킹 하우징(272) 내부 중공의 용적보다 큰 체적을 가지므로, 패킹부재(276)가 패킹 하우징(272)에 수용되었을 때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패킹 커버(274)의 체결 과정에서 패킹부재(276)가 가압되어 회전 샤프트(260)에 대한 밀착력이 증대되므로, 완벽한 기밀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270)에 접합되는 두 개의 가스 배출 덕트(160) 피스의 접합면에는 패킹 하우징(27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반원 형상의 체결홈(168)이 형성된다. 또한, 패킹 하우징(272)은 두 개의 가스 배출 덕트(160) 피스의 체결홈(169)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 배출 덕트(160)에 용접 연결될 수 있다.
댐핑 플레이트(280)는 고정 플레이트(270)에 회전 샤프트(26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고정 플레이트(270)의 중앙에 형성된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댐핑 플레이트(280)는 회전 샤프트(260)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관(282)이 지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 삽입관(282)에 볼트 등의 고정 부재(284)가 복수 개 제공되어 고정 부재(284)에 의해 회전 샤프트(260)와 샤프트 삽입관(282)이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260)가 두 개로 분절되고, 샤프트 삽입관(282) 두 개가 댐핑 플레이트(280)의 지름 방향 양 단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회전 샤프트(260)가 두 개의 샤프트 삽입관(282)에 삽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회전 샤프트(260)는 하나의 부재로 제공되고, 샤프트 삽입관(282)도 댐핑 플레이트(280)의 지름 방향을 따라 단일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댐핑 플레이트(280)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보강대(286)가 형성되며, 보강대(286)는 댐핑 플레이트(280)가 회전되어 가스 배출 덕트(160)가 개방되었을 때 가연성 가스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의 가연성 가스로 인한 댐핑 플레이트(280)의 열변형이 보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 가스화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도 3의 댐핑 유닛이 가스 배출 덕트를 폐쇄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댐핑 유닛이 가스 배출 덕트를 개방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열분해 가스화로(1)는 가스 배출 덕트(160)를 통해 가스 연소부(30)와 연결되며, 두 개 이상의 열분해 가스화로(1)가 가스 연소부(30)에 연결되어 교호 운전될 수 있다. 가령, 열분해 가스화로(1)가 1호기와 2호기의 두 대로 교호 운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1호기가 운전되고 있을 때 2호기는 정지된 상태에서 재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1호기가 연결된 가스 배출 덕트(160)의 댐핑 유닛(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고, 2호기가 연결된 가스 배출 덕트(160)의 댐핑 유닛(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된다.
1호기의 운전이 종료되면 열분해가 완료되며, 제어부에 의해 댐핑 유닛(200)의 댐핑 실린더(220)가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 구동되어 피스톤(222)이 댐핑 실린더(220) 측으로 후퇴된다. 이에 따라, 연결 샤프트(240)가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가이드 홀(232)을 따라 원호 형상의 경로로 회전 이동하고, 회전 플레이트(250)가 회전 샤프트(26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250)의 회전에 의해 회전 샤프트(260) 또한 회전하게 되며, 회전 샤프트(260)에 고정된 댐핑 샤프트 삽입관(282) 또한 마찬가지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댐핑 실린더(220)가 하사점에 오게 되면, 댐핑 플레이트(280)의 회전도 종료되며, 고정 플레이트(270)의 중앙 통로에 수용되어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함께, 2호기에서는 운전 개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것과 반대되는 과정을 통해 댐핑 유닛(200)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개방 후에 2호기 내에서 폐기물의 열분해가 개시될 수 있다. 열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는 가스 배출 덕트(160)를 통해 가스 연소부(30)로 전달되어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때, 1호기를 연결하는 가스 배출 덕트(160)는 이미 댐핑 유닛(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가스 연소부(30) 내의 연소 가스가 1호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과 동시에, 1호기로부터 외기가 가스 연소부(30) 및 열분해가 진행되고 있는 2호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1)에 따르면,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타르 등의 이물질이 고정 플레이트(270)와 가스 배출 덕트(160)의 내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텝부에 쌓이게 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270)와 댐핑 플레이트(280)의 접촉 부분, 즉, 고정 플레이트(270)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제한됨에 따라, 이물질이 댐핑 플레이트(280)에 의한 댐핑 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가스 배출 덕트(160) 내에서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드 이동이 아닌, 댐핑 플레이트(28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댐핑 구동이 이루어지므로, 댐핑 구동시 이물질이 슬라이딩판의 진퇴되는 틈에 쌓여서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드 이동이 방해되는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열분해 가스화로 10: 통부
100: 폐기물 연소실 110: 뚜껑
120: 점검도어 130: 가스 유도 냉매관
140: 착화 유닛 150: 공기 공급 노즐
160: 가스 배출 덕트 170: 하부 플랜지
200: 댐핑 유닛 210: 고정 러그
220: 댐핑 실린더 230: 가이드 플레이트
240: 연결 샤프트 250: 회전 플레이트
260: 회전 샤프트 270: 고정 플레이트
280: 댐핑 플레이트 20: 바닥 도어부
30: 가스 연소부 40: 지지부
400: 지지 프레임

Claims (10)

  1. 폐기물이 투입되어 열분해되는 통부;
    상기 통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통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바닥 도어부;
    상기 통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 덕트;
    상기 가스 배출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를 통해 전달된 가연성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배출 덕트 내의 가스 유동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경로상에 제공되고, 상기 가스 유동 통로가 연통하도록 중앙부에 통로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핑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대하여 모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상기 가스 배출 덕트의 표면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부위에 스텝부가 형성되는 열분해 가스화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댐핑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
    중앙에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이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단측에 연결된 연결 샤프트;
    상기 연결 샤프트의 타단에 피스톤 헤드가 연결된 댐핑 실린더; 및
    상기 연결 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유닛은,
    상기 통부 또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 실린더는 상기 고정 러그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열분해 가스화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상기 연결 샤프트가 통과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 샤프트가 원호 형상을 따라 회전 이동되는 경로를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가이드 홀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의 원호 중심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열분해 가스화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가 관통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패킹 하우징;
    상기 패킹 하우징의 내부 중공에 수용되는 패킹부재; 및
    상기 패킹 하우징의 단부를 폐쇄하는 패킹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상기 패킹 하우징 사이의 틈을 기밀하고, 상기 패킹 하우징의 내부 중공의 용적보다 큰 체적을 갖는 열분해 가스화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덕트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피스로 구성되고,
    두 개의 상기 가스 배출 덕트 피스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접합되는 면에는 상기 패킹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반원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 하우징은 상기 두 개의 상기 가스 배출 덕트 피스의 상기 체결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 배출 덕트에 용접 연결되는 열분해 가스화로.
  9.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덕트는,
    내화캐스타블층;
    상기 내화캐스타블층의 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캐스타블층; 및
    상기 단열캐스타블층의 표면을 감싸는 스틸층을 포함하는 열분해 가스화로.
  10. 삭제
KR1020160103779A 2016-08-16 2016-08-16 열분해 가스화로 KR10173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79A KR101734032B1 (ko) 2016-08-16 2016-08-16 열분해 가스화로
PCT/KR2017/007545 WO2018034435A1 (ko) 2016-08-16 2017-07-14 열분해 가스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79A KR101734032B1 (ko) 2016-08-16 2016-08-16 열분해 가스화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869A Division KR101745852B1 (ko) 2017-02-28 2017-02-28 열분해 가스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4032B1 true KR101734032B1 (ko) 2017-05-10

Family

ID=5874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79A KR101734032B1 (ko) 2016-08-16 2016-08-16 열분해 가스화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4032B1 (ko)
WO (1) WO20180344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242B1 (ko) 2017-07-03 2018-10-12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KR20190062124A (ko) * 2018-05-16 2019-06-05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1356B (zh) * 2020-04-27 2021-01-15 内蒙古兴安银铅冶炼有限公司 一种烟化炉炉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52B1 (ko) * 2008-07-11 2009-02-18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가스 제너레이팅 시스템
KR101218361B1 (ko) * 2010-03-05 2013-01-03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가연성 폐기물을 사용하는 열분해 가스 발생 시스템
KR101593623B1 (ko) * 2015-05-21 2016-02-19 주식회사 부-스타 배기가스 재순환 댐퍼와 연계된 연동감응식 비례제어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2858A (ja) * 1995-10-12 1997-05-02 Tadao Shigeta 焼却可能な乾留炉
KR101745068B1 (ko) * 2015-01-30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952B1 (ko) * 2008-07-11 2009-02-18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가스 제너레이팅 시스템
KR101218361B1 (ko) * 2010-03-05 2013-01-03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가연성 폐기물을 사용하는 열분해 가스 발생 시스템
KR101593623B1 (ko) * 2015-05-21 2016-02-19 주식회사 부-스타 배기가스 재순환 댐퍼와 연계된 연동감응식 비례제어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242B1 (ko) 2017-07-03 2018-10-12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KR20190062124A (ko) * 2018-05-16 2019-06-05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KR101995668B1 (ko) 2018-05-16 2019-10-17 임덕준 열분해 가스화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4435A1 (ko) 201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032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651789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745852B1 (ko) 열분해 가스화로
RU20018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MX2009007074A (es) Aparato de horno pirolizador y metodo para la operacion del mismo.
US9951957B2 (en) Air-cooled combustion furnace system
RU261943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KR101232866B1 (ko)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 및 연소로 클린커 제거장치가 구비된 연소설비
KR101995668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728995B1 (ko) 열분해 가스화로 및 열분해 가스화로의 제어 방법
RU2579285C1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 обращенного процесса газификации
KR102223814B1 (ko) 연속식 열분해장치
RU20480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KR100851635B1 (ko) 자기축열식 버너의 3웨이 절환밸브
CN101216170B (zh) 一种颗粒燃料燃烧方法及燃烧装置
KR100998632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용 연소장치
KR101908242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722880B1 (ko) 열분해 가스화로 및 열분해 가스화로의 제어 방법
KR101385303B1 (ko) 동물 사체 소각장치
RU20747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KR102206367B1 (ko) 열분해 가스화 시스템
KR102142105B1 (ko) 열분해 가스화로
KR101316647B1 (ko) 보일러 복합버너 과열방지 장치
JP2016121252A (ja) 炭化炉、水性ガス生成システム、および炭化炉の制御方法
RU277399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