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48B1 -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48B1
KR101733648B1 KR1020160109899A KR20160109899A KR101733648B1 KR 101733648 B1 KR101733648 B1 KR 101733648B1 KR 1020160109899 A KR1020160109899 A KR 1020160109899A KR 20160109899 A KR20160109899 A KR 20160109899A KR 101733648 B1 KR101733648 B1 KR 10173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oard
hardwood
door
disposed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백춘
Original Assignee
(주)빌드텍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빌드텍무역 filed Critical (주)빌드텍무역
Priority to KR102016010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연기, 유독성 가스 및 화염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은 고밀도 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장패널(210, 220) 사이에 방염 및 방열 기능을 가진 내장재(100)가 배치되고, 상기 내장재(100)는 우측 선대(140)와 우측 선대(140) 사이에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와, 하부 막이(130)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110)의 상단에 상부 막이(120)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110)의 하단에 하부 막이(120)가 배치되며, 코어 보드(110)가 불연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 막이(120) 및 하부 막이(130)가 규산칼슘(CaSiO3) 소재로 형성되며, 우측 선대(140) 및 좌측 선대(150)가 목재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FIRE-RATED WOOD DO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연기, 유독성 가스 및 화염을 차단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내장재를 불연 소재의 코어 보드, 규산칼슘(CaSiO3) 소재의 상부 막이 및 하부 막이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차열 30분 및 비차열 1시간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56627호(2013년 4월 15일, 등록)에 "목재 방화문 및 그 제작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목재 방화문 제작방법은 목재를 함침탱크 내에 투입하고 밀폐하는 단계와, 함침탱크 내의 목재를 스팀을 가해 열처리하는 단계와, 목재의 내부와 함침탱크 내에 있는 공기를 완전 진공시키는 단계와, 불연성 조성물(불연처리약제)을 함침탱크 내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해 목재를 불연 처리하는 단계와, 가압을 풀고 불연성 조성물을 함침탱크에서 배출시킨 후 탱크내부의 목재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와, 목재를 건조시킨 후 검수하는 단계, 및 불연 처리된 목재를 사용하여 원하는 무늬나 형태를 갖는 목재 방화문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불연성 조성물은 30중량%의 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와, 5중량%의 구아니딘설파메이트(Guanidinesulfamate)와, 5중량%의 암모늄 헥사메타포스테이트(Ammonium hexametaphoshate), 및 60중량%의 물로 구성된 것을 이용한다.
그러나, 상기 제작방법으로 제조된 목재 방화문은 불연처리하였지만, 목재로만 되어있어,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30분 차열 및 1시간 비차열을 견딜 수 있을지 의문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6082호(2009년 9월 1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목재 방화문 시스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7624호(2002년 8월 19일, 등록) 발명의 명칭 : 목재 방화문 대한민국 특허 제10-1271110호(2013년 5월 29일, 등록) 발명의 명칭 : 화염 전파를 최소화시킨 버팀 목재 방음방화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내장재를 불연 소재의 코어 보드, 규산칼슘(CaSiO3) 소재의 상부 막이 및 하부 막이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차열 30분 및 비차열 1시간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재의 좌측 선대 및 우측 선대에 발포제가 개재되어,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발포제가 팽창하게 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막게 됨으로써, 화염이 문틈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재의 코너에 불연 소재의 마그네슘 사각판을 삽입하여,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해 문의 코너가 먼저 탄화되어도, 불연 소재인 마그네슘 사각판이 그대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코너 차단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코너를 통해 화염과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은 고밀도 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장패널 사이에 방염 및 방열 기능을 가진 내장재가 배치된다.
상기 내장재는 우측 선대와 좌측 선대 사이에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와, 하부 막이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의 상단에 상부 막이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의 하단에 하부 막이가 배치되며, 코어 보드가 불연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 막이 및 하부 막이가 규산칼슘(CaSiO3) 소재로 형성되며, 우측 선대 및 좌측 선대가 목재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보드는 펄라이트(perlite) 소재 또는 플라이 애쉬(fly ash)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막이는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채널홈이 형성되고, 채널홈에 제 1 발포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 선대는 제 1 하드우드와 제 2 하드우드 사이에 제 2 발포제가 개재되고, 제 1 하드우드가 코어 보드의 일측단에 배치되며, 제 2 하드우드가 제 1 하드우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2 발포제가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과 제 2 하드우드 사이의 틈새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선대는 우측 선대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내장재는 4개의 코너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불연 소재의 마그네슘 사각판이 끼워져, 상기 마그네슘 사각판이 외장패널 사이에서 외장패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 사이에 최소 간극이 형성되고, 최소 간극에 제 4 발포제가 배치된다.
상기 코어 보드와 하부 막이, 코어 보드와 우측 선대 그리고, 코어 보드와 좌측 선대는 상기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의 배치관계와 같다.
상기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는 반턱 연결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코어 보드와 하부 막이, 코어 보드와 우측 선대 그리고, 코어 보드와 좌측 선대는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의 연결구조와 같은 반턱 연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는 요철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코어 보드와 하부 막이, 코어 보드와 우측 선대 그리고, 코어 보드와 좌측 선대는 코어 보드와 상부 막이의 요철 결합구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 제조방법은
(1) 내장재의 구성요소인 코어 보드, 상부 막이, 하부 막이, 우측 선대 및 좌측 선대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와,
(2) 코어 보드의 둘레에 상부 막이, 하부 막이, 우측 선대 및 좌측 선대를 배열하고, 타카핀으로 결합하여 내장재를 조립하는 단계와,
(3) 어느 한 외장패널의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외장패널을 조립된 내장재의 일면에 접합하는 단계와,
(4) 다른 외장패널의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외장패널을 상기 내장재의 타면에 접합하는 단계와,
(5) 내장재의 양 면에 외장패널이 각각 접합된 목재 방화문을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가압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6) 양생된 목재 방화문의 폭 및 높이를 장착될 문틀에 알맞게 정삭 가공하는 단계와,
(7) 정삭 가공후 목재 방화문의 측면에 PVC 필름을 부착하여 목재 방화문을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은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차열 30분 및 비차열 1시간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내장재의 좌측 선대 및 우측 선대에 발포제가 개재되어,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발포제가 팽창하게 되어,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를 막게 됨으로써, 화염이 문틈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해 문의 코너가 먼저 탄화되어도, 불연 소재인 마그네슘 사각판이 그대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코너 차단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코너를 통해 화염과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이 문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을 도시한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을 도시한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제 2 발포제에 의해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문틈이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 확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코너를 도시한 확대 상세도
도 8은 코어 보드의 상단과 상부 막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상세도
도 9는 코어 보드의 상단과 상부 막이의 다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코어 보드의 상단과 상부 막이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작업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은 고밀도 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장패널(210, 220) 사이에 방염 및 방열 기능을 가진 내장재(100)가 배치된다.
상기 내장재(100)는 우측 선대(140 ; 도면을 보았을 때)와 좌측 선대(150) 사이에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와, 하부 막이(130)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110)의 상단에 상부 막이(120)가 배치되고, 코어 보드(110)의 하단에 하부 막이(120)가 배치되며, 코어 보드(110)가 불연 소재로 형성되고, 상부 막이(120) 및 하부 막이(130)가 규산칼슘(CaSiO3) 소재로 형성되며, 우측 선대(140) 및 좌측 선대(150)가 목재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 보드(110)는 불연 및 단열 기능을 가진 펄라이트(perlite) 소재 또는 플라이 애쉬(fly ash) 소재로 형성되어,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고,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며, 상기 상부 막이(120) 및 하부 막이(130)는 화염에 의한 수축 및 밴딩이 적은 규산칼슘(CaSiO3) 소재로 형성되어, 외장패널(210)이 연소될 때, 문짝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문짝과 문틀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우측 선대(140)와 좌측 선대(150)는 비중이 높은 목재로 형성되어, 나사못 유지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탄화속도가 작은 특징이 있다. 그리고, 외장패널(210, 220)은 고밀도 섬유판(High Density Fiberboard ; HDF/경질 섬유판)으로 이루어져 평상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문을 보호하고, 외장패널(210, 220)의 표면이 PVC 시트 등과 같은 표면마감재(230)에 의해 마감처리됨으로써, 외부 습기에 의해 문짝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은 건축물의 피난·방화 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차열 30분 및 비차열 1시간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막이(120)는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채널홈(121)이 형성되고, 채널홈(121)에 제 1 발포제(125)가 충진된다.
상기 제 1 발포제(125)는 흑연을 주재료로 하며, 화재시 열에 의해 채널홈(121)에서 팽창하게 되어, 문틀의 상부 프레임(310)과 상부 막이(120) 사이의 틈새(S1)를 막게 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우측 선대(140)는 제 1 하드우드(141)와 제 2 하드우드(142) 사이에 제 2 발포제(143)가 개재되고, 제 1 하드우드(141)가 코어 보드(110)의 일측단에 배치되며, 제 2 하드우드(142)가 제 1 하드우드(14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2 발포제(143)가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320)과 제 2 하드우드(142) 사이의 틈새(S2)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발포제(143)는 규산나트륨을 주재료로 하며, 열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우측 선대(14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화재에 의해 제 2 발포제(143)가 100℃ 이상의 열을 받으며, 화재에 의해 열이 가해지는 쪽이 팽창하게 된다. 즉, 제 2 발포제(143)에서 열을 받는 쪽이 팽창하게 됨으로써, 제 2 발포제(143)의 부분 팽창으로 제 2 하드우드(142)가 제 2 발포제(143)에 의해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320)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제 2 하드우드(142)가 틈새(S2)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는 화염에 의해 고밀도 섬유판으로 이루어진 외장패널과 사이드 프레임(320)을 감싸는 목판재 부분이 연소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이 더 경과하게 되어, 사이드 프레임(320)을 감싸는 목판재 부분이 더 연소되어도, 제 2 발포제(143)가 더 팽창하게 되어, 제 2 하드우드(142)가 틈새(S2)를 완전하게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제 1 하드우드(141)와 제 2 하드우드(142)는 팽창하는 제 2 발포제(143)에 의해 가압되어, 탄화깊이(t1)가 깊지 않게 된다. 실험에서 탄화깊이(t1)는 10mm를 넘지않았다.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노말 상태 또는 화재 초기에 발생하는 가스는 문틀에 장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330)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선대(140)는 화재 발생시 제 2 발포제(143)의 팽창에 의해 문짝과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틈새(S2)를 차단함으로써, 화염이 틈새를 통해 대피장소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좌측 선대(150)는 우측 선대(140)와 동일하다. 즉, 좌측 선대(150)는 제 3 하드우드(151)와 제 4 하드우드(152) 사이에 제 3 발포제(153)가 개재되고, 제 3 하드우드(151)가 코어 보드(110)의 타측단에 배치되며, 제 4 하드우드(152)가 제 3 하드우드(15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3 발포제(153)가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330)과 제 4 하드우드(152) 사이의 틈새(S3)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3 발포제(153)는 규산나트륨을 주재료로 하며, 열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좌측 선대(150)의 작용은 우측 선대(140)와 동일하여 설명의 편의상 작용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내장재(100)는 4개의 코너에 삽입홈(1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62)에 불연 소재의 마그네슘 사각판(160)이 끼워져, 상기 마그네슘 사각판(160)이 외장패널(210, 220) 사이에서 외장패널(210, 2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7에는 삽입홈(162)이 우측 선대(140)의 상단과 상부 막이(120)의 좌측단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화염에 의해 문짝의 코너가 탄화되어도, 마그네슘 사각판(160)이 배치된 위치에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문짝의 코너가 연소되어, 문짝의 코너로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 사이에 최소 간극(S4)이 형성되고, 최소 간극(S4)에 제 4 발포제(170)가 배치된다.
상기 코어 보드(110)와 하부 막이(130), 코어 보드(110)와 우측 선대(140) 그리고, 코어 보드(110)와 좌측 선대(150)는,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의 배치관계와 같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최소 간극(S4)이 형성되고, 최소 간극(S4)에 제 4 발포제(170)가 배치된다.
상기 제 4 발포제(170)는 제 1 발포제(125)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대안으로,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는 반턱 연결구조로, 코어 보드(110)의 상단에 단차진 제 1 반턱(112)이 형성되어, 상부 막이(120)의 하단에 단차진 제 2 반턱(123)이 형성되고, 코어 보드(110)의 제 1 반턱(112)과 상부 막이(120)의 제 2 반턱(23)이 서로 반대 위치에서 마주보게 형성되어, 코어 보드(110)의 제 1 반턱(112)과 상부 막이(120)의 제 2 반턱(123)이 걸리게 된다.
상기 코어 보드(110)와 하부 막이(130), 코어 보드(110)와 우측 선대(140) 그리고, 코어 보드(110)와 좌측 선대(150)는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의 연결구조와 같은 반턱 연결구조로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대안으로,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는 요철 결합구조로, 코어 보드(110)의 상단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상부 막이(120)의 하단에 요홈(127)이 형성되어, 코어 보드(110)의 돌출부(114)과 상부 막이(120)의 요홈(127)이 끼워진다.
상기 코어 보드(110)와 하부 막이(130), 코어 보드(110)와 우측 선대(140) 그리고, 코어 보드(110)와 좌측 선대(150)는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의 요철 결합구조와 같은 요철 결합구조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내장재(100)의 구성요소인 코어 보드(110), 상부 막이(120), 하부 막이(130), 우측 선대(140) 및 좌측 선대(150)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다.
(2) 코어 보드(110)의 둘레에 상부 막이(120), 하부 막이(130), 우측 선대(140) 및 좌측 선대(150)를 배열하고, 타카핀(180)으로 결합하여 내장재(100)를 조립한다(도 11 참조).
이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타카핀(180)에 의해 우측 선대(140)와 상부 막이(120), 좌측 선대(150)와 상부 막이(120), 우측 선대(140)와 하부 막이(130) 그리고 좌측 선대(150)와 하부 막이(130)가 결합된다.
(3) 어느 한 외장패널(210)의 한 면에 접착제(211)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외장패널(210)을 조립된 내장재(100)의 일면에 접합한다(도 12 참조).
(4) 다른 외장패널(220)의 한 면에 접착제(222)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외장패널(220)을 상기 내장재(100)의 타면에 접합한다.
(5) 내장재(100)의 양 면에 외장패널(210, 220)이 각각 접합된 목재 방화문을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가압하여 양생한다.
(6) 양생된 목재 방화문의 폭 및 높이를 장착될 문틀에 알맞게 정삭 가공한다.
(7) 정삭 가공후 목재 방화문의 측면에 PVC 필름을 부착하여 목재 방화문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방화문의 제조방법은 가열압착 등과 같은 복잡한 않은 간편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내장재 110 : 코어 보드
120 : 상부 막이 130 : 하부 막이
140 : 우측 선대 150 : 좌측 선대
210, 220 : 외장패널

Claims (10)

  1. 고밀도 섬유판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외장패널(210,220) 사이에 방염,방열기능을 가진 내장재(100)를 배치하고, 상기 내장재(100)는 우측선대(140)와 좌측선대(150) 사이에 코어보드(110)가 배치되고, 코어보드(110) 상,하단에는 각각 상부막이(120)와 하부막이(130)를 배치하는 목재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코어보드(110)는 불연 및 단열 기능을 가진 펄라이트(perlite)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막이(120)와 하부막이(130)는 화염에 의한 수축 및 밴딩이 적은 규산칼슘(CaSiO3)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막이(120)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채널홈(121)을 형성하고, 이 채널홈(121)에 흑연소재의 제1발포제(125)를 충진하여 화재 발생시 문틀의 상부프레임(310)과 상부막이(120) 사이의 틈새(S1)를 막아주며,
    상기 우측선대(140)는 제1하드우드(141)와 제2하드우드(142)사이에 규산나트륨 소재의 제2발포제(143)가 개재되고, 제1하드우드(141)가 코어보드(110)의 일측단에 배치되며, 제2하드우드(142)는 제1하드우드(14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규산나트륨 소재의 제2발포제(143)가 문틀의 사이드 프레임(320)과 제 2하드우드(142)사이의 틈새(S2)를 막아주고,
    상기 좌측선대(150)는 제3하드우드(151)와 제4하드우드(152) 사이에 규산나트륨 소재의 제3 발포제(153)가 개재되고, 제3하드우드(151)가 코어보드(110)의 타측단에 배치되며, 제4하드우드(152)가 제3하드우드(15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화재발생시 제3발포제(153)가 문틀의 사이드프레임(330)과 제4하우드우(152)사이의 틈새(S3)를 막아주며,
    상기 내장재(100)는 4개의 코너에 삽입홈(16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62)에는 불연소재의 마그네슘 사각판(160)이 끼워져 외장패널(210,2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화염에 의해 문짝코너가 연소되어도 문짝의 코너로 화염이 전파되지는 않으며,
    상기 코어보드(110)와 상부막이(120)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코어보드(110)와 상부막이(120) 사이에 최소간극(S4)이 형성되고 이 최소간극(S4)에 흑연소재의 제4발포제(17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는 반턱 연결구조로, 코어 보드(110)의 상단에 단차진 제 1 반턱(112)이 형성되어, 상부 막이(120)의 하단에 단차진 제 2 반턱(123)이 형성되고, 코어 보드(110)의 제 1 반턱(112)과 상부 막이(120)의 제 2 반턱(23)이 서로 반대 위치에서 마주보게 형성되어, 코어 보드(110)의 제 1 반턱(112)과 상부 막이(120)의 제 2 반턱(123)이 걸리게 되고,
    상기 코어 보드(110)와 하부 막이(130), 코어 보드(110)와 우측 선대(140) 그리고, 코어 보드(110)와 좌측 선대(150)는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의 연결구조와 같은 반턱 연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는 요철 결합구조로, 코어 보드(110)의 상단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상부 막이(120)의 하단에 요홈(127)이 형성되어, 코어 보드(110)의 돌출부(114)과 상부 막이(120)의 요홈(127)이 끼워지고,
    상기 코어 보드(110)와 하부 막이(130), 코어 보드(110)와 우측 선대(140) 그리고, 코어 보드(110)와 좌측 선대(150)는 상기 코어 보드(110)와 상부 막이(120)의 요철 결합구조와 같은 요철 결합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방화문.
  10. 삭제
KR1020160109899A 2016-08-29 2016-08-29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99A KR101733648B1 (ko) 2016-08-29 2016-08-29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99A KR101733648B1 (ko) 2016-08-29 2016-08-29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48B1 true KR101733648B1 (ko) 2017-05-08

Family

ID=6016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899A KR101733648B1 (ko) 2016-08-29 2016-08-29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296B1 (ko) 2017-11-20 2019-03-28 이인태 목재 방화문
KR20190081649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20190088767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다한종합건설 목재 방화문
KR102051866B1 (ko) * 2018-12-20 2019-12-04 정범철 변형 방지 구조형 도어
KR20210119039A (ko) 2020-03-24 2021-10-05 (주)선블루 목재 난연방화문
KR102309988B1 (ko) 2021-02-18 2021-10-07 우드라이프 주식회사 준불연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61B1 (ko) * 2006-07-28 200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목질계 방화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61B1 (ko) * 2006-07-28 200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목질계 방화도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296B1 (ko) 2017-11-20 2019-03-28 이인태 목재 방화문
KR20190081649A (ko) * 2017-12-29 2019-07-0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102129815B1 (ko) 2017-12-29 2020-07-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방화문용 단열재 조성물 및 방화문용 단열재의 제조 방법
KR20190088767A (ko)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다한종합건설 목재 방화문
KR102051866B1 (ko) * 2018-12-20 2019-12-04 정범철 변형 방지 구조형 도어
KR20210119039A (ko) 2020-03-24 2021-10-05 (주)선블루 목재 난연방화문
KR102309988B1 (ko) 2021-02-18 2021-10-07 우드라이프 주식회사 준불연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648B1 (ko)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JP6391001B2 (ja) 耐火集成材
KR200446082Y1 (ko) 목재 방화문 시스템
KR200483883Y1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KR101723565B1 (ko) 퍼라이트패널을 이용한 방화문의 단열패널과 이를 이용한 방화문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3862Y1 (ko) 방화용 도어
KR101126353B1 (ko)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KR101048860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296B1 (ko) 목재 방화문
KR102023715B1 (ko) 목재 방화문
KR102103540B1 (ko)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200350821Y1 (ko)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KR200390694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200331768Y1 (ko)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KR200373994Y1 (ko) 샌드위치 복합패널
JPH0712626Y2 (ja) 防火ドアの構造
TWM603482U (zh) 防火輕隔牆固定防火玻璃之結構改良
JP2004108082A (ja) 木製防火扉
JP3000459B1 (ja) 防火戸
JPH08218744A (ja) 防火ドア
CN218257146U (zh) 一种隔音防火门芯和防火门
KR20160017572A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200395338Y1 (ko) 무늬목 형상이 입체적으로 표출되는 기능성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