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540B1 -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 Google Patents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540B1
KR102103540B1 KR1020190076116A KR20190076116A KR102103540B1 KR 102103540 B1 KR102103540 B1 KR 102103540B1 KR 1020190076116 A KR1020190076116 A KR 1020190076116A KR 20190076116 A KR20190076116 A KR 20190076116A KR 102103540 B1 KR102103540 B1 KR 10210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lame
metal
metal material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214A (ko
Inventor
이경욱
이경열
한홍석
최재성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5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540B1/ko
Priority to PCT/KR2020/008244 priority patent/WO2020262969A1/ko
Priority to CN202080047274.XA priority patent/CN114026300B/zh
Priority to EP20831026.8A priority patent/EP3992390A4/en
Priority to US17/623,140 priority patent/US20220356715A1/en
Priority to JP2021577194A priority patent/JP728122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5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fire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금속소재
상기 금속소재의 상부에 방염미처리박막시트를 구성하되,
상기 금속소재과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 사이에는 접착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소재을 구비한 가연성 방염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Flammable thin film construction metal material with built-in material attached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it}
본 발명은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1a 는 금속박막(11,11')은 여러 가지 종류의 색상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원색 및 목무늬 색상까지 다양한 색상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금속 박막은 인테리어 방염 불연 마감재 양면에 접착 처리되기 때문에 화재로부터 인테리어 방염 불연 몸체부(12)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2)의 일면 양단을 V홈 가공설비(미도시)에 의해 브이홈 컷팅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이러한 컷팅은 몸체부(12)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양단 위치에서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브이 컷팅 공정은 상기 금속 박막 (11,11')이 접합된 몸체부(12)를 절단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사면(A,A') 및 브이홈(V홈)이 형성되도록 일정 각도, 예컨대 수직축에 대하여 약 45°±5°의 범위로 경사지게 수행된다. 상기한 범위에서 경사면 상호간 접착에 의한 마감처리가 잘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브이컷팅을 실시하여 제작된 가구는 외관상 매끈하고 깔끔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배경기술의 설명에서 금속 박막은 인테리어 방염 불연 마감재 양면에 접착 처리되기 때문에 화재로부터 인테리어 방염 불연 몸체부(12)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라고 기재함으로써 금속박막이 방염불연몸체부를 완전하게 차단함으로 방염기능을 갖는 것으로 인테리어 본연의 질감을 나타낼 수 없는 것이다.
도11b는 몸체부(40)에 금속박막(30)으로 접착하여 방염처리를 하지 않아도 방염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박막(30)으로 둘러싸고 있어 몸체부(40)인 내부에 원하는 무늬를 전혀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도11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금속층(15)은 금속을 박막형태로 성형한 금속호일을 접착제층(14)에 접착시킴으로서 형성되는데, 상기 금속호일은 플라스틱층(13)에 발생되는 내부응력이나 복원력보다 높은 항복점을 가져야 하며,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구리, 금, 은과 백금이 사용된다.
피착제(17)의 굴곡면에 부착된 마킹 및 데코레이션 시트의 단면 사시도로써, 시트(10)로부터 이형지층을 박리시킨 후 피착제(17)의 굴곡면에 시트의 점착제층 (16)을 부착시킴으로서 시트(10)의 시공이 완료되는데, 시트(10)에 구비된 금속층(15)의 항복점은 시트(10)를 굴곡면을 가진 피착제(17)에 부착할 때 발생되는 내부응력이나 복원력보다 크기 때문에, 시트(10)를 굴곡면에 부착하더라도 금속층이 복원력을 상쇄하기 때문에 종래의 시트와 피착제의 굴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결국 수려한 미관 및 견고한 부착성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금속박막으로 인하여 굴곡면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과는 상이한 것이다.
또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금속층(15)과 피착제(17)사이에 공간이 있어 열발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나 점착제층으로 인하여 부착되어 있으므로 열발산이 될 수 없어 박막의 금속판으로 인하여 화재에 약간의 효과가 있거나 효과가 미미한 것이다.
금속박막이어야 굴곡된 부분마다 부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금속소재과는 전혀 상이한 구성이고 이로 인한 효과도 상이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효과는 화재예방의 관점에서 발명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공개번호 10-2004-0083783(2004.10.06)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특1981-0000528(1981.05.25) 대한민국특허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8460(2006.10.0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가연성 소재 표면에 방염처리를 할 경우에는 표면구조 변화로 광학 효과 저하와 색상변화를 초래함으로 화재예방으로 인하여 색상변화가 있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연성 소재와 금속소재와 결합함으로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연성 인테리어 소재의 원하는 무늬를 표현하도록 박막시트에 방염처리를 하지 않으면서도 표면에 방염처리한 것과 동일 이상의 (실험적으로는 탁월함.) 방염효과를 나타내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염성능을 가지면서 비용은 저렴하게 알루미늄,황동,순동,백동,인청동 등 금속소재를 구비한 가연성박막 건축내장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로 시공하도록 하는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을 목적으로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한 원터치방식의 금속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평탄 벽면에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볼팅 시공하고, 그 위에 알미늄 등의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조립함으로써 현장 시공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평탄도 등의 품질을 유지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유해한 접착제나 과다한 시공 공정을 없앰으로써 실내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단위 금속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을 소형 단위 크기로 구성하므로서 코너와 모서리 부분 등을 마무리 할 때에 단시간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을 매우 효율성이 있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금속소재의 상부에 방염미처리박막시트를 구성하되,
상기 금속소재과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 사이에는 접착제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의 이면에 접착제를 구성하여 상기 금속소재에 접착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는 패브릭, 목재 필름, 코르크 필름, 폴리머 필름, 한지 및 가죽 중에 하나인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소재의 소재로는 철, 알미늄, 동, 마그네슘 등으로 열전달이 좋은 불연재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는 금속판재의 구성으로 두께는 0.3t ~ 1.2t 의 판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로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세트산비닐, 페놀, 요소, 멜라민, 크실렌의 합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소재는 천정 또는 벽면 부착시공을 위하여 타일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의 사면단부를 직각형상으로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삽입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단부에 구성한 결착돌기홀 ;
상기 결착돌기홀에 이웃하여 구성한 연결부홈;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벽체부착부 볼트홈을 가지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착돌기홀을 결착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기 금속소재부착구조물의 최외부에 구성된 결착돌기;
상기 금속소재의 연결부홈에 구성된 연결기구의 결착단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복수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구성한 연결구의 구성을 가지는 구조물의 구성을 둔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의 사면단부에 삽입단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는 천정 또는 벽면 부착시공을 위하여 타일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단부에 상당하는 삽입부를 가지는 벽체부착부 볼트홈을 가지는 것으로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의 좌우에 상기 결착돌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의 개방부의 내측면에 리브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착돌기의 구성은 사각형상의 외부면에 구성되되,
사각형 모서리에서 이웃하는 변의 일방으로 치우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착돌기는 사각형 형상의 일변마다 두개씩 구성하되 모서리 부분에 접하는 두변 가운데 일변에서는 모서리에 가깝게 구성하고,또 다른 변에서는 상기 결착돌기를 모서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을 제조시에 단위 구조물의 4개의 구성을 한번에 제조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에는 결착단차부를 구성하여 상기 금속소재의 삽입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금속소재와 결합할 때에 도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의 반대편으로 결착도피 공간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연성 인테리어 소재의 원하는 무늬를 표현하도록 방염처리를 하지 않으면서도 표면에 방염처리한 것과 동일 이상의 방염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가연성 소재 표면에 방염처리를 할 경우 표면구조 변화로 광학 효과 저하와 색상변화를 초래함으로 인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연성 소재와 금속소재를 결합함으로 단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에 금속소재를 구비한 가연성방염소재를 원터치방식으로 시공하도록 부착구조물을 제작하여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한 것이다.
평탄 벽면에 부착구조물을 볼팅 시공하고, 그 위에 알미늄등의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조립함으로써 현장 시공비를 최소화하면서도 평탄도 등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시공과정을 단순화하도록 함으로서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비의 획기적 절감을 통한 시장 경쟁력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사용함으로 방염기능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위 금속소재부착구조물을 소형 단위 크기로 구성하므로서 코너와 모서리 즉 엣지 부분 등을 마무리 할 때에 단시간내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을 매우 효율성이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먼저 도1과 도2는 인조섬유 일종인 DK 860과 천연섬유의 일종인 Forest를 시료로한 방염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제1도는 시료의 크기와 시료를 세로로 고정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2도는 인조섬유 DK 860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일반재질, 방염처리재질 및 강판부착재질에 따른 방염성능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이다.
제3도는 천연섬유 Forest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일반재질, 방염처리재질 및 강판부착재질에 따른 방염성능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이다.
제4a도 내지 제4f도는 인조섬유의 일종인 폴리에틸렌을 철판에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는 경우의 가열시험을 보이는 도이다.
제5a도 내지 제5f도는 천연섬유의 일종인 목섬유를 철판에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는 경우의 가열시험을 보이는 도이다.
제6a도는 단위 부착구조물을 보이는 도이다.
제6b도는 결착돌기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단위 부착구조물을 복수개 연결된 것으로 사출시에 한번에 연결되어 나오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제7a도의 것을 좌우로 연결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단위 부착구조물을 좌우로 연결할 때에 연결기구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7d도는 연결기구의 구조를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부착구조물이 벽면에 부착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제10a도는 제8도의 부착구조물에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는 작업과정을 보이는 도이다.
제10b도는 제10a도의 부착구조물을 구성한 전체면에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0c도는 부착구조물을 벽의 부분적인 면에 구성하고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배경기술의 도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본원발명은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갖는 방염 인테리어 소재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소재로는 패브릭, 목재 필름, 코르크 필름, 폴리머 필름등이 있있다.금속소재로는 판재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소재와 가연성 소재를 접착할 때에 접착제로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세트산비닐, 페놀, 요소, 멜라민, 크실렌 등과 합성고무를 가연성 소재와 금속 소재를 접합하는 접착제로 사용한다.
금속 소재로는 철, 알미늄, 동, 마그네슘 등의 0.3t ~ 1.2t 정도의 판재를 사용하되 화염전파 차단과 금속 지지 구조물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면 가능하다.
금속소재로는 천정 및 벽면 부착 시공을 위해서 타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가연성 소재를 건축용으로 사용시에는 관련 건축 법령에 의해서 방염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인 작업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방염처리한 방염처리 소재의 첫번째 단점은 할로겐 성분을 첨가한 물질로서 화재시에는 할로겐 함유 유독가스를 발생시켜서 오히려 방염처리소재가 인명피해에 이를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방염처리소재의 두번째 단점은 가연성 소재 표면에 방염처리를 할 경우에는 표면구조 변화로 광학 효과 저하와 색상변화를 초래함으로 화재예방으로 인하여 색상변화가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가연성 소재 표면에 방염 소재를 도포하거나, 방염소재의 함침 공정을 하지 않고도 금속 소재의 열전달 확산을 통해서 건축법령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소방청고시 방염성능기준인 제4조 1항 5호의 기준은 하기와 같다.
" 5. 합판, 섬유판, 목재 및 기타물품 (이하 “합판등”이라 한다.)의 방염성능기준은 잔염시간 10초 이내, 잔신시간 30초 이내, 탄화면적 50 ㎠ 이내, 탄화길이 20 ㎝ 이내이어야 한다."라고 기재하고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여 시험을 의뢰한 시험성적서는 상기 조건을 모두 다 만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기밀도시험에 있어서도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게 된 것이다.
먼저 도1,도2,도3은 인조섬유 일종인 DK 860과 천연섬유의 일종인 Forest를 시료로한 방염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1 내지 도3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섬유재질방염성능시험을 위한 시험절차로는 하기와 같은 절차를 가진다.
폭 100mm의 시료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시킨뒤, 가스토치를 이용하여 하단부에 점화후 연소되는 양상을 관찰하되, 주된 관찰사항으로 자기소화성 유무를 확인한다.
시험 재질은 DK860, Forest 두가지 종류로 각각 일반재질, 방염처리재질, 강판부착재질로 총 6가지 시료로 진행하였다.
제1도는 시료의 크기와 시료를 세로로 고정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료의 폭은 100mm 로 한 것이다.
제2도는 화학섬유의 일종인 DK 860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도2의 (a)는 일반재질, (b)는 방염처리재질 및 (c)는 강판부착재질에 따른 방염성능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이다.
일반재질(a)은 대부분의 섬유재질이 소화되었을 뿐 만 아니라 자기소화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된다.
방염처리재질(b)은 자기소화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나 상당부분이 연소되어 방염처리된 재질은 오히려 할로겐 함유 유독가스를 발생시켜서 방염처리소재가 인명피해에 이를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강판부착재질(c)는 자기소화성이 관찰될 뿐만아니라 토치 불꽃의 직경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흔적이 남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강판부착재질은 오히려 방염처리재질보다 소화되는 부분이 월등히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화재에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1은 강판에 인조섬유의 일종인 DK 860R인 방염처리하지 않은 섬유를 부착하여 시험한 시험결과이다.
시험조건은 온도 (20.0 ± 15.0) ℃, 습도 (50±30)% R.H.
시험방법:방염성능기준(소방청고시 제2019-2호) 제7조에 의한 것이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비고
1회 2회 3회
잔 염 시 간 10 초 이내 0.0 0.0 0.0
잔 신 시 간 30 초 이내 0.0 0.0 0.0
탄 화 면 적 50 cm2 이내 14.7 14.5 14.8
탄 화 길 이 20 cm 이내 4.6 4.5 4.6
모든 시험기준에 합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잔염시간 및 잔신시간은 3회에 걸친 시험에서 모두 제로에 해당되는 결과가 나왔다.
탄화면적 및 탄화길이도 시험기준의 수치에 1/5 ~1/3의 수준으로 방염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표2는 강판에 천연섬유의 일종인 Forest 방염처리하지 않은 섬유를 부착하여 시험한 시험결과이다.
시험조건은 온도 (20.0 ± 15.0) ℃, 습도 (50±30)% R.H.
시험방법:방염성능기준(소방청고시 제2019-2호) 제7조의한 것이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비고
1회 2회 3회
잔 염 시 간 10 초 이내 0.0 0.0 0.0
잔 신 시 간 30 초 이내 0.0 0.0 0.0
탄 화 면 적 50 cm2 이내 20.2 20.6 20.1
탄 화 길 이 20 cm 이내 5.5 5.6 5.5
모든 시험기준에 합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잔염시간 및 잔신시간은 3회에 걸친 시험에서 모두 제로에 해당되는 결과가 나왔다.
탄화면적 및 탄화길이도 시험기준의 수치에 1/4 ~1/3의 수준으로 방염성능이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표3은 강판에 DK 860R인 방염처리하지 않은 섬유를 부착하여 시험한 시험결과로 연기밀도에 대한 시험이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비고
1 2 3
연기밀도시험
Dm(corr)
400 이하
48.2 51.2 53.1 ASTM E 662
- 25 kW/m2
- Flaming
mode
표3은 시험기준에 약 1/8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방염수준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4는 강판에 천연섬유의 일종인 Forest 방염처리하지 않은 섬유를 부착하여 시험한 시험결과이다.
시험항목 시험기준 시험결과 비고
1 2 3
연기밀도시험 Dm(corr)
400 이하
50.7 53.4 54.9 ASTM E 662
- 25 kW/m2
- Flaming
mode
표4도 표3과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시험기준에 약 1/8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방염수준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1 내지 표4는 인조 및 천연 섬유를 대상으로한 방염실험과 이론적인 배경의 열전달 씨뮬레이션을 통한 방염성능 확인은 국내 유일의 방염시험 공인인증기관인 KFI (한국소방안전기술원)에 의뢰한 인증시험에서 결과이다.
제3도는 천연실크의 일종인 Forest 재질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일반재질(a), 방염처리재질(b) 및 강판부착재질(c)에 따른 방염성능시험결과를 보여주는 도이다.
일반재질(a)은 대부분의 섬유재질이 소화되었을 뿐 만 아니라 자기소화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된다.
방염처리재질(b)는 자기소화성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며, 상당부분이 연소되어 방염처리된 재질은 오히려 할로겐 함유 유독가스를 발생시켜서 방염처리소재가 인명피해에 이를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강판부착재질(c)는 자기소화성이 관찰될 뿐만아니라 토치 불꽃의 직경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흔적이 남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강판부착재질은 오히려 방염처리재질보다 소화되는 부분이 월등히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화재에 매우 우수한 특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소화성이 있는지 유무를 표로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표5
Figure 112020008398116-pat00001
섬유재질방염성능 시험결과 하기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일반재질은 자기소화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방염처리재질은 자기소화성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두가지 모두 존재하였다.
즉 DK860는 방염처리한 경우 자기소화성이 있는데 반하여,
Forest는 방염처리한 경우에도 자기소화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방염처리를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두종류 모두 강판부착재질은 발화자체가 잘되지 않으며 발화된 부분이 극히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자기소화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도4와 도5는 인조섬유 일종인 폴리에스테르와 천연섬유의 일종인 목섬유를 시료로한 열전달 씨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제4a도 내지 제4f도는 폴리에틸렌을 철판에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는 경우의 가열시험을 보이는 도이다.
물성 및 조건으로는 하기와 같다.
폴리에틸렌으로 밀도는 940kg/㎥, 열전도도는 0.46W/m·K, 비열은 2300J/kg·K
접착제의 열전도도는 3W/m·K로 하되,
철판(Steel)의 밀도는 7800kg/㎥, 열전도도는 45W/m·K, 비열은 500J/kg·K 로 정한다.
도4a는 전체모델링으로 가열부는 20,000W/m2 ,소재로는 폴리에틸렌으로 75X75X0.05mm3 로 정하고 주변으로는 공기가 있는 것으로 한다.
도4b는 도4a의 Z축단면을 확대한 도로서 접착제의 두께 간격은 0.025mm 으로 하고 철판은 75X75X0.6mm3 이며 소재는 폴리에틸렌으로 도4a와 크기는 동일하다.
도4c는 가열한 후에 철판의 온도는 39.1°C 이고 소재온도는 345.7°C 이다.
소재의 불꽃으로 인한 열이 급속하게 철판을 통하여 전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도4d는 가열한 후에 철판이 없는 경우 소재온도는 725.7°C까지 온도가 상승된다.
철판의 유무로 인하여 도4c와 도4d의 온도의 상이함은 소재에 불꽃의 온도가 급속하게 철판으로 전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4e는 철판이 있는 경우의 가열된 온도를 나타내는 부분을 칼라도면으로 표시하였다.
칼라에 의하여 온도가 표시되는 기준이 좌측상단에 도시된 것이다.
이에 따라 살펴보면 철판이 있는 경우에는 온도가 초록색에 해당하는 온도 로 300도 정도 전후의 낮은 온도임을 알 수 있다.
도면4f는 철판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가열된 온도를 나타내는 부분을 칼라도면으로 표시하였다.
철판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꽃의 중심부는 갈색으로 600도 전후에 상당하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a도 내지 제5f도는 목섬유를 철판에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는 경우의 가열시험을 보이는 도이다.
물성 및 조건으로는 하기와 같다.
목섬유의 밀도는 160kg/㎥, 열전도도는 0.045W/m·K, 비열은 2100J/kg·K
접착제의 열전도도는 3W/m·K로 하되,
철판(Steel)의 밀도는 7800kg/㎥, 열전도도는 45W/m·K, 비열은 500J/kg·K 로 정한다.
도5a는 전체모델링으로 가열부는 20,000W/m2 ,소재로는 목섬유로 75X75X0.1mm3 이고 주변으로는 공기가 채워져 있는 것으로 한다.
도5b는 도5a의 Z축단면을 확대하는 도로서 접착제의 두께 간격은 0.025mm 으로 하고 철판은 75X75X0.6mm3 이며 소재는 목섬유로 도5a와 크기는 동일하다.
도5c는 가열한 후에 철판의 온도는 44°C 이고 소재온도는 407.8°C 이고,
도5d는 철판이 없는 경우 가열소재온도는 1240°C까지 온도가 상승된다.
철판으로 인하여 온도가 급속하게 철판으로 전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5e는 철판이 있는 경우의 가열된 온도를 나타내는 부분을 칼라도면으로 표시하였다.
철판이 있는 경우의 가열된 부분의 칼라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어있어 400도 전후한 온도임을 알 수 있다.
도면5f는 철판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가열된 온도를 나타내는 부분을 칼라도면으로 표시하였다.
철판이 없는 경우의 가열된 온도는 철판이 부착되었을 때의 가열온도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철판이 없는 경우의 목섬유의 온도의 칼라는 중앙부에 붉은색으로 표시되어있는 것으로 1200도 전후의 온도임을 목도하여 알 수있다.
상기와 같은 도시된 도와 설명에 의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금속소재(500)의 상부에 방염미처리박막시트인 폴리에틸렌소재(700)를 구성하되,
상기 금속소재(500)와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인 폴리에틸렌소재(700) 사이에는 접착제층(600)으로 구성하는 금속소재(500)를 구비하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4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층(600)은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인 폴리에틸렌(700)의 이면에 접착제를 구성하고 이형지를 이탈시켜 상기 금속소재(500)에 접착하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400)를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방염미처리박막시트로 목섬유(900)를 적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는 목섬유(900) , 폴리에틸렌소재(700) 또는 패브릭, 코르크 필름, 폴리머 필름, 한지 및 가죽 중에 선택된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연재이면서 내장재로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소재의 제품이라도 가능하다.
여기서 금속소재의 소재로는 철, 알미늄, 동, 마그네슘 등 금속재료이면 족하다.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는 금속이면 어느 소재라도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500)는 금속판재의 구성으로 두께는 0.3t ~ 1.2t 의 판재로 구성되어 견고한 구성을 갖는다. 두께는 금속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규격에 의하여 상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층(600)으로는 열경화성 수지로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세트산비닐, 페놀, 요소, 멜라민, 크실렌의 어느 하나 이상과 합성고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 (400)는 벽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제6a도는 단위 부착구조물(100)을 보이는 도이다.
도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착돌기(110,112,114,116,118)의 후면에는 결착도피공간부(115)를 구성하여 금속소재와 결착할 때에 이 도피공간부를 통하여 잘 결착할 수 있게 한다.
도7a와 도7b를 따라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착구조물은 정사각형으로 제조하되 15센티미터로 단위 부착구조물(100)을 구성하였다.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규격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부착구조물은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가 부착될 때에 공간부가 많이 있어 열확산 속도가 공간부를 통하여 빠르게 확산되어 화재예방시 매우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벽체에 접착제를 부착하여 공간이 없을 경우에는 열확산속도가 느리게 진전되어 화재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타일형식의 금속판재에 가연성 재질의 내부인테리어 제품을 부착하여 벽이나 천정의 내장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방염성능이 매우 우수한 제품을 발명한 것이다.
도7a는 프라스틱 사출물로 제조할 시에 단위 부착구조물(100)의 4개의 구성을 한번에 제조하여 구성하는 것을 보인다. 하부에서는 얇은 프라스틱으로 사출시에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이다.
작업시에 적절하게 적은 단위의 단위 부착구조물(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7b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부착구조물(100)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단위 부착구조물(100) 4개를 단위로 연결하되 연결구를 사용하여 8개의 부착구조물(100)을 결합하여 상호간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연결된 부착구조물(200)을 보이는 것이다.
4개를 단위로 하여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하면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 (400)를 원하는 벽면에 부착구조물(100)을 부착할 수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연결구(300)를 별도로 구성하였으나 부착구조물(100)에 암수의 형태(양각과 음각)로 부착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연결부홀(130)에 연결구(300)를 삽입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태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4개를 단위로 구성하였으나 작업효율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2개, 6개, 8개 그 이상의 단위 부착구조물(100)을 연결하여 사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7c와 도7d는 인접한 부착구조물 상호간에 연결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소재(500)의 사면단부를 직각형상으로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삽입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단부에 구성한 결착돌기홀(410,420,440,450)
상기 결착돌기홀(410,420,440,450)에 이웃하여 구성한 연결부홈(430);의 구성을 가지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 금속소재(500)는 천정 또는 벽면 부착시공을 위하여 타일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구조물(100)과 이웃하는 또 다른 부착구조물 사이는 금속소재 두께의 두배의 두께보다 더 큰 간격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금속소재의 두께가 0.5mm이다. 금속소재의 구성이 무엇인지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부착구조물(100)에 두개의 금속소재이 이어서 결합되는 것으로 1mm의 두께가 여유분이 있어야 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또는 금속소재를 구비한 가연성방염소재(400) 또는 부착구조물(100)의 불량품을 교체하기 위하여 작업공간이 있어야 하므로 부착구조물 간 간격은 2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8도는 부착구조물(100)이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 (400)가 벽면에 부착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부착구조물(100)에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 (400)가 일부 벽면에 부착한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금속소재의 사면단부에 삽입단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면 족하다.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단부에 상당한 삽입부를 가지는 벽체부착부 볼트홈을 가지는 것으로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구성하는 것이면 족한 것이다.
금속소재의 이면과 벽체 사이에 공간부가 많이 확보될수록 공기층이 많아져서 열전달에 유리한 것이다.
브라켓과 금속소재의 부착부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공기층이 확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 9는 구체적인 일실시예로 보이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로 인하여 권리범위를 제한하도록 해석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벽체부착부 볼트홈(141,142,143,144)을 가지는 부착구조물(100)에 있어서;
상기 결착돌기홀(410,420,440,450)을 결착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기 부착구조물(100)의 최외부에 결착돌기(110,112,114,116,118)를 구성한다.
상기 금속소재(500)의 연결부홈(430)은 연결구(300)의 결착단차부(355)에 대응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부착구조물(100)을 복수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구성한 연결부홀(130)의 구성을 가지는 부착구조물(100)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홀(130)의 좌우에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홀(130)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부홀개방부(131)의 내측면에 리브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구조물(10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의 구성은 사각형상의 외부면에 구성한다.
사각형 모서리에서 이웃하는 변의 일방으로 치우쳐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는 사각형 형상의 일변마다 두개씩 구성하되 모서리 부분에 접하는 두변 가운데 일변에서는 모서리에 가깝게 구성하고,또 다른 변에서는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를 모서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구조물(100)을 제조시에 단위 부착구조물(100)의 4개의 구성을 한번에 제조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300)에는 결착단차부(355)를 구성하여 상기 금속소재(500)의 삽입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는 상기 금속소재(500)와 결합할 때에 도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결착돌기(110,112,114,116,118)의 반대편으로 결착도피공간부(115)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a,10b,10c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10c에는 부착구조물(100)을 연이어서 배열하지 않고 금속 지지층의 끝부분에서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하여도 무방하도록 부착구조물(100)의 결착돌기( 110,112,114,116,118)를 모서리부분에서 대칭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과 9도에서 금속소재의 홈을 여유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10a는 도8에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이다.
도10b도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 소재를 부착완료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11',30:금속박막 12, 40:몸체부
100: 부착구조물 110,112,114,116,118:결착돌기
115:결착도피공간부 120:결착부 홈 130:연결부홀
131:연결부홀개방부 132:연결부홈의 후면부
141,142,143,144:벽체부착부 볼트홈
151,152,153,154:리브 200:연결된 부착구조물
300:연결구 330:제1연결부
340:제2연결부 350:연결부 암 355:결착단차부
400: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410,420,440,450:결착돌기홀 430:연결부홈
500:금속소재 600:접착제층 620:가열부
700:폴리에틸렌소재 800:공기 900:목섬유

Claims (8)

  1. 금속소재;
    상기 금속소재의 재료로는 철, 알미늄, 동, 마그네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이며,
    상기 금속소재는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판재는 천정 또는 벽면 부착시공을 위하여 타일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금속판재의 사면단부에 삽입단부의 구성을 가지고,
    여기서 상기 사면단부를 직각형상으로 일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삽입단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단부에 결착돌기홀을 구성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상부에 방염미처리박막시트를 구성하되,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는 패브릭, 목재 필름, 코르크 필름, 폴리머 필름, 한지 및 가죽 중에 하나를 선택한 것이며,
    상기 금속판재와 상기 방염미처리박막시트 사이에는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구성으로 두께는 0.3t ~ 1.2t 의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로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세트산비닐, 페놀, 요소, 멜라민, 크실렌 중의 어느 하나 이상과 합성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의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를 벽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단부에 상당한 삽입부;
    상기 삽입단부에 구성한 상기 결착돌기홀을 결착하기 위하여 구성한 부착구조물의 최외부에 구성한 결착돌기;
    상기 결착돌기는 상기 금속판재와 결합할 때에 도피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결착돌기의 반대편으로 결착도피공간부의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1020190076116A 2019-06-26 2019-06-26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10210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16A KR102103540B1 (ko) 2019-06-26 2019-06-26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PCT/KR2020/008244 WO2020262969A1 (ko) 2019-06-26 2020-06-25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CN202080047274.XA CN114026300B (zh) 2019-06-26 2020-06-25 粘附有可燃性薄膜建筑内装材料的金属材料及用于附着其的附着结构物
EP20831026.8A EP3992390A4 (en) 2019-06-26 2020-06-25 METALLIC MATERIAL TO WHICH FLAMMABLE THIN-FILM BUILDING INTERIOR MATERIAL IS BONDED,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THE SAME
US17/623,140 US20220356715A1 (en) 2019-06-26 2020-06-25 Metal material to which flammable thin-film construction interior material is adhered,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same
JP2021577194A JP7281229B2 (ja) 2019-06-26 2020-06-25 可燃性薄膜建築内装素材が接着された金属素材及びこれを装着するための装着構造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116A KR102103540B1 (ko) 2019-06-26 2019-06-26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214A KR20190084214A (ko) 2019-07-16
KR102103540B1 true KR102103540B1 (ko) 2020-04-23

Family

ID=6747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116A KR102103540B1 (ko) 2019-06-26 2019-06-26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56715A1 (ko)
EP (1) EP3992390A4 (ko)
JP (1) JP7281229B2 (ko)
KR (1) KR102103540B1 (ko)
CN (1) CN114026300B (ko)
WO (1) WO20202629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69A1 (ko) * 2019-06-26 2020-12-30 삼원액트 주식회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102317642B1 (ko) 2020-12-22 2021-10-26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위 브라켓,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87B1 (ko) * 2005-03-14 2005-09-16 (주)단건축사사무소 타일 시공 결합체
JP2009056777A (ja) * 2007-09-03 2009-03-19 Tosoh Corp 多層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6662Y2 (ko) * 1973-11-13 1977-10-24
KR810000528B1 (ko) 1977-12-30 1981-05-25 키다시마 오리에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JPH0826654B2 (ja) * 1992-01-24 1996-03-13 大塩 徳二 建物内装用パネルの取付け機構及びその施工方法
AU728457B2 (en) * 1997-07-24 2001-01-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Paper-laminated metal sheet
JP2000027362A (ja) 1998-07-10 2000-01-25 Kobe Steel Ltd シートラミネート金属板製箱状体および該箱状体の製造方法
US20020114924A1 (en) * 2001-02-16 2002-08-22 Albert Richard C. Decorative surfaces for architectural panels
KR20040083783A (ko) 2003-03-25 2004-10-06 주식회사 마프로 금속층이 구비된 마킹 및 데코레이션 시트
KR200348691Y1 (ko) 2004-02-04 2004-05-03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외장 패널
KR200366473Y1 (ko) * 2004-07-21 2004-11-10 강창남 난연성 목재패널
KR200428460Y1 (ko) 2006-07-19 2006-10-12 김상설 인테리어 방염 불연 몰딩 마감재
KR100894014B1 (ko) * 2007-08-28 2009-04-17 이병학 조립식 내장패널
KR100900508B1 (ko) * 2008-02-27 2009-06-03 김세영 벽체배수판
CN201280810Y (zh) * 2008-09-17 2009-07-29 叶润露 金钢木
JP5202602B2 (ja) 2010-10-27 2013-06-05 山形カシオ株式会社 透光性部材
JP6050590B2 (ja) * 2012-02-09 2016-12-21 Jfe鋼板株式会社 壁構造体およびその壁構造体の構築方法
US9328518B2 (en) * 2013-01-22 2016-05-03 Henry H. Bilge Method and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EP3027407A1 (en) * 2013-07-31 2016-06-08 Corning Incorporated Modular glass panels and planar structures
WO2016146631A1 (en) 2015-03-16 2016-09-22 Dell'innocenti Lamiere S.R.L. Covering panel for external building faces
CN208481055U (zh) 2018-02-09 2019-02-12 佛山市嘉邦园艺用品有限公司 块材地垫
KR102103540B1 (ko) * 2019-06-26 2020-04-23 삼원액트 주식회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87B1 (ko) * 2005-03-14 2005-09-16 (주)단건축사사무소 타일 시공 결합체
JP2009056777A (ja) * 2007-09-03 2009-03-19 Tosoh Corp 多層積層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969A1 (ko) * 2019-06-26 2020-12-30 삼원액트 주식회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102317642B1 (ko) 2020-12-22 2021-10-26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위 브라켓, 브라켓
KR20220090391A (ko) 2020-12-22 2022-06-29 삼원액트 주식회사 단위 브라켓,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모재 및 벽체에 부착하는 브라켓시공방법
EP4019709A1 (en) 2020-12-22 2022-06-29 Samwon Act Co., Ltd. Unit bracket, brack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acket attached to base material and wall using same
KR20230160769A (ko) 2020-12-22 2023-11-24 삼원액트 주식회사 모재 및 벽체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브라켓시공방법
US11840844B2 (en) 2020-12-22 2023-12-12 Samwon Act Co., Ltd. Unit bracket, bracket and bracket construction method for attaching to base material and wal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92390A4 (en) 2022-11-30
JP7281229B2 (ja) 2023-05-25
CN114026300B (zh) 2023-07-25
EP3992390A1 (en) 2022-05-04
KR20190084214A (ko) 2019-07-16
JP2022539132A (ja) 2022-09-07
US20220356715A1 (en) 2022-11-10
CN114026300A (zh) 2022-02-08
WO2020262969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540B1 (ko)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판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KR101900749B1 (ko) 건축물 외벽 마감용 불연성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33648B1 (ko) 목재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196344A1 (en) Fireproof board
KR200483883Y1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101447235B1 (ko)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60639Y1 (ko) 불연성 조립식 패널
KR101126353B1 (ko)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CN211518702U (zh) 一种防火阻燃木饰面板
CN105538838A (zh) 一种带防火层的橱柜用板材
CN211416539U (zh) 一种高强度防火多层板
CN211021726U (zh) 一种加强型耐火装饰板
CN216130487U (zh) 一种防火型建筑装饰板
CN220267072U (zh) 一种室内装修防火墙板
CN218668293U (zh) 一种采用无机基材的环保饰面板
CN213682953U (zh) 一种建筑装饰用阻燃效果好的装饰板
CN211415507U (zh) 一种耐高温防火胶合板
CN212104616U (zh) 一种阻燃底板
CN211523881U (zh) 一种阻燃装饰板
CN211523566U (zh) 一种新型防火材料发泡玻璃保温板
KR20170006094A (ko) 방염패널 제조방법
TWM584350U (zh) 防火建築隔板結構
CN213392997U (zh) 一种新型阻燃抗震木塑板材
CN218758461U (zh) 一种加强型耐火装饰板
KR200404702Y1 (ko) 방염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