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528B1 -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 Google Patents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528B1
KR810000528B1 KR770003109A KR770003109A KR810000528B1 KR 810000528 B1 KR810000528 B1 KR 810000528B1 KR 770003109 A KR770003109 A KR 770003109A KR 770003109 A KR770003109 A KR 770003109A KR 810000528 B1 KR810000528 B1 KR 81000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transfer
sheet
part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0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고 미즈노
다까오 스즈기
사다노부 가와자끼
슈이찌로 다께다
Original Assignee
키다시마 오리에
다이닛뽕 인샤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다시마 오리에, 다이닛뽕 인샤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키다시마 오리에
Priority to KR77000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5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제1도~제8도는 본원 발명의 방염 전사시이트의 여러가지의 양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본원 발명은 방염부(防染部)를 갖는 전사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형재료 또는 제품의 착색을 위해 여러가지의 방법이 개발되어 제안되고 있지만, 그중의 하나로서 이른바 승화전사법(昇華轉寫法)이 있다. 이 방법은 통상, 임의의 지지체 위에, 승화성이 풍부한 분산 염료, 유용성(油溶性) 염료등의 착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임의의 모양을 형성해서 전사시이트를 제조하고, 다음에 이 전사 시이트의 무늬면에 피전사기재를 겁쳐 맞추어서 가열함으로써, 상기 착색제를 승화(일부, 용융, 증발을 수반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간단히 승하라고 할때는, 일부 용융, 증발을 수반하는 것을 포함한 취지로 사용한다) 시켜서 상기한 임의의 무늬를 상기 피전사기재에 전사 또는 전이(轉移)시켜서 착색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습식 날염법(捺染法)에서 필요했던 인날증열(印捺蒸熱) 또는 후처리로서의 세정(洗淨)공정 등이 불필요해지거나 또는 매우 간단해지며, 또한 건열적(乾熱的)으로 재료의 착색을 할 수 있다고 하는 매우 뛰어난 이점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승화전사법에 있어서 방염을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여러가지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상(紙上)에 먼저 실리콘 수지와 같은 발수제(撥水劑)에 의한 방염층을 설치한 뒤, 승화성염료를 함유한 수성잉크를 인쇄해서 된 전사시이트를 사용해서 방염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수성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할 때, 종이의 팽창과 주름이 생기기 쉽고, 다색인쇄에 있어서는 예상이 맞기 어렵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또한, 발수성잉크의 조정이 어려우며, 선화(線畵)에서는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특히 넓은 면적의 그림의 경우에는 오염이 나오기 쉽다.
종래 결합제에 의해 승화한 염료증기를 물리적으로 차폐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었지만 화학적작용을 이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효과적인 방염작용이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결합제로서 승화성염료와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방염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방염잉크의 인쇄는 스크리인 인쇄법등의 잉크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정되지만, 스크리인 인쇄법에서는 해상력(解像力)이 결핍되며, 미세한 방염무늬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인 차폐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터운 잉크층이 필요하며 양호한 전사를 위해서 필요한 전사 시이트와 피전사체와의 밀착성이 손상되고, 염색얼룩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승화성 전사 시이트 위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등의 수용성호재(糊材)로 이루어진 방염제를 설치함으로써 방염하는 방법, 또는 상기 방염제에 활성탄 등을 첨가해서 방염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용성호제는 단지 승화한 염료를 물리적으로 차폐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방염력이 약하며, 따라서, 방염층의 두께를 매우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방법에 있어서는 방염잉크의 인쇄는 스크리인 인쇄법에 한정되어 있고, 상기 제2의 방법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결점을 갖는 것이다.
본원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법에 있어서의 여러가지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한 결과, 열에 의한 전사성을 갖는 착색제에 대해서, 이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잃게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금속화합물을 작용시켜서 방염효과를 얻는 것에 의하여 본원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기체(基體)시이트 위에,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를 함유한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과, 방염용 금속화합물과 결합제를 포함한 임의의 무늬의 방염층을 가지며, 상기 방염용 금속화합물의 상기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잃게 할 수 있는 설질을 갖는 것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요지로 하는 것이다. 방염층과 착색층의 기본 시이트에 대한 위치는 임의이며,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해서 가깝게 또는 멀게, 또 다른 쪽이 그 자체가 2층으로 구성되었을 경우는, 그 2층에 끼여서 방치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사]란, 가열하에 착색제가 전사 시이트에서 피전사 재료에 실질적으로 유효하게 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메카니즘은 주로 기상(氣相)(승화내지는 증발)에 의하지만, 용융한 착색제가 피전사재료에 직접 접촉해서 기체상태를 거치지 않고 이행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사용하는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열전사성을 잃게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므로 방염력이 매우 크며, 따라서 매우 엷은 방염층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방염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종래법에서는 불가능했던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방염층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무늬의 해상력, 생산능율, 인쇄물의 품질등이 뛰어나게 향상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잃게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짐으로써 종래법에 없는 많은 이점이 얻어지는 것이자만,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상기 성질만을 가지며, 방염층을 구성하는 결합제와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에는, 단순히 이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결합제중에 분산되어 있는데 지나지 않기 때문에 방염층의 피막형성성이 뒤지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용제의 건조후에 방염층에 균열이 생기기 쉽고, 전사시이트를 절곡(折曲)하면, 방염층이 갈라지거나, 또는 열전사시에 전사 시이트에서 방염층이 박리하기 쉽다는 등의 결점을 볼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점에 대해서, 본원 발명의 전사 시이트의 바람직한 양태(樣態)에 의하면 사용하는 방염용 금속화합물로서는, 방염층을 구성하는 결합제와 반응해서 피막을 견고하게 하는 성질을 동시에 갖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방염층의 피막형성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상기한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부분]이란 말은, 전사 시이트의 두께방향이 아니고, 평면방향 즉 전사 시이트의 표면과 병행인 방향의 부분을 의미한다. 먼저 제1도는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제1도는 기체(基體)시이트(1) 위에,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를 함유한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2)를 가지며, 또한 이 착색층(2) 위에 상기 착색제의 방염용 금속화합물 및 결합제를 함유한 임의의 무늬의 방염층(3)을 갖는 구성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나타낸다. 상기 착색층(2)은 기체시이트(1) 위에 단색 내지 다색으로 전면 내지 부분적으로 완전히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방염층(3)은 적어도 상기 착색층(2)의 일부분 위에 설치되며, 제조공정상 등의 형편에 따라서, 착색층(2)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부분의 기체시이트(1) 위에 설치되는 부분이 있더라도 본원 발명의 효과를 얻는데 하등 지장이 없다.
또,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나타낸 방염용 전사 시이트의 구성에 있어서 기체시이트(1) 위의 착색층(2)과 방염층(3)과의 위치관계가 반대의 양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방염효과는 제1도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따라서, 기체시이트(1)위이 있어서의 착색층(2)과 방염층(3)과의 위치관계는 완전히 임의이다. 특히 착색층(2)에 함유되는 결합제와 방염층(3)에 함유되는 결합제가 상용성(相溶性)을 가질 경우는 착색층(2)과 방염층(3)의 위치관계의 여하에 불구하고,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결합제가 상용성을 갖지 않을 경우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방염층(3)이 착색층(2) 위에 존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상기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전사 시이트의 최상층, 또는 착색층, 방염층, 기체시이트의 각층 사이의 적어도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색제를 비가열(非加熱)전사시에서는 전사하지 않지만 가열전사시에서는 유효하게 투과하는 수지피막을 설치할 수 있고, 이 수지피막은 상기 착색제의 전사를 방해하는 일 없이,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쌓아 올려서 저하할 경우에 상기 착색제가 다른 방염용 전사 시이트의 기체시이트로 이행하여 오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 수지피막(4)을 갖는 방염용 전사 시이트의 몇개의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제3a-c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성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상기 수지피막(4)을 적어도 한층(一層) 설치한 경우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내며, 또, 역시 제4a도 및 제4b도는,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상기 수지피막(4)을 적어도 한층 설치한 경우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상기 착색층(2)에 함유한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와는 달리 방염층(3)에 함유된 금속화합물에 의해 그 열전사성을 잃지 않는 성질을 갖는 다른 화합물에 의해 그 열전사성을 잃지 않는 성질을 갖는 다른 열전사성 착색제(이하, 간단히 비방염착색제라함)을 병용함으로써 착색방염을 행할수 있다. 이와 같은 착색방염을 행하기 위해서는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여러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염층(3)중에 비방염착색제를 함유시킨 방염층(3a)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5a도는 제1도에, 제5b도는 제2도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며, 둘다 충분한 착색방염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5a도 및 제5b도에 나타낸 구조의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도, 제3도 및 제4도에 의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피막(4)을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예컨대, 제3도 및 제4도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도면을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사용하면, 열전사한 경우, 방염층에 대응하는 부분은 비방염착색제에 의해서만 착색되면, 방염층에 비대응(非對應)의 착색층 부분은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서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만에 의해서 착색된다.
또,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사용해서 착색방염하는데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층(2)중에 비방염착색제를 함유시킨 착색층(2a)을 사용하는 방법도 쓸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6a도는 제1도에, 제6b도는 제2도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며, 어느쪽에 있어서도 충분한 착색방염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6a도 및 제6b도에 나타낸 구성에 다시 상기 수지피막(4)을 최소한 한층 가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면, 제3도 및 제4도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도면은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사용하면, 열전사했을 경우, 방염층에 대응하는 부분은 비방 염착색에 의해서만 착색되며, 방염층에 비대응의 착색층 부분은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서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와 비방염착색제와의 양자의 혼색으로 방염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사용해서 착색방염하는데는, 제7a-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시이트(1) 위에, 착색층(2)과 방염층(3) 외에, 비방염착색제를 함유한 비방염착색층(5)을 설치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7a-b도는 제1도의 구성에 비방염착층(5)을 가한 각예를 나타내며, 역시 제7c-f도는 제2도의 구성에 비방염착색층(5)을 가한 각 예를 나타내고, 어느 것에 있어서도 충분한 착색방염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7a-f도에 나타낸 구성에 다시 상기 수지 피막(4)의 최소한 한층을, 최상층, 또는 기체시이트(1), 착색층(2), 방염층(3), 비방염착색층(5)의 임의의 층사이에 설치할 수 있지만, 도면은 생략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사용하면, 열전사했을 경우, 예를 들면 방염층과 비방염착색층이 완전히 일치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방염층에 대응하는 부분은 비방염착색제의 의해서만 착색되며, 방염층에 비대응의 착색층부분은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서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만에 의해서 착색된다. 이와 같은 타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는 상기한 예의 다른 여러가지의 변화가 주어지며, 예컨대 방염층(3)의 일부에만 비방염착색층(3)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방염층(3)의 일부에만 비방염착색제를 포함해서 방염층(3a)으로 하면, 열전사했을 경우, 피전사체를,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서 열전사성을 잃는 성질을 갖는 착색제면에 의해서 착색되는 부분과, 비방염착색제만에 의해서 착색되는 부분과, 방염되어서 전혀 착색되지 않는 부분과의 세계의 다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변화의 일부에 대해서는 제7a-f도에 층 구성예에 병합해서 표시되어 있다. 또 제7a-f도에 있어서 착색층(2) 또는 방염층(3)의 적어도 일부에 비방염착색제를 포함해서 층(2a) 또는 (3a)로 할 수가 있다는 것도 상술한 바에 의해서 명백할 것이다. 또, 다색날염으로 하기 위하여, 층(2), (2a), (3a), (5)등은 그 자체가 적층구조(그 단위층은 동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로 하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전사 시이트의 각층의 도포량을 건조기준으로 예시하면, 착색층(2), (2a) : 0.01~40g/㎡, 방염층(3), (3a) : 0.05~70g/㎡, 수지층 0.2~4g/㎡, 비방염착색층 0.01~110g/㎡이다.
다음에, 상기 방염용 전사 시이트의 각소제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 사용하는 기체시이트로서는, 무늬 또는 수지의 피막 등을 형성하는 조건 또는 가열전사조건 등의 조건에 의해서 화학변화 또는 수축, 팽창 등의 물리적 영향을 받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각종의 종이 내지 가공지류, 세로판 내열성을 갖는 각종의 수지의 필름 내지 시이트상물, 각종의 금속박 내지 박판등, 또는 그들을 상법에 따라서 임의로 적층한 라미네이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체시이트에 있어서, 예컨대 알루미박(箔), 수지의 필름 내지 시이트상물, 고무시이트 또는 매우 밀도가 높게 만들어진 그라신지, 파아치맨트지 등의 경우에는, 이들 기체시이트 상에 상기 수지 피막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에 있어서,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하여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는, 뒤에 상술하는 바와 같은 방염용 금속화합물의 작용을 받아서, 예를들면, 착체(錯體) 또는 염을 형성하거나, 분해반응을 일으키거나 해서 실질적으로 열전사성을 잃는 것으로서, 상기한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작용치 않는 상태에 있어서 열전사성이 있는 것이라도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분산염료, 염기성염료, 산성염료, 유용성염료 등의 각종 염료가 사용된다.
예컨대 BASF 사제 Celliton Yellow SF 7863(C.I Disperse Yellow 3 (11855)) Cellition Pink SF 7867 (C.I. Disperse Red 11 (62015)), Celliton Blue SF 7872 (C.I. Solvent Violet 13), Celliton Red SF 7874 (C.I. Disperse Red 60 (60725)), Cellition Pink SF 7864 (C.I. Disperse Red 4 (60755)), Celliton Blue SF 7869; 미쓰비시가세이 고오교오 사제의 PTY-55 (C.I Disperse Yellow 7 (26090)), PTR-64, PTR-71(C.I. Solvent Red 155), PTR-41, PTB-11, PTV-53 (C.I. Solvent Violet 32), PTB-67, PTB-77 (C.I. Solvent Blue 90), PTA-63, PTV-54(C.I. Disperse Violet 56), PTV-56, PTR-54(C.I. Disperse Red 147), PTV-52, Diaresin Orange G (C.I. Solvent Orange 68), Diaresin Brown A(C.I. Solvent Orange 72), Diaresin Red B, Diaresin Violet PVD(C.I. Solvent Violet 28(61102), Diaresin Red Z(C.I. Solvent Orange 71), Diaresin Blue N(C.I. Solvent Blue 94), Diaresin Blue H 5G(C.I. Solvent Blue 103); 니혼가야꾸 사제의 Kayaset Red 026, Kayaset A 2R(C.I. Solvent Blue 83), Kayaset Yellow 919, Kayaset Orange 518, Kayaset Blue TDF. Kayaset Blue 972. Kayaset Blue 987; 스미도모 가가꾸 고오교오 사제의 Sumiplast Red 301, Sumiplast Red FB(C.I. Solvent Red 146), Sumiplast Red B(C.I. Solvent Red 147), TS Yellow 106 (C.I. Disperse Yellow 60(12712)), TS Red 306 (C.I. Disperse Red 191), TS Blue 601(C.I. Disperse Blue 26(63305)), TS Turq. Blue 606 (C.I. Disperse Blue 60); 신니혼 가세이 사제의 Neoplast Yellow HR (C.I. Disperse Yellow 54), Neoplast Black MR, Neoplast Yellow HG, Neoplast Blue RB, Neoplast Blue RN; Hooliday 사제의 Subraprint Yellow 70001, Subraprint Red 70619, Subraprint Yellow 70601, Subraprint Yellow 70611, Subraprint Yellow 70004, Subraprint Yellow 70618, Subraprint Red 70623, Subraprint Navy Blue 70017, Subraprint Green 70018, Subraprint Blue 70038; Hoeches 사제의 Dispersion Yellow VP 247, Dispersion Blue VP 250; Sandoz 사제의 Transferon Yellow 2GN, Transferon Brill. Blue E-GFLN, Transferon Blue 2RP, Fat Yellow 3GL, Transferon Brill Pink 5BP, Transferon Brill. Violet BLN; I.C.I 사제의 Dispersol Red B. 3B (C.I. Disperse Red 11(62015), Dispersol Yellow C. 5G (C.I. Disperse Yellow 119), Dispersol Yellow A.G (C.I. Disperse Yellow 1(10345));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사제의 Mitsui PS Red G(C.I. Solvent Red 146), Mitsui PS Blue 3R (C.I. Solvent Violet 33), Mitsui PS Violet RC (C.I. Solvent Violet 31), Miketon Polyester Yellow GF (C.I. Disperse Yellow 8(12690)), Miketon Polyester Violet BN (C.I. Disperse Violet 37), Miketon Polyester Yellow YL (C.I. Disperse Yellow 42 (10338)), Miketon Polyester Pink BL (C.I. Disperse Red 55), Miketon Polyester Red 4 BF (C.I. Disperse Red 207), Miketon Polyester Yellow 5G(C.I. Disperse Yellow 5(12790)); American Color 사제의 Amasolve Yellow BG, Amasolve Yellow PF, Amasolve Red EB, Amasolve Blue BG, Amasolve Blue RL, Amasolve Violet R, Amasolve Violet B; Atrantic 사제의 Transfer Yellow FG; 아리모또 가가꾸 사제의 Plast Violet 8840; Francolor 사제의 Catulia Blue 2J, Catulia Red B. Catulia Blue 2R, Catulia Violet R; 등을 들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착색제로서는, 미쓰비시 가세이 고오교오 사제의 PTY-55 : 니혼 가야꾸 사제의 Kayaset Red 026, Kayaset Blue A. 2R, Kayaset Yellow 919, Kayaset orange 513, Kayaset Blue TDF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특히 방염 금속화합물중의 금속과 반응해서 킬레이트환을 형성함으로써, 열전사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경향은 분산성염료 및 유용성 염료에 많이 볼 수 있다. 이 킬레이트 형성성은, 분자중에 비공유전자쌍을 갖는 기, -N=N-, OH, -COOH, >C=0, -NH2등을 2개 이상 갖는 염료에 많이 볼수 있는 것이며, 구조적으로 분류해서 안트라키논계 염료에는 피방염성이 좋은 것이 많다. 특히
Figure kpo00001
-위에 OH기를 갖는 안트라키논계 염료는, 거의 예외없이 피방염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구조가 확인되어 있는 예로서는, 상기한 염료중 BASF 사제의 Celliton Blue SF 7872, Celliton Red SF 7874, Cellition Pink SF 7864; 스미또모 가가꾸 사제의 TS Blue 601, ICI 사제의 Dispersol Blue G 등이 있다. 한편, 염기성 염료의 경우에는, 상기 킬레이트 생성작용 외에 이 염료자체의 양이 온성으로서 각종 산성물질 등과 비교적 선택성 없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 착색제로서 염기성염료, 산성염료, 유용성염료 또는 분산염료로 그 열전사성이 작은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전사촉진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전사 촉진제로서는, 각종 금속과산화물, Peroxyacid 등으로 이루어진 산화제류 및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 토류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그 약산과의 염 등으로 이루어진 염기류 등이 쓰여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화제에 대해서는 U.S. Patent No, 3922445, 염기류에 대해서는 German Patent Specification (Auslege Sherist) No. 2413494에 열거하는 것이 쓰여진다.
이와 같은 열전사촉진제의 사용량은, 착색제 1몰 당량에 대해 1/10~20몰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착색제 1몰 당량에 대해 1~10몰 당량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사 촉진제는 특히 염기성염료에 대해서 효과가 크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한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 착색층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착색제 외에 필요한 경우에는, 예컨대, 착색제가 피전사기재상에 전사할때에, 이 기재에 침투하고, 미셀 사이를 팽윤(澎潤)시켜서 착색제의 침투성 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 착색조제(助劑), 또는 결합제 착색제 또는 열전사 촉진제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상태를 조정하는 여러가지의 첨가제 등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착색조제로서는, 예컨대, 요소, 나프탈렌, 주석산암몬, 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지방족아민의 수산염, 초산암몬, 벤질아민, 아니온계, 노니온계 또는 양성계(兩性系)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 상기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안정제, 왁스, 그리이스, 건조제, 보조건조제, 경화제, 유화제, 증점제, 증점제(增粘劑), 충전제, 분산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한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에 작용해서, 그 열전사성을 잃게 할 수 있는 금속화합물, 즉 방염용 금속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염화아연, 탄산아연, (염기성) 등의 아연화합물 주석산 알루미늄, 초산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화합물 : 초산 제1크롬, 염화제1크롬, 염화제2크롬, 황산제2크롬 의산크롬 등의 크롬화합물 : 염화코발트, 황산제1코발트암모늄, 수산제1코발트 등의 코발트 화합물 : 초산주석, 염화제2주석, 염화제1주석, 황산제1주석 등의 주석화합물 : 염화제2철, 질산제2철, 수산제2철, 수산철칼륨, 염화제1철, 황산제1철 등의 철화합물 : 염화제1동, 염화제2동, 수산동등의 동화합물, 의산니켈, 초산니켈, 탄산제1니켈, 질산제1니켈, 수산니켈 등의 니켈화합물 : 초산바륨, 탄산바륨, 염화바륨 등의 바륨화합물 : 몰리브덴산나트륨, 인몰리브덴 산나트륨 등의 나트륨 화합물 : 및 후술하는 방염층 결합제와 작용해서 방염피막을 견고하게 하는 작용을 겸해서 갖추는 금속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금속화합물중, 특히 크롬, 철, 동, 니켈, 코발트의 일종을 함유하며 또한 염산근(根), 황산근, 초산근, 수산근, 의산근의 일종을 갖는 화합물은 방염효과가 크며 방염제로서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한 재료이다. 이 효과는 특히 분산염료 및 유용성염료에 있어서 크다.
또한, 방염용 금속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물리브덴산, 텅스텐산, 바나듐산 등의 무기산 및 그들의 염도 쓰여진다. 이들은 특히 염기성염료에 대해서 효과가 크다.
본원 발명에 의한 방염용 전사 시이트에 있어서, 방염용 금속화합물로서는, 상기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에 작용해서, 그 열전사성을 잃게하는 작용, 즉 방염작용에 더해서 방염층을 구성하는 결합제와 가교작용, 중합촉매작용, 에스테르교환촉매작용, 경화촉진작용 등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어 피막을 견고하게하는 성질을 함께 갖는것이 특히 바람직하게 쓰여진다. 이 피막강화작용에는 금속화합물을 가교제로 하는 결합제의 가교반응이 특히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피막강화에는, 그밖에 금속화합물 자체의 중합, 가수분해에 의한 축중합반응도 기여한다. 이와 같은 피막강화작용을 더불어 갖는 방염용 금속화합물은, 금속알콕시드, 금속카르복시레이트, 또는 금속킬에이트에서 선정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화합물에는 활성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결합제인 수지의 가교(架橋)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 쓰여진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촉매,알코올촉매, 중합촉매, 수지가교제, 접착성개량제, 고순도산화 금속원료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적용된다. 상기 금속화합물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금속의 종류로서는, 바나듐, 티타늄, 규소,알루미늄, 크롬, 철, 크발트, 동, 마그네슘, 질코늄, 니켈 등이 바람직하며, 더구나 금속과 결합하는 기로서는, 알콕시드에는 지방족알코올, 방향족알코올에 대응하는 아실기등, 킬레이트에는 아세틸아세톤과 그 유도체 등의
Figure kpo00002
-디케톤류로 이루어진 배위자(配位子), 또 금속카르복시레이트에는 지방족 카르본산, 방향족카르본산, 특히 지방족카르본산의 카르복시시가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금속화합물에는, 상기 결합기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 예를들면 금속에 아실기와 킬레이트형성성 배위자가 함께 결합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게 쓰여진다.
특정의 금속화합물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피막강화 작용을 갖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자면 예컨대 다음과 같은 피막의 내용제성(耐溶劑性)의 향상에 의해 판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즉, 중량이 이미 알려진 폴리에스테르필름 위에, 중량비로 결합제수지(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1)에 대해서 금속화합물(3)의 비율로 이루어진 균일조성의 건조막 두께 20μ의 필름을 형성하고, 시료(試料)를 25℃의 n-부탄올 중에 10분간 침지한 후 건조해서 감량으로부터 용출율을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수지 단미(單味)의 필름에 대해서 용출율을 측정하고, 이에대한 용출율의 저하가,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이라면, 유의적(有意的)으로 금속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피막이 강화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금속화합물의 피막강화작용은, 결합제 수지와의 조합으로 정재지는 것이지만 특정의 수지에 대해서, 피막강화작용이 얻어지는지 아닌지는, 상술한 판정방법에 있어서, 금속화하물로서 테트라프로폭시티탄을 선정에서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내용제성의 향상은, 피막의 내굴곡성, 내마모성의 향상과 좋은 상관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해서 선택된 방염금속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수 있다 : n-프로폭시비나듐, 이소프로폭시비나듐, n-부톡시바나듐, 비나듐 n-부틸레이트 등의 바나듐화합물 : 프로폭시질코늄, n-부톡시질코늄, 부톡시질코늄에틸아세트 아세테이트 등의 질코늄화합물 : 메톡시티타늄, 에톡시티타늄, n-프로폭시티타늄, 이소프로폭시티타늄, n-부톡시티타늄, n-부톡시티타늄폴리머, 스테아릴티타네이트, 2-에틸헥실 티타네이트, 노닐티타네이트, 세틸티타네이트, 트리에타놀아민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헥시렌그리코올티타네이트, 트리부틸오레일을소 티타네이트, 티탄락테이트, 티탄옥티렌그리코레이트 등의 티타늄화합물 : 메틸실리케이트, 에틸실리케이트 등의 규소화합물 : 알루미늄에틸아세트아세토네이트, n-부톡시알루미늄 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 2-에틸헥사옥시알루미늄, 2-에틸헥사옥시알루미늄 이소프로폭시드 등의 알루미늄화합물 : 알루미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바나듐 아세틸아세토네이트, n-부톡시질코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탄아세틸아세토네이트, 크로뮴(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철(I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코발트(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동(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마그네슘아세틸아세토네이트, 망간(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니켈(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니켈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이와 같은 방염제는, 착색층(2)과, 방염층(3)이 중첩하는 부분에 대해서, 방염해야 할 착색제 1몰에 대해서, 방염제 0.1~10몰 바람직하게는, 0.5~2몰의 비율로 쓰여진다.
본원 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를 기본적으로 구성하는 착색층 및 방염층은, 각각 상술한 기체시이트 위에, 상기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 결합제 및 용매 내지 분산매를 함유한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을 사용해서 또는 상기 방염용 금속화합물, 결합제 및 용매 내지 분산매를 함유한 잉크 내지 도료 조성물을 사용해서 형성된다. 통상의 인쇄방법, 묘화(描畵)방법 또는 도포방법 등에 의해서 예컨대, 문자, 기호, 회화 등의 임의의 단색 내지 다색의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기체시이트 위에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을 설치한다. 또한 그와 같이 해서 방염층이 설치된다. 양층이 설치되는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방염용 금속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에 상기 열전사 촉진제를 병용할 경우에는, 이 착색제를 함유한 잉크 내지 도료 조성물 중에 함유시켜 둘수가 있는 외에 미리 결합제와 이 착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을 사용해서, 상기와 같이 통상의 인쇄방법, 묘화방법 또는 도포방법 등에 의해서, 임의의 단색 내지 다색의 무늬를 형성하고 다음에 이 임의의 무늬위에, 열전사 촉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입힘으로써,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미리 임의의 기체시이트 위에, 착색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베풀고 다음에 그 위에 결합제와 열전사 촉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에 의한 임의의 단색 내지 다색의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기체시이트 위에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착색제를 열전사 촉진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처리하고 다음에 이 처리된 착색제를 사용해서, 이 착색제와 결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이 임의의 기체시이트 위에 인쇄방법, 묘화방법 또는 도포방법 등에 의해서 임의의 단색 내지 다색의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기체시이트 위에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착색층 및 방염층 및 비방염착색층을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결합제로서는, 메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에틸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니트로셀룰로우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스, 초낙산셀룰로우스, 알긴산소오다 및 그 유도체 등의 셀룰로우스 유도체류 :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부틸라알수지, 스티렌계수지, 폴리카아보네이트 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폴리아미드계수지, 페놀계수지, 이미노-프로스트계수지, 석유수지로진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푸말산, 말레인산 등의 불포화카르본산류 또는 이들 불포화카르본산류와 에스테르 또는 산아미드유도체류 또는 대응하는 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초산비닐, 스티렌, 비닐피롤리돈, 비닐메틸에에테르, 부타디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각종의 비닐단량체의 단독중합체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류, 천연수지로 변성한 석탄산수지, 말레인산수지, 펜타에리스리톨수지, 푸마르산수지, 페놀수지, 라임레진, 알키트수지, 기타전분, 아라비아고무, 트라간트고무, 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결합체는 통상 방염층, 착색층 및 비방염착색층의 5~99중량%를 차지할 만큼의 양으로 쓰여진다. 잔부는, 착색제 또는 방염 금속화합물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필요에 응해서 가해지는 조제이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인쇄성, 잉크 특성등을 고려해서, 2종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결합제는, 가열전사조건 등의 가열온도 등에 대해서 연화 내지 용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결합제가 연화 내지 용융하는 것은 가열전사시에 결합제 자체도 피전사기재 위에 전사해 버려서, 풍합(風合) 등에 뒤떨어지는 전사제품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방염층 또는 방염층(3a)을 구성하는 결합제는, 방염용 금속 화합물과 급격히 반응해서 겔화하지 않도록 종류와 양을 적당히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에틸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니트로셀룰로우스 등의 셀룰로우스계, 부틸랄수지 등의 비닐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하는 수지의 양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컨대 OH기를 비교적 많이 갖는 에틸셀룰로우스계 수지에서는 잉크 조성물중에 5~12%, OH기를 갖지 않는 스티렌계 수지에서는, 5~20%가 바람직하다. 방염층을 구성하는 결합제의 수지와 방염용금속화합물과의 반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지만, 수지로서 셀룰로우스계,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타알 등의 수산기를 갖는 것은, 상기한 피막강화작용을 갖는 방염용 금속화합물과 작용해서 가교하는 성질을 가지며, 견고한 피막을 형성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산기함유수지는, 예를들면 금속알콕시드와 아래 식과 같은 탈알코올 반응을 일으키며, 가교반응이 진행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이것에 의해 방염층의 피막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에 있어서, 용매 내지 분산매로서는, 극성 또는 비극성의 액체가 임의로 쓰여지며, 통상은 물 또는 통상의 휘발성 유기용매가 쓰여진다.
상기에 있어서,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 열전사성을 잃는 착색제를 함유한 조성물 및 방염용 금속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용액상, 유화상, 현탁상 또는 졸상(Sol狀)일 수 있다. 이들 조성물에는, 그 상태를 조정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알맞게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안정제, 왁스, 그리이스, 건조제, 보조건조제, 경화제, 유화제, 증점제, 분산제, 겔화제, pH조정제, 소포제,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방염용 금속화합물에는 상기한 각종 첨가제와 반응해서 피막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도 있다.
또, 상기 착색제 및 방염용 금속화합물, 또는 열전사촉진제는 마이크로 캡슐화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캡슐화제로서는 상기한 결합제로서 사용하는 박막형상 유기수지질이 쓰여진다. 얻어진 캡슐은 후기하는 가열전사 조건하에서 파괴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전사온도 조건하에서 연질화 또는 분해되는 유기수지질이 바람직하다. 캡슐의 파괴는 또, 전사압력의 부가에 의해서도 일어나며, 또는 촉진된다. 캡슐의 입경은 3~60μ, 피막두께는 30μ이하, 특히 1~10μ 일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크로캡슐로서 사용할때에는, 용매 내지 분산매로서는 캡슐화제와 상용성이 없는 것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원 발명의 방염용전사시이트에 있어서 실시하는 착색제를 비가열전사시에는 투과하지 않지만 가열전사시에는 투과하는 수지의 피막(4)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밀크가제인, 대두단백, 효모단백박, 테리아단백, 젤라틴, 생전분, 덱스트린,
Figure kpo00004
-전분, 산화전분, 에스테르화전분, 에테르화전분, 양성전분, 메틸셀룰로우스, 에틸셀룰로우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 니트로셀룰로우스, 알긴산나트륨, 아라비아고무 등의 단백질류, 전분류, 셀룰로우스유도체, 고무류 등의 고분자화합물 : 및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스티렌. 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올레핀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공중합체, 산변성스티렌. 부티디엔공중합체, 아크릴산에스테르수지,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요소수지, 폴리올레핀수지, 기타, 폴리아크릴산소오다, 메이프로고무, 폴리비닐피로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르~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용성열경화아크릴수지, 로진변성말레인산수지, 에스테르고무, 로진변성레놀수지, 크실렌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부티랄수지, 에폭시수지 등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그라비아코오르법, 기타 코우팅머신에 의한 도포법, 실크스크리인법, 에어나이프법, 분무법 등의 도포법에 의해서 할수가 있다. 도포량은, 수지에 따라서 다르지만, 0.2g/㎡~4g/㎡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수지의 피막이 기체시이트의 바로 위에 설치되고, 특히 전사시이트의 보존시에 있어서의 염료의 승화를 방지하기 위해 앵커처리제로서 쓰여질 경우(예컨대 제1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8도에 나타냄)에는 상기 예시중에서도, 특히 승화성염료의 흡착성이 낮은 단백질류, 전분류, 셀룰로우스유도체, 고무류,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 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올레핀,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수지의 피막(4)이 기체시이트의 직상(直上)예외의 개소에 설치될 경우에는, 단순히 오염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모든 수지류가 모두 쓸 수 있는 것이지만, 본법의 목적은 전사에 의해서 그림을 충실하게 베끼는 것이므로 그 최상층으로서 설지하는 수지의 층은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사성마저도 동시에 해쳐서는 안되는 것이며, 이런 것을 고려하면, 본 원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중에서도, 특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로리돈 등의 수용성수지 크실렌수지, 로진변성페놀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에폭시수지, 폴리스티렌 및 석유수지 등의 유용성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의 피막은 특히 전사시이트의 최상층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효과가 크다.
또, 본원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을 설치할 때에 일어나는 종이의 커얼 또는도액(塗液)의 유동성, 거품 등의 도피적성(塗被適性)을 개량할 목적으로 안료, 분산제, 소포제, 내수제, pH 조절제, 방부제, 점도조절제 등을 수지층 또는 그 도액중에 알맞게 첨가할 수 있다. 안료로서는 카올린, 클레이, 수산화알루미늄, 타르크, 2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코로이달실리카 등이 쓰여진다.
이들의 첨가는 수지의 피막이 상기 앵커코우트 처리에 쓰여질 경우에 유효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지의 피막 또는 전기한 처음에 베푸는 층의 형성에 당면해서는, 도포 내지 코우팅 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지를 통상의 방법으로 제막(製膜)해서, 상기한 수지의 필름 내지 시이트상물을 형성하고, 이 필름 내지 피이트상물을 상법에 따라서 적층함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원발명의 방염용 전사시이트를 사용해서 착생방염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방염착색제는, 상기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의해 그 열전사성을 실질적으로 잃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방염금속화합물과 착색제와의 착체(錯體) 형성의 용이성은, 착색제의 구조 또는 pH, 첨가물 등의 외부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생각되며, 어떤 방염용 금속화합물에 대해, 방염 가능한 착색제와 불가능한 착색제가 현출한다. 이들 비방염 착색제로서는, 예컨대 분산염료, 염기성염료, 산성염료, 유용성염료 등의 각종 염료에서 상기한 방염 가능한 염료를 제외한 것이 쓰여진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BASF 사제의 Celliton Yellow SF 4861 (C.I Disperse Yellow 13 (58900)), Cellition Yellow SF 7862 Celliton Scarlet SF 7865 (C.I. Disperse Red 1 (11110)), Celliton Rubine SF 7866 (C.I. Disperse Red (11115)), Celliton Red Violet SF 7868 (C.I. Disperse Violet 1. (61100); 미쓰비시 가세이 고오교 사제의 PTR-51 (C.I Disperse Red 50), PTY-51 (C.I Disperse Yellow 71), PTW-53(C.I. Disperse Brown 17), PTY-52 (C.I Disperse Yellow 141), PTY-59 (C.I. Solvent Yellow 114), Diaresin Red S, Diaresin Blue K(C.I. Solvent Blue 92); 니혼 가야꾸 사제의 Kayaset Scarlet 956, Kayaset Orange AN (C.I. Solvent Orange 67), Kayaset Yellow A-G, Kayaset Brown 939;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사제의 Sumiplast Red AS (C.I. Solvent Red 143), Sumiplast Orange HRP (C.I. Solvent Orange 60), Sumiplast Yellow 102 (C.I. Disperse Yellow 51), TS Yellow 111, Holliday 사제의 Subraprint Orange 70020, Subraprint Orange 70007 (C.I. Disperse Orange 3 (11005)), Subraprint Orange 70006 (C.I. Disperse Orange 1 (11080)), Subraprint Orange 70025, Subraprint Brown 70023; Hoechst 사제의 Dispersion Red VP 249, Hostasol Red 5B (C.I. Vat Red 41 (73300)); Sandoz 사제의 Transferon Brilliant Orange ERLK, Transferon Brilliant Yellow 6 GFL, Transferon Brilliant Yellow E3GFL; I.G.I 사제의 Dispersol orange B 2R (C.I. Disperse Orange 25), Dispersol Blue G (C.I. Disperse Blue 26 (63305));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사제의 Mitsui PS Red GG(C.I. Solvent Red 111 (60505)), Miketon Polyester Brilliant Pink F5B, Miketon Polyester Fast Brown 3R; American Color 사제의 Amasolve Yellow C, Amasolve Orange 3R; Atrantic 사제의 Transfer Blue 2N; 아리모또 가가꾸 사제의 Plast Red 8320, Plast Red 8350; Orient 사제의 Oplas Yellow 136.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비방염착색제로서는, 미쓰비시 가세이고오교 사제의 PTY-51; Holliday 사제의 Subraprint Orange 70020, Subraprint Orange 70025; Hoechst 사제의 Hostasol Red 5B; 아리모또 가가꾸 사제의 Plast Red 8320, Plast Red 835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방염착색제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열전사 촉진제의 병용, 착색조제의 병용, 캡슐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비방염착색제는, 상기한 착색층 또는 방염층을 형성하는 데 쓰이는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에 첨가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를 결할제 및 용매 내지 분산매와 함께 혼련(混輦)해서 잉크 내지 도료조성물을 만들고, 독립한 비방염착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제 및 용매 내지 분산매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발명에 의한 방염용 전사시이트를 사용해서 가열전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먼저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사시이트와 피전사 기재를, 전자의 착색층을 설치한 면과 후자의 면이 접촉하도록 겹치고, 이에서 가열된 열압판 등으로 가열 가압하거나 또는 가열된 열로울러 위로 주회(周回)시키면서 펠트로 가압해서 가열가압 처리하고, 그렇게 한 뒤, 상기한 전사 시이트를 벗김으로써, 이 전사 시이트 위의 임의의 무늬중의 착색제를 상기한 피전사기재의 위에 전사시켜서, 매우 선명한 색조를 가지며 또한 여러 견고성에 뛰어난 전사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전사 방법에 있어서, 가열온도는, 전사시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착색제 자신의 융점 내지 승화점 등을 상회할 필요는 없고, 착색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약 80~250℃쯤의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 있어서, 가압조건은 약 50g/㎡~20kg/㎠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가열가압 처리를 실시하는 시간은, 약 5초~90초 사이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가열전사 방법에 있어서 피전사개재로서는, 각종의 재료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예컨대, 면, 삼 등의 식물섬유, 양모, 명주 등의 동물섬유, 유리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스프등의 섬유,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비닐알코올계 등의 각종의 합성섬유 등의 섬유류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방섬유의 편직물 등의 시이트상 섬유 재료, 각종 합성수지의 필름상물 내지 판상물, 각종 종이, 각종 금속박 내지 판, 유리판, 도자기류, 피혁 내지 콜라아겐 또는 합성피혁, 고무의 시이트상물 내지는 성형물, 목재, 합판, 슬레이트판, 하아드보오드, 파티클보오드, 석고보오드,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과의 복합체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전사기재 위에 임의의 무늬를 전사시킨후, 필요에 응해서 이 피전사기재에 증열처리 또는 산증열 처리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가 방염용 금속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그 열전사성을 잃는 것을 이용해서 방염하기 때문에, 매우 방염효과가 크다. 또, 방염용 금속화합물이 방염층을 구성하는 결합제와 반응해서 피막을 견고하게 하는 성질을 겸하여 갖춘 것을 쓸 경우에는 사용시나 보존시의 방염층, 더 나아가서는 도막전체의 피막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또한 완전한 백색방염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열전사성을 잃지 않는 착색제를 병용함으로써, 이 착색제의 색을 이른바 내는 색으로 한 착색 방염효과도 매우 용이하게 명확하게 얻어지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는 방염효과가 크므로, 방염층을 종래법과 같이 스크리인 인쇄법 등에 의해 층을 두껍게 할 필요는 없으며, 그라비아인쇄등의 해상력이 양호한 인쇄법을 써서 설치할 수 있으며, 매우 미세한 무늬의 방염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방염무늬 나아가서는 착색방염 무늬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최대의 이점을 갖는 것이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상기한 본원 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중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PTB-77(미쓰비시 가세이 고오교오 사제, 유용성 염료 C.I. Solvent Blue 90)10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 사제, EC-N7CP)70부, 크실렌 500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330부를 자성(磁性)보올 밀포트에 넣어서 1주야 연육(練肉)한 것을 잉크 조성물로 하고, 이를 그라비아 용지위에 그라비아인쇄해서 소정의 무늬로 된 인쇄시이트를 얻었다. 다음에, COCL2200부, 폴리비닐알코올(니혼교오세이 가가꾸 고오교오 사제 고오세노울 GL-05) 10부, 물 790부를 자성보울밀에 넣고, 1주야 연육해서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 방염잉크를 사용해서 상술한 인쇄시이트의 염료층 위의 일부에 소정의 무늬를 그림붙임해서 건식방염용 전사시이트를 얻었다. 이 시이트를 폴리에스테르 섬유제포와 그림붙임(繒付)부분을 끼도록 해서 겹쳐, 맞춰 180℃로 가열한 아이론을 사용해서 1분간 시이트 쪽에서 가열하고, 천과 시이트를 벗겼더니 블루우의 그림무늬에 대해서, 방염잉크에 의해 무늬붙임된 부분이 희게 방염된 전사포가 얻어졌다.
[실시예 2]
NiCl2250부, 메틸셀룰로우스(제1고오교오사제, 메트로오즈 65SH50) 70부, 물 680부를 샌드밀 중에서 2시간 연육해서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 잉크 조성물로 스크리인 인쇄해서 코우트지 위에 세선으로 구성된 꽃모양의 패터언을 얻었다.
별도,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HEC-LOW) 80부, 카야세트 레드-B (니혼가야꾸사제, 유용성염료, C.I.Solvent Red 146) 120부, 초산 -n-부틸 300부, n-부탄올 500부를 샌드밀 중에서 1시간 혼련해서 염료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이 잉크를 사용해서 상술한 꽃모양 패터언 위에 그라비아 인쇄기로 전면에 인쇄해서 전사 시이트를 얻었다. 이것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전사하고, 붉은 바탕에서 선으로서 그려진 꽃이 선명하고 희게 방염된 전사포를 얻었다.
[실시예 3]
PTV-57(미쓰비시 가세이 고요교오 사제, C.I. Solvent Violet 31) 12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7 CP) 80부, 크실렌 480부, 초신-n-부틸 160부, n-부탄올 160부를 보울밀 중에서 1주야 연육해서 자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이것을 사용하여 그라비아인쇄의 전체판으로 수용성수지를 처리한 종이 위에 전면에 인쇄하고 인쇄시이트를 얻었다.
다음에, 초산등 40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7 CP) 30부, 로진변성밀레인산수지 50부, 미립자화 2산화규소 20부, 다크실렌 300부, n-부탄올 200부를 보올밀중에서 2주야 연육하고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상술한 인쇄시이트 위에 이 방염잉크를 판의 깊이 60μ의 그라비아 인쇄방식의 모양판으로 인쇄하고 방염잉크 인쇄시이트를 얻었다. 다음에 폴리비닐알코올(니혼 고오세이 가가꾸 고오교오사제 고오세노울 GL-05) 70부, 옥틸알코올 5부, n-부탄놀 10부를 스터어러에 있어서 교반 용해하고, 수지액 조성물을 얻었다. 이를 상술한 방염잉크 인쇄시이트 위에서 그라비아 인쇄전체판에서 전면을 오우버코우트하고 전사 시이트를 얻었다. 이전사 시이트를 주지의 연속식 가열전사기에 폴리에스테르 섬유제포와 겹쳐 맞추어서 210℃, 20초의 전사조건으로 전사하고 전사포를 얻었다. 그 결과 방염잉크 인쇄의 화선부만 선명하게 방염되어 있었다.
[실시예 4]
황산동 350부, 스미프라스트엘로우 102(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사제 C.I. Dispere Yellow 51) 5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리이즈사제 EC-N4 CP)70부, 미립화 실리카 10부, 초산-n-부틸 250부, n-부탄올 280부를 보올밀 중에서 3주야 연육하고, 착색방염 잉크를 얻었다. 다음에 스미카론터어키스블루우-S-GL(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오사제 분산염료 C.I. Dispere Blue 60)90부, 초낙산셀룰로우스 100부, 톨루엔 300부, 초산-n-부틸 300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210부를 보올밀중에서 1주야 연육해서 잉크조성물을 얻었다. 기체시이트로서 그라신지를 사용하여 먼저 잉크조성물을 스크리인 인쇄전체판으로 인쇄하고, 다음에 그 위에 상술한 착색 방염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아 인쇄로서 물보라(水玉)무늬로 인쇄하고 전사시이트을 얻었다. 이 전사 시이트를 목면포에 대해 인쇄면이 밀착하도록 겹쳐 맞춰 연속식 전사 날염기로 215℃ 25초의 전사조건으로 전사처리를 했다. 그 결과, 푸른 바탕에 선명한 황색의 물보라의 전사포가 얻어졌다.
[실시예 5]
미케톤폴리에스테르 엘로우-5G (미쓰이도오아쓰 가가꾸사제, C.I. Disperse Yellow 5)60부, 폴리비닐부티랄(세끼스이 가가꾸사제, 에스레크 BL-7)100부, 모노포올 110G (겐세이도오가가꾸 고오교오사제) 15부, 초산-n-부틸 500부, n-부타놀 325부를 보올밀 중에 넣어서 2주야 연육해서 황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잉크 조성물중의 미케톤폴리에스테르 엘로우-5G의 대신에 스미카론블루우-E-BR(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사제 분산염료, C.I. Disperse Blue 26)을 사용하고, 그 외는 완전히 같은 방법으로 청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초산니켈 400부, 미케론폴리에스테르 볼리리안트핑크 FFB(미쓰이도오야쓰 가가꾸사제 건염염료 C.I.Vart Red 41)50부,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허큘리이즈사제, EHEC-EL)40부, 로진변성페놀수지 30부, 크실렌 350부, 초산-n-부틸 65부, n-부탄올 65부를 보울밀 중에서 3주야 연육해서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파아티멘트지를 기체시이트로 해서 먼저 착색방염잉크로 세선(細線)의 구성에 의한 그림모양을 그라비아인쇄로서 인쇄했다. 또한 그 위에서 황색잉크 조성물을 그라비아인쇄하고, 다음에 청색잉크 조성물을 황색그림모양과 일부 겹치도록 그라비아 인쇄해서 황ㆍ청ㆍ녹색의 배색의 전사 시이트를 얻었다.
이 전사포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제포와 도포면을 합쳐서 겹쳐 맞추어서, 평대(平臺 )열프레스기에서 195℃로 30초 동안 열전사했다. 황ㆍ청ㆍ녹색바탕에 핑크의 선명한 세선으로서 착색방염된 아크릴 전사포가 얻어졌다.
[실시예 6]
아이젠베이식사이아닌 6GH(호도야 가가꾸 사제, C.I.42025)80부,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우스(허큘리어즈사제 EHEC-L) 70부, 크실렌 425부, n-부탄놀 425부를 샌드밀로 2시간 혼련해서 청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아이젠카티론 엘로우-3 GLH(호도야 가가꾸 사제 C.I. 48055) 80부를 상기 아이젠베이식 사이아닌 6GH 80부 대신으로 사용하고, 그 외는 완전히 같은 방법으로 황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인 몰리브덴산 200부, 카야세트브라운 939(니혼 가야꾸사제, 유용성염료) 6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리이즈사제 EC-N7CP)50부와 톨루엔-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혼합비 1 : 2의 혼합용제 690부를 샌드밀 중에서 1시간 혼련해서 다색(茶色)의 착색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에서 얻은 수지액 조성물을 크라프트 지상에 에어나이프로 균일 코우트해서 건조하여 얻은 코우트지를 기체시이트로 하고, 다색의 착색방염잉크 조성물을 스크리인 인쇄법으로 추상 무늬를 인쇄했다. 다음에 그 위에 청색잉크 조성물과 황색잉크조성물을 그라비아 인쇄방식으로서 일부 겹치도록 인쇄하고, 황ㆍ청ㆍ녹의 배색인 인쇄시이트를 얻었다. 또한 최상층에 실시예 3과 동등한 수지액 조성물을 그라비아인쇄 전체판에서 오우버코우트해서 전사 시이트를 얻었다. 이것을 디아세테이트 섬유제포에 도포면을 끼고 겹쳐 맞추어, 연속식 전사날염기로 205℃에서 25초 동안 전사 가공을 실시했다. 황ㆍ청ㆍ녹색 바탕에서 다색의 추상무늬로 착색방염된 미려한 전사포를 얻었다.
[실시예 7]
카야세트 블루우-TDF(니혼가야꾸사제 염료)80부, 스미카론 엘로우-4GL(스미또모 가가꾸사제 C.I. Disperse Yellow 51)50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우스(허큘리이즈사제 크루셀-LF)60부, 이소푸로필 알코올 700부, 물 110부 샌드밀 중에서 1.5시간 혼련하고 수성인 녹색잉크조성물을 얻었다.
염화제2동 35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리이즈사제 EC-N7 CP) 40부, 천연수지변성 석탄산수지(니혼라이히호울드사제 베카싸이트 1126) 50부, 크실렌 400부, 초산-n- 부틸 80부, n-부탄올 80부를 보울밀중에서 3주야 혼련해서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파아티멘트지를 기체시이트로 해서 먼저, 녹색잉크 조성물을 로울코우트에서 전면 코우트하고 건조해서 인쇄시이트를 얻고, 다음에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방염잉크 조성물을, 먹물 흘림식의 무늬로 인쇄하고 전사시이트를 얻었다. 다음에 이를 폴리에스테르-면의 혼방포에 도포면을 끼고 겹쳐 맞추어 평대 열프레스기로 180℃ 60초 동안 전사하여 전사포를 얻었다.
방염잉크의 도포부분이 청색만 방염되어 황색으로 착색하고, 그 외는 녹색의 바탕색으로 착색되어, 계조(階調)부분은 녹색에서 황색으로 서서히 변화하고 있다고 하는 실로 미려한 전사포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과 완전히 같으며 잉크 조성물과 방염잉크 조성물의 도포순서만 바꾸어서 전사시이트를 제작하고 같은 전사방법에 의해서 전사포를 얻었다. 층의 바꾸어 넣기에 의한 지장은 전혀 없고, 마찬가지로 미려한 전사포가 얻어졌다.
[실시예 9]
테트라일킬티타네이트({CH3(CH2)3O}4Ti)400부, 에틸셀룰로우스(히큘리이즈사제 EC-N7 CP) 90부, 톨루엔 30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10부를 스터어러로 교반해서 용해계의 방염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카야세트 스카아레트 926(니혼 가야꾸사제 분산염료)100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우스 100부, 크실렌 40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0부를 샌드밀로 2시간 연육해서 적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에 상기 잉크 조성물로 카야세트 PTB-11 10부를 카야세트 스카아레트 926 100부와 바꾸어 넣어서 청색의 잉크조성물을 얻었다.
이상, ① 방염잉크조성물과, ② 적색잉크 조성물과, ③ 청색잉크 조성물의 3종을
1) ①→②→③의 순, 2) ①→③→②의 순
3)②→①→③의 순, 4) ②→③→①의 순
5) ③→①→②의 순, 6) ③→②→①의 순
이상 6가지의 인쇄순서로 상질의 지상에, 조성물 ②, ③은 전체무늬의 그라비아인쇄, 조성물 ①은 선화의 무늬판으로 그라비아인쇄하고, 상법에 따라서 명주포에전사했다. 6가지의 전사포는 암갈색의 바탕색중에 적색의 선화로 선명하게 착색 방염되어 있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9의 방염잉크 대신에 다음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방염잉크를 사용했다.
Figure kpo00005
①'의 방염잉크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9와 완전히 같이①, ②, ③의 각조성물의 인쇄순서를 바꾼 전사시이트 6종류를 얻었다. 다시 다음에, 상법에 따라서 170℃ 60초동안 평대 열프레스기로 울(모)외의 표면에 전사 가공을 했더니, 갈색바탕이 선화에 연해서 방염된 곳에 적색이 완전히 방염부에 일치해서 색이 나오고 있는 전사포를 얻었다.
[실시예 11]
(a) 염료잉크 조성물
미쓰이 PS 레드 G (미쓰이도오다쓰가가꾸사제, C.I. Solvent Red 146)1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7 CP) 8부
로오토유(제일 고오교오세이야꾸사제) 3부
혼합용제(크실렌 : 초산-n-부틸=3 : 1) 79부
를 보울밀 등에 의해, 분산, 연육하고 전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b) 방염조성물
테트라부톡시티탄 30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 4 CP) 6부
톨루엔 40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24부
를 스터어러 등으로 용해 혼합했다.
상기 염료 잉크노성물(a)을 그라비아용지 위에 그라비아 인쇄법을 써서, 전체무늬(판심도 45μ)를 인쇄하고, 즉시, 상기(b)의 방염 잉크조성물을 소정의 그림무늬가 되도록 인쇄하고, 전사 시이트로 하였다.
방염잉크를 도포한 부분은, 테트라톡시티탄과, 에틸셀룰로우스의 가교반응을 위해, 견고한 피막이 형성되고, 어느 정도의 물리적인 촬과에도, 피막이 박리, 파괴되는 일이 없었다.
이 시이트를 나일론 다프타와 그림붙임 부분을 끼도록 해서 겹쳐 맞추고 열전사용의 평대 열프레스기에서, 180℃ 30초간 2kg/㎠로 열압을 가한 후, 시이트를 떼어냈더니, 붉은 바탕에 방염잉크에 의해서, 그림붙임된 부분이, 완전히 백색으로 방염된 나일론포를 얻었다.
또, 상기 염료잉크 조성물과, 방염 조성물의 인쇄순서를 반대로 하여, 전사했더니, 역시 양호한 방염무늬의 전사포를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중의 테트라부톡시티탄모노머 대신에, 다이머, 트리머, 테트라머를 사용해서도 미려한 백색 방염포를 얻었다.
[실시예 13]
(a) 염료 잉크조성물
Celliton Blue SF 7872(BASF사제, 분산염료(C.I. Solvent Violet 13)) 15부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크루셀-LF) 10부
이소프로필 알코올 75부
를 센드밀 등으로 분산, 연육하고, 청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청색염료 대신에, 카야세트 엘로우-919(나혼가야꾸사제, 아조계분산염료)를 사용하여, 같은 잉크조성과 분산, 연육방법으로, 황색 잉크조성물을 얻었다.
(b) 방염조성물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피레이트 에틸아세토 아세테이트 35부
제1코발트아세틸아세테이트 5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 4 CP) 10부
부틸셀로솔브 20부
크실렌 10부
초산-n-부틸 20부
를 쓰리원모우터 등으로 용해 혼합했다.
그라비아용지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상기(a)의 청색염료 잉크를 사용해서, 줄무늬상 무늬를 그림붙임했다.
다음에, 청색줄무늬의 사이의 흰바탕의 부분을, 상기(a)의 황색염료 잉크, 황색으로 인쇄했다.
이와같이 해서 제작한 청황색이 번갈아 들어간 줄무늬상 전사 시이트에 상기(b)의 방염조성물을 핸드스크리인 인쇄법(100선/inch)에 의해 물보라 무늬상으로 인날(印捺)했다. 이 전사 시이트를 폴리에스테르제포와 겹쳐서, 실시예 11의 평대 프레스기로 200℃, 10초간 열과 압력을 가했다. 이 시이트를 벗겼더니, 청색과 황색이 번갈아 들어간 줄무늬 가운데 물보라상으로, 염로가 염착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있는 폴리에스테르포가 얻어졌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중의 황색염료 카야세트 엘로우-919(니혼가야꾸사제, 아조계염료)를, 미케톤폴리에스테르블리리안트 F5B(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사제, C.I. Disperse Red 240)에 바꾸어 넣었다. 후자는 이 방염조성물에 의해서 열전사성을 잃지 않기 때문에, 전사된 폴리에스테르제포는 청색과 적색이 번갈아 들어간 줄무늬 가운데에 청색의 부분만 물보라상(水玉狀)으로 염료가 염착하고 있지 않는 흥취있는 방염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중의 방염잉크 조성물(b)에, 루라획스 Y-8G(BASF사제 분산염료 C.I. Disperse Yellow 13)를 분산시켜 착색방염 조성물로 했다. 이 방염조성물을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도포후, 열압을 가해 전사했더니, 붉은 바탕에 방염잉크에 의해서 그림붙임된 부분이 황색인 나일론의 착색방염포를 얻었다.
[실시예 16]
(a) 염료잉크 조성물
카야크트블루우-F (니혼가야꾸사제, 분산염료) 6.5부
에틸셀룰로오스(허큘레스사제, EC-N7 CP) 7.0부
모노포울 110G(겐세이도오 가가구고오교오사제) 3.5부
용 제 83부
를 보올밀 등에 의해 분산, 연육하고, 청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한 청색염료 대신에, 미케톤폴리에스테르블리리안트 핑크 FFB(미스이도오아쓰가가꾸사제, C.I. Vat Red 41)를 사용해서 적색잉크 조성물을 얻었다.
(b) 방염조성물
질코늄트리부톡시에틸아세토 아세테이트 40부
PTY-51(미쓰비시가세이제, C.I. Disperse Yellow 71 4부
에틸셀룰로우스(허큘레스사제, EC-N4 CP) 10부
용제(크실렌 : n-부탄올=3 : 1) 46부
을 보울밑 등으로 분산, 연육하고 착색방염 조성물로 했다.
상기(a)의 청색과 적색의 염료잉크를 사용하여, 그라비아용지에 그라비아 인쇄법으로 소정의 무늬를 인쇄한 뒤, 방염조성물(b)을 꽃모양으로 인쇄한다. 이와같이 해서 제작한 열전사시이트는, 방염조성물 중의 고형분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견고한 피막을 형성하고, 전사지를 절곡(折曲)하여도, 박리하는 일이 없었다.
이 열전사시이트를 폴리에스테르제포와 겹쳐서, 실시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전사했다. 이 시이트를 벗겼더니, 방염조성물만 밑바탕에 청색잉크가 인쇄되어 있는 부분은 황색으로, 또 방염 조성물의 밑바탕이 청색일 경우는 오렌지색으로 되어 있는 꽃모양의 착색방염 효과가 있는 전사포를 얻었다.
[실시예 17]
메틸셀룰로오스(제1고오교오 세이야꾸사제, 메트로우즈 65BH 50) 80부, 덱스트린(사이덴가가꾸사제, 특수덱스트린 B) 7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20부, 물 820부, 소포제(산노프코사제, 노프코 DF-122) 10부를 스터어리로 교반용해해서 얻은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그라비아 인쇄전체판으로 실시예 11~16까지의 열전사시이트에, 제3도, 제4도, 제7도에 대응해서 실시해서 수지층을 설치했더니, 전사지 보존시의 오염방지나, 전사시에 원바탕과 전사지를 적당히 접착하고 소망의 무늬가 움직이지 않고 선명하게 전사되는 등의 본래의 목적에 맞는 효과를 얻었다.
기체시이트와, 기체시이트 위에 설치된 열전사성을 갖는 착색제를 함유한 임의의무늬의 착색층과 기체시이트 위에 설치된 방염용 금속화합물과 결합제를 함유한 임의의 무늬의 방염층(상기 방염용 금속화합물은 상기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잃게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을 포함하는 적층구조의 전사시이트를 그 착색층 및 방염층을 설치한 면이 피전사기체와 접하도록 피전사기체에 중첩하고, 이 중량체를 80~250℃의 온도 및 약 50~20kg/㎠의 압력하에 약 5~90초간 보유한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시이트상에, 착색제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늬의 착색층및 임의의 무늬의 방염층을 형성한 방염용 전사시이트에 있어서, 이 방염층이 상기 착색제의 열전사성을 없앨 수 있는 성질을 지닌 크롬, 철, 동, 니켈, 코발트의 1종을 포함하며 또한 염산근, 질산근, 초산근, 의산근 수산근의 일종(一種)을 갖는금속화합물이거나, 바나듐, 티타늄, 규소, 알루미늄, 크롬, 철, 코발트, 동,마그네슘, 질코늄, 니켈에서 선정된 금속의 알콕시드, 카르복시레이트 또는 금속킬레이트인 방염용 금속화합물과,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積層構造)의 방염용 전사 시이트.
KR770003109A 1977-12-30 1977-12-30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KR81000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3109A KR810000528B1 (ko) 1977-12-30 1977-12-30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03109A KR810000528B1 (ko) 1977-12-30 1977-12-30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528B1 true KR810000528B1 (ko) 1981-05-25

Family

ID=1920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03109A KR810000528B1 (ko) 1977-12-30 1977-12-30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5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22B1 (ko) * 2007-01-03 2007-12-03 이상식 원단의 전사염색방법
KR20170007618A (ko) * 2015-07-09 2017-01-19 일신교역 주식회사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KR20190084214A (ko)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22B1 (ko) * 2007-01-03 2007-12-03 이상식 원단의 전사염색방법
KR20170007618A (ko) * 2015-07-09 2017-01-19 일신교역 주식회사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KR20190084214A (ko) 2019-06-26 2019-07-16 삼원액트 주식회사 가연성 박막 건축내장 소재가 접착된 금속소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224A (en) Transfer sheet with resist portions
US4362529A (en) Heat transfer printing sheet and heat transfer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US4424091A (en) Transfer sheet with resist portions
JPH0229517B2 (ko)
US4474859A (en) Thermal dye-transfer type recording sheet
CN101688358A (zh) 利用分散染料的合成纤维材料的干式转印印染法及转印纸
US3922445A (en) Heat transfer printing sheet
US4619665A (en) Sheet containing heat transferable dye and selective blocking agent for heat transfer printing
JPH0447635B2 (ko)
US4490435A (en) Thermal dye-transfer type recording sheet
KR810000528B1 (ko)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EP2263884A1 (en) Wallcover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wallcoverings
EP0673320A1 (en) PRINTING BY THERMAL TRANSFER AND BY DIFFUSION OF DYE.
JPS6342592B2 (ko)
JPS58114987A (ja) 転写シ−ト
JPH0355319B2 (ko)
JPH0464880B2 (ko)
JPS6183092A (ja) ポリ塩化ビニルとカチオン染料からなる装飾カバー
CN113263847A (zh) 一种热转印烫金花纸及热转印防伪印刷工艺
JPS604795B2 (ja) 防染用転写シート
JP3265063B2 (ja) 感熱転写記録用色素、感熱転写記録用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JPH10195776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及び捺染方法
JPS6152276B2 (ko)
JP3178906B2 (ja) 感熱転写記録用色素、感熱転写記録用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JPH015511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