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572A -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 Google Patents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572A
KR20160017572A KR1020140101329A KR20140101329A KR20160017572A KR 20160017572 A KR20160017572 A KR 20160017572A KR 1020140101329 A KR1020140101329 A KR 1020140101329A KR 20140101329 A KR20140101329 A KR 20140101329A KR 20160017572 A KR20160017572 A KR 20160017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flammable
sound
glass fiber
perfora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득호
Original Assignee
지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득호 filed Critical 지득호
Priority to KR102014010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572A/ko
Publication of KR20160017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공된 불연천을 형성하고, 불연천의 후방에 열전도가 약하고 불에 강한 글라스섬유를 사용하여 흡음의 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불연재질로 화재에도 안전하며 설치 후 오랜기간동안에도 변형이 가지 않도록 한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의하면 표면이 불연페브릭으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전혀 파손이 일어나지 않으며 어느정도의 충격에도 충격완화효과가 발생하고, 타공구가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도 그물형태의 유리섬유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간에 의해서 불연페브릭이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으며, 고압멜라민화장판에 의해서 뒤틀림이나 변형이 거의 없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타공형 불연흡음패널{HOLE TYPE NUNCOMBUSTION AND SOUND ABSORBATION PANEL}
본 발명은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공된 불연천을 형성하고, 불연천의 후방에 열전도가 약하고 불에 강한 글라스섬유를 사용하여 흡음의 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불연재질로 화재에도 안전하며 설치 후 오랜기간동안에도 변형이 가지 않도록 한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기초 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를 둘러싼 벽체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벽체를 꾸미기 위해서 벽체의 내·외부에 미장을 하거나 별도의 내·외장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건물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내·외장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것들이 대부분인데, 상기와 같은 재질은 불연 또는 난연성이 아니므로 화재가 발생할 때 다량의 유독가스가 배출되는 등 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화재로 인하여 불이 번지거나 타지 않도록 한 내·외장재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인테리어 내장재는 석고 등으로 형성되는 내부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판재의 주연부에 연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가 형성된 내부판재의 전,후면에 각각 HPM(High Pressure Melamine)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근래에 소음에 대한 규제가 늘어가고 특히 학교나 강당 등의 넓은 공간에서 방음설비가 갖추어지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상기 흡음 또는 방음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별도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러한 프레임에 흡음패널을 삽입한 후에 다시 표면에 처리를 하여 만든다.
종래의 흡음이 가능한 내장재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3860호에 개시되어 있고, 특히, '건축용 경량 다층 흡음패널'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0403892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경량 다층 흡음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표면이 판재로 되어 있어서 설치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설치기간이 오래되면 부스러기가 떨어진다.
(2) 가볍기는 하지만 뒤틀림이 발생하고, 수분이 많을 경우 파손이 쉽게 된다.
(3) 표면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없어서 단순한 형상이 반복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압멜라민화장판이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석고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고압멜라민화장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그물형태의 유리섬유와;
상기 유리섬유의 전방에 다수개의 타공구가 형성되고, 불연재가 포함되는 불연페브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표면이 불연페브릭으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전혀 파손이 일어나지 않으며 어느정도의 충격에도 충격완화효과가 발생한다.
(2) 타공구가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도 그물형태의 유리섬유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간에 의해서 불연페브릭이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다.
(3) 고압멜라민화장판에 의해서 뒤틀림이나 변형이 거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의 설치 후의 상태도.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압멜라민화장판(110)이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석고(120)가 형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된 고압멜라민화장판(110)의 전면에 고정되는 그물형태의 유리섬유(200)와;
상기 유리섬유(200)의 전방에 다수개의 타공구(310)가 형성되고, 불연재가 포함되는 불연페브릭(300)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석고(120)는 충진재로 경량의 시멘트, 불연합판 등 다양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압멜라민화장판(110)은 HPM(High Pressure Melamine)이라고도 명명하는데, 종이 및 섬유질의 기재에 열경화성수지가 함침되어 있고 일면 또는 양면에 색상, 무늬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적정열과 35~50kgf/㎠ 이상의 압력에서 성형된 판상재료를 말한다.
상기 고압멜라민화장판(110)은 모양지의 보호, 내구성 증가역할을 하는 표면지(Overlay paper)와; 색상과 디자인을 결정하는 모양지(Pattern paper)와; 강도 및 완층유지를 위한 심재지(Core paper)와; 응력유지, 접착을 위하여 배면에 연마처리하는 응력지(Balancing paper)로 구성되고, 심재지에 의해서 그 두께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압멜라민화장판(110)은 표면에 드러나지 않으므로, 흠이 없는 새것보다는 생산시 표면이 불량인 제품을 사용하여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모양지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심재지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200)는 유리를 섬유 모양으로 한 광물섬유를 말하고, 넓은 격자형태로 짜서 공간이 많이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200)는 유리섬유필렛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유리섬유를 50mm로 절단해서, 개섬을 통해 충분히 혼합하고, 층상의 매트 상태에서 침자 방식의 기계적 봉합으로 유연하게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연페블릭(300)은 천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되, 표면에 불연재가 도포되어 화염전파가 없고 불에 연소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불연페블릭(300)은 불에 강한 금속섬유와 전도가 적은 돌가루를 압축하여 형성한다.
상기 불연페블릭(300)에는 다수개의 타공구(310)가 표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타공구(310)는 그 직경이 3mm를 넘지 않도록 하고 그 간격을 직경의 3배를 넘지 않도록 조밀하게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석고(110)을 사각형태로 형성한 후 고압멜라민화장판(120)을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온고압으로 부착한다.
이후, 유리섬유(200)를 고압멜라민화장판(120)의 전면에 접착제로 부착하고, 상기 유리섬유(200)의 전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불연페블릭(300)을 부착한다.
상기 불연페블릭(300)에는 다수개의 타공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타공구(310)는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어 모양을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주연부에는 각각 고정부재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불연페블릭(300)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재를 설치할 때 몸체(100)의 측면에 함께 고정하여 유리섬유(2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구(310)에 의해서 소리가 일차적으로 흡수되고, 내부에 유리섬유(20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서 다시 한번 흡수할 수 있으므로 흡음효과가 뛰어나고, 유리섬유(200)와 불연페블릭(300)이 이격되어 있어서 흡음효과는 더욱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불연 흡음패널의 자체실험한 결과, 불연페블릭에 750℃로 20분간 가열하여도 화염전파가 없고 잔여불꽃도 30초 이상 남지 않았다.
본 발명의 타공형 불연흡음패널에 의하면 표면이 불연페브릭으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전혀 파손이 일어나지 않으며 어느정도의 충격에도 충격완화효과가 발생하고, 타공구가 거의 보이지 않으면서도 그물형태의 유리섬유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간에 의해서 불연페브릭이 효과적으로 흡음할 수 있으며, 고압멜라민화장판에 의해서 뒤틀림이나 변형이 거의 없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벽면 100 : 몸체
110 : 고압멜라민화장판 120 : 석고
200 : 유리섬유 300 : 불연페블릭
310 : 타공구

Claims (4)

  1.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압멜라민화장판(HPM)이 형성되고, 가운데에는 석고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고압멜라민화장판의 전면에 고정되는 그물형태의 유리섬유와;
    상기 유리섬유의 전방에 다수개의 타공구가 형성되고, 불연재가 포함되는 불연페브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구는 그 직경이 3mm를 넘지 않도록 하고 그 간격을 직경의 3배를 넘지 않도록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페블릭은 불에 강한 금속섬유와 전도가 적은 돌가루를 압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페브릭은 측면이 몸체의 측면에 고정되어 유리섬유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1020140101329A 2014-08-06 2014-08-06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20160017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29A KR20160017572A (ko) 2014-08-06 2014-08-06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29A KR20160017572A (ko) 2014-08-06 2014-08-06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808U Division KR200483883Y1 (ko) 2016-05-23 2016-05-23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572A true KR20160017572A (ko) 2016-02-16

Family

ID=5544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329A KR20160017572A (ko) 2014-08-06 2014-08-06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75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310A1 (ko) * 2016-02-26 2017-08-31 주식회사 씨앤월드 흡음용 타공판 및 흡음모듈을 포함하는 소음기
CN107462194A (zh) * 2017-08-08 2017-12-12 上海机动车检测认证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汽车三维h点测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310A1 (ko) * 2016-02-26 2017-08-31 주식회사 씨앤월드 흡음용 타공판 및 흡음모듈을 포함하는 소음기
CN107462194A (zh) * 2017-08-08 2017-12-12 上海机动车检测认证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汽车三维h点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883Y1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TWI611077B (zh) 吸音板及其之組合
JP4021156B2 (ja)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構造
KR101135663B1 (ko)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7572A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101126353B1 (ko)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KR101081867B1 (ko) 방화문
KR101048860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3664A (ko) 허니컴이 적용된 건축 내장재
KR101079374B1 (ko)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JPH1037617A (ja) 木質防火防音ドア
JP2017044025A (ja) 強力木製防火扉を有する木製金庫
KR101373627B1 (ko) 질석보드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724B1 (ko) 난연성을 지닌 목재마루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5951378U (zh) 一种纳米硅酸镁铝卷毡
JP5317785B2 (ja) 外断熱構造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TWM577424U (zh) Fireproof thermal insulation mortar structure
KR20080051242A (ko) 내화성을 갖는 방화문
KR102153831B1 (ko) 조립식 경량 패널
KR20120007438U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KR20150122333A (ko) 방화문용 판넬
JP3138579U (ja) 防火板材
CN212001659U (zh) 一种具有降噪机构的防火保温板
KR20220028538A (ko) 흡음 및 차음 기능형 건축용 패널
KR200355387Y1 (ko) 불연성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