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13B1 -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13B1
KR101733613B1 KR1020160066311A KR20160066311A KR101733613B1 KR 101733613 B1 KR101733613 B1 KR 101733613B1 KR 1020160066311 A KR1020160066311 A KR 1020160066311A KR 20160066311 A KR20160066311 A KR 20160066311A KR 101733613 B1 KR101733613 B1 KR 10173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case
driving
light emitting
suppor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희
Original Assignee
소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희 filed Critical 소윤희
Priority to KR102016006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0Rotating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회전되는 타공케이스 및 수직으로 상하 이동되는 발광부를 이용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조명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LIGHTING APPARATUS HAVING HOLE CASE}
본 발명은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움직이는(키네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타공케이스 및 상하 이동되는 발광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조명을 이용하여 실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드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기는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광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고전적인 조명기기와 달리 현재의 조명기기는 실내 인테리어를 좋게 만들어 휴식 시 보다 효과적으로 휴식을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긴장감을 낮출 수 있으며,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강조할 수 있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드는 기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명기기는 광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명기기의 광원을 이동시켜 사용자의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드는 조명기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9230호는 회전톱니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조명등의 상하 이동으로 인하여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3808호는 구동모터 및 전선을 이용하여 조명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반복적으로 이동되어 실내 인테리어를 보다 좋게 만들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92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380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되는 타공케이스 및 상하 이동되는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타공케이스 및 발광부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실루엣으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긴장감을 낮출 수 있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타공케이스, 일단이 상기 타공케이스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타공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 3 지지부, 상기 제 3 지지부 일단에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3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에 있어서,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타공케이스, 일단이 상기 타공케이스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는 베이스, 상기 제 1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타공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 일단이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 3 지지부, 상기 제 3 지지부 일단에 구비되는 발광부, 상기 제 3 지지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3 지지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적외선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동부, 제 2 구동부 및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되는 타공케이스 및 상하 이동되는 발광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타공케이스와 발광부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광원 또는 실루엣을 제공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들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긴장감을 낮춰 보다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타공케이스의 타공판을 교체할 수 있게 만들어 다양한 모양의 광원 또는 실루엣을 제공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인테리어 광원 및 실루엣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체 및 제 2 회전체의 비율을 2 : 1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미세하게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의 발광부가 타공케이스 내측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판이 회전판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가 타공케이스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발광되는 광원 및 실루엣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가 타공케이스 내측에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발광되는 광원 및 실루엣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는 타공케이스(10), 제 1 지지부(20), 베이스(30), 제 1 구동부(40), 제 2 지지부(50), 제 3 지지부(60), 발광부(70) 및 제 2 구동부(8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타공케이스(10)는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도록 구비된다. 즉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타공케이스(10)는 둘레면에 구비되는 타공을 이용하여 외부로 후술할 발광부(70)의 광원을 전달할 수 있어 타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무늬 또는 문양을 표현할 수 있고,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들며, 이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긴장감을 낮춰 보다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타공케이스(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10) 및 회전판(110) 상부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원통형 타공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110) 및 타공판(120)으로 형성되는 경우 타공판(120)은 회전판(11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타공판(1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를 간소하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공판(120)은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타공판(120)이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어 다양한 광원 및 실루엣 모양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지지부(20)는 일단이 타공케이스(10) 하부에 구비된다. 즉 제 1 지지부(20)는 타공케이스(10) 하부와 일단이 연결되어 타공케이스(10)를 지지하고 후술할 제 1 구동부(40)로 인하여 타공케이스(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1 지지부(20)의 타단은 후술할 베이스(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공케이스(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지지부(20)의 타단은 베어링을 구비하여 타공케이스(10)의 지지 및 타공케이스(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지지부(20)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30)는 제 1 지지부(20)의 타단과 연결된다. 베이스(30)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재 1 지지부(20) 일단에 구비되는 타공케이스(10)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든다. 베이스(30)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은 외부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전원(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0)는 후술할 제 1 구동부(40) 및 제 2 구동부(8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전원의 온 또는 오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40)는 제 1 지지부(20)와 연결되어 타공케이스(1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1 구동부(40)는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제 1 구동부(4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40)는 회전력을 제공하여 타공케이스(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 1 지지부(20) 및 제 1 구동부(40)는 벨트(210)로 연결되어 제 1 구동부(40)의 동력을 제 1 지지부(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동부(40)의 제어는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에 대한 입력은 후술할 입력부(9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제 1 구동부(40)는 타공케이스(1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광원 및 실루엣을 제공할 수 있게 만든다.
제 2 지지부(50)는 일단이 베이스(30)와 연결된다. 즉 제 2 지지부(50)의 일단이 베이스(30)와 연결되어 후술할 발광부(70)를 지지할 수 있게 만든다. 제 2 지지부(50)는 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공케이스(10)의 길이(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 3 지지부(60)는 제 2 지지부(5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제 3 지지부(60)는 후술할 발광부(70)를 타공케이스(10) 내측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지지부(60)는 제 2 지지부(50)를 기준으로 수직“‡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제 3 지지부(60)의 발광부(70)가 구비되는 일단의 비(율)가 제 3 지지부의 타단의 비(율) 보다 길게 형성되어 지렛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60)는 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70)는 제 3 지지부(60) 일단에 구비된다. 발광부(70)는 광원을 제공하여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발공부(70)는 전원공급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70)는 LED 또는 할로겐으로 형성되어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부(70)의 전원 제어는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입력부(90)를 통하여 온 또는 오프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발광부(70)가 할로겐으로 형성되는 경우 빛을 확산하는 성질이 보다 좋아져 실루엣을 보다 뚜렷하게 만들어 실내 인테리어 미관을 보다 좋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 2 구동부(80)는 제 3 지지부(60)의 타단과 연결되어 제 3 지지부(6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 2 구동부(8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서보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구동부(80)는 제 3 지지부(60)를 수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여 제 3 지지부(60)의 일단에 구비되는 발광부(70)가 상하 이동되어 다양한 광원 및 실루엣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 3 지지부(60) 및 제 2 구동부(80)는 탄성력을 가지는 끈(610)으로 연결되어 제 2 구동부(80)의 동력을 제 3 지지부(60)로 전달하여 제 3 지지부(60)가 상하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구동부(80)는 캠을 구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캠을 구비하는 경우 끈(610)은 캠과 연결되어 제 3 지지부(60)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입력부(90)는 베이스(30)에 구비된다. 입력부(90)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의 입력을 위하여 구비된다. 즉 입력부(90)를 이용하여 발광부(70)의 온 또는 오프, 제 1 구동부(40) 및 제 2 구동부(80)의 동작에 대한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발광부(70)는 타공케이스(10) 둘레면 내측을 상하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발광부(70)가 타공케이스(10) 둘레면 내측을 이동하게 만들어 360도 방향에서 광원 및 실루엣을 감상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실내 미관을 좋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 1 지지부(20)에 구비되는 제 1 회전체(220) 및 제 1 구동부(40)에 구비되는 제 2 회전체(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벨트(210)는 제 1 회전체(220) 및 제 2 회전체(410)를 연결하여 제 1 구동(40)의 동력을 전달하며, 제 1 회전체(220) 및 제 2 회전체(410)의 둘레 비율을 2 : 1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2 회전체(410)가 두 바퀴 회전할 동안 제 1 회전체(220)는 한 바퀴만을 회전할 수 있게 만들어 타공케이스(10)의 회전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즉 미세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부(70)에서 발생되는 광원 및 실루엣을 보다 미세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는 타공케이스(10), 제 1 지지부(20), 베이스(30), 제 1 구동부(40), 제 2 지지부(50), 제 3 지지부(60), 발광부(70), 제 2 구동부(80) 및 적외선 센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타공케이스(10), 제 1 지지부(20), 베이스(30), 제 1 구동부(40), 제 2 지지부(50), 제 3 지지부(60), 발광부(70), 제 2 구동부(80)는 상기 기술한 내용을 이용한다. 적외선 센서부(미도시)는 베이스(30)에 구비된다. 적외선 센서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구동부(40), 제 2 구동부(80) 및 발광부(70)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 적외선 센서부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특정 영역 안에 사람이 위치되는 경우 사람의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여 사람이 특정 공간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구동부(40), 제 2 구동부(80) 및 발광부(70)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부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구비하여 발광소자에서 발사한 빔이 장애물(사람)을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빔의 양을 분석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타공케이스, 20 : 제 1 지지부,
30 : 베이스, 40 : 제 1 구동부,
50 : 제 2 지지부, 60 : 제 3 지지부,
70 : 발광부, 80 : 제 2 구동부,
90 : 입력부,
100 : 조명기기,
110 : 회전판, 120 : 타공판,
210 : 벨트, 220 : 제 1 회전체,
410 : 제 2 회전체,
610 : 끈.

Claims (10)

  1.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타공케이스(10);
    일단이 상기 타공케이스(10)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20);
    상기 제 1 지지부(20)의 타단과 연결되는 베이스(30);
    상기 제 1 지지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타공케이스(10)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40);
    일단이 상기 베이스(30)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50);
    상기 제 2 지지부(5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 3 지지부(60);
    상기 제 3 지지부(60) 일단에 구비되는 발광부(70); 및
    상기 제 3 지지부(6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3 지지부(6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20) 및 제 1 구동부(40)는 벨트(210)로 연결되어 제 1 구동부(40)의 동력을 제 1 지지부(2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60) 및 제 2 구동부(80)는 탄성력을 가지는 끈(610)으로 연결되어 제 2 구동부(80)의 동력을 제 3 지지부(6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40) 및 제 2 구동부(60)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0)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100)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70)는 상기 타공케이스(10) 둘레면 내측으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20)에 구비되는 제 1 회전체(220); 및
    상기 제 1 구동부(40)에 구비되는 제 2 회전체(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210)는 상기 제 1 회전체(220) 및 제 2 회전체(410)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제 1 회전체(220) 및 제 2 회전체(410)의 비율은 2 : 1 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케이스(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10); 및
    상기 회전판(110) 상부에 마련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원통형 타공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공판(120)은 상기 회전판(11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70)는 LED 또는 할로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10.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타공을 구비하는 타공케이스(10);
    일단이 상기 타공케이스(10)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지지부(20);
    상기 제 1 지지부(20)의 타단과 연결되는 베이스(30);
    상기 제 1 지지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타공케이스(10)를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40);
    일단이 상기 베이스(30)와 연결되는 제 2 지지부(50);
    상기 제 2 지지부(5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 3 지지부(60);
    상기 제 3 지지부(60) 일단에 구비되는 발광부(70);
    상기 제 3 지지부(60)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 3 지지부(6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구동부(80) 및
    상기 베이스(30)에 구비되는 적외선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부에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동부(40), 제 2 구동부(80) 및 발광부(7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KR1020160066311A 2016-05-30 2016-05-30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KR10173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311A KR101733613B1 (ko) 2016-05-30 2016-05-30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311A KR101733613B1 (ko) 2016-05-30 2016-05-30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13B1 true KR101733613B1 (ko) 2017-05-08

Family

ID=6016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311A KR101733613B1 (ko) 2016-05-30 2016-05-30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570Y1 (ko) 2000-09-28 2001-06-01 정대용 회전 전기스텐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570Y1 (ko) 2000-09-28 2001-06-01 정대용 회전 전기스텐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919B1 (en) Illuminated headboard
WO2016009984A1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KR100903937B1 (ko) 무대 조명용 무빙 라이트
JP2007080539A (ja) 照明器具
JP6235421B2 (ja) 扇風機
KR101733613B1 (ko) 타공케이스를 구비하는 조명기기
CN205383478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智能台灯
KR101605611B1 (ko) 휴대용 랜턴
KR102188224B1 (ko) 멸균장치를 구비하는 움직임의 조작이 가능한 조형물
KR20160053576A (ko) 조명장치
JP2017045694A (ja) からくり照明器具
KR20190105845A (ko) 비타민 디 생성을 위한 자외선이 조사되는 조명스탠드
JP3200833U (ja) 自動開閉機能付き照明器具
US11428386B2 (en) Rotatable form shadow casting device
KR101523616B1 (ko) 무드조명
JP2004146315A (ja) 病院や老人保健施設で利用するベッドライト
KR101613352B1 (ko) 휴대용 랜턴
CN206280825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灯具
JP2020113466A (ja) 照明装置
KR200255440Y1 (ko) 전기스탠드
JP3098051U (ja) 医療用照明器具
TWI737480B (zh) 手勢操作之檯燈
JP5725317B1 (ja) 照明装置及び照明方法
CN220303463U (zh) 一种多功能台灯
KR200481012Y1 (ko) 휴대용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