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19B1 -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19B1
KR101732419B1 KR1020150170682A KR20150170682A KR101732419B1 KR 101732419 B1 KR101732419 B1 KR 101732419B1 KR 1020150170682 A KR1020150170682 A KR 1020150170682A KR 20150170682 A KR20150170682 A KR 20150170682A KR 101732419 B1 KR101732419 B1 KR 10173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core
mold
groove
low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1Selec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For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은 어퍼모형(100)의 내측에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어퍼공동(110)을 형성하고, 로워모형(200)의 내측에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로워공동(210)을 형성하는 모형 공동 형성 단계(S10); 상기 어퍼공동(110) 및 로워공동(210)에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각각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다이(300) 및 하형다이(400)를 형성하는 다이 주조 단계(S20);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310)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에 상기 상형보조틀(510)을 가접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코어(600)를 형성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에 가접된 상형보조틀(510)을 분리하는 상형코어 형성 단계(S40);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보조틀(520)을 가접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하여 하형코어(700)를 형성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에 가접된 하형보조틀(520)을 분리하는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 및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을 프레스에 접합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단을 지지테이블(50)에 접합하는 다이 접합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 upper die and lower die including of Stretch draw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 항공기의 동체, 건축물의 외장패널에 사용되기 위한 곡판을 제조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체, 항공기의 동체, 건축물의 외장패널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금속재질 곡판이 사용된다.
상기 곡판을 성형할 때에 구형이나 호형 등의 일정한 굴곡 형태를 가진 정형의 것을 대량 생산할 때에는 프레스금형을 사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항공기의 스킨과 같이 3차원 형상을 가지며 여러개의 곡면을 가진 곡판의 경우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Stretch Draw Forming)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3차원 형상을 가진 레진(1)이 접합되며 지지테이블(50)에 얹어지는 하형다이(10); 상기 레진(1)과 하형다이(10)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대(30); 상기 하형다이(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프레스와 연결되어 상기 레진(1)에 배치된 원판(2)을 가압하기 위한 상형다이(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2)의 양단을 인장하는 상태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상형다이를 상기 레진(1)에 배치된 원판으로 가압하여 원판을 곡판으로 성형한다.
그러나 상기 레진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형다이가 가하는 압력으로 인해 표면 균열(Surface Crack)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레진은 상기 보강대와의 서로 다른 재질에 의한 열팽창 차이로 인해 주변온도가 변화하면 상기 보강대보다 더 크게 팽창되거나 더 크게 압축되어 3차원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501224호의 로워 펀치모듈과 스트레칭 유니트, 어퍼 펀치모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로워 중앙에 설치되는 로워 펀치모듈; 상기 지지프레임의 로워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속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스트레칭 유니트; 상기 지지프레임의 어퍼 중앙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 펀치모듈; 상기 로워 펀치모듈, 복수의 스트레칭 유니트, 어퍼 펀치모듈,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 상기 지지프레임의 로워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칭 유니트를 지지하는 고정케이싱; 상기 지지프레임의 로워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트레칭 유니트를 지지하는 이동케이싱; 상기 고정케이싱과 이동케이싱의 사이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케이싱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실린더; 상기 고정케이싱과 이동케이싱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동케이싱의 좌우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니트에 의해 각 스트레칭 유니트가 독립적으로 개별 제어되어 굴곡형태에 따라 원판의 각 부위가 서로 다른 압력으로 인장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실린더의 작동으로 펀치모듈의 크기 및 성형하고자 하는 곡판의 크기에 따라 좌우 스트레칭 유니트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클램핑이 가능한 곡판 성형용 다점 스트레칭 포밍장비가 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501224호(2015.03.0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진의 3차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은 어퍼모형(100)의 내측에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어퍼공동(110)을 형성하고, 로워모형(200)의 내측에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로워공동(210)을 형성하는 모형 공동 형성 단계(S10); 상기 어퍼공동(110) 및 로워공동(210)에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각각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다이(300) 및 하형다이(400)를 형성하는 다이 주조 단계(S20);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310)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에 상기 상형보조틀(510)을 가접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코어(600)를 형성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에 가접된 상형보조틀(510)을 분리하는 상형코어 형성 단계(S40);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보조틀(520)을 가접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하여 하형코어(700)를 형성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에 가접된 하형보조틀(520)을 분리하는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 및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을 프레스에 접합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단을 지지테이블(50)에 접합하는 다이 접합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이 주조 단계(S20)와 상형코어 형성 단계(S40) 사이에 상기 상형다이곡면(310)및 하형다이곡면(410)에 각각 상형그루브(320) 및 하형그루브(420)를 형성하는 다이 그루브 형성 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와 다이 접합 단계(S90) 사이에 상기 하형코어(700)를 특정 형상으로 절삭하는 하형코어 절삭 단계(S60); 상기 하형코어(700)에 시트왁스를 도포하는 하형코어 왁스 도포 단계(S70); 및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을 형성하는 상형다이의 무게줄임홈 형성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 접합 단계(S90) 이후에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을 형성하고, 상시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프레스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상형다이(300);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에 부착되며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상형코어(600);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지지테이블(50)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하형다이(400); 및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에 부착되며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하형코어(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상기 상형다이곡면 및 하형다이곡면에 각각 상형그루브 및 하형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형다이(300)는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이 형성되고, 상시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은 상형다이, 상형코어, 상형다이, 하형코어가 모두 주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형코어와 하형코어의 3차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형다이, 상형코어, 상형다이, 하형코어는 모두 주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형 공동 형성 단계(S10)에서는 어퍼모형(100)의 내측에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어퍼공동(110)을 중공 형성하고(도 3의 (a), (b)), 로워모형(200)의 내측에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로워공동(210)을 중공 형성한다.(도 3의 (c), (d))
여기에서 상기 어퍼모형(100)과 로워모형(200)은 주물용 형틀로서,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 주조 단계(S20)에서는 상기 어퍼공동(110)에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각각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다이(300)를 형성하고(도 4의 (a), (b)) 상기 로워공동(210)에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각각 주입 및 응고시켜 하형다이(400)를 형성하고를 형성한다.(도 4의 (c), (d))
즉, 상기 어퍼공동(110)에 주입한 주물이 상형다이(300)로 형성되어 상기 상형다이(300)의 하단에 3차원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로워공동(210)에 주입한 주물이 하형다이(400)로 형성되어 상기 하형다이(400)의 상단에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선택적인 구성인 다이 그루브 형성 단계(S30)에서는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310)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곡면(310)에 상형그루브(320)를 형성하고(도 5),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그루브(420)를 형성한다(도 6). 이 때, 상기 상형그루브(320)와 하형그루브(420)는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형코어 형성 단계(S40)에서는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에 상기 상형보조틀(510)을 가접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코어(600)를 형성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에 가접된 상형보조틀(510)을 분리한다. 이 때, 상기 상형다이곡면(310)에 상형그루브(32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상형다이곡면(310)과 레진이 서로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에서는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보조틀(520)을 가접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하여 하형코어(700)를 형성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에 가접된 하형보조틀(520)을 분리한다. 이 때, 상기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그루브(420)가 형성된 경우, 상기 하형다이곡면(410)과 레진이 서로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인 상기 하형코어 절삭 단계(S60)에서는 상기 하형코어(700)를 원판(2)의 성형 형상으로 절삭한다.
선택적인 구성인 상기 하형코어 왁스 도포 단계(S70)에서는 상기 하형코어(700)에 시트왁스를 도포하여 상기 하형코어(700)의 상하방향 두께를 보정한다.
선택적인 구성인 상기 상형다이의 무게줄임홈 형성 단계(S80)에서는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을 형성하여 다수의 상형다이(300)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형다이(300)의 무게를 줄인다.
다이 접합 단계(S90)에서는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을 프레스(미도시)에 접합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단을 지지테이블(50)에 접합한다.(도 8 참조)
이후, 상기 하형다이(400)의 상측에 있는 하형코어(700)에 원판(2)을 얹어놓고, 원판(2)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코어(600)를 하형코어(700)에 얹어진 원판(2)을 향하여 가압하여 원판(2)을 곡판으로 성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은 상형다이(300), 상형코어(600), 상형다이(300), 하형코어(700)가 모두 주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형코어(600)와 하형코어(700)의 3차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형다이(300), 상형코어(600), 상형다이(300), 하형코어(700)는 모두 주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다이 접합 단계(S90) 이후에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을 형성하고, 상시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를 형성한다.(도 9, 도 10 참조)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하형코어돌기(710)는 상기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코어홈(610)와 하형코어돌기(71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보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상형다이(300), 상형코어(600), 하형다이(400), 하형코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9 내지 도 10 참조)
상기 상형다이(300)는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프레스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코어(600)는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에 부착되며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형다이(400)는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지지테이블(50)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형코어(700)는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에 부착되며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상형다이(300)와 하형다이(400)가 응고된 알루미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형다이(300)와 하형다이(400)가 서로 맞닿는 일방 및 타방에 각각 레진으로 이루어진 상형코어(600) 및 하형코어(700)를 구성함으로써, 레진으로 이루어진 상형코어(600)와 하형코어(700)가 서로 맞닿아도 열팽창의 차이가 없어서 레진으로 이루어진 상형코어(600)와 하형코어(700)의 3차원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는 상기 상형다이곡면 및 하형다이곡면에 각각 상형그루브 및 하형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 상에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상형코어(600)가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하형코어(700)가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형다이(300)는 무게가 최소화되도록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이 형성되고, 상시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하형코어돌기(710)는 상기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하형코어돌기(71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보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50 : 지지테이블
100 : 어퍼모형
110 : 어퍼공동
200 : 로워모형
210 : 로워공동
300 : 상형다이
310 : 상형다이곡면
320 : 상형그루브
350 : 무게줄임홈
400 : 하형다이
410 : 하형다이곡면
420 : 하형그루브
510 : 상형보조틀
520 : 하형보조틀
600 : 상형코어
610 : 상형코어홈
700 : 하형코어
710 : 하형코어돌기

Claims (8)

  1. 어퍼모형(100)의 내측에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어퍼공동(110)을 형성하고, 로워모형(200)의 내측에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된 로워공동(210)을 형성하는 모형 공동 형성 단계(S10);
    상기 어퍼공동(110) 및 로워공동(210)에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각각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다이(300) 및 하형다이(400)를 형성하는 다이 주조 단계(S20);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310)이라고 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곡면(310) 및 하형다이곡면(410)에 각각 요철 구조로 상형그루브(320) 및 하형그루브(420)를 형성하는 다이 그루브 형성 단계(S30);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에 상형보조틀(510)을 가접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시켜 상형코어(600)를 형성하고 상기 상형다이(300)에 가접된 상형보조틀(510)을 분리하는 상형코어 형성 단계(S40);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에 하형보조틀(520)을 가접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 상에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주물을 주입 및 응고하여 하형코어(700)를 형성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에 가접된 하형보조틀(520)을 분리하는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 및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을 프레스에 접합하고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단을 지지테이블(50)에 접합하는 다이 접합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코어 형성 단계(S50)와 다이 접합 단계(S90) 사이에
    상기 하형코어(700)를 특정 형상으로 절삭하는 하형코어 절삭 단계(S60);
    상기 하형코어(700)에 시트왁스를 도포하는 하형코어 왁스 도포 단계(S70); 및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을 형성하는 상형다이의 무게줄임홈 형성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 접합 단계(S90) 이후에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을 형성하고, 상기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5. 하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프레스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상형다이(300);
    상기 상형다이(300)의 3차원 형상 하단을 상형다이곡면(310)이라고 할 때, 상기 상형다이곡면(310)에 요철 구조로 상형그루브(320)가 형성되어 상기 상형다이(300)의 상형다이곡면(310)에 부착되며 상기 상형그루브(320)의 오목한 부분에 채워져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상형코어(600);
    상단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지지테이블(50)에 접합되며 응고된 알루미늄수지로 이루어지는 하형다이(400); 및
    상기 하형다이(400)의 3차원 형상 상단을 하형다이곡면(410)이라고 할 때, 상기 하형다이곡면(410)에 요철 구조로 하형그루브(420)가 형성되어 상기 하형다이(400)의 하형다이곡면(410)에 부착되며 상기 하형그루브(420)의 오목한 부분에 채워져 응고된 레진으로 이루어지는 하형코어(700);를 포함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다이(300)는
    상단에 다수의 무게줄임홈(35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코어(600)의 하면에 상형코어홈(610)이 형성되고, 상시 하형코어(700)의 상면에 상기 상형코어홈(610)과 맞물리기 위한 하형코어돌기(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
KR1020150170682A 2015-12-02 2015-12-02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KR10173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82A KR101732419B1 (ko) 2015-12-02 2015-12-02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82A KR101732419B1 (ko) 2015-12-02 2015-12-02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19B1 true KR101732419B1 (ko) 2017-05-08

Family

ID=6016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82A KR101732419B1 (ko) 2015-12-02 2015-12-02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96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996A (ko) * 2021-02-18 2022-08-2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KR102448247B1 (ko) * 2021-02-18 2022-09-2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33B1 (ko) 박판 유리의 몰딩 방법 및 그 성형 거푸집
JP6667208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BR102015012974A2 (pt)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peça de resina automotiva e dispositivo de fabricação da peça de resina automotiva
CN109093999A (zh) 一种三维表面加饰tom法真空成型覆膜设备
KR101732419B1 (ko) 스트래치 드로우 포밍 장치의 상형다이와 하형다이의 제조 방법
JP2014168864A (ja) 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6272181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RU201113444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методом трансфер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JP2016043639A (ja)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20150106829A (ko) 3차원 성형물 제조모듈 및 3차원 성형물의 몰드 제조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3차원 성형물 제조 방법, 3차원 성형물의 몰드 및 금형 제조 방법
JP5969442B2 (ja) 中空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978725B (zh) 一种气动送料压型模具
CN211638031U (zh) 一种冲压机床的模具定位机构
TWI477379B (zh) To mold the plastic plate / tube and the method of casting the plastic plate / tube
CN109843536B (zh) 树脂成形部件的成形方法及成形系统
JP2012011421A (ja) 分割式ダイスを備えた金型装置
JP2001293737A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6187575B2 (ja) インモールド射出成形金型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JP2019077106A5 (ko)
JP5184614B2 (ja) 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射出圧縮成形方法
TWI818608B (zh) 樹脂成形用成形模的製造方法、樹脂成形用成形模、樹脂成形裝置、及樹脂成形品的製造方法
JP6647359B1 (ja) 車両用シ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39042A (ja) アルミニウム樹脂複合積層板からなり、コーナーrを有する三次元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109553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6156474B2 (ja) インモールド射出成形金型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