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313B1 -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313B1
KR101732313B1 KR1020160070878A KR20160070878A KR101732313B1 KR 101732313 B1 KR101732313 B1 KR 101732313B1 KR 1020160070878 A KR1020160070878 A KR 1020160070878A KR 20160070878 A KR20160070878 A KR 20160070878A KR 101732313 B1 KR101732313 B1 KR 10173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ed
protein
molasses
tm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거창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창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거창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6007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기술분야/해결과제]
본 발명은 축산용 완전혼합사료(TMR)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우산업발전대책 및 한미 FTA 피해대책 등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이 취약하고, FTA 확대로 대외 경쟁압력이 더욱 심화되고 있고, 수급관리 역량 미비, 해외 의존적 사료 비용구조 등 대내여건은 여전히 취약하며, 적정사육두수 등의 수급관리 미비로 가격 등락이 과도한 실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축산용 완전혼합사료의 제조 방법은, (a) 농후사료 55.00 내지 60.00 중량%, 조사료 10.00 내지 15.00 중량%, 보충사료 2.00 내지 3.00 중량%,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 24.00 내지 28.00 중량%를 계량하여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배합기에서 사료를 배합한 후 충진기로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충진기에서 사료포대에 사료를 정량으로 충진한 후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송된 사료포대를 포장하여 보관 및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기대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TMR 사료’를 급여하게 되면 맛있고 인체 건강에 유익한 한우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TOTAL MIXED RATION FOR STOCKBREE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축산용 완전혼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맛있고 인체 건강에 유익한 한우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축산용 TMR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한우 산업은 급격한 대내외적 변화를 겪고 있다. 한우산업발전대책 및 한미 FTA 피해대책 등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은 취약하고, FTA 확대로 대외 경쟁압력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 예로, 한국과 EU(2011.07.), 한국과 미국(2012.03.) FTA 발효(쇠고기 관세 15년간 40%에서 0%), 한국과 호주·캐나다·뉴질랜드·중국 FTA 추진 등으로 시장개방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리고, 수급관리 역량 미비, 해외 의존적 사료 비용구조 등 대내여건은 여전히 취약한 편이다. 또한, 한우산업은 적정사육두수 등의 수급관리 미비로 가격 등락이 과도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우 산업은 브랜드 고유의 특성을 살려야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85930호(2003.05.19.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맛있고 인체 건강에 유익한 한우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축산용 완전혼합사료(TMR)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우고기내 각종 기능성 성분, CLA, 바세닉산, 베타-알라닌 및 안세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한우고기의 ‘맛’도 증진시킬 수 있는 축산용 TMR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우 브랜드의 고유 특성을 살려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하고, 농가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산용 TMR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의 제조 방법은, (a) 농후사료 55.00 내지 60.00 중량%, 조사료 10.00 내지 15.00 중량%, 보충사료 2.00 내지 3.00 중량%,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 24.00 내지 28.00 중량%를 계량하여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배합기에서 사료를 배합한 후 충진기로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충진기에서 사료포대에 사료를 정량으로 충진한 후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송된 사료포대를 포장하여 보관 및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농후사료는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료는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사료는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는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단백피, 소맥피, 대두박, 루핀,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대두피, 루핀, 채종박, 야자박, 팜박,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다.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는,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는 보충사료와,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는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산용 TMR 사료(거창한 애우 TMR 사료)의 급여는, 한우고기내 각종 기능성 성분, CLA, 바세닉산, 베타-알라닌 및 안세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한우고기의 ‘맛’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농가 소득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한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및 미강의 성분표 및 화학성분표
도 3은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TMR 급여 프로그램 도표
도 4는 시험우 및 시료내역 도표
도 5는 도체특성 및 등급 도표
도 6은 거세한우 등심의 일반성분 조성 도표
도 7은 거세한우 등심의 지방산 조성과 융점 도표
도 8은 거세한우 등심내 유리 아미노산 함량 도표
도 9는 거세한우 등심의 핵산 화합물 함량 도표
도 10은 거세한우 등심의 관능평가 도표
도 11은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제품 포장 사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축산용 TMR 사료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한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및 미강의 성분표 및 화학성분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제품명:‘거창한 애우 비육 3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후사료, 조사료, 보충사료,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농후사료는 전지면실(Cotton, seeds), 하이에너지, 하이프로틴을 포함하며, 상기 조사료는 생볏짚, 알팔파건초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사료는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를 포함하며, 상기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는 면실피펠렛, 당밀, 맥주박, 쑥사일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단백피, 소맥피, 대두박, 루핀,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대두피, 루핀, 채종박, 야자박, 팜박,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제품명:‘거창한 애우 비육 3호’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농후사료, 조사료, 보충사료,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각각 입고한여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농후사료는 정선 및 제출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농후사료, 조사료, 보충사료,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각각 계량하여 배합기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조사료는 선별하여 절단한 후 계량하여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배합기에 투입되는 사료원료는 농후사료 55.00 내지 60.00 중량%, 조사료 10.00 내지 15.00 중량%, 보충사료 2.00 내지 3.00 중량%,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 24.00 내지 28.0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더 구체적으로, 상기 농후사료는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조사료는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충사료는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는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단백피, 소맥피, 대두박, 루핀,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표 1 참조).
[표 1]
Figure 112016054886473-pat00001
그리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대두피, 루핀, 채종박, 야자박, 팜박,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 2]
Figure 112016054886473-pat00002
그 다음, 상기 배합기에서 사료를 배합한 후 충진기로 이송한다.
그 다음, 상기 충진기에서 사료포대에 사료를 정량으로 충진한 후 포장대로 이송한다.
끝으로, 상기 포장대에서 이송된 사료포대를 포장하여 보관 및 출고하게 된다.
축산용 TMR 사료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제품명:‘거창한 애우 비육 3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면실(Cotton, seeds), 하이에너지, 하이프로틴을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생볏짚, 알팔파건초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를 포함하는 보충사료와, 면실피펠렛, 당밀, 맥주박, 쑥사일리지를 포함하는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단백피, 소맥피, 대두박, 루핀,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대두피, 루핀, 채종박, 야자박, 팜박,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는,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는 보충사료와,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는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축산용 TMR 사료의 실험 예
이하, 첨부된 도면 2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시험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및 미강의 성분표 및 화학성분표이고, 도 3은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TMR 급여 프로그램 도표이고, 도 4는 시험우 및 시료내역 도표이고, 도 5는 도체특성 및 등급 도표이고, 도 6은 거세한우 등심의 일반성분 조성 도표이고, 도 7은 거세한우 등심의 지방산 조성과 융점 도표이고, 도 8은 거세한우 등심내 유리 아미노산 함량 도표이고, 도 9는 거세한우 등심의 핵산 화합물 함량 도표이고, 도 10은 거세한우 등심의 관능평가 도표이다.
여기서,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는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TMR 사료의 제품명이다.
1. 재료 및 방법
1) 시험설계
Figure 112016054886473-pat00003
1)대조구; 일반농가 출하우(육질등급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육질등급 1++, 1+, 1 및 2등급 각각 1, 3, 3, 3두에 대하여 시료 채취)
2)시험1구; 거창축협 생축장 비육우, ‘거창한 애우 비육 3호’급여구
3)시험2구; 거창축협 생축장 비육우, ‘거창한 애우 비육 3호’+ 미강 급여구(90일)
2) 사양관리
대조구는 비교실험을 위하여 거창지역 일반 농가에서 기존 사양관리 방식으로 사육·출하한 시험우 10두를 이용하였으며, 시험1구는 거창축협 생축장에 비육 중인 거세 한우에게 출하시 까지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도 2)를 무제한 급여하였으며(도 3), 시험2구는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를 무제한 급여하면서, 거창지역에서 생산된 미강 (도 2)을 500그램/일/두 급여하였다.
3) 사양기간
2015. 10. 16부터 2016. 5. 13일 까지 총 209일
4) 조사항목
(1) 도체특성 및 등급
사양시험 종료 후 지역인근 안동소재 S 축산(주)으로 운반하여 24시간 절식시킨 다음 도축하여 24시간 냉각 후에 축산물등급판정기준에 따라 육량형질(냉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과 육질형질(근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를 측정한 후, 최종 육량 및 육질등급 판정을 하였다.
(2) 도체 이화학적 성분 분석 및 관능평가
가. 시료내역 및 숙성
지방산 조성 및 융점 분석을 위하여 숙성 전 시료 일부를 채취한 다음, 나머지 시료는 광목천으로 싸서 건식 숙성시켰다. 숙성은 온도 0 내지 1℃, 습도 80 내지 85 중량%가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며 10일간 건식 숙성시켰다. 숙성이 종료된 후,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함량 분석을 위하여 시료의 일부를 채취하였으며, 나머지 시료는 관능평가를 위해 진공 포장하여 평가 일까지 -5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나. 일반성분
일반성분 분석은 AOAC(1995) 방에 준하여 수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분은 균질화한 시료 2g을 dry-oven법으로 건조하여 평가하였고, 수분 측정이 완료된 시료를 Soxhlet 추출법으로 지방을 추출하여 지방 함량을 구하였다. 조단백질은 Kjeldahl법으로(Kjeltec Auto System B-322, Buchi, Flawil, Switzerland) 시료 0.5g을 450℃에서 5시간 동안 소화시키고 50 중량% NaOH를 첨가하여 증류 및 중화시킨 다음 0.1 N HCl로 적정하여 함량을 구하였다.
다. 지방산 조성 및 융점
가) 지방 추출
지방의 추출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냉동보관 된 분쇄한 등심시료 4g에 클로르포름 : 메탄올 (2:1) 용액 40㎖를 첨가하여 폴리트론 균질기(Polytron PT2100, Kinematica Inc., Bohemia, NY, USA)를 이용해 약 11,000rpm에서 5분간 균질화하였다. 층 분리를 위하여 30분간 둔 뒤 흡입기(Tokyo Rikalkal Co., Ltd., Japan)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0.74 중량% 염화칼륨 용액을 8㎖ 첨가하고 층 분리를 위해 4℃에서 24시간 정치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하층액을 유리병에 담아 70℃ 항온수조에서 질소가스를 이용해 유기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여 지방을 추출하였다.
나) 지방산 조성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는 Lepage와 Roy (1986)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추출된 지방을 유리관에 200㎕씩 담아 메탄올 : 벤젠 (4:1) 용액을 2㎖ 첨가 하였다. 아세틸 클로라이드 200㎕를 매우 천천히 첨가하여 열판(100℃)에서 40분간 가열하였고 이후 흐르는 물에서 10분간 방냉 하였다. 이소옥탄 1㎖와 6 중량% 포타시움 카르보네이트 8㎖를 첨가하여 1,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이 후 상층액 400㎕를 전용 유리병에 옮겨 담아 개스크로마토 그라프(Clarus 500, Perkin Elmer, USA)로 분석하였다. 표준품으로는 fatty acid methyl ester mixer(18920-1AMP, Supelco, Bellefonte, PA, USA)를 사용하였으며, 전체 피크면적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
다) 융점 측정
추출된 지방을 융점 측정용 모세관(100mm pyrex, Corning inc., NY, NY, USA)에 1㎝씩 담아 냉동실 (-20℃)에 12시간 이상 두어 지방을 굳혔다. 14~15℃ 증류수를 비이커에 담고 핫플레이트(열판)를 통하여 2분에 1℃씩 물 온도가 상승하도록 하였다. 수은온도계에 준비해 둔 모세관 5개를 부착한 뒤 지방이 1㎝ 상승될 때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5개 각각의 모세관 간의 온도의 오차범위가 1℃ 이내일 경우 평균값을 융점으로 보았다. 오차범위가 1℃를 넘을 경우 재측정을 원칙으로 반복 측정하였다.
라. 유리 아미노산 함량
유리 아미노산의 추출은 Lee(1965)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분쇄한 등심시료 5g에 80 중량% 에탄올 용액 200㎖를 첨가하고 잘 섞어준 다음 24시간 정치하였다. 8㎛ 여과지 (whatman, 150mm)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감압, 증발 및 건조하였다. 증류수 40㎖와 에테르 20㎖를 첨가 후 분액 깔대기로 층을 분리하고 하층액 만을 따로 수집하여 감압 농축기를 이용해 농축, 감압, 증발 및 건조하였다. 0.2M 구연산 완충액 20㎖를 첨가하여 0.45㎛ 시린지 여과지에 여과한 후 유리 아미노산 분석기(L8800, HITACHI, Ltd., Japan)로 분석하였다.
마. 핵산 화합물 함량
핵산 화합물은 Koga 등(1987)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냉동 보관된 등심조직 5g에 10 중량% 퍼클로릭산 용액 25㎖를 첨가한 후, 폴리트론 균질기(Polytron PT2100, Kinematica Inc., Bohemia, NY, USA)를 이용해 약 11,000rpm에서 3분간 균질화하였다.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으며 5N 수산칼륨을 첨가하여 pH6.5로 조정하였다. 상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상층액을 수집하였고 0.45㎛ 시린지 여과지로 여과하여 HPLC(LC-10AD, SHIMADZU, Ltd., Japan)로 분석하였다.
바. 관능평가
가) 관능평가 요원 선발 및 사전 훈련
패널리스트는 인근 농가 및 거창축협 임직원 중에서 선발하였으며, 본시험 전에 절대 미각과 소고기의 연도 비교 테스트 및 소고기 맛 평가에 대한 사전 훈련을 거쳤다.
절대 미각 테스트는 단맛(설탕, 0.4 g/dl), 짠맛(식염, 0.13 g/dl), 신맛(식용주석산, 0.005 g/dl) 및 감칠맛(MSG, 0.05 g/dl)의 총 4가지 맛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도 테스트는 고기의 부드러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근내지방도가 높은 등급의 소고기 연도를 절대적으로 판별하게 한 다음, 근내지방도가 낮은 등급의 소고기를 제공하여 상대적인 연도를 판별하도록 훈련하였다. 소고기 맛 평가 훈련은, 실제 본 평가와 동일한 문항으로서 소고기의 연도, 다즙성, 감칠맛 및 종합기호도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나) 관능평가를 위한 준비
관능평가를 위한 시료는 대조구 3개, 시험 1구 3개 및 시험 2구 3개로 총 9개였으며 근내지방도는 6 또는 7로서 모두 1+등급이었다. 시료의 평가 순서는 랜덤(randomization site)하게 정하였으며 패널리스트들에게 일체의 정보를 주지 않았다. 숙성시킨 등심시료를 두께 1㎝ ×가로 4㎝ ×세로 5㎝의 크기로 정형하여 220℃로 가열된 핫플레이트 (조리용 철판)에서 앞면 60초, 뒷면 90초 동안 조리한 후, 두께 1㎝ ×가로 4㎝ ×세로 2.5㎝로 잘라 관능평가요원 1인분 시료로 제공하였다.
평가를 위해 개인별로 평가용지, 볼펜, 입 헹굼용 생수, 종이컵, 나무젓가락, 시료를 뽑아낼 수 있는 용기, 개인별 휴지 등을 준비하였으며 시료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제공하였다.
다) 관능평가 항목 및 방법
평가는 연도, 다즙성, 감칠맛 및 종합 기호도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평가 방법은 각 항목별로 1점에서 5점까지로서 (5점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높은 점수를 의미한다. 또한 관능평가 항목 외에 구수하다, 느끼하다, 싱겁다, 짜다, 자극적이다, 깔끔하다, 냄새가 좋다, 냄새가 나쁘다 및 기타 의견을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사. 통계분석
본 실험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21.0 software system(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고 one way ANOVA test에 의해 P<0.05 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각 실험군의 평균치간 유의성은 Duncan’multiple range test로 검증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1) 시험우 및 시료내역
본 시험에 이용한 시험우 및 시료내역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대조구(거창지역 일반농가 출하우), 시험1구 및 시험2구(거창축협 생축장에서 사육한 시험우)의 출하월령은 각각 33.4, 33.1 및 32.6개월령으로써, 전체 평균 33.0개월령으로 나타났다.
2) 도체특성 및 등급
대조구, 시험1구 및 시험2구의 냉도체중은, 각각 453.1, 444.6 및 429.1kg이었으며, 등지방두께는 각각 12.14, 13.26 및 14.71mm, 배최장근 단면적은 88.43, 89.53 및 87.76㎠로써, 육량등급 A, B, C를 각각 , 2 및 3”으로 수치화하였을 경우, 육량등급은 각각 2.20, 2.16 및 2.19로써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도 5).
근내지방도는 각각 5.7, 5.8 및 5.8로써 시험1구 및 시험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0.1 더 높았으며,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를 반영하여 판정한 육질등급 1++, 1+, 1 및 2등급을 각각 , 2, 3 및 4”로 수치화하였을 경우, 육질등급은 각각 2.80, 2.21 및 2.38로써 시험1구와 시험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육질등급이 좋았다.
3) 일반성분
거세한우 등심 시료의 일반성분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소고기 육질을 판단하는 여러 가지 인자 중의 하나인 수분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시험1구와 시험2구에 비하여 약 2 중량% 정도 더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시험1구와 시험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2 중량% 이상 더 높았으며, 이는 고기내 수분과 지방 함량 간에는 역(-) 상관관계가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앞선 수분 함량의 차이가 조지방 함량의 차이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거세한우 등심내 조단백질 함량에는 시험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지방산 조성과 융점
거세한우 등심내 포화지방산인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 조성은 처리구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단가불포화지방산인 미리스톨레인산, 팔미토레인산 및 올레인산 조성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도 7).
거세한우 등심내 지방산 중, CLA 지방산의 전구물질인 바세닌산 조성이 시험1구(0.27 중량%) 및 시험2구(0.37 중량%)에서 대조구(0.19 중량%)에 비하여 42 중량%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레닌산 조성이 시험1구와 2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다. CLA유도체 중 하나인
Figure 112017008204017-pat00004
은 항암기능이 알려져 있으며, 유의성은 없었지만 시험1구와 시험2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도 7).
5) 유리 아미노산 함량
거세한우 등심내 유리 아미노산 중, 소고기의 감칠맛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의 함량에는 처리구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으며, 간접적으로 감칠맛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메티오닌의 함량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도 8).
항산화 기능을 지난 카르노신을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인 베타-알라닌은 시험1구 및 시험2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뇌신경 전달 기능과 관계가 있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역시 시험1구와 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뇌와 근육에 대한 생리적 기능성을 지닌 펩타이드인 안세린은 시험구, 특히 시험2구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86.58mg/100g).
6) 핵산 화합물 함량
소고기내 핵산 화합물은, 생체 상태에서는 화학적 에너지인 ATP로 이용이 되다가, 사후 ADP → AMP → IMP → 이노신 → 히포잔틴으로 경시적으로 대사가 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물질이며, IMP와 이노신은 소고기의 ‘맛’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의 결과, 시험2구 (거창한 애우 TMR + 미강 급여구)에서 IMP가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노신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도 9).
7) 관능평가
본 시험에 이용된 등심시료 (공정한 결과를 위하여 모든 처리구에 대하여 육질등급 1+ 시료 이용)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연도, 다즙성, 감칠맛 및 종합기호도 등 모든 평가항목에서 시험1구 (거창한 애우 TMR 급여구)가 유의성은 없었지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도 10).
3. 종합결론
‘거창한 애우 TMR 사료’의 효율 및 기능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실험의 결과는,
1) 거창한 애우 TMR 단독 급여 또는 거창한 애우 TMR과 미강을 비육후기 90일 동안 급여할 경우, 육량 및 육질등급 개선 효과가 있었다.
2) 등심내 올레인산을 비롯한 주요 지방산 조성 및 융점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인체 항암효능이 있는 공액리놀레인산 (CLA) 및 바세닌산 조성이 거창한 애우 TMR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3) 항산화 기능이 있는 베타-알라닌과 뇌.근육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펩타이드 물질인 안세린 함량이 거창한 애우 TMR 및 미강 추가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4) 시험우 등심에 대하여 연도, 다즙성, 감칠맛 및 종합기호도 등으로 평가한 관능평가 결과, 모든 평가 항목에서 거창한 애우 TMR을 급여한 시험우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실시제품의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제품 포장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축산용 TMR 사료의 실시제품인 ‘거창한 애우 비육 3호’는 도 11과 같이, 곡물류, 강피류, 박류, 당밀, 맥주박, 볏짚, 쑥, 알팔파, 생균체, 미네랄프리믹스, 비타민프리믹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거창한 애우 비육 3호’의 자세한 성분비는 도 2와 같고, 그 제조 공정 및 방법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거창한 애우 TMR 사료’의 급여는, 한우고기내 각종 기능성 성분, CLA, 바세닉산, 베타-알라닌 및 안세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한우고기의 ‘맛’도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우고기의 경쟁력 향상 및 농가 소득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a) 농후사료 55.00 내지 60.00 중량%, 조사료 10.00 내지 15.00 중량%, 보충사료 2.00 내지 3.00 중량%,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 24.00 내지 28.00 중량%를 계량하여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
    (b) 상기 배합기에서 사료를 배합한 후 충진기로 이송하는 단계;
    (c) 상기 충진기에서 사료포대에 사료를 정량으로 충진한 후 이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송된 사료포대를 포장하여 보관 및 출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농후사료는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료는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사료는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는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단백피, 소맥피, 대두박, 루핀,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이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단백피, 대두박, 대두피, 루핀, 채종박, 야자박, 팜박, 당밀, 비타민, 미네랄이 포함된 혼합원료인,
    축산용 완전혼합사료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는,
    축산용 완전혼합사료의 제조 방법.
  4. 전지면실 2.15 중량%, 하이에너지 39.50 중량%, 하이프로틴 16.00 중량%를 포함하는 농후사료와, 생볏짚 10.65 중량%, 알팔파건초 2.65 중량%를 포함하는 조사료와, 바실러스, 유산균, 효모가 들어있는 바이오5050의 생균제 2.50 중량%를 포함하는 보충사료와, 면실피펠렛 2.15 중량%, 당밀 2.05 중량%, 맥주박 20.85 중량%, 쑥사일리지 1.50 중량%를 포함하는 농산부산물 및 액상류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에너지는 옥수수 55 중량%, 단백피 15 중량%, 소맥피 10 중량%, 대두박 5 중량%, 루핀 12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0.75 중량%, 미네랄 0.7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프로틴은 옥수수 10 중량%, 단백피 15 중량%, 대두박 12 중량%, 대두피 10 중량%, 루핀 15 중량%, 채종박 15 중량%, 야자박 10 중량%, 팜박 5 중량%, 당밀 1.5 중량%, 비타민 2.75 중량%, 미네랄 2.75 중량%를 포함하는,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KR1020160070878A 2016-06-08 2016-06-08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3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78A KR101732313B1 (ko) 2016-06-08 2016-06-08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78A KR101732313B1 (ko) 2016-06-08 2016-06-08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313B1 true KR101732313B1 (ko) 2017-05-02

Family

ID=5874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878A KR101732313B1 (ko) 2016-06-08 2016-06-08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59B1 (ko) * 2018-06-15 2019-02-22 조성용 증숙 기반의 화식사료 제조 방법
CN109430541A (zh) * 2018-12-04 2019-03-08 扬州大学 一种秸秆微贮的方法
CN111387357A (zh) * 2020-05-11 2020-07-10 四川农业大学 一种玉米大豆混合青贮饲料的制备方法及制备得到的饲料和应用
KR20210065352A (ko) 2019-11-27 2021-06-04 이균 Omega-3 성분이 풍부한 유기농 소고기 및 우유 생산용 기능성 생초먹이 제조방법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57B1 (ko)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35536A2 (en) 2010-04-29 2011-11-03 Agricultural Research Organisation Novel ruminant fe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57B1 (ko)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35536A2 (en) 2010-04-29 2011-11-03 Agricultural Research Organisation Novel ruminant fee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59B1 (ko) * 2018-06-15 2019-02-22 조성용 증숙 기반의 화식사료 제조 방법
CN109430541A (zh) * 2018-12-04 2019-03-08 扬州大学 一种秸秆微贮的方法
CN109430541B (zh) * 2018-12-04 2023-04-07 扬州大学 一种秸秆微贮的方法
KR20210065352A (ko) 2019-11-27 2021-06-04 이균 Omega-3 성분이 풍부한 유기농 소고기 및 우유 생산용 기능성 생초먹이 제조방법
CN111387357A (zh) * 2020-05-11 2020-07-10 四川农业大学 一种玉米大豆混合青贮饲料的制备方法及制备得到的饲料和应用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207B1 (ko) * 2020-07-23 2022-10-26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313B1 (ko) 축산용 완전혼합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969786A (zh) 食用组合物
KR101971984B1 (ko) 열처리 전지대두를 주원료로 한 복합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거세한우육의 생산방법
Mordenti et al. Effects of a soybean-free diet supplied to Italian heavy pigs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meat and dry-cured ham quality
KR101735759B1 (ko) 한방생균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거세한우의 비육능력과 육질개선 효과
Fang et al. Effects of apple pomace‐mixed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CN104171747A (zh) 香猪断奶期饲料
Kotrotsios et al. Dietary carob pod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fattening pigs
Harimana et al. Quality parameters of black carp (Mylopharyngodon piceus) raised in lotic and lentic freshwater systems
CN107279543A (zh) 一种改善猪肉风味的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Másílko et al. The Culture System Affects Organoleptic Properties and Lipid Composition of Common Carp (C yprinus Carpio L.) Meat
KR101801892B1 (ko)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Huang et al. Feeding regimens affecting carcass and quality attributes of sheep and goat meat—A comprehensive review
Tiamiyu et al. Nutritional suitability of Leucaena leaf meal in the diet of Clarias gariepinus.
Karpiesiuk et al.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GUAR () Meal Protein on the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ig Carcasses
Montes-Sánchez et al. Understanding medusahead low intake and palatability through in vitro digestibility and fermentation kinetics
Iorgyer et al. The impact of boiling periods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level of some anti nutritional factors in pigeon pea (Cajanus cajan) seeds
Babalola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analysis and organoleptic assessment of snailets of African giant land snail (Archachatina marginata) fed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dried lettuce
Keak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bb 500 broiler chicken fed rations with different levels of water lily (nymphae lotus) seed meal
Alimuddin et al. Effect of dragon fruit peel flour (Hylocereus sp.) in complete feed on characteristics of rumen fermentation in goat
Polidori et al. Use of faba bean as a replacer of soybean meal in diet of Fabrianese lambs
Olorunnisomo Intake and digestibility of elephant grass ensiled with cassava peels by Red Sokoto goats
Mbiriri et al. Effect of different silages for TMR on in vitro rumen simulative fermentation
Guzmán et al. Degradabilidad ruminal in situ de ensilado de residuos de mango (Mangifera indica L.) y rastrojo de maíz
Selmi et al. Effect of the nature of the energy source (barley or triticale) on the production, milk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 of Sicilo-Sarde dairy ewe’s in the milking peri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