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892B1 -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892B1
KR101801892B1 KR1020170017015A KR20170017015A KR101801892B1 KR 101801892 B1 KR101801892 B1 KR 101801892B1 KR 1020170017015 A KR1020170017015 A KR 1020170017015A KR 20170017015 A KR20170017015 A KR 20170017015A KR 101801892 B1 KR101801892 B1 KR 10180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eed
weight
feed additive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현
황인준
김강민
고석영
Original Assignee
강진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군 filed Critical 강진군
Priority to KR102017001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효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할 경우 한우의 일당증체량을 증가시키고,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에 급이시킬 경우 한우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추면서,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게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장적용시 농장의 여건 및 개체별 특성에 다소 차이는 있을 수는 있으나 생산성과 육질개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ermented feed additives for Korean beef comprising balsam appl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에 발효균을 접종 및 발효시킨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사료를 이용하여 한우를 급이시킴으로써 한우의 일당증체량을 증대시켜 사료요구율을 개선하고, 한우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한우용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한우 사육규모는 2011년 12월 현재, 157천여 농가에서 약 2,819천두 정도 사육되고 있는데 최근 들어 매년 사육두수가 증가추세에 있으며, 한우 도축두수는 718천두로 이 중 거세우가 376천두 (52%)로 가장 많으며, 암소도 293천두 (41%)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APGS, 2011).
국내 축산업의 경우 자원의 부족으로 값비싼 사료비, 값비싼 인건비로 저비용의 고품질 축산물을 생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국제 곡물가의 상승으로 사료비의 급등을 대처하기 위해 사료의 이용가치를 높이고 국내 또는 지역내 부존자원을 활용한 연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가축에 이용되는 원료사료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전체 사료자급율은 약 17%수준이며, 최근 생산비를 절감하고 사료자급율 향상을 위해 농산부산물 (볏짚, 버섯폐배지, 녹차부산물 등), 식품가공부산물 (비지박, 맥주박 등) 및 야초류 (억새, 갈대 등) 등을 대체사료로 이용하고자 연구되고 있다.
현재, 한우농가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산비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사료비 절감방안과 더불어 고품질의 암소브랜드 생산방안은 지역 한우농가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며, 저능력 암소의 조기 비육출하로 농가 판매수익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성장으로 현대인들은 생활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 질병치료나 건강보호를 위하여 합성물질보다는 천연물질 이용을 더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육류소비 성향에 있어서도 다양해져 차별화된 안전축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우브랜드는 거세우중심의 브랜드에 집중되어 있고 소비자의 선택 범위의 확대 및 다양화로 소비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브랜드 개발 필요하다. 암소육은 예전부터 수소 (거세 포함) 보다 풍미에 있어 더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어 선호해 왔으며, 근섬유 조직이 가늘고 섬세하여 고기가 부드럽고 근섬유 사이에 지방침착이 잘 되어 질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Cho 등, 2009) 알려져 왔는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는 많지 않다.
가축에 영양소공급량은 혈중 대사물질과 성장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변화를 초래하여 (Hayden 등, 1993), 산육, 사료효율 및 경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데 (Andersen 등, 1984; Hermesmeyer 등, 2000), 암소는 수소 (거세우)와 달리 나이, 산차, 체중 등 출하 시 개체별 요인이 다양하며, 농가 현실상 비육기간이 10개월 이상 지속될 수 없어 거세우에 비해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기 힘들어 육질등급이 낮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한편, 여주 (Momordica charantia L.)는 박과의 덩굴식물에 속하는 1년생 식물로 열대·온대 기후 및 다양한 토질에서도 잘 자라며 예로부터 해열, 거담, 맹장염, 항당뇨, 항발암성과 항콜레스테롤 등의 항염증 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등, 2012).
여주의 어린 열매와 홍색 종피는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생김새가 독특하고 특유의 쓴맛이 있고 다양한 효능이 있어 과거에는 관상용으로 쓰였으나 최근에는 건강에 좋은 기능성 채소로 각광받고 있다(Moon과 Choi, 2014).
주요성분인 식물 인슐린 (P-insulin)과 카란틴 (charantin)성분은 혈당을 낮춰 주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및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식품으로 다른 박과식물보다 철분 함량과 비타민 C 함량이 높으며, 여주 속에 들어있는 비타민은 열을 가열하여도 비타민이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14).
여주 분말 100g에 대한 영양적 성분은 탄수화물 72%, 수분 7%, 조단백질 9.8%, 조지방 2.48%이며, 당류 5.59%, 수용성 식이섬유 9.53%, 불용성 식이섬유 35.40%, 비타민 C 134.15 mg, 나트륨 102 mg으로 알려져 있어 영양적 가치도 우수하다(Boo 등, 2009). 여주의 쓴맛을 내는 성분에는 식물성 스테롤 배당체들과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 갈락트론산, 시트룰린, 펙틴 등의 포함되어 있어, 이 성분들은 혈당강하 기능이 탁월하다 (Kim 등, 2013).
현재까지 여주를 이용한 가축용 사료 또는 사료첨가제는 연구가 진행된 바 없으며, 한우 암소에 있어 여주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발효사료 및 사료첨가제의 적용은 차별화 된 지역 한우 브랜드육 생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용작물인 여주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발효사료 첨가제를 개발하고 한우 비육, 사양시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에 발효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사료 첨가제를 한우에 급이시킴으로써 한우의 일당증체량을 증가시켜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킬 수 있고, 한우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우의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고, 한우육의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효사료 첨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발효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효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여주를 함유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는 미강 및 옥수수정박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은 사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주를 함유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 5 내지 15 중량%, 미강 40 내지 50 중량% 및 옥수수정박 4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효균을 접종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발효균이 접종된 사료를 25 내지 35℃에서 3 내지 6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발효된 사료를 20 내지 30℃에서 15 내지 25시간 동안 열풍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의 덩이식물로 bitter squash, bitter gourd, bitter melon, karela 및 goya로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아시아, 동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와 같은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며 당뇨의 민간요법 치료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oi 등 2012, Lee 등 2015). 여주는 glycosides, triterpenes, polyphenols, saponins, alkaloids, proteins, K, Ca, Mg, Fe, Zn 등의 미네랄과 vitamin C, β-carotene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성숙과는 비타민C, 비타민A와 철의 주요 공급원이다(Choi 등 2012, Ng 등 2014, Cho와 Joo, 2015). 여주 속의 비타민 C, 비타민 E 그리고 카로틴 등은 항산화 작용이 있고 인체 내에서 항암, 백내장 발생방지, 관상동맥 질환 예방 등의 기능성이 확인된 이후로 항산화, 항당뇨 효과 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Lee, 2011).
여주의 활성성분으로 catechin 등의 flavan-3-ol 유도체와 protocatechuic acid 등의 phenolic acids가 보고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암, 항괴사, 항고혈당, 항돌연변이, 항균작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능이 보고되었다 (Choi 등 2014, Lee 등, 2009). 여주의 활성성분으로 catechin 등의 flavan-3-ol 유도체와 protocatechuic acid 등의 phenolic acids가 보고되어 있으며, 항산화, 항암, 항괴사, 항고혈당, 항돌연변이, 항균작용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능이 보고되었다 (Choi 등 2014, Lee 등, 2009). Charantin은 여주에서 분리된 cucurbitane-type triterpenoid의 일종으로 가장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물질 중에 하나이며, Charantin이 당뇨치료에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물질이라 보고하였으며, 이물질은 하기 화학식 1의 sitosteryl glucoside와 하기 화학식 2의 stigmasteryl glucoside 두 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Lee, 2011).
Figure 112017012838464-pat00001
Figure 112017012838464-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여주발효 부산물은 생여주 1(중량비): 설탕 1(중량비)을 혼합하여 80 내지 100일간 혐기 발효시킨 후 엑기스를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사료를 발효시키는 발효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와 같은 유산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와 같은 바실러스 균;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및 사카로마이세스 불라디(Saccharomyces boulardii)와 같은 효모균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에서 각각 하나의 균주를 선별하여 혼합한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와 같은 유산균은 산을 생성하여 장내 pH를 저하시켜 유해 미생물을 억제하고 비타민 및 각종 아미노산 등의 물질을 생성하며, 장내 세균총을 우점하여 다른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능과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와 같은 효모균은 각종 영양소 분해 효소를 생산하며, 암모니아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알코올, 글루타민산 등에 의한 가축의 사료 기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Helle 등, 199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대표적인 효모균으로, 비병원성이고, 염, 이온, 열 등의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다당류나 단당류를 발효하여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할 수 있어 식품 발효에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발효사료 첨가제 제조 활용균주 조합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로 총 3종의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은 2:2: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효균은 균주 자체 또는 계대 배양용 배지에 각각의 균주를 접종하여 균수가 증식된 배양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계대 배양용 배지에 각각의 균주를 접종하여 균수가 증식된 배양액이다. 하나의 예로서, 유산균의 고체 및 액체 배양배지는 MRS배지 (Difco, Detroit, USA), Bacillus (바실러스균) 속은 NB배지 (Nutrient Broth, Difco), Saccharomyces (효모균)속은 YM broth 배지 (Difco)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배양조건은 Lactobacillus 속 및 Pediococcus 속은 35 내지 40℃에서 45 내지 50시간 정치배양한 것이고, Bacillus (바실러스균)속은 35 내지 40℃에서 45 내지 50시간 140 내지 160 rpm으로 진탕 배양한 것이고, Saccharomyces (효모균)속은 25 내지 35℃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정치 배양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은 사료 첨가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여주의 효능과 관련된 성분이 너무 낮아 이를 섭취할 경우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으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하의 양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성분의 함량 및 효과가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균은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 각각을 사료 첨가제의 총 부피에 대하여 106 내지 108 cfu/ml의 양으로 첨가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발효는 발효균을 접종하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혐기 및 호기적 조건에서 3 내지 6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발효온도가 25℃ 미만이거나 발효시간이 3일 미만인 경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효온도가 35℃를 초과하거나 발효시간이 6일을 초과하는 경우 그 이하의 조건에 비하여 발효효율의 증가가 미비하여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효된 사료 첨가제를 20 내지 30℃에서 15 내지 25 시간동안 열풍건조하여 여주를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을 발효균으로 발효시킨 발효사료 첨가제는 한우의 사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한우의 사육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수수, 밀, 보리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쇄물과 이들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옥수수정박, 미강, 쌀겨, 밀겨, 보릿겨 등과 같은 가공 부산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사료 원료로서 옥수수정박과 미강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옥수수정박과 미강을 1:1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사료는 상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 5 내지 15 중량%, 미강 40 내지 50 중량% 및 옥수수정박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주 분말 발효사료 첨가제는 일반 사료에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반 사료에 0.0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한 경우 등심단면적을 10~17% 정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첨가제와 여주발효 부산물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일당증체량이 여주를 함유하지 않은 사료를 급이시킨 암소보다 현저하게 증가되고, 사료요구율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첨가급여하지 않은 암소육 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을 약 7 mg/100g (10%)정도 낮게 개선될 수 있으며, 여주효소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 수준으로 첨가급여 할 경우, 여주를 함유하지 않은 사료를 급이시킨 암소육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을 약 9.4 mg/100g (14%)정도 낮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암소육 등심 내 지방산 함량에서 여주를 함유하지 않은 사료를 급이시킨 암소육보다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와 여주효소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를 급여사료 내 5%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경우,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게 개선시켜 주어 기능성을 보유할 수 브랜드육의 생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할 경우 한우의 일당증체량을 증가시키고,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에 급이시킬 경우 한우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추면서,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게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장적용시 농장의 여건 및 개체별 특성에 다소 차이는 있을 수는 있으나 생산성과 육질개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여주 및 건조 여주의 사진이다.
도 2는 건조 여주, 건조 여주 분말 및 여주발효 부산물의 사진이다.
도 3은 여주 분말을 함유하는 발효 사료 및 여주발효 부산물을 함유하는 발효사료의 발효 전후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여주 함유 발효사료 첨가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여주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한우 기능성 발효사료 첨가제 제조
본 발명의 여주성분에 대한 사료적 가치평가는 강진군 군동면 소재의 건조여주 판매업체에서 구입한 건조여주 분말을 분석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여주발효 부산물은 생여주 1(중량비): 설탕 1(중량비)을 혼합하여 3개월간 혐기 발효시킨 후 엑기스를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도 1은 여주 및 건조 여주의 사진이고, 도 2는 건조 여주, 건조 여주 분말 및 여주발효 부산물의 사진이다.
1) 일반성분 분석
일반성분은 AOAC (2010) 방법에 따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1) 수분 함량 분석
AOAC(2010)방법에 따라 시료 2.5 g을 도가니 (Crucible)에 넣은 다음 105 ± 2℃ 건조기(Forced Convection Oven, DAIHAN LabTech Co., Ltd.)에서 24시간 건조 후 Desiccator에서 30분간 방랭한 다음 중량을 측정하여 건조 전 시료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조단백질 함량 분석
시료 1 g을 칭량한 후에 H2SO4와 촉매제 (CuSO4 : K2SO4 = 9 : 1)를 분해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소화장치 (Buchi B-426 Digester, Switzerland)에서 4∼5단계로 30분, 10단계로 1시간 30분 동안 소화시킨 후에 식힌 다음, 자동 Kjeldahi 장치 (Buchi K-370,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총질소량을 측정하였고, 총질소량에 단백질환산계수 6.25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3) 조지방 함량 분석
시료 2.5 g을 2시간 건조시켜 Desiccator에서 30분간 방냉 후 중량을 칭량하였고, 지방추출장치 (SoxtecTM 2050, Denmark)에 Ether를 첨가하여 4단계 (1단계 (Boiling) : 30분, 2단계 (Running) : 10분, 3단계 (Solvent Recovery) : 30분, 4단계 (Dring) : 10분)를 거쳐 추출하였다. 105 ± 2℃에서 24시간 건조기(Forced Convection Oven, DAIHAN LabTech Co., Ltd.)를 이용하여 건조 후 무게를 칭량하여 구하였다.
(4) 조섬유 함량 분석
시료 2.5 g을 조섬유 도가니 (Crucible) 칭량한 후, 조섬유 추출기 (FibertecTM 1020, Sweden)에 장치한 다음, 1.25% H2SO4 시약을 넣고 30분간 끓여주고 H2SO4 배출 후 증류수를 넣어 1∼2회 세척한다. 1.25% NaOH 시약를 넣고 30분간 끓여주고 H2SO4 배출 후 증류수를 넣어 1∼2회 세척한다. 세척이 끝난 도가니를 CFU (Cooling Extraction Unit)에 장착 후 아세톤을 약 3ml씩 2∼3회 씻어낸 후, 105 ± 2℃ 건조기(Forced Convection Oven, Daihan LabTech Co., Ltd.)에서 24시간 건조 시킨 후, 550℃ 회화로 (Carbolite EML, England)에서 약 6시간 회화하였다. 조섬유 함량은 추출 전 및 추출 후의 무게 및 회분의 무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5) 조회분 함량 분석
도가니 (Crucible)를 105 ± 2℃ 건조기(Forced Convection Oven, Daihan LabTech Co., Ltd.)에서 3시간 건조 후에 Desiccator에서 30분간 방냉하고 중량을 측정하고, 도가니에 시료 2.5 g를 칭량한 후, 550℃ 회화로 (Carbolite EML, England)에서 6시간 회화하여 Desiccator에서 30분간 냉각한 후 시료무게를 잰 후 구하였다.
(6) 가소화 영양소 총량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분석
사료 영양가의 일반적 표시방법으로 가소화 영양소 총량은 각 영양소의 소화율에 기초를 두고 계산하는 것으로서 사료의 각 함유 성분에 고유의 소화율을 곱한 것을 가소화 영양소 (Digestible Nutrients)라고 한다. 가소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을 합계한 총량을 가소화 영양소 총량이라고 하며, 이 경우 다른 영양소에 비하여 지방이 약 2.25배의 열량을 가졌기 때문에 지방은 2.25배를 곱하여 구하였다.
(7) 가용무질소물 (NFE)함량 분석
100 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 함량을 감하여 구하였다.
(8) NDF 및 ADF 분석
NDF 및 ADF 분석은 Van soest 방법(Van Soest와 Wine, 1967)을 기초로 한 ANKOM 220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 USA)를 사용하였고, buffer 조성은 AnkomTechnology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7012838464-pat00003
W1 = Bag tare wt.
W2 = Sample wt.
W3 = Final bag wt.
(9) pH 분석
시료 3 g과 증류수 27 mL를 넣어 10배 희석하여, pH-Meter (Sartorius Docu-pH+ Meter,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 미생물분석
시료 1 g과 0.85% (w/v) NaCl 희석액 9 mL에 넣은 후 Vortex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균질화한 다음 9 mL 희석액으로 1010까지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들은 5개의 선별 배지에 50 μL씩 분주하여 도말 후 배양하였다. 시료 내의 유산균 분석을 위해 Lactobacilli MRS agar (Difco)를, 바실러스 분석을 위해 MYP Agar (Difco)를, 효모 분석을 위해 Potato Dextrose Agar (Difco)를 사용하였다. 각 선택 배지는 저온배양기 (Low Temp. Incubator, HANBAEKCo., Ltd.)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였다.
(11) 실험 균주
여주발효 첨가제의 제조에 활용할 유용미생물의 선발을 위해 (주)엔바이오텍에서 보유한 45종의 균주 중 유산균 2종, 바실러스균 2종, 효모균 2종으로 총 6종의 균주를 공시균주로 선정하였다. 공시균주는 동물의 장에서 분리된 것, 성장하는 동안 항생물질이나 미생물의 생육 저지물질을 내는 것 및 강력한 소화물질을 내는 것 등의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개발에 사용한 균의 종류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 분 미생물 명 배지명 배양방법 배양시간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MRS Anaerobes culture 48
바실러스균 Bacillus subtilis
Bacillus licheniformis
NB Aerobic culture 48
효모균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oulardii
YM Anaerobes culture 24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유산균의 고체 및 액체 배양배지는 MRS배지 (Difco, Detroit, USA), Bacillus (바실러스균) 속은 NB배지 (Nutrient Broth, Difco), Saccharomyces (효모균)속은 YM broth 배지 (Difco)를 사용하였고 이들의 배양조건은 Lactobacillus 속 및 Pediococcus 속은 37℃에서 48시간 정치배양 하였으며, Bacillus (바실러스균)속은 37℃에서 48시간동안 150 rpm으로 진탕 배양하였고, Saccharomyces (효모균)속은 30℃에서 24시간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12) 여주발효 첨가제 제조를 위한 부형재의 최적배합조건 결정
여주발효 첨가제 제조를 위한 부형재는 미생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재료를 활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미강과 옥수수주정박을 이용하여 여주와 부형재의 적정 배합에 의한 균주의 증식성을 조사하였다.
2) 여주의 영양소 분석결과
상기 분석 방법에 따라 여주 분말 및 여주발효 부산물에 대한 영양소를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수분 pH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NDF ADF NFE TDN
여주
분말
원물 5.96 5.18 15.07 3.37 21.60 7.80 71.14 51.80 46.21 65.14
건물 0.00 - 16.03 3.58 22.97 8.29 75.65 55.08 49.14 69.27
여주
효소
부산물
원물 41.79 4.18 1.05 0.20 0.92 0.35 14.64 13.21 55.79 46.24
건물 0.00 - 1.80 0.34 1.58 0.60 25.15 22.69 95.84 79.44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여주분말(원물)의 경우, 조단백질 15.07%, 조지방 3.37%, 조섬유 21.6%로 분석되었으며, 여주발효 효소(원물)의 경우, 조단백질 1.05%, 조지방 0.20%, 조섬유 0.92%로 분석되어 여주분말의 사료영양적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주발효 부산물의 경우, 가용무질소물 (NFE)이 55.79%로 나타나 여주분말과 비교해서 9.58% 정도 높은 수준으로 이는 여주분말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탄수화물 함량이 높을수록 반추동물의 사료 이용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해보면, 여주분말과 함께 여주발효 부산물의 활용성도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3) 유용미생물 및 부형재 배합비율에 의한 발효능력 평가
본 발명의 유용균주 및 부형재 배합비율에 의한 발효능력 평가는 1차 선정된 6개 균주와 미생물 제조업체에서 많이 사용되어지는 미강과 옥수수주정박을 이용하여 표 4와 같이 실시하였다. 각 실험처리구의 접종균주의 조합은 유산균 1종, 바실러스균 1종, 효모균 1종으로 하여 2개 균주조합으로 구분하였으며, 부형재는 미강과 옥수수주정박을 30:70, 50:50 및 단일 부형재(100%)로 구분하였다.
구 분 부형재 배합비 접종균주(107 cfu/㎖)
처리구 1-1 미강 30% + 옥수수주정박 7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구 1-2 미강 30% + 옥수수주정박 7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처리구 2-1 미강 50% + 옥수수주정박 5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구 2-2 미강 50% + 옥수수주정박 5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처리구 3-1 미강 70% + 옥수수주정박 3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구 3-2 미강 70% + 옥수수주정박 3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처리구 4-1 미강 10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구 4-2 미강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처리구 5-1 옥수수주정박 100%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처리구 5-2 옥수수주정박 100% Pediococcus acidilactici
Bacillus licheniformis
Saccharomyces boulardii
각 실험처리구별로 정해진 배합비로 혼합한 다음 선정된 각각의 균주를 107 cfu/㎖ 수준으로 균체 및 배양액과 함께 혼합된 표면에 골고루 분사 접종하고 한 후, 25∼30℃ 조건에서, 혐기 및 호기적으로 5일간 발효과정을 진행시킨 후, 각 처리구별 복합균주의 증식성을 분석하였다. 각 처리구별 균주의 밀도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미생물 명 발효물 내 미생물 수
처리구 1-1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 3.2 × 107 cfu/g
Bacillus subtilis 4.8 × 106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2.1 × 106 cfu/g
처리구 1-2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 1.2 × 107 cfu/g
Bacillus licheniformis 8.2 × 105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4.0 × 105 cfu/g
처리구 2-1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 2.6 × 108 cfu/g
Bacillus subtilis 1.8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6.2 × 108 cfu/g
처리구 2-2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 3.8 × 107 cfu/g
Bacillus licheniformis 2.7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3.2 × 108 cfu/g
처리구 3-1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 1.8 × 108 cfu/g
Bacillus subtilis 6.6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4.5 × 108 cfu/g
처리구 3-2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 5.2 × 108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4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3.2 × 108 cfu/g
처리구 4-1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 1.2 × 107 cfu/g
Bacillus subtilis 6.3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2.4 × 106 cfu/g
처리구 4-2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 3.5 × 106 cfu/g
Bacillus licheniformis 2.3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5.6 × 106 cfu/g
처리구 5-1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 2.7 × 107 cfu/g
Bacillus subtilis 5.0 × 107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2.1 × 107 cfu/g
처리구 5-2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 2.5 × 107 cfu/g
Bacillus licheniformis 3.2 × 107 cfu/g
Saccharomyces boulardii 4.4 × 107 cfu/g
유용균주 및 부형재 최적 배합비율 선발시험 결과, 처리구 2-1, 처리구 3-1 및 처리구 3-2의 배합비율 및 균주조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균주조합 1 (Lactobacillus plantarum+Bacillus subtilis+Saccharomyces cerevisiae)은 균주조합 2 (Pediococcus acidilactici+Bacillus licheniformis+Saccharomyces boulardii)와 비교해서 각각의 균주 증식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실험 처리구별 증식성 분석 결과, 부형재 배합비율은 미강 50%, 옥수수주정박 50% 및 유용균주의 조합은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균),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균)의 조합을 최적 배합조건으로 평가하였다.
4) 여주발효 사료첨가제의 시제품 제조
본 연구의 여주발효 사료첨가제의 시제품 제조는 개발 시제품의 상용화시 경제성을 고려하여 여주 성분을 10%정도 한정하고 선행시험에서 결정된 유용균주 및 부형재의 최적 배합비를 적용하여 제조하였다. 시제품 제조의 구성비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원료 배합비 접종균주(107 cfu/㎖)
시제품 1 건조여주분말 10%
미강 45%
옥수수주정박 45%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시제품 2 여주발효 부산물 10%
미강 45%
옥수수주정박 45%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2종의 시제품 제조를 위해 표 7의 원료 배합에 따라 전체적으로 골고루 혼합한 다음 발효 전, 후의 성분분석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시제품의 원료 배합에 따라 골고루 혼합한 후, 선정된 각각의 균주를 107 cfu/㎖ 수준으로 균체 및 배양액과 함께 혼합된 표면에 골고루 분사 접종하고 한 후, 25∼30℃ 조건에서, 혐기 및 호기적 (매일 일정한 시간에 30분간씩 교반하여 공기와 접촉하도록 하였음)으로 5일간 발효과정을 진행시킨 후, 25℃로 설정된 열풍 건조기에서 20시간 이상 건조과정을 거쳐 시제품을 제조하였다. 시제품의 성분함량은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수분 pH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NDF ADF NFE TDN
시제품
1
발효전 8.42 5.48 17.75 5.71 39.47 10.84 68.39 36.68 21.36 60.41
발효후 20.23 5.39 16.24 5.71 8.52 10.04 56.75 34.84 40.36 59.01
시제품
2
발효전 17.15 5.50 14.52 3.32 37.40 8.61 51.79 25.79 19.00 50.77
발효 후 20.37 5.44 14.77 5.82 7.11 8.81 49.94 23.55 43.48 59.89
시제품 1의 경우, 발효 전의 조단백질 17.75%, 조지방 5.71%, 조섬유 39.47%로 분석되었으며, 발효 후, 조단백질 16.24%, 조지방 5.71%, 조섬유 8.52%로 분석되어 조지방을 제외하고는 조단백질과 조섬유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섬유의 경우 전체 함량중 약 21%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용무질소물 (NFE)의 경우 발효 전, 21.36%에서 발효 후, 40.36%로 약 19%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동물의 사료영양소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제품 2의 경우, 발효 전 조단백질 14.51%에서 발효 후, 14.77%, 조지방은 발효 전 3.32%에서 발효 후, 5.82%로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시제품 1과는 다른 발효형태를 보였다. 시제품 2의 조섬유의 경우 37.40%에서 발효 후, 7.11%로 전체 조섬유량에서 19%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가용무질소물 (NFE)의 경우 발효 전, 19%에서 발효 후, 43.48%로 약 24%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제품 1과 2의 발효 전 후의 NDF, ADF 함량도 상당량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섬유소의 감소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반추동물의 소화율을 감소시키는 난분해성 물질(NDF, ADF)을 접종균주에 의한 발효를 통하여 분해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인 결과로 판단해보면, 시제품 1과 2는 반추동물에 적용하였을때 소화율 향상과 사료효율 개선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5) 여주발효 사료첨가제의 시제품의 미생물 함량 평가
본 발명의 여주발효 사료첨가제 시제품 1, 2의 미생물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각 시제품별로 시료 1 g을 채취하여 0.85% (w/v) NaCl 희석액 9 mL에 넣은 후 Vortex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균질화한 다음 9 mL 희석액으로 1010까지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들은 5개의 선별 배지에 50 μL씩 분주하여 도말 후 배양하였다. 시료 내의 유산균 분석을 위해 Lactobacilli MRS agar (Difco)를, 바실러스 분석을 위해 MYP Agar (Difco)를, 효모 분석을 위해 Potato Dextrose Agar (Difco)를 사용하였다. 각 선택 배지는 저온배양기 (Low Temp. Incubator, HANBAEKCo., Ltd.)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였다. 각 시제품의 미생물 함량 분석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미생물첨가제의 함유 미생물보다 많은 량의 균수가 확인되었다.
구 분 미생물 명 발효물 내 미생물 수
시제품 1
(여주분말 10%)
Lactobacillus plantarum 5.00 × 108 cfu/g
Bacillus subtilis 1.43 × 1010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52 × 1010 cfu/g
시제품 2
(여주발효 부산물 10%)
Lactobacillus plantarum 5.31 × 1010 cfu/g
Bacillus subtilis 7.07 × 1010 cfu/g
Saccharomyces cerevisiae 1.24 × 1011 cfu/g
여주발효 사료첨가제의 시제품의 미생물 함량분석 결과, 시제품 1과 2에서 108 cfu/g~1011 cfu/g수준으로 높게 분석되어 미생물첨가제로서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여주와 유용미생물 발효사료첨가제의 한우 사양시험을 통한 생산성 분석 평가
1)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사양시험은 평균나이 6.8 ± 1.5세의 한우 경산 암소 12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으며, 처리구별 공시동물의 평균체중은 배합사료 급여구 (대조구)는 475.4 ± 23.2 kg과 배합사료에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첨가 급여구 (처리구 1)는 484.6 ± 24.2 kg 및 배합사료에 여주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첨가 급여구 (처리구 2)는 472.9 ± 27.2 kg이였다. 본 사양시험을 위한 시험구 배치는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구, 배합사료에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급여한 처리구 1 및 배합사료에 여주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급여한 처리구 2로 총 3처리, 처리당 4반복으로 임의 배치하여 강진군 군동면 소재의 한우농장에서 6개월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2)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본 사양시험에 이용한 사료는 시판되는 비육후기 배합사료와 볏짚을 이용하였고 배합사료의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사료시료 2 kg을 수집하여 AOAC (2010)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사료의 일반성분은 표 11에 나타내었다. 조단백질 함량 14%, 조지방 함량 4.8%, 조섬유 함량 5.6%, 조회분 함량 9.8% 및 NDF 28.2%와 ADF 11.2%로 분석되었다.
시험동물은 콘크리트 재질 바닥의 톱밥 (왕겨)우사에서 각 처리구별로 4두씩 군사사육하면서 사료급여는 사료자동라인으로 (처리구1, 2는 자동라인 분리시켜 급여)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사료 (볏짚)는 자유채식토록 하였고 물과 미네랄은 항시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항목 (Item) 배합사료 (Concentrate)
수 분 (Moisture, % dry matter) 12.07±0.201)
조단백질 (Crude Protein, % dry matter) 14.02±0.24
조지방 (Ether extract, % dry matter) 4.82±0.06
조섬유 (Crude Fiber, % dry matter) 5.64±0.45
조회분 (Crude Ash, % dry matter) 9.84±0.04
NDF (Neutral detergent fiber) 28.20±0.32
ADF (Acid detergent fiber) 11.25±0.20
3) 사양시험용 여주성분 발효사료첨가제 시제품 제조
본 사양시험에 사용할 여주성분 발효사료첨가제는 선행연구 단계인 "여주와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한우 기능성 발효사료첨가제 시제품 개발"결과를 토대로 제조되었다.
먼저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는 발효원료의 최적조건으로 평가하였던 건조 여주분말 10%(중량 10 kg)와 미강 45%(중량 45 kg) 및 옥수수주정박 45%(중량 45 kg)의 배합조건으로 혼합하고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및 효모균 (Saccharomyces cerevisiae)을 각각 107 cfu/㎖수준의 밀도로 실험실에서 배양한 후, 상기 원료가 잘 혼합된 배합원료에 각각 20%씩 (20 L) 골고루 분사, 접종하였다. 이후 깨끗한 물을 분사하여 배합원료 내 전체수분이 40%정도 되도록 일정량 가수하였다. 가수시 발효에너지 조정을 유도하는 글루코스(포도당)를 1%(1 kg)정도 첨가하였다. 30℃ 온도에서 4일간 발효과정 (매일 1회, 30분간 교반을 통하여 공기와 접촉하도록 하였음)을 진행시킨 후, 25℃로 설정된 열풍 건조기에서 20시간 이상 건조 후 수분 12%정도의 시제품 100 kg을 제조하였다.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는 여주효소를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 10%(중량 10 kg)와 미강 45%(중량 45 kg) 및 옥수수주정박 45%(중량 45 kg)의 조건으로 상기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100 kg 을 제조하였다.
표 12는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와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성분함량을 분석한 것이다.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와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에 함유된 미생물 밀도는 각각 108 cfu/g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의 조단백질 함량은 16.24%, 조지방 함량 5.71%, 조섬유 함량 8.52% 및 NDF 함량 56.75%와 ADF 함량 34.84%로 분석되었다.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조단백질 함량은 14.77%, 조지방 함량 5.82%, 조섬유 함량 7.11% 및 NDF 함량 49.94%와 ADF 함량 23.55%로 분석되었다.
항목 (Item)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미생물 밀도 (Number of microflora, cfu/g)
Lactobacillus plantarum 4.6X108 5.8X108
Bacillus subtilis 5.1X108 1.0X108
Saccharomyces cerevisiae 2.8X108 2.7X108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 dry matter)
조단백질 (Crude Protein) 16.24 14.77
조지방 (Ether extract) 5.71 5.82
조섬유 (Crude Fiber) 8.52 7.11
조회분 (Crude Ash) 10.04 8.81
NDF (Neutral detergent fiber) 56.75 49.94
ADF (Acid detergent fiber) 34.84 23.55
4) 조사항목
(1) 일반성분 분석
시험사료와 발효사료첨가제의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 분석은 AOAC (2010) 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2) NDF 및 ADF 분석
시험사료와 발효사료첨가제의 NDF 및 ADF 분석은 Van soest 방법(Van Soest와 Wine, 1967)을 기초로 한 ANKOM 220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 USA)를 사용하였고, buffer 조성은 AnkomTechnology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12838464-pat00004
W1 = Bag tare wt.
W2 = Sample wt.
W3 = Final bag wt.
(3) 미생물 밀도 분석
발효사료첨가제의 미생물분석을 위해 시료 1 g과 0.85% (w/v) NaCl 희석액 9 mL에 넣은 후 Vortex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균질화 한 다음 9 mL 희석액으로 1010까지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들은 5개의 선별 배지에 50 μL씩 분주하여 도말 후 배양하였다. 시료 내의 유산균 분석을 위해 Lactobacilli MRS agar (Difco)를, 바실러스 분석을 위해 MYP Agar (Difco)를, 효모 분석을 위해 Potato Dextrose Agar (Difco)를 사용하였다. 각 선택 배지는 미생물배양기 (Low Temp. Incubator, HANBAEKCo., Ltd.)를 이용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였다.
(4) 시험동물 체중측정 및 사료섭취량 (배합사료) 조사
체중측정은 시험 개시전과 시험 종료전에 각 처리구별로 시험동물을 우형기 (CAS Korea, Newton HT-501A)로 2회 측정하였고 사료섭취량은 시험개시부터 시험종료까지의 사료급여 총량에서 시험종료시 체중측정 전 잔량은 제외하고 산정하였다.
(5)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조사
증체량은 개시체중에서 종료시 체중의 차로 구하였고 각 처리별 평균값을 시험일수로 나누어 일당증체량을 구하였다. 사료요구율은 총 사료섭취량을 총 증체량으로 나누어서 구하였다.
(6) 도체 성적 조사
도체조사는 사양시험이 종료된 공시동물을 출하하여 도축한 후, 0℃에서 18~24시간 동안 도체를 현수시킨 후, 육량판정요인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과 육질판정요인 (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을 소도체 등급판정기준에 의거하여 축산물등급판정사가 평가하였다.
(7) 통계처리
본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Statical Package Program (SAS, Institute, 2003)에 의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며, 처리 평균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검정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5) 생산성 평가
본 사양시험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의한 처리구별 체중,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항 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개시체중
(Initial body weight, kg)
475.4±23.2 484.6±24.2 472.9±27.2
종료체중
(Final body weight, kg)
592.8±17.2b 621.1±20.4a 601.3±15.2b
일당증체량
(Average daily gain, kg/d)
0.65±0.04c 0.75±0.06a 0.71±0.04b
사료섭취량 (Feed intake, kg) 7.87±23.2 7.95±24.2 8.42±27.2
사료요구율 (Feed/Gain)
(Feed conversion ratio)
12.1±0.52b 10.6±0.37a 11.8±0.55b
Means±standard error of mean.
a,b,c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각 처리구별 개시체중은 475.4, 484.6 및 472.9 kg이었다. 종료시 체중은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484.6 kg으로 대조구 592.8 kg,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601.3 k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일당증체량은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0.75 kg/일로 대조구 0.65 kg/일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각 처리구별 평균 사료섭취량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8.42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7.87 kg과 비교해서 처리구 1, 2에서 사료섭취량이 높았지만 처리구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각 처리구별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10.6과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11.8로 나타나 대조구 12.1 보다 낮게 나타나 처리구간의 유의성이 있었다 (p<0.05).
6) 도체의 특성 평가
한우 암소 비육우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도체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처리구별 4두씩 공시한 시험축의 평균 도체성적은 표 11와 표 12와 같다.
육량평가 항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도체중
(Carcass weight, kg)
377.70 397.75 363.25
등지방 두께
(Back fat thickness, mm)
17.2 17.0 14.0
등심면적
(Rib eye area, cm2)
78.7 92.2 87.0
육량지수 (Yield index) 62.09 63.66 65.25
육량등급
(Yield grade (A:B:C, %)
0:75:25 25:25:50 50:25:25
각 처리구별 육량특성에 있어서, 도체중은 대조구 377.7 kg,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397.75 kg, 및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363.25 kg으로 나타나 도체중은 처리구 1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등지방두께는 대조구와 처리구 1에서 17 mm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14 mm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등심단면적에는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이 92.2 cm2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가 87 cm2, 대조구가 78.7 cm2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육량지수는 처리구 2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이 65.2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처리구 1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가 63.66 및 대조구가 62.09 순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육량등급 출현율은 A등급 출현율이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가 처리구가 50%로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의 25% 보다 높았고 대조구에서는 A등급 출현율은 없었다. B등급 출현율은 대조구에서 75%로 높았고 C등급 출현율은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50%로 높았다.
또한, 한우 암소 비육우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도체의 육질에 대한 평가는 표 15와 같다.
육질평가 항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근내지방 (Marbling score) 4.25 6.0 4.25
육색 (Meat color) 5.25 5.0 5.0
지방색 (Fat color) 3.0 3.25 3.0
조직감 (Texture) 1.5 1.0 1.25
성숙도 (Maturity) 6.0 5.75 6.25
육질등급 (Quality grade)
(1++:1+:1:2, %)
0:25:50:25 0:75:25:0 0:25:50:25
각 처리구별 육질특성에 있어서 육색, 지방색 및 조직감은 대조구, 처리구 1, 처리구 2순으로 각각 육색 5.25, 5,0, 5.0과 지방색 및 3.0, 3.25, 3.0 및 조직감 1.5, 1.0, 1.25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성숙도에서는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6.25로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5.75로 낮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이 6.0로 대조구와 처리구 2의 4.25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 출현율은 각 처리구별 1++ 출현율은 없었으며, 1+ 출현율은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가 75%로 가장 높았고 1등급 출현율 대조구와 처리구 2에서 50%로 같게 나타났다. 2등급 출현율은 대조구와 처리구 2가 각각 25%를 보였으며, 처리구 1에서는 2등급 출현율이 없었다.
<실시예 3> 여주와과 유용미생물 발효사료첨가제의 한우 도체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1) 선행 사양시험의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본 발명은 선행 연구단계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첨가제의 생산성 효과 검증을 위한 사양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로 시험축 2두씩 도축한 다음 각 시험축의 도체에서 등심부위만 적출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행 사양시험의 공시동물 및 시험설계를 간략히 요약하면, 시험축의 평균나이 6.8 ± 1.5세이며, 평균체중은 배합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구는 475.4 ± 23.2 kg, 배합사료에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급여한 처리구 1은 484.6 ± 24.2 kg 및 배합사료에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급여한 처리구 2는 472.9 ± 27.2 kg으로 3처리구, 처리당 4두로 총 12두를 공시하여 6개월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2) 선행 사양시험의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선행 사양시험에 이용한 사료는 시판되는 비육후기 배합사료와 볏짚을 이용하였고 배합사료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함량 14%, 조지방 함량 4.8%, 조섬유 함량 5.6%, 조회분 함량 9.8% 및 NDF 28.2%와 ADF 11.2%이였다. 사양시험 기간동안 사료와 물 및 미네랄은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선행 사양시험용 여주성분 함유 발효사료첨가제 제조 및 성분함량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는 건조 여주분말 10%(중량 10 kg)와 미강 45%(중량 45 kg) 및 옥수수주정박 45%(중량 45 kg)의 배합조건으로 혼합하고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및 효모균 (Saccharomyces cerevisiae)을 각각 107 cfu/㎖수준의 밀도로 실험실에서 배양한 후, 상기 원료가 잘 혼합된 배합원료에 각각 20%씩 (20 L) 골고루 분사, 접종하였다. 이후 깨끗한 물을 분사하여 배합원료 내 전체수분이 40%정도 되도록 일정량 가수하였다.
가수시 발효에너지 조정을 유도하는 글루코스 (포도당)을 1%(1 kg)정도 첨가하였다. 30℃ 온도에서 4일간 발효과정 (매일 1회, 30분간 교반을 통하여 공기와 접촉하도록 하였음)을 진행시킨 후, 25℃로 설정된 열풍 건조기에서 20시간 이상 건조 후 수분 12%정도의 시제품 100 kg을 제조하였다.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는 여주발효부산물 (생여주 1(중량비): 설탕 1(중량비)을 혼합하여 3개월간 혐기 발효시킨 후 효소를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 10%(중량 10 kg)와 미강 45%(중량 45 kg) 및 옥수수주정박 45%(중량 45 kg)의 조건으로 상기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제조방법과 동일한 과정으로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100 kg 을 제조하였다.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와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에 함유된 미생물 밀도는 각각 108 cfu/g 수준이었으며,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의 조단백질 함량은 16.24%, 조지방 함량 5.71%, 조섬유 함량 8.52% 및 NDF 함량 56.75%와 ADF 함량 34.84%이며,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조단백질 함량은 14.77%, 조지방 함량 5.82%, 조섬유 함량 7.11% 및 NDF 함량 49.94%와 ADF 함량 23.55%이였다.
4) 조사항목
(1) 도체 일반성분 분석
도체의 일반성분은 사양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로 2두씩 (총 6두) 출하하여 도축된 도체로부터 12번 늑골과 13번째 늑골사이의 등심부위를 각 2 kg씩 분석시료를 채취하여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을 AOAC (2000)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한우 암소 비육우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도체의 이화학적 성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양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 2두씩 도축한 다음 각각 등심부위를 적출하여 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각 처리구별 도체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표 13과 같다.
항 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수분(Moisture,%) 63.06 63.86 59.60
조단백질(Crude protein,%) 21.01 21.30 18.83
조지방(Ether extract,%) 15.21 14.09 21.10
조회분(Crude ash,%) 0.96 0.90 0.89
pH 5.26 5.35 5.39
각 처리구별 수분 함량은 대조구 63.06%,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63.86% 및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59.60%로 나타나 수분은 처리구 2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21.01%와 비교해서 처리구 1은 21.3%로 약간 높았으며, 처리구 2는 18.83%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조지방 함량의 경우 대조구 15.21%와 비교해서 처리구 1은 14.09%로 약 1.1% 낮게 분석되었으며, 처리구 2에서는 21.1%로 나타나 약 5.8%정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처리구별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 0.96%, 처리구 1에서 0.90% 및 처리구 2에서 0.89%로 각 처리구별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pH의 경우도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2) 도체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
도체의 Cholesterol 함량 분석은 King 등(1998)의 방법에 따라 시료 1 g에 표준물질 (5α-cholestane)을 첨가한 후 50% KOH (aq) 5 mL와 22 mL의 ethanol을 넣고 23℃에서 6시간 동안 검화시켜 반복 추출하고 이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GC, DS 6200, Donam Co., Korea)에 의하여 표 14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Classification Condition
Column HP-5 (J&W, 30 m X 0.32 mm , 0.25um film thickness)
Detector FID
Carrier gas Nitrogen (1.0 ml/min)
Make up gas H2 (30 /min)
Temp. program 250℃(2 min) - 15/min -> 290℃ - 10/min -> 310℃
Detector temp. 280℃
Injector temp. 280℃
Split ratio 1:50
Injection volume 1
한우 암소 비육우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도체의 이화학적 성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양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 2두씩 도축한 다음 각각 등심부위를 적출하여 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각 처리구별 도체의 콜레스테롤 함량분석 결과는 표 15와 같다.
항 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콜레스테롤
(Cholesterol, mg/100g)
70.93 63.88 61.52
각 처리구별 도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 70.93 mg/100g과 비교해서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은 63.88 mg/100g로 약 7 mg/100g (10%)정도 낮게 분석되었으며,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의 경우 61.52 mg/100g로 대조구보다 약 9.4 mg/100g (14%)정도 낮게 나타났다.
(3) 도체 지방산 함량 분석
도체의 Fatty acid methyl esters 분리를 위해 시료 1 g에 0.7 ml of 10N KOH in water와 6.3 ml의 methanol을 섞어서 물의 온도가 55℃인 항온수조에 넣은 후 가열시켰다.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면서 30분에 한 번씩 강하게 흔들어 섞어준 다음, 미리 준비된 찬물에 1∼2분간 냉각 후 0.58 ml of 24N H2SO4 in water을 넣은 후 다시 55℃의 항온수조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면서 또다시 30분마다 한 번씩 강하게 흔들어 주었다. 가열이 끝나면 준비된 찬물에 냉각 후 hexane을 3 ml을 첨가하여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 (HANIL, Combi-514R, KOR) 하였다. Pasteur pipette을 이용하여 vial에 담은 후,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Agilent, 7890 series, USA)를 사용하여 지방산분석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Injector는 split ratio를 25:1로 한 split mode로서 온도를 250℃로 하였고, detector는 flame ionization detector (FID)로서 온도는 250℃로 하였다. Carrier gas로는 고순도 Air, 고순도 H2, 고순도 He을 사용하였으며, flow rate는 H2는 40 mL/min, air는 400 mL/min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한 column은 DB-WAX (30 mX0.25 um X0.25 mm)을 사용하였다.
한우 암소 비육우의 여주분말 및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의 첨가급여에 따른 도체의 이화학적 성분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양시험 종료 후, 각 처리구별 2두씩 도축한 다음 각각 등심부위를 적출하여 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각 처리구별 도체의 지방산 함량분석 결과는 표 16과 같다.
항 목 대조구
(발효사료첨가제 0%)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포화지방산
카프린산 (g/100g)
(Capric acid, C10:0)
0.04 0.04 0.05
라우르산 (g/100g)
(Lauric acid, C12:0)
0.08 0.10 0.12
미리스트산 (g/100g)
(Myristic acid, C14:0)
3.22 3.50 3.53
펜타데카노익산 (g/100g)
(Pentadecanoic acid, C15:0)
0.24 0.23 0.25
팔미트산 (g/100g)
(Palmitic acid, C16:0)
26.90 26.34 25.17
마르가르산 (g/100g)
(Magaric acid, C17:0)
0.53 0.41 0.47
스테아르산 (g/100g)
(Stearic acid, C18:0)
11.05 7.37 8.08
아라키드산 (g/100g)
(Arachidic acid, C20:0)
0.13 0.19 0.11
불포화지방산
미리스툴레산 (g/100g)
(Myristoleic acid, C14:1)
1.10 1.88 1.50
펜다디세노익산 (g/100g)
(Pentadecenoic acid, C15:1)
0.10 0.14 0.11
팔미토레익산 (g/100g)
(Palmitoleic acid, C16:1)
4.37 6.75 6.46
마가올릭산 (g/100g)
(Magaoleic acid, C17:1)
0.55 0.66 0.72
올레산 (g/100g)
(Oleic acid, C18:1)
47.22 47.19 48.51
리놀레산 (g/100g)
(Linoleic acid, C18:2n6)
1.84 1.93 1.82
리놀렌산 (g/100g)
(Linolenic acid, C18:3n3)
0.32 0.29 0.29
스테아리돈산 (g/100g)
(Stearodonic acid, C18:4n3)
0.08 0.04 0.06
에이코세노산 (g/100g)
(Eicosenoic acid, C20:1n9)
0.28 0.32 0.47
포화지방산 비율(%) 43.03 39.21 38.62
불포화지방산 비율 (%) 56.97 60.79 61.38
각 처리구별 도체의 포화지방산 중 팔미트산의 함량은 대조구 26.90 g/100g, 처리구 1 (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26.34 g/100g 및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 25.17 g/100g으로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와 비교해서 처리구 1, 2는 낮게 나타났다.
스테아르산의 함량도 팔미트산의 함량과 마찬가지로 대조구 (11.05 g/100g) 비교해서 처리구 1(7.37 g/100g) 및 처리구 2 (8.08 g/100g)는 낮게 나타났다.
각 처리구별 도체의 불포화지방산 중 팔미토레익산의 함량은 대조구 4.37 g/100g, 처리구 1이 6.75 g/100g 및 처리구 2에서 6.46 g/100g으로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와 비교해서 처리구 1이 가장 높았고 처리구 2도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올레산의 경우, 대조구 47.22 g/100g, 처리구 1이 47.19 g/100g 및 처리구 2에서 48.51 g/100g으로 분석되었으며, 대조구와 비교해서 처리구 1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처리구 2가 대조구와 처리구 1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처리구별 도체의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처리구 2에서 불포화지방산 61.38% : 포화지방산 38.62%로 분석되어 처리구 2 (여주발효부산물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처리구 1(여주분말 발효사료첨가제 0.5%첨가)에서 불포화지방산 60.79% : 포화지방산 39.21%로 높게 분석되었으며, 대조구는 불포화지방산 56.97% : 포화지방산 43.03%로 낮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주성분이 함유된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 암소 비육시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할 경우 한우의 일당증체량을 증가시키고,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사료 첨가제를 한우에 급이시킬 경우 한우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추면서,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게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장적용시 농장의 여건 및 개체별 특성에 다소 차이는 있을 수는 있으나 생산성과 육질개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2:2: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발효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여주를 함유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주발효 부산물은 생여주와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내지 100일간 혐기 발효시킨 후 엑기스를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은 사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미강 및 옥수수정박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 5 내지 15 중량%, 미강 40 내지 50 중량% 및 옥수수정박 4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8.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주를 함유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S1) 여주 분말 또는 여주발효 부산물 5 내지 15 중량%, 미강 40 내지 50 중량% 및 옥수수정박 40 내지 5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유산균, 바실러스균 및 효모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발효균을 접종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발효균이 접종된 사료를 25 내지 35℃에서 3 내지 6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S4) 상기 단계 (S3)에서 발효된 사료를 20 내지 30℃에서 15 내지 25시간 동안 열풍건조하는 단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페디오코커스 아시딜락티시(Pediococcus acidilactici)이고; 상기 바실러스 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이고; 상기 효모균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불라디(Saccharomyces boulard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20170017015A 2017-02-07 2017-02-07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15A KR101801892B1 (ko) 2017-02-07 2017-02-07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15A KR101801892B1 (ko) 2017-02-07 2017-02-07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892B1 true KR101801892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015A KR101801892B1 (ko) 2017-02-07 2017-02-07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8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5049A (zh) * 2018-11-28 2020-06-05 国投生物科技投资有限公司 黄贮添加剂和秸秆黄贮的方法以及他们的应用
KR20210080784A (ko) * 2019-12-23 2021-07-01 농업회사법인 남해(주)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이의 제조방법 및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
KR20220106535A (ko) * 2021-01-22 2022-07-29 김상준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한우 사양방법
KR102446623B1 (ko) * 2022-05-12 2022-09-23 성주참외한우 영농조합법인 참외를 이용한 완전혼합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913B1 (ko) * 2012-06-12 2012-11-08 정영미 여주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개선 천연 바디케어 조성물
KR101515839B1 (ko) * 2014-06-24 2015-05-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주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150238573A1 (en) 2004-05-24 2015-08-27 Nutrinia Ltd. Nutritional food and feed, composition, processing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8573A1 (en) 2004-05-24 2015-08-27 Nutrinia Ltd. Nutritional food and feed, composition, processing and method of use
KR101198913B1 (ko) * 2012-06-12 2012-11-08 정영미 여주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개선 천연 바디케어 조성물
KR101515839B1 (ko) * 2014-06-24 2015-05-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주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5049A (zh) * 2018-11-28 2020-06-05 国投生物科技投资有限公司 黄贮添加剂和秸秆黄贮的方法以及他们的应用
KR20210080784A (ko) * 2019-12-23 2021-07-01 농업회사법인 남해(주)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이의 제조방법 및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
KR102421280B1 (ko) * 2019-12-23 2022-07-15 이금남 반추동물용 해바라기 조사료, 이의 제조방법 및 해바라기 조사료를 이용한 반추동물 사육방법
KR20220106535A (ko) * 2021-01-22 2022-07-29 김상준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한우 사양방법
KR102548441B1 (ko) 2021-01-22 2023-06-27 김상준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 첨가제를 이용한 한우 사양방법
KR102446623B1 (ko) * 2022-05-12 2022-09-23 성주참외한우 영농조합법인 참외를 이용한 완전혼합발효사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coni et al. Improving nutritional quality of cocoa pod (Theobroma cacao) through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s for ruminant feeding: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Liu et al.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fibrolytic enzyme on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total mixed rations silage including rape straw
KR101801892B1 (ko) 여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우용 발효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5611B1 (ko)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Zhang et al. Effect of selected fungi on the reduction of gossypol levels and nutritional value during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of cottonseed meal
AU2015208030A1 (en) Use of an enzymatic composition in the feed of ruminants
Galaviz-Rodriguez et al. Influence of Pleurotus ostreatus spent corn straw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eedlot Pelibuey lambs
Lounglawan et al. Silage production from cassava peel and cassava pulp as energy source in cattle diets
CN110178967A (zh) 用于提高猪肉品质的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Ijabadeniyi et al. The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ogi produced from three maize varieties
Güngör et al. Nutritional changes of sour cherry (Prunus cerasus) kernel subjected to Aspergillus niger solid-state fermentation
CN109007295A (zh) 一种辣木饲料添加剂、制备方法和用途
Olugosi et al. Nutritional enhancement of cocoa pod husk meal through fermentation using Rhizopus stolonifer
Halik et al. Effect of ensiling pumpkin Cucurbita maxima with the addition of inoculant or without it 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silages
KR101873514B1 (ko) L-카르니틴이 풍부한 발효산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산물
Yasar et al. Predicting chemical, enzymatic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fermented barley (Hordeum vulgare L.) by second derivate spectra analysis from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ourier transform infrared data and its nutritional value in Japanese quails
Aladi et al. Improve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ssava root pulp and palm kernel mixtures under solid state fungal fermentation
KR101894423B1 (ko) L 카르니틴 함유 발효 산물을 이용한 l 카르니틴 함유 버섯의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재배된 l 카르니틴 함유 기능성 버섯
KR20100078838A (ko) 홍주 주정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돼지 사육 방법
Rakhmani et al. Improvement of nutritional value of cocoa pod husk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p. and two levels of urea and ammonium sulphate
Morm et al. Gas kinetics, rumen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degradability of varied levels of dried and fresh cassava leaf top fermented with cassava pulp
Ayuk et al. Biodegradation of antinutritional factors in whole leaves of Enterolobium cyclocarpum by Aspergillus niger using solid state fermentation
Terefe et al. Inclusion of sun dried brewer’s spent yeast to improves nutritive value, in vitro digestibility and rumen degradability of wheat straw
CN112369502A (zh) 一种畜禽用的尾菜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00078824A (ko) 홍주 주정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소 사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