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093B1 -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093B1
KR101732093B1 KR1020150046398A KR20150046398A KR101732093B1 KR 101732093 B1 KR101732093 B1 KR 101732093B1 KR 1020150046398 A KR1020150046398 A KR 1020150046398A KR 20150046398 A KR20150046398 A KR 20150046398A KR 101732093 B1 KR101732093 B1 KR 10173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funding
developer
general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088A (ko
Inventor
조범철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돌핀
조범철
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돌핀, 조범철, 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돌핀
Priority to KR102015004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093B1/ko
Priority to PCT/KR2016/003274 priority patent/WO2016159660A1/ko
Publication of KR20160118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발자들이 새로이 시작하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합지원 플랫폼에 등록하면 그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전문분야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프로젝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검토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확인하는 다수의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수 합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프로젝트에 대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금액을 등록해 놓으면 일반 투자자들이 온라인상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확인하고 일정 금액의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아이디어의 형태로 제안되는 프로젝트를 사업화할 수 있는 유기적인 지원이 단일 플랫폼 상에서 연속적인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START UP PROJECT}
본 발명은 통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발자들이 새로이 시작하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합지원 플랫폼에 등록하면 그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전문분야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프로젝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검토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확인하는 다수의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수 합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프로젝트에 대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금액을 등록해 놓으면 일반 투자자들이 온라인상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확인하고 일정 금액의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아이디어의 형태로 제안되는 프로젝트를 사업화할 수 있는 유기적인 지원이 단일 플랫폼 상에서 연속적인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기술의 발전과,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 등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정보처리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일부 개발자들의 경우 상품성이 있는 아이디어를 온라인 공간에 공개한 후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하여 소정의 자금을 모집하고 이와 같이 모인 자금을 이용하여 해당 아이디어를 구체화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실현하고 사업화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성이 있는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에 따라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능력과,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능력과, 다양한 그래픽 처리 능력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각 전문 영역의 능력이 요구되는바, 아이디어를 제공한 개발자 혼자의 능력만으로는 개발을 완료하기 어려움이 일반적이었다.
그에 따라 아이디어의 형태로 제안되는 프로젝트를 사업화가 가능한 상품성이 있는 형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 업무영역에 있는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이 가능한 팀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일반적인 개발자들로서는 평소 알고 있는 지인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업무영역의 다른 개발자들과 팀을 구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이디어 형태의 프로젝트를 개발하여 사업화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투자자금이 요구됨이 일반적인바, 아이디어를 제시한 일부의 개발자나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팀원들의 개별적인 투자자금 만으로 충당하기는 쉽지 않아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자자금을 모집하곤 하였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 개발에 소요되는 투자자금을 모으기 위해 근래에는 다수의 일반 이용자들이 투자하는 소액을 모아 큰 투자자금을 만들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크라우드 펀딩을 통하여 모으고자 하는 투자자금 이 상당히 큰 규모인 경우가 많으며, 현실적으로는 일반 투자자들이 프로젝트의 우수성이나 성공가능성 등을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소액을 투자하고자 하는 일반 투자자들의 참여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처럼 프로젝트의 완성과 사업화를 위한 크라우드 펀딩이 소액 투자자들의 참여보다는 대규모의 자금을 투자할 수 있는 일부 투자자들에게 국한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는바, 크라우드 펀딩의 혜택을 실질적인 다수의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팀을 어렵게 구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더라도 충분한 자금 확보에 실패하여 중간에 폐기되는 프로젝트가 상당수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투자자들이 프로젝트에 투자하고자 할 경우에도 해당 프로젝트의 우수성이나 성공가능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으며, 그 판단을 대신 해 주는 기관이나 시스템을 찾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일반 이용자들로 투자자의 범위를 확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 이용자들이 투자의 판단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적절한 검증 수단이나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도 크다고 할 것이다.
이처럼 온라인 기술과 정보처리기기 등의 발달로 인하여 간단한 아이디어만으로도 사업화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아이디어 단계의 프로젝트를 사업화가 가능한 상태에 이르도록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함에도 이를 적절히 뒷받침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이 없어, 완성되지 못하고 실패하거나 폐기되는 프로젝트가 상당수에 이르는바, 이를 보완하여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의 사업화를 유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청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69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1190호
본 발명은 개발자들이 새로이 시작하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상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합지원 플랫폼에 등록하면 그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 전문분야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프로젝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한 검토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프로젝트를 확인하는 다수의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수 합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프로젝트에 대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금액을 등록해 놓으면 일반 투자자들이 온라인상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확인하고 일정 금액의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일반 투자자들을 상대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아이디어의 형태로 제안되는 프로젝트를 사업화할 수 있는 유기적인 지원이 단일 플랫폼 상에서 연속적인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은,
개발하고자 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다른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한 스타트업(Start up) 프로젝트로 등록하고, 그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팀원의 참여와 그에 따른 팀 구성을 요청하거나,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요청하거나, 일반 투자자들 대상의 크라우드 펀딩을 요청하는, 업무지원요청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개발자의 업무지원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을 후보군으로 제안하여 팀 구성을 지원하며, 타당성 검증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게 공개하며, 펀딩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모집을 온라인을 통하여 접근하는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행하는 통합지원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은,
스타트업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 상호간에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협업이 가능한 팀 구성을 유도하는 매치메이킹 모듈;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을 포함하는 타당성 검토를 위해,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공개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보고 일반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투표수를 집계하여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타당성 검토 모듈; 및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 금액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후,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펀딩을 수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치메이킹 모듈은,
팀 구성을 요청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는 프로젝트 풀;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참가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의 개발이력과 희망 프로젝트 내용을 포함하는 개발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개발자 풀; 및 상기 프로젝트 풀에 있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업무영역과의 관련성이 있는 개발자 정보를 상기 개발자 풀에서 도출하여 해당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팀 구성원으로 제안하는 매치메이킹 제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은,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 각 검토 프로젝트의 공개정보를 보고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를 수신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별 누적 투표수를 산출하는 투표 집계부; 및 상기 투표 집계부에서 산출된 누적 투표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투표수를 초과할 경우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부결 처리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타당성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은,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펀딩 프로젝트를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한 투자 대상으로 등록하여, 온라인상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 및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에 의해 공개된 펀딩 프로젝트를 보고 투자하려는 일반 투자자가 입력하는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누적 투자금액을 갱신하는 펀딩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아이디어의 형태로 제안되는 프로젝트를 사업화할 수 있는 유기적인 지원이 단일 플랫폼 상에서 연속적인 흐름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젝트의 실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트의 진행정도에 따라 필요한 업무지원요청을 하면,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문 분야의 개발인력 구성, 타당성 검토, 자금 확보 등이 하나의 온라인 솔루션인 통합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어,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경감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프로젝트 자체가 실패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매치메이킹 모듈에서 팀 구성을 위한 프로젝트나 개발자의 후보군을 제안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 의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모듈에서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일반 투자자의 투자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크라우드 펀딩 모듈에서 일반 투자자의 투자와 그에 대한 개발자의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은, 개발하고자 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다른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한 스타트업(Start up) 프로젝트로 등록하고 그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팀원의 참여와 그에 따른 팀 구성을 요청하거나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요청하거나 일반 투자자들 대상의 크라우드 펀딩을 요청하는 업무지원요청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개발자의 업무지원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을 후보군으로 제안하여 팀 구성을 지원하며 타당성 검증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게 공개하며 펀딩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모집을 온라인을 통하여 접근하는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행하는 통합지원 플랫폼(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가 운영하고 관리하는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의한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업무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발자(Developer)는 프로젝트 개발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를 의미하는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등록하는 프로젝트 제안자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등록되어 있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팀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 개발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프로젝트 제안자와 프로젝트 개발자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프로젝트 제안자의 경우에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등록과 업무지원요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200)에 연결되고, 프로젝트 개발자의 경우 팀 구성과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개발업무의 처리를 위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200)에 연결된다.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200)은, 개발자가 새로이 제안하는 스타트업(Start up)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업무지원요청을 수령하고, 개발자가 필요로 하는 각 업무지원요청에 대하여 연속적인 업무지원을 실행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으로서,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개발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록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투표가 가능한 일반 이용자의 단말기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자금을 투자하기 위한 일반 투자자의 단말기도 인터넷 등을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접속할 수 있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개발자가 등록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한 일련의 업무지원이 가능하도록,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200)은, 스타트업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 상호간에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협업이 가능한 팀 구성을 유도하는 매치메이킹 모듈(Matchmaking Module)(210)과,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을 포함하는 타당성 검토를 위해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공개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보고 일반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투표수를 집계하여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타당성 검토 모듈(Election Module)(220)과,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 금액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후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펀딩을 수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모듈(Crowd Funding Module)(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치메이킹 모듈(210)은, 팀 구성을 요청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는 프로젝트 풀(212)과,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참가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의 개발이력과 희망 프로젝트 내용을 포함하는 개발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개발자 풀(214)과, 상기 프로젝트 풀에 있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업무영역과의 관련성이 있는 개발자 정보를 상기 개발자 풀에서 도출하여 해당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팀 구성원으로 제안하는 매치메이킹 제안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풀(212)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며, 스타트업 프로젝트가 기재된 파일 자체를 직접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개발자들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216)에서 개발자 정보와의 관련성을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협업을 요구하는 전문 업무영역이나 개발이력과 같이 팀 구성을 위해 필요한 일부 정보를 정해진 양식에 맞게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발자 풀(Developer Profile input UI)(214)은,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팀 구성원으로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다수의 개발자들이 자신의 개발 이력과, 희망하는 프로젝트 내용 등을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216)는, 상기 프로젝트 풀(212)에 등록되어 있는 스타트업 프로젝트 상의 전문 업무영역 요구사항이나 개발이력을 토대로 그와 일치하거나 관련성이 높은 개발자를 상기 개발자 풀(214)에서 도출해 낸 후, 각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팀 구성원에 대한 후보군으로 추천하여 팀 구성을 제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216)는 개발자 풀에 등록된 개발자 정보 상의 개발이력과 희망 프로젝트 등의 내용을 토대로 세부조건에 대한 가산점 부여 또는 선별기능을 구현한 알고리즘에 의해, 각 개발자에게 적합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상기 프로젝트 풀에서 선별하여 프로젝트 후보군을 생성한 후 각 개발자에게 제안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발자들(Developer 1, Developer 2, Developer 3 등)이 자신의 개발이력과 희망 프로젝트 내용 등을 개발자 풀(Developer Profile input UI)(214)에 등록하면,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216)에서 매치메이킹 모듈 알고리즘(Matchmaking Module Algorithm)을 토대로 각 개발자에게 적합한 프로젝트 후보군을 도출하여 제안하고, 각 스타트업 프로젝트에도 적합한 개발자 후보군을 도출하여 제안하게 된다(Team Matchmaking Suggest output UI).
그에 따라, 도 3에서는 개발자 정보(Developer 1 Profile, Developer 2 Profile, Developer 3 Profile 등)와 프로젝트별 팀 정보(Team 1/ Project A, Team 2/ Project B, Team 3/ Project C 등)를 연결하는 화살표에 의해 다양한 후보군이 제안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216)에서 제안되는 팀 구성의 여러 후보군 중 프로젝트 제안자 및 프로젝트 개발자가 선택한 내용에 의해 각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한 팀이 구성될 수 있어, 프로젝트 제안자로서는 보다 용이하게 여러 업무영역에 있는 전문 개발자들로 이루어진 팀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220)은,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222)와, 각 검토 프로젝트의 공개정보를 보고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를 집계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별 누적 투표수를 산출하는 투표 집계부(224)와, 상기 투표 집계부에서 산출된 누적 투표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투표수를 초과할 경우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부결처리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타당성 판단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220)은 일반 투자자들이 투자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의 한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이용자들의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각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22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기안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고(Project Draft input UI), 그 내용을 일반 이용자들이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온라인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222)에서 프로젝트 자체가 모두 공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시장에서의 성공가능성 등 사업화 타당성 또는 구현가능성 등을 판단하기 위해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가 원치 않게 공개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222)에서는 일반 이용자들이 시장에서의 성공가능성이나 사업화 타당성 또는 구현가능성 등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일부 정형화된 양식의 형태로 공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표 집계부(224)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접속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이루어진 투표자 단말기(300)에서 입력되는 투표신호를 검토 프로젝트마다 누적 저장하여 누적 투표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Project Election Module).
즉,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220)은 프로젝트 기안을 본 일반 이용자들이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한 검토 프로젝트에 투표를 할 수 있게 하고,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투표수를 집계하여 일반 이용자들의 판단에 의존한 타당성 검토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일반 이용자들이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각 이용자마다 상이할 수 있지만, 투표를 받은 검토 프로젝트의 경우 시장에서의 성공가능성이나 사업화 타당성, 구현가능성, 흥미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일반 이용자에게 어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바, 단순히 투표수를 누적 집계하여 정량적으로 판단하여도 프로젝트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에는 큰 부족함이 없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타당성 판단부(226)는, 일정 기간 동안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투표 종료 후 각 검토 프로젝트별로 누적된 투표수에 의해 타당성의 승인(Approve Project) 또는 부결(Reject Project)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Project Election output UI). 이를 위하여 타당성 검토를 위한 투표를 진행할 기간을 미리 설정하여야 하고, 타당성을 승인할 최소 투표수도 미리 설정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타당성 판단부(226)에서 타당성을 승인할 최소 투표수를 특정 숫자로 정할 수도 있으나, 타당성 검토를 위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200)에 접속하는 투표자 단말기(300)의 숫자, 즉 타당성 검토에 참여하는 일반 이용자들의 참여율의 편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바, 일정 기간 동안 타당성 검토에 참여한 전체 투표자 중 일정 숫자 이상의 투표를 받을 경우 타당성을 승인하도록 일반 이용자의 참여 비율에 따라 타당성 승인을 위한 최소 투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Crowd Funding Raising Module)(230)은,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펀딩 프로젝트를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한 투자 대상으로 등록하여 온라인상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232)와,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에 의해 공개된 펀딩 프로젝트를 보고 투자하려는 일반 투자자가 입력하는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누적 투자금액을 갱신하는 펀딩수행부(234)와, 상기 펀딩수행부에서 일반 투자자가 입력한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결제한 후 그 금액을 상기 펀딩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팀에 지원하는 정산처리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Project Crowd Funding registration UI)(232)는,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220)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프로젝트(Approve Project 1, Approve Project 2 등)를 투자의 대상인 펀딩 프로젝트로 선택하고, 각 펀딩 프로젝트에 대하여 프로젝트 제안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입력한 펀딩 금액을 목표금액으로 설정한 후, 온라인상에서 일반 투자자들의 접근이 가능한 투자 대상으로 등록하여 공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232)는, 일반 투자자의 투자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타당성 검증 모듈(220)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프로젝트만을 펀딩 프로젝트로 등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232)는 자금 모집을 위하여 펀딩 프로젝트로 등록할 때, 프로젝트 제안자나 프로젝트 개발자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입력하는 펀딩 금액을 목표금액으로 설정하여 일반 투자자들이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 투자자들이 투자 금액 결정시에 고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펀딩수행부(234)는,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232)에 의해 온라인상에서 일반 투자자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된 펀딩 프로젝트를 보고,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이루어진 투자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230)에 접속한 일반 투자자가 입력하는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누적 투자금액을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펀딩수행부(Crowd Funding Raising Module)(2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자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230)에 접속한 일반 투자자(User 1, User 2, User 3, User 4, User 5 등)들이 펀딩이 진행 중인 펀딩 프로젝트(Approve Project A, Approve Project B, Approve Project C)를 보고, 자신이 원하는 펀딩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투자금액을 입력하면서 투자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일반 투자자가 투자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투자금액은 펀딩이 진행되는 동안 각 펀딩 프로젝트별로 누적 저장되어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에서 등록해 놓은 목표금액에의 도달 여부를 판단하여 펀딩의 성공(Fundraising Success Project) 또는 실패(Fundraising Failure Project)를 판단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펀딩수행부(234)를 통하여 다수의 일반 투자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펀딩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게 되므로, 금액의 고저에 무관하게 보다 많은 투자자들에게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돌아갈 수 있으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하여 프로젝트 개발자금을 확보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제안자나 개발자로서는 목표 금액의 달성에 보다 손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산처리부(236)는, 상기 펀딩수행부(234)에서 투자한 일반 투자자로부터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결제 받고, 펀딩이 성공한 프로젝트에 펀딩금액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산처리부(236)가 일반 투자자로부터 현금을 수령하고 이를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현금의 직접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현금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투자자가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를 상기 정산처리부로부터 구매한 후, 구매한 전자화폐를 그 펀딩 프로젝트에 후원하는 형태로 지원하게 되고, 이를 지원받은 펀딩 프로젝트 개발자는 해당 전자화폐를 상기 정산처리부에서 다시 현금으로 환전하여 지급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투자금액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일반 투자자가 제공한 투자금액을 이용하여 개발이 완료된 펀딩 프로젝트에 의해 수익이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펀딩 프로젝트 개발자가 일정한 비용을 지급하면서 상기 정산처리부(236)로부터 전자화폐를 구매하고, 이를 각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비율에 따라 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투자자는 보상으로 제공받는 전자화폐를 환전하여 투자에 대한 수익을 창출하거나, 전자화폐의 형태 그대로 다른 펀딩 프로젝트에 재투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프로젝트의 진행정도에 따라 필요한 업무지원요청을 하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구비된 매치메이킹 모듈(210)에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전문 분야의 개발자들을 도출하여 제안함으로써 개발인력 구성을 위한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경감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개발인력 구성에 실패하여 프로젝트 자체가 실패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구비된 타당성 검토 모듈(220)에서 장래의 실제 소비자가 될 수 있는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를 통하여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과 같은 타당성을 미리 가늠할 수 있어 프로젝트의 개발과 진행을 위한 가치판단을 검증해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구비된 크라우드 펀딩 모듈(230)을 이용하여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시장 가능성과 같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투표한 일반 이용자가 직접, 자신이 지지하는 프로젝트의 개발과 진행을 위해 투자를 통하여 기여할 수 있고, 프로젝트 성공시에는 이러한 투자에 대한 보상도 획득할 수 있어 다수의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진정한 크라우드 펀딩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일반 투자자의 폭이 확대되고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프로젝트에 투자되는 금액도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진행해 감에 있어 필요한 인력구성과, 타당성 검토 및 자금 확보와 같은 여러 종류의 업무가 각각 별도의 업체나 솔루션을 통하여 여러 기관에서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것을 넘어,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에 의해 운영되는 하나의 온라인 솔루션을 통하여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되므로, 프로젝트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젝트 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상당 부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을 통하여 프로젝트 개발자와 일반 이용자 또는 일반 투자자간의 직간접적인 교류를 통하여 프로젝트 진행시에 일반 이용자들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는 여지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일반 이용자들의 만족도 및 관심이 증가하게 되어 프로젝트 결과물의 구매비율 증가로 연결되어, 각 프로젝트들의 성공 확률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프로젝트 개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통합지원 플랫폼 210 : 매치메이킹 모듈
212 : 프로젝트 풀 214 : 개발자 풀
216 : 매치메이킹 제안부 220 : 타당성 검토 모듈
222 :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 224 : 투표집계부
226 : 타당성 판단부 230 : 크라우드 펀딩 모듈
232 :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 234 : 펀딩수행부
236 : 정산처리부
300 : 투표자 단말기 400 : 투자자 단말기

Claims (7)

  1. 개발하고자 하는 신규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다른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한 스타트업(Start up) 프로젝트로 등록하고,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에 팀원으로 참여 또는 팀 구성을 요청하거나,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요청하거나, 일반 투자자들 대상의 크라우드 펀딩을 요청하는 업무지원요청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해 참가하고자 하는 개발자의 업무지원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을 후보군으로 제안하여 팀 구성을 지원하며, 타당성 검증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게 공개하며, 펀딩이 요청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크라우드 펀딩 모집을 온라인을 통하여 접근하는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행하는 통합지원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은,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에 필요한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들 상호간에 팀 구성이 가능하도록, 다른 업무영역의 개발자 후보군을 제안하여 협업이 가능한 팀 구성을 유도하는 매치메이킹 모듈; 및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을 포함하는 타당성 검토를 위해,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공개된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보고 일반 이용자들이 입력하는 투표수를 집계하여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타당성 검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매치메이킹 모듈은,
    팀 구성을 요청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들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는 프로젝트 풀;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해 참가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의 개발이력과 희망 프로젝트 내용을 포함하는 개발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개발자 풀; 및
    상기 프로젝트 풀에 저장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업무영역과의 관련성이 있는 개발자 정보를 상기 개발자 풀에서 도출하여 해당 스타트업 프로젝트의 팀 구성원으로 제안하는 매치메이킹 제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트 풀은,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에서 상기 개발자 정보와의 관련성을 판단되도록 협업을 요구하는 전문 업무영역이나 상기 개발이력을 포함하는 팀 구성을 위해 필요한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양식에 맞게 등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는,
    상기 프로젝트 풀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전문 업무영역이나 상기 개발이력을 토대로 일치하거나 관련성있는 개발자를 도출하여 상기 팀 구성원에 대한 후보군을 생성하여 제안하고,
    상기 매치메이킹 제안부는,
    상기 개발자 풀에 등록된 상기 개발자들의 상기 개발이력과 상기 희망 프로젝트에 대한 가산점 부여 또는 선별기능을 구현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개발자 풀에 등록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개발자들에게 적합한 상기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선별하여 프로젝트 후보군을 생성하여 제안하며,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은,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를 일반 이용자들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검토 프로젝트 등록부;
    각 검토 프로젝트의 공개정보를 보고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일반 이용자들의 투표를 수신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별 누적 투표수를 산출하는 투표 집계부; 및
    상기 투표 집계부에서 산출된 누적 투표수가 미리 설정된 최소 투표수를 초과할 경우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부결 처리하여 각 검토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타당성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지원 플랫폼은,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스타트업 프로젝트에 대한 펀딩 금액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후,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펀딩을 수행하는 크라우드 펀딩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은,
    상기 타당성 검토 모듈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승인된 펀딩 프로젝트를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한 투자 대상으로 등록하여, 온라인상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하는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 및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에 의해 공개된 펀딩 프로젝트를 보고 투자하려는 일반 투자자가 입력하는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누적 투자금액을 갱신하는 펀딩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라우드 펀딩 모듈은,
    상기 펀딩수행부에서 일반 투자자가 입력한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금액을 결제 받은 후 그 금액을 상기 펀딩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팀에 지원하는 정산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산처리부는,
    일반 투자자가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를 구매한 후, 구매한 전자화폐를 그 펀딩 프로젝트에 후원하고, 이를 후원받은 펀딩 프로젝트 개발자는 해당 전자화폐를 현금으로 환전하여 지급받아 투자금액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당성 판단부는,
    상기 타당성 검토에 참여한 일반 이용자들의 기간별 참여율의 편차를 고려하여, 상기 타당성 검토를 위한 투표가 진행되는 기간이 미리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타당성 검토에 대한 승인을 위한 최소 투표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타당성 검토에 참여한 전체 투표자수에 대한 상기 검토 프로젝트 투표에 참여한 투표 참여자수의 비인, 투표 참여 비율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고,
    상기 타당성 검토가 승인된 펀딩 프로젝트를 일반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한 투자 대상으로 등록하여, 온라인상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공개시키며,
    상기 펀딩 프로젝트 등록부에 등록해 놓은 목표금액에 대한 도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크라우드 펀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산처리부는,
    상기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후원받은 상기 펀딩 프로젝트에 관한 개발이 완료되어 수익이 발생된 경우, 상기 발생된 수익에 대하여 투자 비율에 따라 보상하고자 하는 보상금액에 상응하는 전자화폐를 구매한 후 상기 구매한 전자화폐가 상기 일반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자화폐를 제공받은 일반 투자자들이 상기 전자화폐를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에 재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46398A 2015-04-01 2015-04-01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KR101732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98A KR101732093B1 (ko) 2015-04-01 2015-04-01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PCT/KR2016/003274 WO2016159660A1 (ko) 2015-04-01 2016-03-30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398A KR101732093B1 (ko) 2015-04-01 2015-04-01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088A KR20160118088A (ko) 2016-10-11
KR101732093B1 true KR101732093B1 (ko) 2017-05-02

Family

ID=5700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398A KR101732093B1 (ko) 2015-04-01 2015-04-01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2093B1 (ko)
WO (1) WO20161596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57A (ko) 2018-12-03 2020-06-11 강지수 스타트업 지원 서비스 앱
KR102348565B1 (ko) * 2021-06-17 2022-01-07 이도열 노코드 기반 창업 정보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창업 정보 제공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8219B2 (en) 2016-02-12 2020-03-31 Lg Chem, Ltd.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8220524A1 (en) * 2017-05-31 2018-12-06 Naik Rakesh Digital startup ecosystem
KR102111711B1 (ko) * 2018-04-23 2020-06-23 주식회사 제우스비티 블록체인 및 에스크로 기반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764852A (zh) * 2018-06-01 2018-11-06 广州聚注通用技术研究院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共享创业团队项目的创建方法
KR101996916B1 (ko) * 2018-10-15 2019-07-05 (주)교림소프트 인공지능 기반 핵심 역량 유전자 생성 및 매칭 방법
KR102190669B1 (ko) * 2018-10-23 2020-12-15 변언식 협업 도구에서 포인트(코인) 활용 방법 및 시스템
CN109658254A (zh) * 2019-01-29 2019-04-19 珠海金慧科技有限公司 去中心化的网络平台经营权共享技术
KR20230171641A (ko) 2022-06-14 2023-12-21 케이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스타트업을 위한 액셀러레이팅 사전관리 및 진단과 가치평가 방법
KR20240009645A (ko) 2022-07-14 2024-01-23 케이액셀러레이터 주식회사 특허권 기반의 스타트업평가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439A (ja) * 2000-11-24 2002-06-07 Hiroyuki Takahata アイデア情報サイト提供システムおよびアイデア情報サイト提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728A (ko) * 2000-09-16 2002-03-22 김성헌 과학기술 포털 사이트 구축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0626146B1 (ko) * 2005-03-10 2006-09-21 최동혁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100802579B1 (ko) * 2007-06-21 2008-02-13 (주) 에코센스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WO2014065444A1 (ko) 2012-10-23 2014-05-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개방형 공중망을 이용한 협업 시스템
KR101722425B1 (ko) 2013-03-08 2017-04-03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439A (ja) * 2000-11-24 2002-06-07 Hiroyuki Takahata アイデア情報サイト提供システムおよびアイデア情報サイト提供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57A (ko) 2018-12-03 2020-06-11 강지수 스타트업 지원 서비스 앱
KR102348565B1 (ko) * 2021-06-17 2022-01-07 이도열 노코드 기반 창업 정보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창업 정보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660A1 (ko) 2016-10-06
KR20160118088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093B1 (ko)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JP4589323B2 (ja) 取引システムおよび取引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202840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mulation and verification of trust for participating users in a crowd sourcing activity
US201400676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sumer lending
US1137983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validating, approving, recording, and utilizing digital data assets in a blockchain platform using a transactional proof of work
Taghavi et al. A reinforcement learning model for the reliability of blockchain oracles
KR101799235B1 (ko) 에스크로 서비스 보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003A (ko)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552114B1 (ko) 상품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43661A1 (en) Client-server system for managing an item database and item transactions with user-item associations
KR101867264B1 (ko) 투자 모집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의 투자자 및 수혜자 금원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300617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する並列処理計算委託システム
JPWO2004003805A1 (ja) ポイント処理装置、ポイント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20220009791A (ko) Ai를 이용한 부동산 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69510A1 (en) Validating transactions electronically using proof of reception validation protocol
US20150058073A1 (en) Crowdsourced innovation exchange
KR101619566B1 (ko) 기술가치 평가 방법
KR20070116359A (ko)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건설 종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U2019201903A1 (en) Crowdcallect – an app that allows potential community project developers to collect : credible pledges for equity plus loan offers and capital donations as well as preliminary usage nominations, memberships and purchase offers for future goods or services such that all these likely participations can be estimated and mapped to development options and higher confidence social impacts for developing stronger development project business cases, including provi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KR20180066004A (ko) 대출 금융 서비스의 투자자 및 수혜자 금원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7249038B2 (ja) 自動サービス機器用サーバー管理型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US20210082029A1 (en) Intermediary Method, Intermediary Device, and Recording Medium/Program
US112223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rewarding and facilitating philanthropic works
CN110462610A (zh) 用于形成具有综合管理职位和任务安排的网络的系统和方法
KR102357616B1 (ko) 응모 이벤트를 진행하는 방법 및 메시지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