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425B1 -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425B1
KR101722425B1 KR1020130025196A KR20130025196A KR101722425B1 KR 101722425 B1 KR101722425 B1 KR 101722425B1 KR 1020130025196 A KR1020130025196 A KR 1020130025196A KR 20130025196 A KR20130025196 A KR 20130025196A KR 101722425 B1 KR101722425 B1 KR 10172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funding
investors
investment
inve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190A (ko
Inventor
고용기
Original Assignee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425B1/ko
Priority to JP2015555086A priority patent/JP6172872B2/ja
Priority to CN201380074187.3A priority patent/CN105051775A/zh
Priority to US14/763,828 priority patent/US20150371334A1/en
Priority to EP13873080.9A priority patent/EP2950262A4/en
Priority to SG11201506533PA priority patent/SG11201506533PA/en
Priority to PCT/KR2013/002712 priority patent/WO2014115927A1/ko
Publication of KR2014011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SNS 등을 통하여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펀딩과 무관하게 창업 초기부터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표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과 기업의 활동 이력을 시간순서에 따라 표출하는 타임라인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할 관심기업을 선택하게 됨과 아울러, 기업에서 펀딩을 진행할 경우에는 펀딩의 초기에 참여하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오픈하여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투자 후에도 기업의 활동이력과 기업정보가 타임라인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지되어 비상장 기업의 공시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FUNDING AND FOLLOW-UP MANAGEMENT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OPEN PLATFORM}
본 발명은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SNS 등을 통하여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펀딩과 무관하게 창업 초기부터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표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과 기업의 활동 이력을 시간순서에 따라 표출하는 타임라인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할 관심기업을 선택하게 됨과 아울러, 기업에서 펀딩을 진행할 경우에는 펀딩의 초기에 참여하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오픈하여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투자 후에도 기업의 활동이력과 기업정보가 타임라인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지되어 비상장 기업의 공시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권사는 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 관여할 수는 있으나 비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는 관여할 수 없으므로,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는 매수자와 매도자간에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진 후 상호간에 대금 지급과 주식의 명의 개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비상장사의 주식을 선 권리자로부터 매수하거나 공모주 청약 등을 통하여 취득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비상장사의 사업 내용과 발전가능성 등을 판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Start-Up)의 경우 상장사와는 달리 외부 감사 등에 의한 제약이 크지 않고, 공개되는 정보 및 그 정리가 쉽지 않은바, 투자자들로서는 기업의 내부 상황과 시장 점유정도 또는 매출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 특히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기 위한 투자자들로서는 창업기업에서 제공하는 사업계획서에 의존하여 회사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는 증권사 웹사이트에 구비된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는 실제 시장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장밋빛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예정사항들 위주로 기재되므로, 투자자 입장에서 실제 시장에서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갖고 사업이 이루어질 것인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권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의 경우 그 출처를 확인하기 어려워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헐적으로 기재되는 회사의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를 회사별로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여러 비상장사의 사업실적 등이 오랜 기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투자자로서는 시간 순서에 따라 게시판에 게시되는 특정 회사의 히스토리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투자정보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장사의 입장에서도 회사의 발전에 따른 동적인 성장과정을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하면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는바, 회사의 발전상황에 대한 정보가 시드머니 펀딩과 같은 이벤트의 일 재료로 제공됨에 그치게 되어 창업회사와 투자자 간에 회사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소셜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투자방식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 영화와 같은 창작 프로젝트나 사회공익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수단으로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을 위해서는 조달된 자금을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이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다수의 투자자들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함에도, 그러한 투자정보를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투명하고 정확한 수단이 없어 크라우드 펀딩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권 거래와 관련된 현업 종사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일반투자자의 실시간 정보 공유와 양자의 실시간 투자 상담으로 일반 투자자의 증권 정보에 대한 선별 능력 및 분석능력을 높일 수 있게 한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은 한정된 수의 상장사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할 뿐 증권사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이루어져야 하는 비상장사의 주식 취득을 위한 투자정보 제공에는 직접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의 주식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사업계획서에 개시되어 있는 정적인 예정상황을 넘어 실제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적인 회사의 성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창업한지 오래되지 않은 창업기업들의 경우에도 원하는 자금을 안정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여전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비상장사의 경우 투자가 이루어진 후 피투자기업의 사업 활동 상황이나 성장기록에 대하여 투자자들이 모니터링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수단이나 제도적인 장치가 없어서, 투자자로서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활동에 대한 지식 없이 무작정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처럼 비상장사의 투자 후 적절한 모니터링이나 공시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비상장사에 대한 투자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SNS 등을 통하여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펀딩과 무관하게 창업 초기부터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표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이나 타임라인을 통한 기업의 활동이력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할 관심기업을 선택하게 됨과 아울러, 기업에서 펀딩을 진행할 경우에는 펀딩의 초기에 참여하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오픈하여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투자 후에도 해당기업, 즉 피투자기업의 기업활동에 따라 추가되는 타임라인과 기업정보의 갱신상황을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여 비상장사에 대한 공시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들의 히스토리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확인하고 투자의사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기; 통신망을 통하여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등록하고 펀딩의 진행여부를 입력하는 기업단말기; 및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며, 투자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피투자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기업의 활동 이력을 지속적으로 공지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상기 기업단말기나 투자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상에서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원 가입한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다른 기업이나 투자자들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선택한 후 스크랩하여 가져와 자신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기업의 사업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과 같은 기업정보를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에 기업정보를 표출시키는 기업공개부; 각 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갱신하여 표출하는 마일스톤 관리부;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같은 펀딩정보를 등록하여 펀딩의 시작을 공표하는 주식발행 관리부;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를 투자자들의 인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잠재투자자로 추출한 후, 각 투자자가 설정해 놓은 통지방법에 의해 각 투자자에게 펀딩의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 펀딩이 이루어지는 기간 중 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투자에 참가하고자 하는 투자의사를 입력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고 참가한 투자자들을 공개하며 펀딩을 수행하는 펀딩운영부; 및 상기 펀딩운영부를 통하여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이 투자 후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피투자기업의 기업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기업의 활동 이력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수신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하는 타임라인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상기 기업공개부를 통하여 등록된 후 기업에게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는 기업정보에 변동이 있을 경우, 그 변동사항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갱신 표출하는 기업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방법은,
투자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투자자 등록단계; 투자를 받기 원하는 기업들이 자신의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기업정보 공개단계;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모집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신주청약기간으로 이루어진 펀딩정보를 등록하고, 홈페이지를 통하여 펀딩의 시작을 투자자들에게 알리는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를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각 잠재투자자에게 관심기업의 펀딩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알리는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단계; 홈페이지나 개별통지를 통하여 펀딩의 진행을 인식하고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되는 투자의사를 수령하여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리딩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리딩투자자의 투자상황을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다른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투자의사 오픈단계; 공개되는 리딩투자자의 투자상황을 파악한 후 입력되는 다른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여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후속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 목표하였던 펀딩금액을 초과하거나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한 후 펀딩을 종료하는 펀딩 종료단계; 및 펀딩을 통하여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타임라인의 형태로 표출하고, 변경된 기업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후 표출시켜 투자자들의 피투자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 투자 사후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자 사후관리단계는 펀딩이 완료된 피투자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되는 기업의 활동 이력을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타임라인의 형태로 시간 순서에 따라 갱신하여 표출시키는 타임라인 업데이트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자 사후관리단계는 피투자기업이 상기 기업정보 공개단계에서 공개하였던 기업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이를 수정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고, 갱신 저장된 새로운 기업정보를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갱신하여 표출시키는 기업정보 갱신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펀딩과 무관하게 창업 초기부터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표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할 관심기업을 선택하게 됨과 아울러, 기업에서 펀딩을 진행할 경우에는 펀딩의 초기에 참여하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오픈함으로써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하여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자 후 서브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새로이 업데이트된 기업의 타임라인과 기업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비상장사의 경우에도 기업 공시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투자유치나 피투자기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후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의 예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후 표출되는 마일스톤 달성 기업들의 예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검색한 기업의 타임라인 표출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방법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들의 히스토리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확인하고 투자의사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기(1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등록하고 펀딩의 진행여부를 입력하는 기업단말기(200)와,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SNS를 통하여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며 투자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피투자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기업의 활동 이력을 지속적으로 공지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자자 단말기(100)는 통신망상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인증 받은 후, 기업들이 공개한 기업정보와 기업들이 달성한 마일스톤 내역을 확인하고, 기업을 선택한 후 투자의사를 입력하는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어 무선통신망상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후 웹페이지 상에 표출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자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진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심기업의 마일스톤 변화나 리딩투자자의 펀딩 참여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중개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자자는 엔젤투자자와 같은 개인 투자자는 물론, 법인투자자와 같은 투자회사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업단말기(200)는 통신망상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인증 받은 후, 자신들의 사업방향과 자산상황 또는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등 기업의 자산 또는 자원에 관한 기업정보를 등록하고, 기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해 나가게 되는 마일스톤을 설정한 후 각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신속하게 등록함과 아울러, 펀딩의 진행상황을 등록하는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단말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업단말기(200)는 투자받기 전뿐만 아니라 투자를 받은 후에도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해당 기업의 자산상황 등 기업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갱신하며, 기업의 활동 이력을 타임라인의 형태로 등록함으로써, 투자하기 전의 투자자뿐만 아니라 투자를 한 투자자들도 해당 기업의 활동 이력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은 기업의 사업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과 같은 기업정보를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에 기업정보를 표출시키는 기업공개부(310)와, 각 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갱신하여 표출하는 마일스톤 관리부(320)와,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같은 펀딩정보를 등록하여 펀딩의 시작을 공표하는 주식발행 관리부(330)와,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를 투자자들의 인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잠재투자자로 추출한 후 각 투자자가 설정해 놓은 통지방법에 의해 각 투자자에게 펀딩의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340)와, 펀딩이 이루어지는 기간 중 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투자에 참가하고자 하는 투자의사를 입력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고 참가한 투자자들을 공개하며 펀딩을 수행하는 펀딩운영부(350)와, 상기 펀딩운영부를 통하여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이 투자 후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피투자기업의 기업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기업의 활동 이력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수신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하는 타임라인 관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은 통신망상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기업정보나 펀딩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오픈시킴으로써 투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투명한 기초정보로 제공함과 아울러, 펀딩을 진행 중인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투자 상황을 잠재투자자를 포함하는 다른 투자자들에게 오픈시킴으로써 추가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펀딩금액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업단말기나 투자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상에서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웹서버를 포함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은 회원가입 한 후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각 기업에게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이러한 서브 홈페이지에 기업의 히스토리를 타임라인의 형태로 누적 저장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히스토리를 검색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서브 홈페이지에서 타임라인의 내용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그 히스토리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원가입한 각 투자자들에게도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이러한 서브 홈페이지에 투자자들의 과거 투자이력이나,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기업들의 정보를 타임라인의 형태로 누적 저장함으로써, 투자자들로서는 자신의 투자 내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홈페이지 또는 각 기업이나 투자자들에게 할당하는 서브 홈페이지에는 타임라인(Time Line)과 뉴스피드(NewsFeed) 기능을 통하여 기업의 활동이나 투자자들의 활동 내역을 자연스럽게 공시하면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이나 기업에서 알리고자 하는 지속적인 활동 내역을 기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활동이력을 시간 순서에 따른 전문 SNS 형태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뉴스피드(NewsFeed)를 통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관심기업이나 관심투자자들의 서브 홈페이지에 신규로 등록되는 글들만을 받아볼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다른 기업이나 투자자들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선택한 후 스크랩하여 가져와 자신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른 기업이나 다른 투자자들이 게시한 타임라인(TimeLine) 상의 게시내용을 스크랩하여 가져와 자신의 서브홈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신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해당 내용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거나, 해당 게시물의 게시자 서브 홈페이지로 언제든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업공개부(310)는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의해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받은 기업이 자사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과 같은 기업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고, 상기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업공개부(310)를 통하여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기업은 일정기간 동안 사업을 영위해온 기업일수도 있으나, 기업을 널리 홍보할 기회가 부족하였거나 투자자금을 모으기 어려운 예비창업자나 창업기업(Start up)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자자금을 모으기 어려운 창업기업들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자금을 모집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투자자들로서도 회사의 기술력과 발전가능성을 토대로 초기에 투자함으로써 투자의 위험성이 있는 대신 보다 큰 수익을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창업기업과 같이 창업초기에 있는 기업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필요성이 더 크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기업단말기(200)로 입력하여 상기 기업공개부(310)에서 등록되는 기업정보는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팀 구성(Team), 재무정보(Financial), 차별성/핵심역량(Unique/Creative) 또는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 Right)과 같은 여러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업정보의 각 항목은 투자자들이 기업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인바, 상술한 항목의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은 하나의 조직인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조하고 전파하며 포착해내는지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묘사한 것으로서, 기업이 실질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징을 투자자들이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되므로,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본 모델을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상세하게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비즈니스 모델은 비즈니스모델캔버스 모형을 적용하여 가치 창출(Value Proposition), 핵심 활동(Key Activities), 핵심 자원(Key Resources), 대상 고객(Customer Segments), 채널(Channels),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수익원(Revenue Streams), 비용구조(Cost Structure), 핵심 파트너쉽(Key Partners) 등 9개의 분야(9 Blocks)를 상세하게 기재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팀 구성(Team)은 기업에서 사업을 영위함에 있어 키(key)가 될 수 있는 주요 인물들의 이력과 전문분야 등을 기재하여 기업 자체뿐만 아니라 그 기업에서 주요 업무를 담당하면서 함께 참여하는 주요 구성원들의 과거 이력에 의해 투자자들이 창업기업의 발전방향과 발전가능성을 검토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무정보(Financial)는 기업의 자산규모를 상세하게 기재하여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차별성/핵심역량(Unique/Creative)은 유사한 서비스나 제품을 제공하는 동종업종과 차별화된 기업만의 독창적인 특징을 MS워드, 파워포인트, PDF 등 자유로운 자료와 함께 업로드하여 투자자들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 Right)은 기업이 출원 중이거나 등록받은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 보유현황이나, 진행상황 또는 뉴스 등을 통하여 발표된 기술자료 등의 현황을 등록하여, 투자자들이 기업의 지적재산 보유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추후 기업이나 투자자들과 같이 회원 가입한 회원들간에 해당 지적재산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업공개부(310)를 통하여 등록된 후 기업에게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는 기업정보는 추후 기업의 자산이나 팀원 등의 변동이 있을 경우 그 변동사항을 기업 데이터베이스(362)에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갱신할 수 있는 기업정보 갱신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기업정보 갱신부(380)를 통하여 이미 펀딩이 완료된 기업의 발전에 따라 변경되는 기업정보를 기업데이터베이스(361)에 갱신저장하고, 서브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림으로써, 비상장사의 경우에도 공시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추가펀딩에 대비함과 아울러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320)는 기업이 회사를 운영하는 초기부터 성장해 나가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각 기업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마일스톤의 성취사항을 투자자들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마일스톤의 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320)는 기업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부(321)와, 기업이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321)는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Milestone)을 설정하여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기업 데이터베이스(362)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인설립(Step 1), 월별BEP달성(Step 2 내지 Step 4), 추가제품개발(Step 5 및 Step 6), 사업 안정화(Step 7), 마케팅 및 채널확보(Step 8), 해외활동추가(Step 9), 및 전시회 및 기업홍보(Step 10)와 같이 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마일스톤을 나타내는 각 단계들은 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인바, 이와 다른 목표들을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322)는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에서 설정한 여러 목표들을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의해 관리되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시켜 투자자들이나 기존 투자자들이 기업의 성장방향을 보다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미 달성한 목표의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거나 별도의 표시를 부가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322)는 특정 기업의 순차적인 마일스톤 달성현황만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362)에 저장된 여러 기업 중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명칭과 달성한 마일스톤의 내역들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페이지를 통하여 간략하게 표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322)를 통하여 마일스톤을 달성한 업체들이 정렬되어 표출되므로, 투자자들이 모든 비상장사들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마일스톤을 빠른 속도로 달성해 나가는 기업의 경우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잠재적인 투자자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이 개별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의 운영실적 등 동적인 기업정보를 손쉽게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는 상기 기업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펀딩금액과 신주청약기간을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하고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펀딩중임을 투자자들에게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는 홈페이지 메인창의 독립적인 블록에 현재 펀딩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목록이 표출되게 함과 아울러,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해당 기업의 펀딩 정보가 표출되면서 방문한 투자자들이 직접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협업/투자 요청하기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펀딩금액과 신주청약기간이 표출됨과 아울러, 펀딩금액의 모집현황과 신주청약기간의 잔여기간도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를 통하여 펀딩을 진행 중인 기업들이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그 기업이 달성한 마일스톤과 기업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기업 스스로의 노력으로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을 모집할 수 있게 되어 크라우드 펀딩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340)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를 검색하여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를 통하여 펀딩이 진행됨을 등록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를 추출하는 잠재투자자 추출부(341)와, 상기 잠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 설정한 통지수단을 인식한 후 그 통지수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잠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공지하는 통지수단 활성화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재투자자 추출부(341)는 기업정보나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모니터링 하면서 관심기업으로 선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한 투자자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관심기업으로 저장될 때, 해당 기업의 고유번호를 투자자의 인적정보와 매치시켜 저장함으로써 추후 잠재투자자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지수단 활성화부(342)는 잠재투자자가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받기 위해 설정해 놓은 통지수단을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서 추출하고, 해당 통지수단에 적합한 형태의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각 잠재투자자에게 신속한 개별공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잠재투자자가 통지수단으로서 휴대폰 등의 문자메시지나 쪽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통신수단을 통하여 관심기업에서 펀딩이 시작됨을 알리는 SMS 메시지나 쪽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잠재투자자가 통지수단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를 선택한 경우에는 각 SNS에 적합하게 생성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SNS 계정에 등록함으로써, 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고도 펀딩이 진행됨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펀딩운영부(350)는 투자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펀딩이 진행 중인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투자금액을 입력하면서 표출하는 투자자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고 이를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투자의사 수령부(351)와,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에서 수신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상기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투자의사 공개부(352)와,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에서 누적된 투자금액이 목표하였던 펀딩금액을 초과하거나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한 후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협업/투자 요청하기 버튼)을 비활성화시켜 펀딩을 종료하는 투자종료부(3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351)는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를 통하여 표출되는 펀딩정보를 확인하고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상기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340)를 통하여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기업에서 펀딩이 진행 중임을 개별 통보받은 후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누적 저장함으로써 해당 투자자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351)는 투자자가 금액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투자자가 입력하는 투자금액을 함께 수령하여 저장하고, 투자금액을 선택하지 못하고 일정금액만 투자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해당 금액만을 수령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351)는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되어 있는 모집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는 무관하게 투자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투자금액만을 누적 저장하여 투자된 금액을 펀딩금액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펀딩금액에서 투자된 금액만큼씩 차감하면서 남아 있는 투자가능 금액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자의사 공개부(352)는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에서 투자의사를 표현한 투자자들의 목록을 상기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나중에 접속한 투자자들이 열람할 수 있게 그들의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자의사 공개부(352)를 통하여 펀딩을 진행하는 특정 기업의 펀딩 과정 중 투자를 결심한 투자자들의 목록과 금액들을 표출시켜 다른 투자자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오픈함으로써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펀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누적되는 펀딩 금액도 다른 투자자들에게 공개되므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하지 않았던 다른 투자자들도 경쟁적으로 투자에 참여하게 되어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자자들로서는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해당 기업의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무조건적인 투자가 아니라 해당 기업에 투자되는 상황에 의해 관심을 가진 후에도 정확하고 냉철한 분석을 통하여 회사를 평가한 후 투자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투자도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330)와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340)를 통하여 리딩(Leading)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펀딩을 활성화 시킨 후, 홈페이지 등을 통한 지속적인 노출과 이미 투자를 결심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인 주식인수 청약 사항을 다른 투자자들에게 오픈함으로써 후속(Following) 투자자들을 추가적으로 모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리딩 투자자와 후속 투자자들이 서로 모이면서 펀딩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밀리에 몇몇 지인들이나 거대 투자회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펀딩을 벗어나 성공적인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투자종료부(353)는 주식발행 관리부에서 설정하였던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할 경우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던 투자버튼을 비활성화시켜 투자를 종료하여 동일한 신주청약기간 내에만 투명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자종료부(353)는 신주청약기간이 경과되기 전에도 목표한 펀딩금액이 달성되면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던 투자버튼을 비활성화시켜 투자를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투자의사를 표명하였다가 추후 심경의 변화로 투자를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신주청약기간동안에는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주청약기간 동안 상기 펀딩운영부를 통한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투자가 이루어진 후에는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투자의향을 묻고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투자자 단말기를 통하여 수령한 후 투자금액에 상응하는 주식을 배당받게 된다.
또한, 상기 타임라인 관리부(370)는 투자 전뿐만 아니라 펀딩이 완료된 후에도 기업의 활동 이력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사업결과 등을 상기 기업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러한 활동 이력을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타임라인의 형태로 시간 순서에 따라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펀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상기 기업정보나 마일스톤에 더하여 기업의 실질적인 활동이력을 투자자들에게 알리며 투자유치에 기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펀딩이 이루어진 후에는 투자금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업의 활발한 활동이력을 투자자들에게 수시로 공시할 수 있게 되어 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당한 시간 차이를 두고 갱신되거나 달성하게 되는 기업정보나 마일스톤과는 달리 기업의 소소한 활동이력까지도 타임라인을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공시할 수 있게 되므로, 이미 투자를 한 투자자들로서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성장과정을 수시로 모니터링하면서 사후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회사의 자산/부채 변화, 임직원의 변화, 회사 위치의 변화, 협력/제휴 등의 변화, 성과 및 실적 등을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이미 투자를 한 투자자들에게 수시로 공시할 수 있게 되므로, 기업 공시가 제도화 되어 있지 않은 비상장사에 대한 투자자들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기틀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펀딩 전후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타임라인상의 기업의 활동 이력을 통하여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얻으며 기업의 성장과정을 알림으로써, 추가적인 투자유치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방법은, 투자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투자자 등록단계(S100)와, 투자를 받기 원하는 기업들이 자신의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기업정보 공개단계(S200)와,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모집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신주청약기간으로 이루어진 펀딩정보를 등록하고 홈페이지를 통하여 펀딩의 시작을 투자자들에게 알리는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S300)와,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를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각 잠재투자자에게 관심기업의 펀딩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알리는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단계(S400)와, 홈페이지나 개별통지를 통하여 펀딩의 진행을 인식하고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에 의해 입력되는 투자의사를 수령하여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리딩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S500)와,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리딩투자자의 투자상황을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다른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투자의사 오픈단계(S600)와, 공개되는 리딩투자자의 투자상황을 파악한 후 입력되는 다른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여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후속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S700)와, 목표하였던 펀딩금액을 초과하거나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한 후 펀딩을 종료하는 펀딩 종료단계(S800)와, 펀딩을 통하여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타임라인의 형태로 표출하고 기업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 후 표출시켜 투자자들의 피투자기업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 투자 사후관리단계(S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자자 등록단계(S100)는 통신망상에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접속하여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확인하고 투자하고자 하는 엔젤투자자와 같은 개인투자자나 법인투자자들의 인적정보와, 투자자들이 선택한 관심기업과, 상기 관심기업의 펀딩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통지받기 위한 개별통지수단과, 과거의 투자이력 등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관심기업과 투자자들의 과거 투자이력 등은 수시로 변경 및 갱신되어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관심기업의 경우 해당 기업에 할당되어 있는 고유번호와 함께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추후 해당 기업의 펀딩이 시작될 경우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투자자인 잠재투자자를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로부터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업정보 공개단계(S200)는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을 통하여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받아 필요한 자금을 모집하기 원하는 예비창업자나 창업기업(Start up)들이 자사의 기업정보를 등록하고, 기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단계의 마일스톤을 설정한 후, 상기 기업정보와 이미 달성한 마일스톤을 갱신저장하면서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업정보 공개단계(S200)를 통하여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되는 기업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델, 팀 구성, 재무정보, 차별성/핵심역량 또는 지적재산과 같은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투자자에게 기업을 성장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이 기업정보에 포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기업정보는 각 기업에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서브 홈페이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업에서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동적인 정보를 SNS 형태로 수시로 등록하여 타임라인의 형태로 표출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방문한 투자자들이 타임라인을 검토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기업의 히스토리를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방문한 투자자들이 직접 질문을 등록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기업으로부터 수령하는 방식으로 기업과 투자자들이 보다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기업의 성장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업정보 공개단계(S200)는 각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을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362)에 저장하고, 기업이 해당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에는 이를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홈페이지 및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시킴으로써,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메인 홈페이지에는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들의 목록과 달성한 마일스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표출되어 투자자들을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로 유도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달성한 마일스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을 개시하면서 추후 달성하게 될 마일스톤을 표출하여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자극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S300)는 필요로 하는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모집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신주청약기간으로 이루어진 펀딩정보를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등록하고 상기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펀딩의 진행을 투자자들에게 알리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S300)에서는 메인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현재 진행 중인 펀딩 블록 등을 통하여 진행 중인 다수의 기업들의 펀딩진행 상황을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100)에는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투자자들이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의 활성화는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웹페이지에 펀딩중인 다수의 기업들 목록이 표출되고 해당 웹페이지에서 투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단계(S400)는 상기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에서 펀딩의 시작이 결정된 기업들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들을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잠재투자자 추출과정(S410)과, 추출된 잠재투자자에 뉴스피드, 메시지, SNS 등의 수단을 통하여 관심기업의 펀딩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알리는 잠재투자자 통지과정(S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재투자자 추출과정(S410)은 펀딩이 진행되기 전에 해당 기업의 기업정보 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모니터링 하면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을 등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 저장해 놓은 투자자인 잠재투자자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펀딩의 진행 전에 해당 기업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기업의 발전상황을 모니터링하던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 의욕이 다른 일반 투자자들보다 높을 것이 자명하므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를 잠재투자자로 추출하는 것이 성공적인 펀딩을 위해 바람직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잠재투자자 통지과정(S420)은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361)에서 잠재투자자로 추출된 투자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한 후 그 개별통지수단에서 활성화되어 투자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관심기업의 펀딩 진행상황을 알리는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별통지수단은 휴대폰 등을 통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나, 쪽지, 또는 SM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법인투자자와 같이 다수인의 집합체에 개별통지를 할 경우에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하여 펀딩 진행상황에 대한 개별통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들에게는 개별통지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평소에 관심을 갖고 모니터링 하던 기업에 투자할 기회를 실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딩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S500)는 상기 주식발행의사 공개단계(S300)를 통하여 메인 홈페이지나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로부터 펀딩의 진행사실을 인식한 투자자나, 상기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단계(S400)를 통하여 개별적인 통지를 받아 펀딩의 진행사실을 인식한 잠재투자자들이 자신의 투자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정보를 수령하여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누적 저장함으로써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투나자나 잠재투자자들이 입력하는 투자의사는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되면서 투자금액을 누적 연산함으로써 다른 투자자나 기업이 목표한 펀딩금액의 달성현황을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자의사 오픈단계(S600)는 상기 리딩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S500)를 통하여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누적 저장된 투자금액의 누적 현황이나 투자자들의 정보를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해당 기업에의 투자를 위해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 등에 접속한 다른 투자자들의 투자자 단말기(100)에 표출시켜 공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자의사 오픈단계(S600)에서 먼저 투자의사를 표현한 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동일한 플랫폼 상에서 오픈함으로써, 종래에 폐쇄적이고 지인들 위주의 편협한 펀딩에 비하여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경쟁적이고 적극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자자의 명칭과 같은 인적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투자자들이 투자하기로 신청한 투자금액도 함께 오픈할 경우 다른 투자자들의 경쟁적인 참여를 확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기업에서 목표로 삼았던 금액에 이르는 크라우드 펀딩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속투자자 투자의사 수령단계(S700)는 해당 기업에서 진행 중인 펀딩에 참여한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확인한 다른 투자자들도 자신의 투자자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투자에 참여하게 되고, 이러한 투자의사를 수신하여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저장함으로써 다른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리딩(Leading)투자자는 해당 기업에의 투자를 먼저 신청한 투자자를 지칭하는 것이며, 상기 후속(Following)투자자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확인한 후 투자를 결심하여 투자하는 투자자를 지칭한다. 따라서 후속투자자도 다른 후속투자자들에 대한 리딩투자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펀딩 종료단계(S800)는 리딩투자자의 투자의사와, 이러한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확인하고 그 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후속투자자의 투자의사를 모두 누적하여 총 투자금액을 연산하고, 상기 펀딩 데이터베이스(363)에 등록된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하면 투자버튼을 비활성화시켜 투자를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목표했던 펀딩금액을 초과하게 될 경우 투자버튼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투자를 종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자금을 모집하고자 하는 기업이 펀딩과 무관하게 창업 초기부터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표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의 운영 중 발생되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자할 관심기업을 선택하게 됨과 아울러, 기업에서 펀딩을 진행할 경우에는 펀딩의 초기에 참여하는 리딩투자자들의 투자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오픈함으로써 경쟁적인 투자 참여를 유도하여 다수의 투자자들에 의한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자 사후관리단계(S900)는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타임라인의 형태로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하는 타임라인 업데이트 과정(S910)과, 피투자기업의 기업정보를 갱신하여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하는 기업정보 갱신과정(S9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임라인 업데이트 과정(S910)은 펀딩이 완료된 피투자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발생되는 기업의 활동 이력을 상기 기업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타임라인의 형태로 시간 순서에 따라 갱신하여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회사의 자산/부채 변화, 임직원의 변화, 회사 위치의 변화, 협력/제휴 등의 변화, 성과 및 실적 등을 표출함으로써, 비상장사의 경우에도 기업 공시처럼 기업의 활동내역을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릴 수 있게 되어 비상장사에 대한 투자자들이 자신이 투자한 기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사후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업정보 갱신과정(S920)은 펀딩이 완료된 후에도 기업의 자산이나 팀원의 변동이나 지적재산의 획득과 같이 상기 기업정보 공개단계(S200)에서 공개하였던 기업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이를 수정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고, 갱신 저장된 새로운 기업정보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기업정보 갱신과정(S920)을 통하여 변동된 기업정보를 수시로 갱신하고 이를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시함으로써, 기업 공시가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비상장사의 경우에도 상장사와 같은 공시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타임라인 업데이트와 기업정보 갱신을 통하여 비상장사의 경우에도 회사의 활동 이력을 수시로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므로, 이미 투자한 투자자들로서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며, 기업으로서도 자사의 기업 활동 이력을 업데이트된 타임라인이나 갱신된 기업정보로 투자자들에게 알림으로써 추가 펀딩 등을 위한 기업의 신뢰성을 쌓아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투자자 단말기 200 - 기업단말기
300 -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 310 - 기업공개부
320 - 마일스톤 관리부 321 - 마일스톤 설정부
322 - 마일스톤 표출부 330 - 주식발행 관리부
340 -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 341 - 잠재투자자 추출부
342 - 통지수단 활성화부 350 - 펀딩운영부
351 - 투자의사 수령부 352 - 투자의사 공개부
353 - 투자종료부 361 -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362 - 기업 데이터베이스 363 - 펀딩 데이터베이스
370 - 타임라인 관리부 380 - 기업정보 갱신부

Claims (11)

  1. 통신망상에서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들의 히스토리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확인하고 투자의사를 입력하는 투자자 단말기; 통신망을 통하여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정보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등록하고 펀딩의 진행여부를 입력하는 기업단말기; 및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와 기업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각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표출시키며, 펀딩을 신청한 기업의 펀딩상황을 공개하고,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잠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개별통지하면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하며, 투자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피투자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기업의 활동 이력을 지속적으로 공지하는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각 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갱신하여 표출하는 마일스톤 관리부;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여 펀딩하고자 하는 펀딩금액과 같은 펀딩정보를 등록하여 펀딩의 시작을 공표하는 주식발행 관리부; 펀딩을 시작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를 투자자들의 인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잠재투자자로 추출한 후, 각 투자자가 설정해 놓은 통지방법에 의해 각 투자자에게 펀딩의 진행상황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 펀딩이 이루어지는 기간 중 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투자에 참가하고자 하는 투자의사를 입력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고 참가한 투자자들을 공개하며 펀딩을 수행하는 펀딩운영부; 및 상기 펀딩운영부를 통하여 투자에 참여한 투자자들이 투자 후 피투자기업의 활동 이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피투자기업의 기업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기업의 활동 이력을 시간 순서에 따라 수신하여 기업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하는 타임라인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는,
    기업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부; 및 기업이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펀딩운영부는,
    상기 투자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펀딩이 진행 중인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투자금액을 입력하면서 표출하는 투자자의 투자의사를 수령하고, 이를 펀딩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는 투자의사 수령부;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에서 수신한 투자자들의 투자의사를 상기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다른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여 투자자 단말기에 표출시키는 투자의사 공개부; 및 상기 투자의사 수령부에서 누적된 투자금액이 목표하였던 펀딩금액을 초과하거나 신주청약기간이 경과한 후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을 비활성화시켜 펀딩을 종료하는 투자종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는,
    홈페이지 메인창의 독립적인 블록에 현재 펀딩을 진행 중인 기업들의 목록이 표출되게 함과 아울러,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해당 기업의 펀딩 정보가 표출되면서 방문한 투자자들이 직접 펀딩에 참여할 수 있는 투자버튼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재투자자 개별통지부는,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주식발행 관리부를 통하여 펀딩이 진행됨을 등록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잠재투자자를 추출하는 잠재투자자 추출부; 및
    상기 잠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 설정한 통지수단을 인식한 후, 그 통지수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잠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공지하는 통지수단 활성화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상기 기업단말기나 투자자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상에서 접속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원 가입한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다른 기업이나 투자자들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선택한 후 스크랩하여 가져와 자신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기업의 사업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과 같은 기업정보를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접속하는 투자자 단말기에 기업정보를 표출시키는 기업공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플랫폼 서버시스템은,
    상기 기업공개부를 통하여 등록된 후 기업에게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는 기업정보에 변동이 있을 경우, 그 변동사항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함과 아울러,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갱신 표출하는 기업정보 갱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25196A 2013-01-28 2013-03-08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2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96A KR101722425B1 (ko) 2013-03-08 2013-03-08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JP2015555086A JP6172872B2 (ja) 2013-01-28 2013-04-02 オープ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用いたファンディング運営及び事後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CN201380074187.3A CN105051775A (zh) 2013-01-28 2013-04-02 应用开放平台的筹资运营及事后管理系统及其方法
US14/763,828 US20150371334A1 (en) 2013-01-28 2013-04-02 Funding and follow-up management system and thereof method using open platform
EP13873080.9A EP2950262A4 (en) 2013-01-28 2013-04-02 FINANCIAL MANAGEMENT AND POST MANAGEMENT SYSTEM USING AN OPEN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
SG11201506533PA SG11201506533PA (en) 2013-01-28 2013-04-02 Funding management and post management system using open platform and method therefor
PCT/KR2013/002712 WO2014115927A1 (ko) 2013-01-28 2013-04-02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196A KR101722425B1 (ko) 2013-03-08 2013-03-08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190A KR20140111190A (ko) 2014-09-18
KR101722425B1 true KR101722425B1 (ko) 2017-04-03

Family

ID=5175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196A KR101722425B1 (ko) 2013-01-28 2013-03-08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4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640B1 (en) 2018-06-08 2019-11-12 Saphyre, Inc. Technologies for file sharing
USD873289S1 (en) 2018-06-08 2020-01-21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1270S1 (en) 2020-03-06 2022-05-10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919A (ko) * 2012-01-13 2013-08-13 이정일 인터넷을 이용한 무수익자산투자 기반의 금융투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1306A (ko) * 2014-12-31 2016-07-08 펀디안 주식회사 생산량과 연동되는 리워드를 지급하는 크라우드펀딩 방법
KR101732093B1 (ko) * 2015-04-01 2017-05-02 주식회사 엔돌핀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KR20160131455A (ko) 2015-05-07 2016-11-16 박석환 크라우드 펀딩 중개 장치
KR101890777B1 (ko) * 2016-01-28 2018-08-22 김현옥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의 광고 장치 및 방법
KR102389514B1 (ko) * 2019-10-30 2022-04-25 이성용 블록체인 기반 특허 크라우드펀딩 장치 및 방법
USD905728S1 (en) 2019-12-31 2020-12-22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3090511A1 (ko) * 2021-11-19 2023-05-25 이지환 블록체인 기술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술 거래 방법
KR102452147B1 (ko) * 2022-03-08 2022-10-11 주식회사 아이알큐더스 아이알 관리 솔루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28A (ko) 2000-05-17 2000-08-05 양진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
KR20040027587A (ko) * 2004-02-14 2004-04-01 김상준 소프트웨어 펀드 시스템 및 펀딩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4640B1 (en) 2018-06-08 2019-11-12 Saphyre, Inc. Technologies for file sharing
USD873289S1 (en) 2018-06-08 2020-01-21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422979B2 (en) 2018-06-08 2022-08-23 Saphyre, Inc. Technologies for file sharing
USD982597S1 (en) 2018-06-08 2023-04-04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841831B2 (en) 2018-06-08 2023-12-12 Saphyre, Inc. Technologies for file sharing
USD951270S1 (en) 2020-03-06 2022-05-10 Saphyr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190A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23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22425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Brown et al. Managing the narrative: Investor relations officers and corporate disclosure✰
Sridhar et al. New vistas for marketing strategy: digital, data-rich, and developing market (D 3) environments
JP6172872B2 (ja) オープ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用いたファンディング運営及び事後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US20060242014A1 (en) Contacts networking technology
Longo Implementing managerial innovations in primary care: can we rank change drivers in complex adaptive organizations?
KR20180070943A (ko) 투자 매칭 중개 플랫폼 시스템
Saxton et al. Venture advocate behaviors and the emerging enterprise
Pitluck Distributed execution in illiquid times: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trading in stock markets
Cavallone et al. TES Marketing
Anantadjaya et al. Measuring customers' intimacy? Evidence from Indonesian service-based companies
Addicott Social enterprise in health care
US20150199631A1 (en) Performance of tasks within organizations
KR101535422B1 (ko)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Tonoyan et al. Toward a multidimensional and multilevel approach to studying gender diversity in upper echelons and firm innovation
Mubako Digital transformation. The realign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usiness strategies for retailers in South Africa
Farquhar Branding in UK banks and building societies: a relationship approach
Logan Customers who don’t buy anything! The introduction of free dispensing at Boots the Chemists
Raich et al. Fitting new brand principles: First encounter at bank branches
KR10137625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Rathbun Strategies for successfully managing organizational IT Projects
O’Connor Communication: Essential strategies for success
KR101683783B1 (ko) 온라인 창업경진 콘테스트를 통한 창업 정보 운영시스템
JP200204976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保険サポートサービス提供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3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7

Effective date: 2016111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