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22B1 -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 Google Patents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22B1
KR101535422B1 KR1020130009532A KR20130009532A KR101535422B1 KR 101535422 B1 KR101535422 B1 KR 101535422B1 KR 1020130009532 A KR1020130009532 A KR 1020130009532A KR 20130009532 A KR20130009532 A KR 20130009532A KR 101535422 B1 KR101535422 B1 KR 101535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estone
company
investor
interested
enterpr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675A (ko
Inventor
고용기
Original Assignee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목표들을 다수의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기업이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 이를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해당 기업을 미리 관심기업을 설정해 놓은 관심투자자의 경우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다양한 개별통지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간의 원활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게 하여, 기업이 적극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하고, 투자자들로서도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TTAINMENT OF MILESTONE}
본 발명은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목표들을 다수의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기업이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 이를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해당 기업을 미리 관심기업을 설정해 놓은 관심투자자의 경우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다양한 개별통지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간의 원활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게 하여, 기업이 적극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하고, 투자자들로서도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는 매수자와 매도자간에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진 후 상호간에 대금 지급과 주식의 명의 개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비상장사의 주식을 선 권리자로부터 매수하거나 공모주 청약 등을 통하여 취득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비상장사의 사업 내용과 발전가능성 등을 판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Start-Up)의 경우 상장사와는 달리 외부 감사 등에 의한 제약이 크지 않고, 공개되는 정보 및 그 정리가 쉽지 않은바, 투자자들로서는 기업의 내부 상황과 시장 점유정도 또는 매출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 특히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기 위한 투자자들로서는 창업기업에서 제공하는 사업계획서에 의존하여 회사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는 증권사 웹사이트에 구비된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는 실제 시장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장밋빛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예정사항들 위주로 기재되므로, 투자자 입장에서 실제 시장에서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갖고 사업이 이루어질 것인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권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의 경우 그 출처를 확인하기 어려워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헐적으로 기재되는 회사의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를 회사별로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여러 비상장사의 사업실적 등이 오랜 기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투자자로서는 시간 순서에 따라 게시판에 게시되는 특정 회사의 히스토리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여 투자정보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장사의 입장에서도 회사의 발전에 따른 동적인 성장과정을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하면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는바, 회사의 발전상황에 대한 정보가 시드머니 펀딩과 같은 이벤트의 일 재료로 제공됨에 그치게 되어 창업회사와 투자자 간에 회사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권 거래와 관련된 현업 종사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일반투자자의 실시간 정보 공유와 양자의 실시간 투자 상담으로 일반 투자자의 증권 정보에 대한 선별 능력 및 분석능력을 높일 수 있게 한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은 한정된 수의 상장사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할 뿐 증권사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이루어져야 하는 비상장사의 주식 취득을 위한 투자정보 제공에는 직접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상장사의 주식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사업계획서에 개시되어 있는 정적인 예정상황을 넘어 실제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적인 회사의 성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창업한지 오래되지 않은 창업기업들의 경우에도 원하는 자금을 안정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여전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업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목표들을 다수의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기업이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 이를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해당 기업을 미리 관심기업을 설정해 놓은 관심투자자의 경우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다양한 개별통지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간의 원활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게 한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업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하는 기업정보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수신한 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등록부;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투자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한 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투자자 등록부; 각 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증빙데이터와 함께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는 마일스톤 관리부; 및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에서 갱신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 표출시키고,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관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각 관심투자자에게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통지하는 마일스톤 통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는,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설정부; 및 기업이 달성한 마일스톤의 승인요청을 수신하고, 달성한 마일스톤 항목을 투자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일스톤 갱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갱신부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부; 및 업로드된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통지부는,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에서 갱신 저장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홈페이지 표출부; 및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각 관심투자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으로 마일스톤의 달성사실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 표출부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향상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부; 및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마일스톤 블록을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 표출하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마일스톤을 달성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부; 및 상기 관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 설정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개별통지수단에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개별통지수단 활성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방법은,
통신망상에서 기업등록부에 접속한 기업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기업정보를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투자자 등록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단계;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증빙자료를 요청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며, 해당 마일스톤을 달성항목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갱신단계;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에서 갱신 저장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서 변경 표출시키는 홈페이지 표출단계;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갱신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단계; 및 추출된 관심투자자가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개별통지수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알리는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과정; 및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업로드되는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하여 갱신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페이지 표출단계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과정; 및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다수의 상세 마일스톤 항목 중 달성된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변경하여 표출시키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업이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기업을 미리 관심기업을 설정해 놓은 관심투자자의 경우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다양한 개별통지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간의 원활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업이 설정한 마일스톤 항목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들을 메인 홈페이지에서 표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들을 별도의 웹페이지에서 표출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해당 기업의 히스토리가 SNS 방식으로 표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방법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업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한 기업정보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수신한 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등록부(100)와,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투자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한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한 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투자자 등록부(200)와, 각 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설정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증빙데이터와 함께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갱신 저장하는 마일스톤 관리부(300)와,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에서 갱신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 표출시키고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관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각 관심투자자에게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통지하는 마일스톤 통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업등록부(100)는 기업단말기(110)를 이용하여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기업에게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상기 기업단말기(110)에 의해 입력되는 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과 같은 기업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업등록부(100)에 등록되는 기업은 일정기간 동안 사업을 영위해온 기업일 수도 있으나, 기업을 널리 홍보할 기회가 부족하였거나 투자자금을 모으기 어려운 예비창업자나 창업기업(Start up)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업등록부(100)에 의해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등록되는 기업정보는 각 기업에 할당되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어필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팀 구성(Team), 재무정보(Financial), 차별성/핵심역량(Unique/Creative) 또는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 Right)과 같은 여러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업정보의 각 항목은 투자자들이 기업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인바, 상술한 항목의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은 하나의 조직인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조하고 전파하며 포착해내는지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묘사한 것으로서, 기업이 실질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징을 투자자들이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되므로,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본 모델을 다수의 단계로 나누어 상세하게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비즈니스 모델은 가치 창출(Value Proposition), 핵심 활동(Key Activities), 핵심 자원(Key Resources), 대상 고객(Customer Segments), 채널(Channels),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s), 수익원(Revenue Streams), 비용구조(Cost Structure), 핵심 파트너쉽(Key Partners) 등을 상세하게 기재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팀 구성(Team)은 기업에서 사업을 영위함에 있어 키(key)가 될 수 있는 주요 인물들의 이력과 전문분야 등을 기재하여 기업 자체뿐만 아니라 그 기업에서 주요 업무를 담당하면서 함께 참여하는 주요 구성원들의 과거 이력에 의해 투자자들이 창업기업의 발전방향과 발전가능성을 검토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무정보(Financial)는 기업의 자산규모를 상세하게 기재하여 투자자들이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차별성/핵심역량(Unique/Creative)은 유사한 서비스나 제품을 제공하는 동종업종과 차별화된 기업만의 독창적인 특징을 MS워드, 파워포인트, PDF 등 자유로운 자료와 함께 업로드하여 투자자들이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적재산(Intellectual Property Right)은 기업이 출원 중이거나 등록받은 특허 등 지적재산권의 보유현황이나, 진행상황 또는 뉴스 등을 통하여 발표된 기술자료 등의 현황을 등록하여, 투자자들이 기업의 지적재산 보유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자자 등록부(200)는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한 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투자자가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기업을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누적 저장함으로써, 상기 투자자 단말기(210)로 접속한 투자자들이 관심기업들의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보다 용이하게 통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자자 단말기(210)는 퍼스널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심기업의 마일스톤 변화나 다른 투자자의 펀딩 참여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중개 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자자 등록부(200)는 투자자들에게도 다른 투자자나 기업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일정 문자 수 범위 내에서 SNS의 입력과 등록 및 확인이 가능한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기업에게 할당되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해당 기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사의 운영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시로 등록하고, 투자자로서는 해당 기업에서 등록하는 정보를 열람함과 아울러 기업에게 문의할 사항을 등록하면서 기업과 투자자들과의 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업등록부(100)와 투자자 등록부(200)에 의해 각 기업이나 투자자들에게 할당하는 서브 홈페이지에는 타임라인(Time Line)과 뉴스피드(NewsFeed) 기능을 통하여 기업의 활동이나 투자자들의 활동 내역을 자연스럽게 공시하면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TimeLine)을 통하여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이나 기업에서 알리고자 하는 지속적인 활동 내역을 기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기업의 활동이력을 시간 순서에 따른 전문 SNS 형태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뉴스피드(NewsFeed)를 통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관심기업이나 관심투자자들의 서브 홈페이지에 신규로 등록되는 글들만을 받아 볼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각 투자자에게 할당되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로서는 다른 투자자들 및 기업들과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업으로서는 우수 투자자의 서브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자사에 대한 소개를 함과 아울러, 투자를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각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할당되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기업과 투자자간에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300)는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설정부(310)와, 기업이 달성한 마일스톤의 승인요청을 수신하고 달성한 마일스톤 항목을 투자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는 마일스톤 갱신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310)는 기업이 성장하면서 달성하고자 하는 다수의 목표인 마일스톤(Milestone)을 설정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인설립(Step 1), 월별BEP달성(Step 2 내지 Step 4), 추가제품개발(Step 5 및 Step 6), 사업 안정화(Step 7), 마케팅 및 채널확보(Step 8), 해외활동추가(Step 9), 및 전시회 및 기업홍보(Step 10) 등 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마일스톤을 나타내는 각 단계들은 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인바, 이와 다른 목표들을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마일스톤 항목들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미리 설정해 놓을 수도 있으나, 각 기업이 자사의 운영계획에 따라 설정한 다수의 마일스톤을 상기 기업단말기(110)로 입력한 후 등록함으로써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다수의 마일스톤은 각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됨으로써, 서브 홈페이지를 방문한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운영계획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일스톤 갱신부(320)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부(321)와, 업로드된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승인요청부(321)는 사업을 영위하면서 법인설립, 월별 BEP 달성, 추가제품개발, 전시회 등의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이 상기 기업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자사가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하였음을 등록하면서 서브 홈페이지의 변경을 요청하면, 이를 수신한 후 마일스톤의 달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법인등기부 등본, 전자세금계산서, 전시회 팜플렛 등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마일스톤 승인요청부(321)는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갱신하여 표출하기 전에 객관적인 증빙자료의 첨부를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마일스톤을 달성하였음을 거짓으로 등록하여 투자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일스톤 달성갱신부(322)는 기업단말기(110)를 통하여 업로드되는 증빙자료를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 후 해당 기업이 변경을 요청한 마일스톤 항목을 달성한 것으로 변경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해당 마일스톤 항목을 기업이 달성한 것으로서 변경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해당 마일스톤 항목의 색이 변경되거나, 해당 마일스톤 항목에 달성하였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표시가 첨부되어 표출되므로 다른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일스톤 통지부(400)는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에서 갱신 저장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홈페이지 표출부(410)와,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한 후 각 관심투자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통지수단으로 마일스톤의 달성사실을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홈페이지 표출부(410)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향상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부(411)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마일스톤 블록을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 표출하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홈페이지 표출부(411)는 해당 기업에 대한 관심이 없거나 해당 기업의 존재 자체를 모르던 투자자들에게도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과 그로 인한 성장을 알릴 수 있도록 메인 홈페이지에 구비된 별도의 블록(도 3에서는 최근 마일스톤 달성블록으로 표출됨)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신속한 성장을 통하여 마일스톤의 달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메인 홈페이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기업을 홍보할 기회를 갖게 됨과 아울러,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표출되는 블록에는 기업의 명칭과, 달성한 마일스톤이 간략하게 함께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기업의 명칭을 선택하거나, 마일스톤을 달성한 스타트업 더보기와 같은 추가 검색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로 직접 이동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일스톤 달성기업들을 보다 많이 나타내는 마일스톤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투자자들의 상세검색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홈페이지 표출부(412)는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여러 마일스톤 항목 중 해당 기업이 이미 달성한 마일스톤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마일스톤과 색을 달리하여 표출시킴으로써,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들이 현재까지 진행된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기업이 달성한 마일스톤을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한 수단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서브 홈페이지에는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들의 목록도 함께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관심투자자들의 목록을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킬 경우 동일하게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들 간의 원활한 의견 교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능력 있는 투자자의 관심내역을 확인한 다른 투자자들의 관심 유도 및 투자 유도에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420)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마일스톤을 달성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부(421)와, 상기 관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 설정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개별통지수단에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알리는 개별통지수단 활성화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심투자자 추출부(421)는 기업정보나 마일스톤 달성현황 등을 모니터링 하면서 관심기업으로 선택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한 투자자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관심기업으로 저장될 때, 해당 기업의 고유번호를 투자자의 인적정보와 매치시켜 저장함으로써 추후 잠재투자자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자자가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기업에는 해당 투자자가 관심투자자로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서브 홈페이지에는 관심투자자들이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통지수단 활성화부(422)는 관심투자자가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받기 위해 설정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고, 해당 개별통지수단에 적합한 형태의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각 관심투자자에게 마일스톤 달성현황에 대한 신속한 개별공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서 휴대폰 등의 SMS 메시지나 쪽지를 선택한 경우에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관심기업에서 펀딩이 시작됨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나 쪽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심투자자가 통지수단으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를 선택한 경우에는 각 SNS에 적합하게 생성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SNS 계정에 등록함으로써, 관심투자자가 해당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고도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방법은, 통신망상에서 기업등록부에 접속한 기업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기업정보를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투자자 등록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S100)와,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단계(S200)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증빙자료를 요청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며 해당 마일스톤을 달성항목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갱신단계(S300)와,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에서 갱신 저장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서 변경 표출시키는 홈페이지 표출단계(S400)와,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갱신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단계(S500)와, 추출된 관심투자자가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개별통지수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알리는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S100)는 다수의 투자자자들로부터 투자받아 필요한 자금을 모집하기 원하는 예비창업자나 창업기업(Start up)들이 통신망상에서 상기 기업등록부(100)에 접속한 기업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기업정보를 수신한 후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고, 기업에 투자하기를 원하는 투자자들이 통신망상에서 상기 투자자 등록부(200)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한 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업단말기(110)와 투자자 단말기(210)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을 이루는 기업등록부(100)와 투자자 등록부(200)에 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독립적인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어 무선통신망상에서 접속하여 홈페이지 상에 표출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S100)는 처음 등록시 뿐만 아니라 추후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관심기업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이와 같이 관심기업으로 저장한 특정 기업에도 해당 투자자가 관심투자자로서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S100)에서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기업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비즈니스 모델, 팀 구성, 재무정보, 차별성/핵심역량 또는 지적재산과 같은 여러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항목들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일스톤 설정단계(S200)는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을 설정한 후 마일스톤 관리부(300)에 등록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면서 기업의 운영계획을 투자자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설정단계(S200)에서 등록되는 마일스톤 항목은 법인설립, 월별 BEP(손익분기점) 달성, 추가제품개발, 전시회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큰 목표만을 설정하는 것보다는 예측 가능한 범위내에서 달성이 예상되는 목표들을 세분화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업에서 설정하는 마일스톤 항목이 특별 종류나 항목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S300)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과정(S310)과,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업로드되는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하여 갱신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과정(S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승인요청과정(S310)은 법인설립, BEP(손익분기점) 달성, 전시회 등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이 기업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접속한 후, 자사가 설정한 마일스톤을 달성하였음을 등록하면서 마일스톤 달성의 승인과 그에 따른 마일스톤 달성현황의 갱신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승인요청신호에 대하여 마일스톤의 달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법인등기부 등본, 전자세금계산서 또는 전시회 팜플렛 등의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일스톤 달성갱신과정(S320)은 상기 기업단말기(110)에서 업로드되는 증빙자료를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여 추후 투자자들이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해당 기업이 승인을 요청한 마일스톤 항목을 달성한 것으로 변경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달성갱신과정(S320)에서는 달성한 마일스톤 항목을 그렇지 못한 마일스톤 항목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색을 달리하거나, 해당 마일스톤 항목의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활성화상태를 달리하는 등 다른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페이지 표출단계(S400)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과정(S410)과,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다수의 상세 마일스톤 항목 중 달성된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변경하여 표출시키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과정(S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홈페이지 표출과정(S410)은 해당 기업에 대한 관심이 없거나 해당 기업의 존재 자체를 모르던 무관심한 투자자들에게도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을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알릴 수 있도록, 메인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별도의 블록에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들의 명칭과 달성한 마일스톤 항목이 간략하게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안정적으로 투자를 받기 위한 기업들로서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되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 홈페이지 표출과정(S420)은 상기 메인 홈페이지 표출과정 등을 통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관심을 갖고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해당 기업에서 설정해 놓은 다수의 마일스톤 항목을 모두 표출시킴과 아울러, 다수의 마일스톤 항목 중 이미 달성한 마일스톤 항목들의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거나, 활성화 상태를 부여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심투자자 추출단계(S500)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갱신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추출한 후, 관심투자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즉,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투자자의 경우에는 기업의 발전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었으므로, 기업의 성장에 대한 관심이 그렇지 않은 투자자보다 높을 것이므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투자자들에게는 개별적인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갱신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관심투자자의 정보가 해당 기업의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도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기업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단계(S600)는 상기 투자자 데이터베이스(220) 또는 기업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추출된 관심투자자가 기업의 현황을 개별적으로 통지받기 위해 설정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한 후, 그 개별통지수단에서 활성화되어 투자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관심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알리는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별통지수단은 휴대폰 등을 통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나, 쪽지, 또는 SM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법인투자자와 같이 다수인의 집합체에 개별통지를 할 경우에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하여 마일스톤 달성현황에 대한 개별통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업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목표들을 다수의 마일스톤으로 설정하고 이를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들이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의 전체적인 발전방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기업이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할 경우 이를 메인 홈페이지와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기업을 홍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기업을 미리 관심기업을 설정해 놓은 관심투자자의 경우에는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다양한 개별통지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통지(Notifying/Push)함으로써, 투자자와 기업 간의 원활한 소통과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마일스톤의 달성현황들은 기업이 적극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됨과 아울러, 투자자들로서도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안이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기업등록부 110 - 기업단말기
120 - 기업 데이터베이스 200 - 투자자 등록부
210 - 투자자 단말기 220 - 투자자 데이터베이스
300 - 마일스톤 관리부 310 - 마일스톤 설정부
320 - 마일스톤 갱신부 321 - 마일스톤 승인요청부
322 - 마일스톤 달성갱신부 400 - 마일스톤 통지부
410 - 홈페이지 표출부 411 - 메인 홈페이지 표출부
412 - 서브 홈페이지 표출부 420 -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
421 - 관심투자자 추출부 422 - 개별통지수단 활성화부

Claims (10)

  1. 기업등록부, 투자자 등록부, 마일스톤 관리부, 및 마일스톤 통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업등록부는,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기업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하는 기업정보와 마일스톤의 달성현황을 수신한 후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투자자 등록부는,
    통신망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투자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등록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수신한 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는,
    마일스톤 설정부 및 마일스톤 갱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는,
    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면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milestone)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며,
    상기 마일스톤 갱신부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부; 및
    업로드된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마일스톤 통지부는,
    홈페이지 표출부 및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페이지 표출부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향상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부; 및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마일스톤 블록을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변경 표출하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부는,
    투자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마일스톤을 달성한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부; 및
    상기 관심투자자가 개별통지수단으로 설정하여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상기 개별통지수단에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통지하는 개별통지수단 활성화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통신망상에서 기업등록부에 접속한 기업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기업정보를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신망상에서 투자자 등록부에 접속한 투자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투자자의 인적정보를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인 마일스톤으로 설정하여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단계;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증빙자료를 요청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며, 해당 마일스톤을 달성항목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갱신단계;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에서 갱신 저장된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홈페이지에서 변경 표출시키는 홈페이지 표출단계;
    마일스톤 달성현황이 갱신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해 놓은 관심투자자를 추출하는 관심투자자 추출단계; 및
    추출된 관심투자자가 저장해 놓은 개별통지수단을 인식하고, 개별통지수단에서 표출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개별통지 메시지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관심투자자에게 개별적으로 알리는 관심투자자 개별통지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기업 및 투자자 등록단계는,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관심기업을 투자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와 같이 관심기업으로 저장되는 특정 기업에도 해당 투자자가 관심투자자로서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일스톤 갱신단계는,
    미리 설정해 놓은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에서 기업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승인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마일스톤 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증빙자료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마일스톤 승인요청과정; 및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업로드되는 증빙자료를 수신하여 상기 기업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기업의 마일스톤 달성현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하여 갱신 저장하는 마일스톤 달성갱신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홈페이지 표출단계는,
    최근에 마일스톤을 달성한 여러 기업들의 목록을 메인 홈페이지의 별도 블록에 표출시켜 투자자들에게 노출시키는 메인 홈페이지 표출과정; 및
    마일스톤을 달성한 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다수의 상세 마일스톤 항목 중 달성된 마일스톤 항목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변경하여 표출시키는 서브 홈페이지 표출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09532A 2013-01-28 2013-01-28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KR10153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32A KR101535422B1 (ko) 2013-01-28 2013-01-28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32A KR101535422B1 (ko) 2013-01-28 2013-01-28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675A KR20140096675A (ko) 2014-08-06
KR101535422B1 true KR101535422B1 (ko) 2015-07-10

Family

ID=5174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32A KR101535422B1 (ko) 2013-01-28 2013-01-28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83B1 (ko) 2019-04-18 2019-09-02 사단법인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08B1 (ko) * 2015-06-02 2019-08-28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74A (ko) * 2000-03-02 2001-09-15 김영한 벤처투자지원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22934A (ko) * 2000-09-21 2002-03-28 홍원기 벤처기업 주식 교환 시스템 제공방법 및 장치
KR20020045458A (ko) * 2000-12-11 2002-06-19 김현철 투자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74A (ko) * 2000-03-02 2001-09-15 김영한 벤처투자지원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22934A (ko) * 2000-09-21 2002-03-28 홍원기 벤처기업 주식 교환 시스템 제공방법 및 장치
KR20020045458A (ko) * 2000-12-11 2002-06-19 김현철 투자 중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Net.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오픈트레이드를 소개합니다.". 창업보육센터네트워크시스템 행사안내 게시판 *
BI-Net.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오픈트레이드를 소개합니다.". 창업보육센터네트워크시스템 행사안내 게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83B1 (ko) 2019-04-18 2019-09-02 사단법인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67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23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ridhar et al. New vistas for marketing strategy: digital, data-rich, and developing market (D 3) environments
KR101722425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Anshari et al. E-government with big data enabled through smartphone for public services: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Rice et al. The data librarian’s handbook
JP6172872B2 (ja) オープ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用いたファンディング運営及び事後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WO20192295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from searched users of network and send connection request to selected users and establishing connection based on acceptance of connection request by said selected users
US20160098586A1 (en) Semantic note taking system
KR101566580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McNeill Urban geography 1:‘Big tech’and the reshaping of urban space
Elsayed Web content strateg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case of King Abdulaziz University
KR101738826B1 (ko) 공모전 관리 시스템
Foster Initiatives
KR20180053966A (ko)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1535422B1 (ko)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KR102334605B1 (ko) 결혼 서비스에 대한 비교 견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76251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자정보 제공방법
Nyamboli Strategies to Implement Social Media Marketing in Small Businesses
JP2015062096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Paris et al. Business to customer (B2C) e-commerce implementation process: a case study experience in fashion and apparel business in Malaysia
Logan Customers who don’t buy anything! The introduction of free dispensing at Boots the Chemists
KR10137625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KR102153754B1 (ko)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
JP7355395B2 (ja) ソーシャルアーカイビ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7337314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